KR200344164Y1 - 상하수도관의 파손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상하수도관의 파손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164Y1
KR200344164Y1 KR20-2003-0039584U KR20030039584U KR200344164Y1 KR 200344164 Y1 KR200344164 Y1 KR 200344164Y1 KR 20030039584 U KR20030039584 U KR 20030039584U KR 200344164 Y1 KR200344164 Y1 KR 2003441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astening
base
sewage pipe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5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근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씨제이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씨제이건설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씨제이건설
Priority to KR20-2003-00395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1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1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1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수도관의 파손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약지반 또는 붕괴가 빈번한 곳에 매설된 상하수도관이 외력에 의해 뒤틀리거나 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하수도관; 상하수도관의 둘레면을 감싸 보호하는 완충부재; 평판형상의 가로벽 상면에 한쌍의 세로벽이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면서 상기 상하수도관 및 완충부재가 조밀하게 맞물려 안착되어지는 안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세로벽의 바깥쪽 일면에서 상방이 개구되도록 종방향으로 절개되어 이루어진 다수의 끼움홈과, 상기 가로벽의 양단 상면부에서 일정깊이로 절개된 결속홈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결속홈에는 다수의 결속구멍이 형성되어진 베이스; 평판형상의 가로벽 저면에 상기 베이스 전체를 감싸 덮을 수 있도록 한쌍의 세로벽이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세로벽의 안쪽 일면에는 상기 끼움홈과 맞물려 하방으로 끼워지는 다수의 끼움돌기가 형성되되, 이웃하는 상기 베이스들 간의 연결부가 감싸듯 덮히도록 상기 베이스와 상호 엇갈리게 씌워지는 덮개; 이웃하는 상기 베이스들이 상호 이어지면서 연결되는 상기 결속홈 전체에 조적되고, 상기 결속구멍에 상응하는 다수의 체결구멍이 형성된 체결판; 상기 결속홈과 체결구멍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이웃하는 상기 베이스들 및 체결판을 상호 체결시키는 체결돌기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은 지면에 박혀 고정되는 지지바;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상하수도관의 파손방지구조{Protecting structure for the water pipe}
본 고안은 상수도관의 파손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약지반 또는 붕괴가 빈번한 곳에 매설된 상하수도관이 외력에 의해 뒤틀리거나 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주택 및 각종 시설에 상수를 공급하는 상수도관과, 사용된 하폐수를 원격지의 하수처리시설로 이송시킬 수 있는 하수도관은 지상의 공간확보 및 생활환경미화를 위해 지하에 매설된다.
한편, 상기 상하수도관의 매설은, 일정한 직경과 길이를 갖는 다수의 상하수도관을 일렬로 연통되게 연결한 구조물이 안착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으로 지면을 절개하고, 이곳에 상기 상하수도관 구조물을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안착시킨 후 토사로 매몰함으로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 매설방법을 보면 단순히 땅을 파서 그곳에 상하수도관을 넣은 후 다시 땅을 덮는 방식이므로, 시공이 간편하여 널리 활용되고 있다. 특히, 도심지의 경우에는 상하수도관의 주변부에 위치되는 토사를 다져 토사들간의 조밀도를 높이는 한편, 상하수도관이 매설된 지면상에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등을 도포함으로서, 지반의 침하 및 붕괴로 인한 상하수도관의 파손위험이 최소화되었다. 따라서, 상하수도관의 매설에 있어서 별도의 보강공사 없이도 상기한 시공법만으로도 충분히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으며, 상하수도관의 안정성에도 별문제는 없었다.
하지만, 하천유역 또는 강수량이 많은 산간지역 등 지반의 붕괴와 부분적인 침하가 빈번한 곳에서는 상기한 시공법만으로는 상하수도관을 매설하는데 한계가있다. 즉, 상기한 시공법은 상하수도관이 일방향으로 길게 연결되어 횡압력에 대한 지지력이 극히 미약하므로, 상하수도관 매설지의 경미한 지반침하로도 상하수도관이 쉽게 휘거나 뒤틀리면서 그 일부의 파손 및 틈이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틈을 통해 누수 및 외부 이물질의 유입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지면에 각각 고정된 다수의 앵커와 연결된 와이어가 지하에 매설된 상하수도관의 외주면과 단단히 연결되어, 부분적인 지반침하에도 상하수도관의 휨이나 뒤틀림없이 어느정도 지지될 수 있도록 된 구조가 본원고안의 고안자에 의해 고안되어 선출원(실용신안등록번호 제318224호)된 바 있다.
하지만, 선출원된 고안은 지탱할 수 있는 힘에 한계가 있어, 상기된 문제의 근원적인 해소는 이루지 못하였고, 앵커와 와이어를 상하수도관과 연결시켜야 하므로, 실제로 절개되는 지면의 너비는 상하수도관의 안착되는 실제 너비보다 크게 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한편, 근래들어 토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지하의 활용이 빈번한 도심지에서도, 상하수도관의 매설지와 지하공사 현장이 상호 간섭되어, 공사 중의 실수로 인해 지반이 붕괴되는 사고가 잦아졌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 안출된 것으로, 지하에 매설된 상하수도관에 있어서, 부분적인 지반침하 및 붕괴로 인해 횡압력에 대한 지지력이 약한 상하수도관이 휘거나 뒤틀려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하수도관의 파손방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상하수도관의 파손방지구조에 따라 조립이 이루어지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라 조립된 상하수도관의 파손방지구조의 사시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0 ; 상하수도관 110, 120 ; 완충부재
111, 112 ; 안착면 130, 130' ; 덮개
131 ; 삽입공간 132, 133 ; 세로벽
132a ; 끼움돌기 134 ; 가로벽
135 ; 손잡이 140 ; 결속판
141 ; 체결구멍 150, 150' ; 베이스
151 ; 안착공간 152, 153 ; 세로벽
152a ; 끼움홈 154; 결속홈
154a ; 결속구멍 155 ; 가로벽
160 ; 지지바 161 ; 체결돌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하수도관;
상하수도관의 둘레면을 감싸 보호하는 완충부재;
평판형상의 가로벽 상면에 한쌍의 세로벽이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면서 상기 상하수도관 및 완충부재가 조밀하게 맞물려 안착되어지는 안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세로벽의 바깥쪽 일면에서 상방이 개구되도록 종방향으로 절개되어 이루어진 다수의 끼움홈과, 상기 가로벽의 양단 상면부에서 일정깊이로 절개된 결속홈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결속홈에는 다수의 결속구멍이 형성되어진 베이스;
평판형상의 가로벽 저면에 상기 베이스 전체를 감싸 덮을 수 있도록 한쌍의 세로벽이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세로벽의 안쪽 일면에는 상기 끼움홈과 맞물려 하방으로 끼워지는 다수의 끼움돌기가 형성되되, 이웃하는 상기 베이스들 간의 연결부가 감싸듯 덮히도록 상기 베이스와 상호 엇갈리게 씌워지는 덮개;
이웃하는 상기 베이스들이 상호 이어지면서 연결되는 상기 결속홈 전체에 조적되고, 상기 결속구멍에 상응하는 다수의 체결구멍이 형성된 체결판;
상기 결속홈과 체결구멍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이웃하는 상기 베이스들 및 체결판을 상호 체결시키는 체결돌기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은 지면에 박혀 고정되는 지지바;
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상하수도관의 파손방지구조에 따라 조립이 이루어지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라 조립된 상하수도관의 파손방지구조의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은 상하수도관(10)과, 이 상하수도관(10)의 둘레면을 감싸 보호하는 완충부재(111, 112)와, 상기 상하수도관(10) 및 완충부재(111, 112)가 안착되는 베이스(150)와, 베이스(150)를 덮는 덮개(130)와, 이웃하는 베이스(150, 150')들을 상호 체결시키는 체결판(140)과, 일단이 상기 베이스(150)와 연결되고 타단은 지면에 박혀 고정되는 지지바(1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부재(110, 120)는 상하수도관(10)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개별적으로 감싸 보호할 수 있도록 되며, 외부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성을 가진 고분자합성수지재이다.
상하수도관(10)은 좌우 개구된 둥근 관형상으로서, 원격지의 이용자 또는 하폐수처리시설로 상하수를 이송하기 위해 다른 상하수도관(10)들과 상호 연통되게 연결된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완충부재(110, 120)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상하수도관의 외형적 특성을 고려하여 이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일면에 상하수도관(10)의 둘레면이 맞물릴 수 있는 곡면형상의 밀착면(111, 112)이 형성된다. 이때, 본 고안은 상하수도관(10)의 보수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본 고안의 구조적 특성상 상기 완충부재(110, 120)가 상하수도관(10)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개별적으로 감싸 보호하는 한쌍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 완충부재(111, 112)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한도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베이스(150)는 평판형상의 가로벽(155)과 그 상면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입설된 한쌍의 세로벽(152, 153)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로벽(155)과 세로벽(152, 153)으로 감싸여진 안착공간(151)으로 상기 상하수도관(10) 및 완충부재(110, 120)가 조밀하게 맞물려 채워진다.
한편, 상기 세로벽(152, 153)의 바깥쪽 일면에는 상방이 개구되도록 종방향으로 절개되어 이루어진 다수의 끼움홈(152a)이 구비된다. 계속해서, 상기 가로벽(155)의 양단 상면에는 소정깊이로 절개되어 이루어진 결속홈(154)이 각각 형성된다. 가로벽(155)의 양단이라 함은 상기 세로벽(152, 153)이 측방으로 개구된 부분이며, 이 부분에 형성된 결속홈(154)은 이웃하는 다른 베이스(150')에 구비된 결속홈과 상호 연결되면서 상기 체결판(140)을 매개로 결속되고, 이로인해 상기 베이스들(150, 150')은 상호 연결된다. 이때, 상기 결속홈(154)에는 다수의 결속구멍(154a)이 형성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재언급하겠다.
상기 체결판(140)은 상기 결속홈(154)의 상면으로 조적되어 상호 이웃하는 베이스(150, 150')들 간의 결속을 도모하는 것으로, 해당 베이스(150)와 이와 이웃하는 다른 베이스(150')에 각 결속홈(154)이 상호 연결되면, 연결된 결속홈(154) 전체의 상면으로 하나의 체결판(140)이 조밀하게 조적되며, 이때, 이러한 체결판(140)에는 상기 결속홈(154)에 형성된 결속구멍(154a)과 연통되는 체결구멍(141)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160)에 형성된 체결돌기(161)에 의해 순차적으로 관통/체결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150)는 충분한 강성을 얻기 위해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질 것이므로, 상기 체결판(140)은 소정의 연성 및 완충성을 지닌 고분자합성수지재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체결판(140)이 베이스(150)와 동재질인 콘크리트로 된다면, 외력에 의한 작은 진동으로도 베이스(150, 150') 간의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가 없어 베이스(150, 150')와 체결판(140) 간의 연결부가 훼손될 수 있고, 특히, 베이스(150)에 비해 그 강성이 상대적으로 약해질 콘크리트재질의 체결판(140)은 상기한 외력으로 인해 금방 파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기 체결판(140)이 반드시 고분자합성수지재로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철재와 같은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덮개(130)는 가로벽(134)의 저면에 한쌍의 세로벽(132, 133)이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면서, 상기 가로벽(134) 및 세로벽(132, 133)으로 둘러쌓인 삽입공간(131)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삽입공간(131)은 상기 베이스(150)의 상면부와 세로벽(152, 153)의 바깥쪽 일면이 모두가 덮힐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갖는다.
한편, 상기 세로벽(132, 133)의 안쪽 일면에는 베이스(150)의 세로벽(152, 153)에 형성된 끼움홈(152a)과 맞물리는 끼움돌기(132a)가 형성되며, 이들을 매개로 베이스(150)와 덮개(130)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끼움홈(152a)은 상방이 개구되도록 종방향으로 절개되어 있으므로, 세로벽(152, 153)의 안쪽 일면에 형성된 다수의 끼움돌기(132a)와 끼움홈(152a)을 상호 맞추면서 상기 덮개(130)를 하방으로 압입하면 상기 베이스(150)를 쉽게 덮을 수 있게 된다. 이외에도, 상기 덮개(130)의 작업자가 쉽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가로벽(134)의 상면에 손잡이(13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덮개(130)는 단순히 베이스(150)를 덮어 보호하는 기능 이외에도 이웃하는 베이스들(150, 150')간의 상호 결속을 도모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상기 덮개(130)가 해당 베이스(150)와 이와 연결된 다른 베이스(150')의 연결부를 감싸듯 덮어 상기 체결판(140)과 더불어 베이스들(150, 150')을 상호 견고하게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끼움돌기(132a)와 끼움홈(152a)은 이웃하는 두개의 베이스(150, 150')와 하나의 덮개(130)들 간의 엇갈린 연결시 결합수단으로 활용되어, 본 고안에 따른 구조의 강도를 극대화 시키게 된다.
이러한 특징으로, 본 고안에 따른 구조는 상하수도관(10)이 매설된 지하에서 부분적인 지반붕괴 및 침하로 상하수도관(10)의 지지력이 일부 상실되더라도, 부족한 지지력을 이웃하는 다른 베이스(150')로부터 제공받아 그 위치를 고수하게 되며, 덮개(130) 및 베이스(150)로 이루어진 구조물에 내장된 상하수도관(10)은 쉽게 휘거나 뒤틀려 파손되지 않게 된다.
상기 지지바(160)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150)와 연결되며 그 타단은 지면에 박혀 고정되므로, 덮개(130) 및 베이스(150)로 구성된 구조물의 지지력을 보강하게 된다. 한편, 지지바(160)의 일면에는 상기 결속홈(154)에 형성된 결속구멍(154a)과, 상기 체결판(140)에 형성된 체결구멍(141)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체결돌기(161)가 상기 구멍들(141, 154a)의 개수만큼 구비되어 체결판(140)을 매개로 한 베이스들(150, 150')간의 결속을 이루게 한다.
한편, 상기 상하수도관(10)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부식 및 파손으로, 이들을 교체 및 관리하기 위해 상하수도관(10)을 분리해 내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 작업자는 상하수도관(10)이 매설된 지면을 파 토사를 걷어낸 후 상기 덮개(130)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상방 완충부재(110)를 걷어내면 된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덮개가 끼움홈과 끼움돌기를 매개로 맞물리면서 이웃하는 다른 베이스와 엇갈리게 덮히므로, 베이스와 덮개들 간에 별도의 체결수단을 적용하지 않아도 지반의 침하 및 붕괴로 인해 발생되는 외력으로부터 상하수도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충분한 지지력을 얻을 수 있고, 상하수도관의 둘레면을 감싸 보호하는 완충부재가 더 내장되면서 어느정도의 외력을 흡수하게 되므로, 외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 및 덮개의 위치가 다소 변하더라도 상하수도관의 배치위치 및 상호간의 연결구조는 쉽게 변형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별도의 체결수단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베이스로부터 상기 덮개를 쉽게 분리시킬 수도 있어 베이스 및 덮개에 내장된 상하수도관의 관리작업이 보다 용이해진다.

Claims (1)

  1. 상하수도관;
    상하수도관의 둘레면을 감싸 보호하는 완충부재;
    평판형상의 가로벽 상면에 한쌍의 세로벽이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면서 상기 상하수도관 및 완충부재가 조밀하게 맞물려 안착되어지는 안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세로벽의 바깥쪽 일면에서 상방이 개구되도록 종방향으로 절개되어 이루어진 다수의 끼움홈과, 상기 가로벽의 양단 상면부에서 일정깊이로 절개된 결속홈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결속홈에는 다수의 결속구멍이 형성되어진 베이스;
    평판형상의 가로벽 저면에 상기 베이스 전체를 감싸 덮을 수 있도록 한쌍의 세로벽이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세로벽의 안쪽 일면에는 상기 끼움홈과 맞물려 하방으로 끼워지는 다수의 끼움돌기가 형성되되, 이웃하는 상기 베이스들 간의 연결부가 감싸듯 덮히도록 상기 베이스와 상호 엇갈리게 씌워지는 덮개;
    이웃하는 상기 베이스들이 상호 이어지면서 연결되는 상기 결속홈 전체에 조적되고, 상기 결속구멍에 상응하는 다수의 체결구멍이 형성된 체결판;
    상기 결속홈과 체결구멍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이웃하는 상기 베이스들 및 체결판을 상호 체결시키는 체결돌기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은 지면에 박혀 고정되는 지지바;
    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관의 파손방지구조.
KR20-2003-0039584U 2003-12-19 2003-12-19 상하수도관의 파손방지구조 KR2003441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584U KR200344164Y1 (ko) 2003-12-19 2003-12-19 상하수도관의 파손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584U KR200344164Y1 (ko) 2003-12-19 2003-12-19 상하수도관의 파손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164Y1 true KR200344164Y1 (ko) 2004-03-09

Family

ID=49426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584U KR200344164Y1 (ko) 2003-12-19 2003-12-19 상하수도관의 파손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16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3414B1 (ko) 연결부 파손 방지장치가 구비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CN109868829B (zh) 一种高边坡土石防护结构及施工方法
KR101126666B1 (ko) 수직배수 유도형 네일옹벽
KR100939311B1 (ko) Pc블록과 스틸파이프에 프리스트레싱을 도입한 안벽 및그 시공방법
KR100947049B1 (ko) 채움토 보호벽을 구비한 관로 받침대
KR200344164Y1 (ko) 상하수도관의 파손방지구조
KR200344163Y1 (ko) 상하수도관의 보호구조물
KR100538981B1 (ko) 연약지반 설치용 상수도관 보호구조
KR100654327B1 (ko) 지중매설 상하수도관로 보호용 행거구조
KR100696994B1 (ko) 균등침하를 유도할 수 있는 블럭식 보강토옹벽
KR100808574B1 (ko) 지중에 형성되는 관로의 고정수단
KR100654249B1 (ko) 지지대와 일체로 거동하는 상하수도관의 연결구조
KR200344166Y1 (ko) 상하수도관의 매립설치구조물
KR200406776Y1 (ko) 연약지반 상하수도관 침하방지용 방석매트 지지구조
KR20200077882A (ko) 상하수도관의 매립설치구조물
KR100748065B1 (ko) 상수도관의 레일식 연결구조
KR200344165Y1 (ko) 상하수도관의 레일식 매립구조
KR100564997B1 (ko) 상수도관 침하 방지장치
KR102565209B1 (ko) 상하수도, 도시계획 도로, 매립장 지반에 매립된 침출수 배출용 관거 보강 방법 및 보강 구조
KR200252804Y1 (ko) 배수관로용 보강 장치
KR100659396B1 (ko)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상하수도관의 지지구조
KR100465921B1 (ko) 토목 및 도로공사에서 하수관 안전용 보강장치
KR200396177Y1 (ko) 보강토옹벽의 고정수단
KR100584661B1 (ko) 상수도관 매립장치
KR100465104B1 (ko) 토목 및 도로공사에서 상,하수관로 매설토용 보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