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048Y1 -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밸브 어셈블리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밸브 어셈블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048Y1
KR200344048Y1 KR20-2003-0039485U KR20030039485U KR200344048Y1 KR 200344048 Y1 KR200344048 Y1 KR 200344048Y1 KR 20030039485 U KR20030039485 U KR 20030039485U KR 200344048 Y1 KR200344048 Y1 KR 2003440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b
shafter
valve assembly
worm shaft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4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복
Original Assignee
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394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0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0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0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8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type of steering valve used
    • B62D5/083Rotary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밸브 어셈블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티어링(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되어 있는 스터브 샤프터(21)와, 상기한 스터브 샤프터(21)의 내측에 고정연결되어 있는 토오션바(24)와, 상기한 스터브 샤프터(21)를 감싸면서 상기한 토오션바(24)의 하단과 핀(17)으로 고정연결되어 있는 워엄 샤프트(23)와, 상기한 서터브 샤프트(21)와 토오션바(24)를 고정시키기 위한 핀(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밸브 어셈블리 구조에 있어서 스터브 샤프터에 챔퍼홈을 형성하고 직경을 워엄 샤프트의 결합하는 내부 직경과 유사하게 하여, 로터 및 스터브 샤프터와 로터를 결합시키는 핀을 제거하여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밸런싱 정확도를 향상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밸브 어셈블리 장치{VALVE ASSEMBLY FOR POWER STEERING OF THE CAR}
본 고안은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밸브 어셈블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밸브 어셈블리 구조에 있어서 스터브 샤프터에 챔퍼홈을 형성하고 직경을 워엄 샤프트의 결합하는 내부 직경과 유사하게 함으로써, 로터 및 스터브 샤프터와 로터를 결합시는 핀을 제거하여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밸런싱 정확도를 향상시켜주는,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밸브 어셈블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어링 장치는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임의로 바꾸기 위한 장치를 말하며, 조작기구, 기어기구, 링크기구의 3가지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스티어링 장치를 운전자가 조작하는데 있어서, 유압을 이용하여 한층 더욱 수월하게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 파워 스티어링 장치로서, 이와 같은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는 유로를 변환시키기 위한 밸브 어셈블리 정치가 포함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단면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밸브 어셈블리 장치의 단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종래의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밸브 어셈블리 장치의 조립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스티어링휠(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되어 있는 스터브 샤프터(11)와, 상기한스터브 샤프터(11)의 내측에 핀(15)으로 고정연결되어 있는 토오션바(14)와, 상기한 스터브 샤프터(11)의 내측에 핀(16)으로 고정연결되어 있는 로터(12)와, 상기한 스터브 샤프터(11)와 로터(12)를 감싸면서 상기한 토오션바(14)의 하단과 핀(17)으로 고정연결되어 있는 워엄 샤프트(13)와, 상기한 워엄 샤프트(13)의 외측면과 기어결합되어 있는 동력피스톤(19)과, 상기한 동력 피스톤(19)의 외측면과 기어결합되어 있는 섹터(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종래의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운전자가 시티어링휠(도시되지 않음)을 돌리면 스티어링휠의 회전력이 스터브 샤프터(11)로 전달되면서 스터브 샤프터(11)가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터브 샤프터(11)가 회전되면, 스터브 샤프터(11)와 핀(15)으로 연결되어 있는 토오션바(14)가 회전력으로 인해 비틀어지게 되면서, 토오션바(14)에 하부에 핀(17)으로 고정결합되어 설치되어 있는 워엄 샤프트(13)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한 워엄 샤프트(13)가 회전되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한 워엄 샤프트(13)와 로터(12)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유로 경로(121, 131)가 변경되면서, 오일펌프(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유가 이와 같이 변경된 유로경로를 통해 오일저장공간(18)으로 공급되어 동력피스톤(19)을 밀어 올리게 된다.
상기한 동력 피스톤(19)이 밀어 올려지면, 상기한 동력 피스톤(19)의 내측면과 워엄결합되어 있는 워엄샤프트(13)가 회전되면서 토오션바(14)를 거쳐 스터브 샤프터(11)로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스티어링휠(도시되지 않음)이 큰 힘을 들이지 않고 가볍게 돌아가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한 동력 피스톤(19)이 밀어 올려지면서, 상기한 동력 피스톤(19)의 외측면과 기어결합되어 있는 섹터(20)가 회전됨으로써 상기한 섹터(20)에 연결되어 있는 바퀴(도시되지 않음)가 유압의 힘에 의해 가볍게 회전이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동작되는 과정에서 오일펌프(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유의 유로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밸브 어셈블리 장치의 워엄 샤프트(13)와 로터(12)가 제대로 동작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워엄 샤프트(13)와 로터(12)의 상호 정위치정렬을 위한 밸런싱 작업을 필요로 하게 된다.
밸블 어셈블리 장치의 워엄 샤프트(13)와 로터(12)의 밸런싱 작업을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워엄 샤프트(13)를 고정한 후에, 핀(15)으로 고정시킨 스터브 샤프터(11) 및 토오션바(14)에 핀(16)을 꽂은 스터브 서브 조립체에 로터(12)를 가조립한 뒤에, 스터브 샤프터(11)를 좌우회전시키면 핀(16)에 끼워진 로터(12)가 좌우로 회전하면서 워엄 샤프트(13)의 홈과 로터(12)의 챔퍼홈이 상호 정위치에 놓이게 되는데, 이때 핀(17)을 압입함으로써 밸런싱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밸브 어셈블리 장치는, 밸런싱의 주체인 워엄 샤프트(11)와 로터(12)를 직접 조작하여 밸런싱을 하는것이 아니라 스터브 샤프터(11)를 좌우회전시킴에 따라 핀(16)에 끼워진 로터(12)가 좌우회전되도록 하면서 밸런싱을 하게 되므로, 핀(16)과 로터(12)의 미세 틈새로 밸린성의 정확도가 결여됨으로써 스티어링휠을 돌릴 때 좌우회전력이 상이하게 되거나,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터(12)가 스터브 샤프터(11)의 위(화살표 방향)로 밀려 올라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밸브 어셈블리 구조에 있어서 스터브 샤프터에 챔퍼홈을 형성하고 직경을 워엄 샤프트의 결합하는 내부 직경과 유사하게 함으로써, 로터 및 스터브 샤프터와 로터를 결합시는 핀을 제거하여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밸런싱 정확도를 향상시켜주는,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밸브 어셈블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밸브 어셈블리 장치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밸브 어셈블리 장치의 조립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밸브 어셈블리 장치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밸브 어셈블리 장치의 조립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7 : 핀 21 : 스터브 샤프터
23 : 워엄 샤프트 24 : 토오션바
27 : 챔퍼홈 28 : 홈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밸브 어셈블리 장치의 단면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밸브 어셈블리 장치의 조립 구성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밸브 어셈블리 장치의 구성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티어링(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되어 있는 스터브 샤프터(21)와, 상기한 스터브 샤프터(21)의 내측에 고정연결되어 있는 토오션바(24)와, 상기한 스터브 샤프터(21)를 감싸면서 상기한 토오션바(24)의 하단과 핀(17)으로 고정연결되어 있는 워엄 샤프트(23)와, 상기한 서터브 샤프트(21)와 토오션바(24)를 고정시키기 위한 핀(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스터브 샤프터(21)는 둘레에 수개의 챔퍼홈(27)이 형성되어 있고 워엄 샤프트(23)의 홈(28)과 정위치 정렬를 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스터브 샤프터(21)는 챔퍼홈(27)이 형성된 부분의 외주면이 워엄 샤프트(23)의 홈(28)이 형성된 내주면과 맞닿아 결합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종래의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장치와 기능 및 역활이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표현하였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밸브 어셈블리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스티어링휠(도시되지 않음)을 돌리면 스티어링휠의 회전력이 스터브 샤프터(21)로 전달되면서 스터브 샤프터(21)가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터브 샤프터(21)가 회전되면, 스터브 샤프터(21)와 핀(25)으로 연결되어 있는 토오션바(24)가 회전력으로 인해 비틀어지게 되면서, 토오션바(24)에 하부에 핀(17)으로 고정결합되어 설치되어 있는 워엄 샤프트(23)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터브 샤프터(21)는 워엄 샤프트(23)의 내주면과 직접 맞닿아 있고 상기한 워엄 샤프트(23)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28)과 결합하는 외주면에는 고압유가 흐르는 수개의 챔퍼홈(2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챔퍼홈(27)은 워엄 샤프트(23)의 홈(28)과 정위치 정렬되어 형성된다.
상기한 워엄 샤프트(23)가 회전되면 상기한 워엄 샤프트(23)의 홈(28)과 스터브 샤프터(21)의 챔퍼홈(27)의 방향이 일치와 불일치를 반복하면서 워엄 샤프트(23)와 스터브 샤프터(21)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유로 경로가 변경되면서, 오일펌프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유가 이와 같이 변경된 유로경로를 통해 오일저장공간으로 공급되어 동력피스톤을 밀어 올리게 된다.
상기한 동력 피스톤이 밀어 올려지면, 상기한 동력 피스톤의 내측면과 워엄결합되어 있는 워엄 샤프트(23)가 회전되면서 토오션바(24)를 거쳐 스터브 샤프트(21)로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스티어링휠이 큰 힘을 들이지 않고 가볍게 돌아가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한 동력 피스톤이 밀어 올려지면서, 상기한 동력 피스톤의 외측면과 기어결합되어 있는 섹터가 회전됨으로써 상기한 섹터에 연결되어 있는 바퀴가 유압의 힘에 의해 가볍게 회전이 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한 스터브 샤프트(21)에 챔퍼홈(27)을 형성하고 그 직경을 워엄 샤프트(23)의 내부 직경과 같게하여 종래의 로터(22)(도 1 참조)의 기능을 수반하게 된다. 또한, 로터(22)를 생략함으로써 스터브 샤프트(21)과 로터(22)를 결합 고정시켜주는 핀(16)이 불필요해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종래의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밸브 어셈블리 장치의 기능이 수행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일 실시예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밸브 어셈블리 구조에 있어서 스터브 샤프터에 챔퍼홈을 형성하고 직경을 워엄 샤프트의 결합하는 내부 직경과 유사하게 하여, 로터 및 스터브 샤프터와 로터를 결합시키는 핀을 제거하여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밸런싱 정확도를 향상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스티어링(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되어 있는 스터브 샤프터(21)와,
    상기한 스터브 샤프터(21)의 내측에 고정연결되어 있는 토오션바(24)와,
    상기한 스터브 샤프터(21)를 감싸면서 상기한 토오션바(24)의 하단과 핀(17)으로 고정연결되어 있는 워엄 샤프트(23)와,
    상기한 서터브 샤프트(21)와 토오션바(24)를 고정시키기 위한 핀(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밸브 어셈블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터브 샤프터(21)는
    둘레에 수개의 챔퍼홈(27)이 형성되어 있고 워엄 샤프트(23)의 홈(28)과 정위치 정렬를 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밸브 어셈블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터브 샤프터(21)는
    챔퍼홈(27)이 형성된 부분의 외주면이 워엄 샤프트(23)의 홈(28)이 형성된 내주면과 맞닿아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밸브 어셈블리 장치.
KR20-2003-0039485U 2003-12-18 2003-12-18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밸브 어셈블리 장치 KR2003440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485U KR200344048Y1 (ko) 2003-12-18 2003-12-18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밸브 어셈블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485U KR200344048Y1 (ko) 2003-12-18 2003-12-18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밸브 어셈블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048Y1 true KR200344048Y1 (ko) 2004-03-12

Family

ID=49426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485U KR200344048Y1 (ko) 2003-12-18 2003-12-18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밸브 어셈블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04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23065B (zh) 一种少齿差行星齿轮主动转向系统及其控制方法
US4279323A (en) Power steering device for wheeled vehicles
US5655621A (en) Motor vehicle power steering gear
KR101459429B1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용 턴스토퍼
KR200344048Y1 (ko)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밸브 어셈블리 장치
US5109753A (en) Power steering valve assembly mechanism with offset valve sleeve bore
EP1652751A2 (en) Power steering apparatus
CN208344325U (zh) 一种少齿差行星齿轮主动转向系统
JP3246813B2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532724B1 (ko)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밸브 어셈블리 장치
US6296018B1 (en) Rack and pinion steering system
CN209856364U (zh) 一种机械式变速器换挡助力系统
JP3607895B2 (ja) 車用の流体パワー支援のラック・ピニオンステアリング装置
CN113811480A (zh) 车辆转向设备
CA1094427A (en) Rack and pinion type steering gear
KR102668785B1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KR100804576B1 (ko) 볼 앤 너트 기어박스를 구비한 조향장치
KR100707002B1 (ko) 차량용 스티어링장치의 유압제어밸브
KR100969099B1 (ko) 자동차의 최대 조향각 증가장치
KR200340666Y1 (ko)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안전 장치
KR101869160B1 (ko) 전동식 조향장치의 2중 토션바
KR100746671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액티브 센터 필 장치
JPH0231346Y2 (ko)
FR2748070A1 (fr) Dispositif de servovalve, en particulier pour directions assistees hydrauliques
JPH1016802A (ja) 車両用操舵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