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2567Y1 -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지주 결합구 - Google Patents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지주 결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2567Y1
KR200342567Y1 KR20-2003-0036253U KR20030036253U KR200342567Y1 KR 200342567 Y1 KR200342567 Y1 KR 200342567Y1 KR 20030036253 U KR20030036253 U KR 20030036253U KR 200342567 Y1 KR200342567 Y1 KR 2003425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railing
rail
railing rail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62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구
Original Assignee
김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구 filed Critical 김현구
Priority to KR20-2003-00362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25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25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25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계단의 각도에 따라 난간레일과 지주의 각도를 맞추어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어떠한 각도의 계단에서 범용 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지주 결합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일측에 상기 난간레일이 끼워지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타측에 원구체의 중앙을 절단하여 양측으로 날개부를 형성하고 날개부 외측면에 난간레일 또는 덮개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며 그 중앙에 나사공이 형성되고 날개부 사이에 삽입부가 형성된 회동구와, 상기 날개부 사이의 삽입부에 끼워져 원구체를 형성하고 일측에 상기 지주가 끼워지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중앙에 나사삽입공이 형성된 고정구와 상기 회동구와 고정구를 결합하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하여, 어떠한 각도 계단이라도 작업현장에서 난간레일과 지주의 각도 계단의 각도에 맞추어 시공할 수 있어, 각 부분품을 현장에서 현장조건에 맞게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고, 동시에 공사기간 및 공사비용을 대폭 절감시키며, 그 외관이 미려하여 계단 난간 전체의 외관을 저해하지 않는 등 여러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지주 결합구{Balustrade prop coupler for possible of angle control}
본 고안은 계단 난간의 난간레일과 지주를 결합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지주 결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계단의 각도에 따라 난간레일과 지주의 각도를 맞추어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어떠한 각도의 계단에서 범용 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지주 결합구에 관한 것이다.
계단 난간의 일반적인 구성은 난간의 기본적 골격을 이루는 난간레일과 이 난간레일의 높이와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난간봉과 지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계단 난간의 경우 각 건물마다 시공되는 난간의 각도가 다르므로 계단의 시공과 동시에 난간이 함께 설치되지 못하고 계단을 먼저 설치한 후에 그 각도에 따라 난간을 별도로 제작해야 하므로 공사기간이 불필요하게 길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공사비용이 증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아무리 정확하게 난간을 제작하더라도 현장에서 별도의 수정작업을 거치거나 수정작업이 불가능할 때는 각도의 차이가 있는 상태로 난간을 시공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고안은 전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계단 난간의 난간레일과 지주를 결합하는 결합구를 회동되게 구성하여 어떠한 각도의 계단이라도 작업현장에서 난간레일과 지주의 각도를 계단의 각도에 맞추어 시공할 수 있게 하여 계단의 난간을 시공시 별도로 공장에서 제작된 각 부분품을 현장에서 현장조건에 맞게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공사기간 및 공사비용을 대폭 절감되게 한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지주 결합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분리사시도.
도 3 는 본 고안의 결합구 분리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결합상태 분리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회동구 결합상태 분리사시도.
도 6 는 도 1 의 A-A선 단면 설명도.
도 7 는 도 1 의 B-B선 단면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난간레일, 2: 지주,
3: 결합구, 4: 고정구,
5: 회동구, 6: 덮개,
7: 볼트, 8: 너트,
41: 결합부, 42,42': 날개부,
43: 끼움홈, 44,44': 나사공,
45: 삽입부, 51: 결합홈,
52: 나사삽입공
본 고안은 난간레일 및 지주로 구성되는 난간의 난간레일과 지주를 결합하는 결합구에 있어서, 일측에 상기 난간레일이 끼워지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타측에 원구체의 중앙을 절단하여 양측으로 날개부를 형성하고 날개부 외측면에 난간레일 또는 덮개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며 그 중앙에 나사공이 형성되고 날개부 사이에 삽입부가 형성된 회동구와, 상기 날개부 사이의 삽입부에 끼워져 원구체를 형성하고 일측에 상기 지주가 끼워지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중앙에 나사삽입공이 형성된 고정구와 상기 회동구와 고정구를 결합하는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동구의 날개부는 일측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의 결합홈은 관통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각도 조절 가능한 난간 지주 결합구의 요지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 지주 결합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 지주 결합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며, 도 3 는 본 고안에 따른 각도 조절이가능한 난간 지주 결합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 지주 결합구의 다른 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 지주 결합구의 다른 실시예의 회동구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6 는 도 1 의 A-A선 단면 설명도이며, 도 7 는 도 1 의 B-B선 단면 설명도이다.
본 고안은 난간레일(1) 및 지주(2)로 난간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난간레일(1)과 지주(2)는 결합구(3)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결합구(3)는 회동구(4)와 고정구(5), 덮개(6) 및 볼트(7)와 너트(8)로 구성이 된다.
상기 회동구(4)는 일측에 상기 난간레일(1)이 끼워지는 결합부(41)가 형성되며, 타측에 원구체의 중앙을 절단하여 양측으로 날개부(42)(42')를 형성하고, 상기 날개부(42)(42') 외측면에 난간레일(1) 또는 덮개(6)가 끼워지는 끼움홈(43)이 형성되며, 그 중앙에 나사공(44)(44')이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42)(42') 사이에 삽입부(45)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구(5)는 상기 날개부(42)(42') 사이의 삽입부(45)에 끼워져 원구체를 형성하고 일측에 상기 지주(2)가 끼워지는 결합홈(51)이 형성되고, 중앙에 나사삽입공(5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동구(4)의 날개부(42)는 일측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5)의 결합홈(51)은 관통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 지주 결합구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 지주 결합구를 이용하여 계단 난간을 설치할 때를 설명하면, 먼저 계단의 양단에 지주(2)를 입설하고, 고정구(5)의 결합홈(51)에 입설된 지주(2)를 끼워 고정한다.
난간레일(1)의 양단에 회동구(4)의 결합부(41)을 끼워 고정한다.
지주(2)에 끼워진 고정구(5)를 난간레일(1)이 끼워진 회동구(4)의 삽입부(45)에 끼우고, 회동구(4)의 날개부(42)(42')에 형성된 끼움홈(43)에 단축의 난간레일(1')을 끼우고 볼트(7)로 날개부(42)(42')의 나사공(44)(44')을 관통하고 단축의 난간레일(1')을 관통시켜 인접해있는 결합구를 관통시켜 너트(8)로 결합하여 난간레일(1)(1')과 지주(2)를 도 1, 2 의 도시와 같이 같은 층에 인접해 있는 결합구(3)를 연결 고정하는 것이다. 한편 결합된 볼트(7)와 너트(8)가 외관으로 안보이게 덮개(6)를 날개부(42)(42')의 끼움홈(43)에 끼워주므로서 마감처리까지 완벽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같은 층의 지주(2) 하부를 보충 고정해야할 경우는 결합홈(51)이 관통 형성된 고정구(5)를 이용하여 결합홈(51)에 지주(2)를 관통시켜 삽입하고 상기와 같이 회동구(4)를 결합하여 끼움홈(43)에 단축의 난간레일(1')을 끼워 회동구(4)와 고정구(5)의 나사공(44)(44') 및 나사삽입공(52)을 통하여 볼트(7)와 너트(8)로 결합 고정하고 덮개(6)를 끼워 마감 처리하는 것이다.
한편 난간레일(1)과 난간레일(1)을 서로 연결할 때는 날개부(42)가 한 개만 형성된 회동구(4)를 이용하는 것으로, 입설된 지주(2)의 상부에 고정구(5)를 결합홈(51)통해 끼워주고, 날개부(42)가 한 개 형성된 회동구(4)의 결합부(41)에 연결할 난간레일(1)의 끝단을 끼워 양측의 날개부(42)를 고정구(5)의 양측에 결합하고 볼트(7)와 너트(8)로 결합 고정한 후 덮개(6)로 마감 처리하면 난간레일(1)의 연결이 완성되는 것이다.
난간레일(1)과 지주(2)가 결합구(3)에 의해 결합고정 함으로서 난간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으로 난간 설치 작업 공정을 단축되어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이점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계단 양단의 지주(2)에 끼워진 고정구(5)에 난간레일(1)의 양단에 끼워진 회동구(4)를 결합하면 고정구(5)에 대해 회동구(4)를 임의로 회동되게 구성되어 있어 어떠한 각도의 계단이라도 그 각도에 맞추어 계단에 난간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결합구(3)만 있으면 어떠한 각도의 계단이라도 난간의 각 부분품을 현장에서 현장조건에 맞게 간편하게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어 공사기간 및 공사비용을 대폭 절감되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결합구(3)는 결합구(3)가 회동되는 부분이 외부에서 거의 관측되지 않고 난간레일(1)과 결합구(3), 지주(2)와 결합구(3)를 연결한 정도로만 관측되므로 외부에서 관측하였을 때 각 부분이 거의 노출되지 않으므로 계단 난간 전체의 외관을 저해하지 않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태양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 지주 결합구는 어떠한 각도 계단이라도 작업현장에서 난간레일과 지주의 각도 계단의 각도에 맞추어 시공할 수 있어, 계단의 난간을 시공시 별도로 공장에서 제작된 각 부분품을 현장에서 현장조건에 맞게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고, 동시에 공사기간 및 공사비용을 대폭 절감시키며, 그 외관이 미려하여 계단 난간 전체의 외관을 저해하지 않는 등 여러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난간레일 및 지주로 구성되는 난간의 난간레일과 지주를 결합하는 결합구에 있어서,
    일측에 상기 난간레일이 끼워지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타측에 원구체의 중앙을 절단하여 양측으로 날개부를 형성하고 날개부 외측면에 난간레일 또는 덮개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며 그 중앙에 나사공이 형성되고 날개부 사이에 삽입부가 형성된 회동구와, 상기 날개부 사이의 삽입부에 끼워져 원구체를 형성하고 일측에 상기 지주가 끼워지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중앙에 나사삽입공이 형성된 고정구와 상기 회동구와 고정구를 결합하는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 지주 결합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구의 날개부는 일측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 지주 결합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의 결합홈은 관통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 지주 결합구.
KR20-2003-0036253U 2003-11-20 2003-11-20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지주 결합구 KR2003425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253U KR200342567Y1 (ko) 2003-11-20 2003-11-20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지주 결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253U KR200342567Y1 (ko) 2003-11-20 2003-11-20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지주 결합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3029A Division KR20050049291A (ko) 2003-12-18 2003-12-18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지주 결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2567Y1 true KR200342567Y1 (ko) 2004-02-18

Family

ID=49425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253U KR200342567Y1 (ko) 2003-11-20 2003-11-20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지주 결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256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46698A1 (en) Baluster ball joint adapter attachment for a baluster to stair rail(s) and base
US20090278106A1 (en) Attachment for baluster for stair, balcony or landing rails for both adjustable and fixed railings
US20130328004A1 (en) Attachment for baluster for stair, balcony, or landing rail for both adjustable and fixed rails
US11692383B2 (en) Hinge assembly for elevational rails
JP2024059768A (ja) 特にコンクリート構造物を対象とする組み合わされたアンカー及び締結具組立体、並びにそれを用いる方法
JPS5845395Y2 (ja) 建築用手摺り子
JPH08506864A (ja) プレファブ方式で製造された規格部品から成る保護柵
US20050127346A1 (en) Bracket system for attaching elongated members
KR200342567Y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지주 결합구
US20190186154A1 (en) Rotatable Structural Bracket
US10794063B1 (en) Tension rod anchors and railings
KR200443024Y1 (ko) 계단용 난간 지주
KR200314390Y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지주 결합구
KR20050049291A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지주 결합구
CA2687925C (en) Extendable baluster assembly
KR20120033608A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연결장치
KR200454218Y1 (ko) 핸드레일
ES2940637T3 (es) Soporte de elemento de fachada
GB2430006A (en) Clamping unit for a stairway
KR200346844Y1 (ko) 난간 지주 결합구
KR200397394Y1 (ko) 나선형 계단의 난간조립구조
KR0132119Y1 (ko) 건물계단용난간
KR200144367Y1 (ko) 난간 레일의 조립식 연결구
KR20090030936A (ko) 위치조절 및 각도조절이 용이한 난간 연결구
GB2444928A (en) Baniste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