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2134Y1 - coffee maker - Google Patents

coffee m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2134Y1
KR200342134Y1 KR20-2003-0037605U KR20030037605U KR200342134Y1 KR 200342134 Y1 KR200342134 Y1 KR 200342134Y1 KR 20030037605 U KR20030037605 U KR 20030037605U KR 200342134 Y1 KR200342134 Y1 KR 2003421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filter basket
coffee
spray hol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760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정주
박만수
김대식
이왕림
조완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376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213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21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2134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피 메이커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사용자의 단순한 조작에 의해 추출하는 원두커피에 대한 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커피 메이커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ffee maker, and in particular, to provide a coffee maker that can adjust the concentration of coffee beans to be extracted by a simple operation of the user,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외관을 이루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의 상측 공간상에 구비되고, 일측 둘레면 상에 내향 돌출된 상태로써 별도의 유로를 이루는 온수통로가 형성된 필터 바스켓과; 상기 필터 바스켓 내측을 향하여 식수를 공급하는 분무홀이 구비된 온수공급부; 그리고, 상기 필터 바스켓의 상측 공간인 상기 분무홀의 저부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분무홀로부터 분사된 물의 일부를 상기 온수통로로 안내하는 안내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메이커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and the body forming the appearance; A filter basket provided on an upper space in the main body and having a hot water passage forming a separate flow path in a state of protruding inwardly on one circumferential surface; A hot water supply unit having a spray hole for supplying drinking water toward the inside of the filter basket; And, the coffee mak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uide lever which is installed to draw in and out to the bottom of the spray hole which is an upper space of the filter basket, to guide a part of the water sprayed from the spray hole to the hot water passage; Is provided.

Description

커피 메이커{coffee maker}Coffee maker

본 고안은 커피 메이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농도 조절이 가능한 커피 메이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ffee ma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ffee maker capable of adjusting the concentration.

일반적인 커피 메이커는 원두커피를 추출하여 커피포트에 자동적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저장하는 장치이다.A typical coffee maker is a device that extracts coffee beans and stores them by automatically discharging them into a coffee pot.

이러한, 커피 메이커는 도시한 도 1과 같이 본체(10)와, 식수 저장통(20)과, 필터 바스켓부(30)와, 커피포트(40)와, 히터(도시는 생략함) 그리고, 온수 공급관(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coffee maker includes a main body 10, a drinking water storage container 20, a filter basket part 30, a coffee pot 40, a heater (not shown), and a hot water supply pipe. It consists of 50.

여기서, 상기 본체(10)는 상기 커피 메이커의 외관을 이룬다.Here, the main body 10 forms the appearance of the coffee maker.

그리고, 상기 식수 저장통(20)은 상기 본체(10) 내의 상단 후방측에 구비되며, 커피 추출을 위한 식수가 저장된다.And, the drinking water reservoir 20 is provided on the upper rear side in the main body 10, the drinking water for coffee extraction is stored.

그리고, 상기 필터 바스켓부(30)는 걸름망이 장착되는 부위로써, 하부로 갈수록 협소해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filter basket portion 30 is a portion in which the strainer is mounted, and has a funnel shape that narrows toward the bottom.

그리고, 상기 커피포트(40)는 추출된 커피가 저장된다.The coffee pot 40 stores the extracted coffee.

그리고, 상기 히터(도시는 생략함)는 식수를 가열하도록 발열되며, 상기 본체(10) 내에 구비된다.In addition, the heater (not shown) generates heat to heat drinking water and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그리고, 상기 온수 공급관(50)은 그 일단이 상기 식수 저장통(20)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필터 바스켓부(30)의 상단에 위치되며, 히터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그 내부를 유동하면서 가열된 식수를 상기 필터 바스켓부(30)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hot water supply pipe 50 is connected to the drinking water reservoir 2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filter basket part 30, and is formed to surround the heater, and is heated while flowing therein. Serves to provide the drinking water to the filter basket portion (30).

이 때, 상기 필터 바스켓부(30)의 상단에 위치되는 온수 공급관(50)의 끝단에는 다수의 분무홀(51)이 형성된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spray holes 51 are formed at the end of the hot water supply pipe 50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filter basket part 30.

따라서, 상기 필터 바스켓부(30)에 걸름망을 장착한 상태에서 추출하고자 하는 원두커피를 투입한 후 전원을 공급하면 히터가 발열되어 온수 공급관(50) 내의 식수가 가열된다.Therefore, when the coffee basket is put into the filter basket portion 30 and the coffee beans to be extracted are put in, and the power is supplied, the heater generates heat and the drinking water in the hot water supply pipe 50 is heated.

그리고, 상기 가열되는 식수는 상기 온수 공급관(50)을 따라 필터 바스켓부(30)의 상단으로 유동한 후 상기 온수 공급관(50)의 끝단에 형성된 다수의 분무홀(51)을 통해 상기 필터 바스켓부(30)의 내부로 제공된다.Then, the heated drinking water flows along the hot water supply pipe 50 to the upper end of the filter basket part 30 and then the filter basket part through a plurality of spray holes 51 formed at the end of the hot water supply pipe 50. It is provided to the inside of 30.

이의 과정에서 상기 필터 바스켓부(30) 내의 걸름망에 투입된 원두커피의 원액이 추출되어 상기 필터 바스켓부(30)의 하단에 위치된 커피포트(40) 내부에 저장된다.In this process, the stock solution of the coffee beans introduced into the strainer in the filter basket part 30 is extracted and stored in the coffee pot 40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filter basket part 30.

그러나, 전술한 일련의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커피 메이커는 추출하는 커피에 대한 농도 조절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던 문제점을 가진다.However, the conventional coffee maker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as a problem that the concentration control for the coffee to be extracted is not automatically made.

즉, 추출하는 커피의 농도 조절을 수행하고자 한다면 커피포트(40) 내부에 저장된 커피의 양을 미리 알맞은 양만을 채워 넣거나 또는 식수를 직접 추가하여야 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if the concentration of coffee to be extracted is to be adjus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mount of coffee stored in the coffee pot 40 must be filled in advance with an appropriate amount or water must be added directly.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사용자가 단순한 조작만으로 원두커피에 대한 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커피 메이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coffee maker that allows the user to adjust the concentration of the coffee beans with a simple operation.

도 1은 종래 커피 메이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coffee maker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커피 메이커의 동작 상태 중 옅은 농도의 커피 추출 시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during extraction of light coffee concentration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ffe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커피 메이커의 동작 상태 중 진한 농도의 커피 추출 시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during the extraction of coffee with a dark concentration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ffe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안내레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guide l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10...본체 130...필터 바스켓110 ... body 130 ... filter basket

131...걸름망 133...개방공131.

140...안내레버 140b...안내공140.Guide lever 140b ... Guide

140c...안내홈 200...온수통로140c ... Information groove 200 ... Hot water passag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외관을 이루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의 상측 공간상에 구비되고, 일측 둘레면 상에 내향 돌출된 상태로써 별도의 유로를 이루는 온수통로가 형성된 필터 바스켓과; 상기 필터 바스켓 내측을 향하여 식수를 공급하는 분무홀이 구비된 온수공급부; 그리고, 상기 필터 바스켓의 상측 공간인 상기 분무홀의 저부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분무홀로부터 분사된 물의 일부를 상기 온수통로로 안내하는 안내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메이커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the body forming the appearance; A filter basket provided on an upper space in the main body and having a hot water passage forming a separate flow path in a state of protruding inwardly on one circumferential surface; A hot water supply unit having a spray hole for supplying drinking water toward the inside of the filter basket; And, the coffee mak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uide lever which is installed to draw in and out to the bottom of the spray hole which is an upper space of the filter basket, to guide a part of the water sprayed from the spray hole to the hot water passage; Is provided.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as follows.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커피 메이커의 동작 상태 중 옅은 농도의 커피 추출 시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커피 메이커의 동작 상태 중 진한 농도의 커피 추출 시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안내레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during the extraction of light coffee concentration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ffe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n operating state during the extraction of coffee of the dark concentration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ffe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de cross-sectional view, Figure 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guide l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First, 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외관을 이루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 내의 상측 공간상에 구비되고, 일측 둘레면 상에 내향 돌출된 상태로써 별도의 유로를 이루는 온수통로(200)가 형성된 필터 바스켓(130)과; 상기 필터 바스켓(130) 내측을 향하여 식수를 공급하는 분무홀(151)이 구비된 온수공급부; 그리고, 상기 필터 바스켓(130)의 상측 공간인 상기 분무홀(151)의 저부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분무홀(151)로부터 분사된 물의 일부를 상기 온수통로(200)로 안내하는 안내레버(1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메이커가 제공된다.2,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in body 110 forming the appearance; A filter basket (130) provided on an upper space in the main body (110) and having a hot water passage (200) forming a separate flow path in an inwardly protruding state on one side circumferential surface; A hot water supply unit having a spray hole 151 for supplying drinking water toward the inside of the filter basket 130; In addition, the guide is installed to draw in and out to the bottom of the spray hole 151, which is an upper space of the filter basket 130, to guide a part of the water sprayed from the spray hole 151 to the hot water passage 200. A lever 140 is provided that includes a coffee maker.

여기서, 상기 본체(110)는 본 고안 커피메이커의 외관을 형성한다.Here, the main body 110 forms the appearance of the coffee m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상기 본체(110) 내에는 상부 공간의 후방측에 식수통(120)이 구비되며, 그 내부에는 식수가 저장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drinking water container 120 in the rear side of the upper space, the drinking water is stored therein.

이 때, 상기 식수통(120)에는 식수공급을 위한 식수공급공(121)을 가진다.At this time, the drinking water container 120 has a drinking water supply hole 121 for drinking water supply.

그리고, 상기 필터 바스켓(130)은 상기 본체(110) 내 상부 공간 중 상기 식수통(120)의 전방측 공간상에 구비되며, 내부에는 걸름망(131)이 장착된다.In addition, the filter basket 130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space of the drinking water container 120 of the upper space in the main body 110, the strainer 131 is mounted therein.

상기 필터 바스켓(130)은 저부가 개구된 개방공(133)이 형성되며 하부로 갈수록 협소해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filter basket 130 is formed in a funnel shape in which an opening hole 133 having a bottom opening is formed and narrowed toward a lower portion thereof.

또한, 본 고안 커피 메이커는 필터 바스켓(130) 아래에 추출된 커피를 저장하는 커피포트(170)가 설치되고, 상기 온수공급부는 식수통(120)에 저장된 물을 히터(180)를 통하여 가열한 후 다시 분무홀(151)을 통하여 배출하도록 하는 온수공급관(152)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offe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ffee pot 170 configured to store the extracted coffee under the filter basket 130, and the hot water supply unit heats the water stored in the drinking water container 120 through the heater 180. After the hot water supply pipe 152 to discharge through the spray hole 151 again.

한편, 온수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구조로써 본 고안 커피 메이커는 상기 분무홀(151)로부터 분사된 물의 일부를 상기 온수통로(200)로 안내하여 상기 온수통로(200)를 거쳐 개방공(133)을 통하여 커피포트(170)로 배출되도록 하는 안내레버(140)가 설치된다.Meanwhile, as a structure for guiding hot water flow, the coffee m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guides a part of the water sprayed from the spray hole 151 to the hot water passage 200 to open the opening 133 through the hot water passage 200. The guide lever 140 is installed to be discharged to the coffee pot 170 through.

이 경우,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분무홀(151)을 필터 바스켓(130) 상부의 여러 위치에 다수개(151a,151b)로 구성하고, 그 중 온수통로(200) 상부에 위치되는 분무홀(151a)을 이용하는 구조로 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the figure, the spray hole 151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151a, 151b) in various positions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basket 130, of which the spray hole is located above the hot water passage 200 It can be set as the structure using 151a.

이 때, 상기 안내레버(140)의 일단은 본체(110)의 외부에서 조작이 가능하도록 본체(110) 외부로 노출된 형태를 이루며, 조작에 의해 상기 필터 바스켓(130)의 온수통로(200)로 물을 흘려보내도록 안내홈(140c)과 안내공(140b)이 형성된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guide lever 140 forms a form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to enable the operation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the hot water passage 200 of the filter basket 130 by the operation Guide grooves (140c) and guide holes (140b) are formed to flow water to the.

나아가, 상기 분무홀(151a) 아래쪽에 위치하는 안내레버(140)는 분무홀(151a)로부터 분사되는 물을 충분히 받을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가지도록 한다.Furthermore, the guide lever 140 positioned below the spray hole 151a has an area sufficient to receive water sprayed from the spray hole 151a.

한편, 본체(110) 외부로 노출된 안내레버(140)에는 손잡이(141)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handle 141 is formed on the guide lever 14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메이커를 이용하여 커피의 농도를 조절하는 과정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process and operation of adjusting the concentration of coffee using a coffe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사용자가 원두커피의 추출을 원한다면 걸름망(131)을 필터 바스켓(130)에 장착한 후, 상기 걸름망(131) 내부에 원두커피를 투입한다.First, if the user wants to extract the coffee beans after mounting the strainer 131 in the filter basket 130, the coffee beans are put into the strainer 131.

그리고 난 후, 전원을 켜면 걸름망(131)으로 히터(180)를 통하여 가열된 온수가 공급되게 된다.Then, when the power is turned on, the heated hot water is supplied to the strainer 131 through the heater 180.

이의 상태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취향에 따라 손잡이(141)를 조정하여 안내레버(140)를 조작한다.In this state, the user operates the guide lever 140 by adjusting the handle 141 according to the desired taste.

이 때, 사용자가 진한 커피를 원할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는 안내레버(140)를 당겨서 상기 분무홀(151)을 통하여 나오는 온수가 모두 걸름망(131)으로 분사되도록 한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wants a dark coffee, the user pulls the guide lever 140 so that all the hot water coming out through the spray hole 151 is sprayed to the strainer 131.

이의 상태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다.Its state is as shown in FIG.

즉, 이렇게 되면 분무홀(151)을 통하여 분사된 물이 모두 걸름망(131)으로 들어가게 되므로 투입된 물이 전부 원두커피를 추출하는데 사용하게 되어걸름망(131)을 통하여 나온 커피는 진한 원두 커피의 상태를 이루게 된다.That is, since all the water sprayed through the spray hole 151 enters the strainer 131, all the injected water is used to extract the coffee beans. Is achieved.

반대로, 사용자가 연한 커피를 원하는 경우에는 손잡이(141)를 이용 안내레버(140)를 밀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user wants light coffee, the user pushes the guide lever 140 using the handle 141.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를 이루어 안내레버(140) 위쪽에 위치하는 분무홀(151a)로부터 분사되는 물을 안내홈(140c)을 따라 유동하도록 하고, 안내공(140a)을 통하여 온수통로(200)로 흐르게 하여 그대로 필터 바스켓(130)의 개방공(133)을 통하여 커피포트(170)로 빠져 나가게 한다.That is, to form a structure as shown in Figure 2 so that the water injected from the spray hole 151a located above the guide lever 140 flows along the guide groove 140c, hot water through the guide hole (140a) It flows to the passage 200 and exits to the coffee pot 170 through the opening hole 133 of the filter basket 130 as it is.

따라서, 상기 온수통로(200)를 통하여 투입된 온수와 상기 걸름망(131)을 통하여 추출된 원두커피액이 혼합되면서 전체 커피의 농도가 연하여 지게 된다.Therefore, while the hot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hot water passage 200 and the coffee beans extracted through the strainer 131 are mixed, the concentration of the whole coffee becomes soft.

이 때, 도 2 또는 도 3에서는 전후로 안내레버를 병진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나, 도 4에 나타난 화살표와 같이 회전식으로 안내레버를(140) 조작할 수 있도록 설치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in Figure 2 or Figure 3, but the front and rear showing the state of moving the guide lever, as shown by the arrow shown in Figure 4 may be installed to be able to operate the guide lever 140 in a rotary manner.

이제까지 본 고안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 보았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may implement the embodiment of the modified form within the essential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상기에서는 커피 메이커 장치에 커피의 농도 조절이 가능한 안내레버가 장착된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나, 커피 메이커가 장착된 전자레인지 등과 같은 가전제품에도 본 발명과 같은 커피의 농도 조절이 가능한 안내레버의 설치가 가능할 것이다.For example, although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provided with a guide lever capable of adjusting the concentration of coffee in the coffee maker device, a guide capable of adjusting the concentration of coffee as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n home appliances such as a microwave oven equipped with a coffee maker. The installation of the lever will be possible.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커피 메이커는 사용자의 단순한 조작에 의해 추출하는 원두커피에 대한 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저가의 비용으로 제품 만족도를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ffee maker can adjust the concentration of the coffee beans to be extracted by a simple operation of the user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product satisfaction as possible at low cost.

Claims (2)

외관을 이루는 본체와;A main body forming an appearance; 상기 본체 내의 상측 공간상에 구비되고, 일측 둘레면 상에 내향 돌출된 상태로써 별도의 유로를 이루는 온수통로가 형성된 필터 바스켓과;A filter basket provided on an upper space in the main body and having a hot water passage forming a separate flow path in a state of protruding inwardly on one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필터 바스켓 내측을 향하여 식수를 공급하는 분무홀이 구비된 온수공급부; 그리고,A hot water supply unit having a spray hole for supplying drinking water toward the inside of the filter basket; And, 상기 필터 바스켓의 상측 공간인 상기 분무홀의 저부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분무홀로부터 분사된 물의 일부를 상기 온수통로로 안내하는 안내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메이커.And a guide lever which is installed to draw in and out of the bottom of the spray hole, which is an upper space of the filter basket, to guide a part of the water sprayed from the spray hole to the hot water passag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안내레버는,The guide lever, 그 일단이 상기 본체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게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필터 바스켓의 온수통로로 물을 흘려보내는 안내홈 및 상기 온수통로와 연통된 안내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메이커.One end is formed to be operatively exposed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the other end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for flowing water to the hot water passage of the filter basket and a guide hole in communication with the hot water passage is formed.
KR20-2003-0037605U 2003-12-02 2003-12-02 coffee maker KR20034213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605U KR200342134Y1 (en) 2003-12-02 2003-12-02 coffee m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605U KR200342134Y1 (en) 2003-12-02 2003-12-02 coffee ma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2134Y1 true KR200342134Y1 (en) 2004-02-14

Family

ID=49424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7605U KR200342134Y1 (en) 2003-12-02 2003-12-02 coffee m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2134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5104A (en) Food steamer
EP1978854B1 (en) Coffee brewer
CA2842415C (en) Cleaning system and method for beverage appliance
US8065952B2 (en) Full-automatic drip coffee maker with coffee bean grinder
US6571686B1 (en) Brew basket with overflow channel
US5964143A (en) Brewing appliance having a tower with a water reservoir and brewing basket and an adjacently positioned pitcher receptacle
CN102238889A (en) Electric infusion beverage makers
JP6835845B2 (en) How to drive a coffee maker and a coffee maker
US20030213370A1 (en) Drip coffee maker with horizontal spray shower head
US9706875B2 (en) Beverage percolation device
RU2670863C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brewed beverage
US10874248B2 (en) Automatic drip coffee maker
KR200342134Y1 (en) coffee maker
US20050188855A1 (en) Coffee and water dispenser
KR200342135Y1 (en) coffee maker
KR200354879Y1 (en) coffee maker
KR100525405B1 (en) coffee maker
KR200342136Y1 (en) coffee maker
KR200393592Y1 (en) Microwave oven having coffee maker
KR100493313B1 (en) coffee maker
TW202014134A (en) Coffee mak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19229601U (en) Electric steaming appliance
KR19990025713A (en) Coffee maker
KR19990060671A (en) Coffee Maker
JP2020044296A (en) Beverage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