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3313B1 - coffee maker - Google Patents

coffee m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3313B1
KR100493313B1 KR10-2003-0017804A KR20030017804A KR100493313B1 KR 100493313 B1 KR100493313 B1 KR 100493313B1 KR 20030017804 A KR20030017804 A KR 20030017804A KR 100493313 B1 KR100493313 B1 KR 100493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asket
coffee
drinking water
main body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78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83222A (en
Inventor
박만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7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3313B1/en
Publication of KR20040083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32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3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3313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07Lids, covers or kno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커피 메이커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서로 다른 종류의 커피를 각 사용자의 취향별로 별도의 커피 변경 없이 혼합된 상태로 추출될 수 있도록 한 커피 메이커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ffee maker, and in particular, to provide a coffee maker that allows different types of coffee to be extracted in a mixed state without changing coffee for each user's taste.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어 식수가 저장된 식수통과; 상기 본체 내의 상측 공간상에 구비되고, 각각의 공간이 서로 구획된 상태로 걸름망이 각각 장착되는 다수의 걸름망 장착부를 가지는 필터 바스켓과; 상기 필터 바스켓의 각 걸름망 장착부를 향하여 상기 식수통의 식수를 공급하도록 다수의 분무홀을 가지는 온수 공급수단과; 상기 온수 공급수단의 각 분무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과; 상기 필터 바스켓으로 공급되는 식수를 가열하는 히터; 그리고, 상기 본체 내의 하측 공간상인 상기 필터 바스켓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 바스켓을 통과한 커피가 저장되는 커피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메이커를 제공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in body to form an appearance; A drinking water passage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store drinking water; A filter basket provided on the upper space in the main body, the filter basket having a plurality of strainer mounting portions each of which has a strainer mounted thereon, with each spac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Hot water supply means having a plurality of spray holes to supply drinking water of the drinking water bottle toward each strainer mounting portion of the filter basket;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each spray hole of the hot water supply means; A heater for heating drinking water supplied to the filter basket; And,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er basket on the lower space in the body provides a coffee mak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ffee pot: is stored coffee passing through the filter basket.

Description

커피 메이커{coffee maker}Coffee maker

본 발명은 커피 메이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커피의 혼합량 조절이 가능한 커피 메이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ffee ma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ffee maker capable of adjusting the mixing amount of coffee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일반적인 커피 메이커는 원두커피를 추출하여 커피포트에 자동적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저장하는 장치이다.A typical coffee maker is a device that extracts coffee beans and stores them by automatically discharging them into a coffee pot.

이러한, 커피 메이커는 도시한 도 1과 같이 본체(10)와, 식수 저장통(20)과, 필터 바스켓부(30)와, 커피포트(40)와, 히터(도시는 생략함) 그리고, 온수 공급관(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coffee maker includes a main body 10, a drinking water storage container 20, a filter basket part 30, a coffee pot 40, a heater (not shown), and a hot water supply pipe. It consists of 50.

여기서, 상기 본체(10)는 상기 커피 메이커의 외관을 이룬다.Here, the main body 10 forms the appearance of the coffee maker.

그리고, 상기 식수 저장통(20)은 상기 본체(10) 내의 상단 후방측에 구비되며, 커피 추출을 위한 식수가 저장된다.And, the drinking water reservoir 20 is provided on the upper rear side in the main body 10, the drinking water for coffee extraction is stored.

그리고, 상기 필터 바스켓부(30)는 걸름망이 장착되는 부위로써, 하부로 갈수록 협소해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filter basket portion 30 is a portion in which the strainer is mounted, and has a funnel shape that narrows toward the bottom.

그리고, 상기 커피포트(40)는 추출된 커피가 저장된다.The coffee pot 40 stores the extracted coffee.

그리고, 상기 히터(도시는 생략함)는 식수를 가열하도록 발열되며, 상기 본체(10) 내의 커피포트(40) 저부에 구비된다.The heater (not shown) generates heat to heat drinking water and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offee pot 40 in the main body 10.

그리고, 상기 온수 공급관(50)은 그 일단이 상기 식수 저장통(20)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필터 바스켓부(30)의 상단에 위치되며, 히터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그 내부를 유동하면서 가열된 식수를 상기 필터 바스켓부(30)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hot water supply pipe 50 is connected to the drinking water reservoir 2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filter basket part 30, and is formed to surround the heater, and is heated while flowing therein. Serves to provide the drinking water to the filter basket portion (30).

이 때, 상기 필터 바스켓부(30)의 상단에 위치되는 온수 공급관(60)의 끝단에는 다수의 온수 공급공(51)이 형성된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hot water supply holes 51 are formed at the end of the hot water supply pipe 60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filter basket part 30.

따라서, 상기 필터 바스켓부(30)에 걸름망을 장착한 상태에서 추출하고자 하는 원두커피를 투입한 후 전원을 공급하면 히터가 발열되어 온수 공급관(50) 내의 식수가 가열된다.Therefore, when the coffee basket is put into the filter basket portion 30 and the coffee beans to be extracted are put in, and the power is supplied, the heater generates heat and the drinking water in the hot water supply pipe 50 is heated.

그리고, 상기 가열되는 식수는 상기 온수 공급관(50)을 따라 필터 바스켓부(30)의 상단으로 유동한 후 상기 온수 공급관(50)의 끝단에 형성된 다수의 온수 공급공(51)을 통해 상기 필터 바스켓부(30)의 내부로 제공된다.Then, the heated drinking water flows along the hot water supply pipe 50 to the upper end of the filter basket unit 30 and then through the plurality of hot water supply holes 51 formed at the end of the hot water supply pipe 50 to the filter basket. It is provided to the inside of the portion (30).

이의 과정에서 상기 필터 바스켓부(30) 내의 걸름망에 투입된 원두커피의 원액이 추출되어 상기 필터 바스켓부(30)의 하단에 위치된 커피포트(40) 내부에 저장된다.In this process, the stock solution of the coffee beans introduced into the strainer in the filter basket part 30 is extracted and stored in the coffee pot 40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filter basket part 30.

그러나, 전술한 일련의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커피 메이커는 사용의 취향에 따라 서로 다른 다수 종류의 커피를 혼합하여 추출하고자 한다면 각 개인의 취향별로 각각의 커피를 적절한 비율로 섞은 후 추출하여야만 하였던 불편함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ffee maker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f you want to mix and extract different types of coffee according to the taste of use, it is inconvenient to mix and extract each coffee at an appropriate ratio for each individual's taste. There is this.

특히, 다수의 사용자가 동일 커피 메이커를 이용하여 각각 다른 취향별로 혼합 커피를 추출하고자 한다면 한 번씩 추출한 후 매번 상기 필터 바스켓부를 세척하고, 다음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혼합된 커피가 담긴 걸름망을 상기 필터 바스켓부에 장착함으로써 각 취향별 커피를 추출하여야만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In particular, if a plurality of users want to extract the mixed coffee according to different tastes using the same coffee maker, the filter basket portion is washed every time after extracting once, and the filter basket containing the mixed coffee according to the taste of the next user. It is inconvenient that the coffee must be extracted for each taste by attaching to the portion.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서로 다른 종류의 커피를 각 사용자의 취향별로 별도의 커피 변경 없이 혼합된 상태로 추출될 수 있도록 한 커피 메이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o provide a coffee maker so that different types of coffee can be extracted in a mixed state for each user's taste without changing the coffee separately. hav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어 식수가 저장된 식수통과; 상기 본체 내의 상측 공간상에 구비되고, 각각의 공간이 서로 구획된 상태로 걸름망이 각각 장착되는 다수의 걸름망 장착부를 가지는 필터 바스켓과; 상기 필터 바스켓의 각 걸름망 장착부를 향하여 상기 식수통의 식수를 공급하도록 다수의 분무홀을 가지는 온수 공급수단과; 상기 온수 공급수단의 각 분무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과; 상기 필터 바스켓으로 공급되는 식수를 가열하는 히터; 그리고, 상기 본체 내의 하측 공간상인 상기 필터 바스켓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 바스켓을 통과한 커피가 저장되는 커피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메이커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main body for forming an appearance; A drinking water passage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store drinking water; A filter basket provided on the upper space in the main body, the filter basket having a plurality of strainer mounting portions each of which has a strainer mounted thereon, with each spac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Hot water supply means having a plurality of spray holes to supply drinking water of the drinking water bottle toward each strainer mounting portion of the filter basket;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each spray hole of the hot water supply means; A heater for heating drinking water supplied to the filter basket; And,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er basket on the lower space in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coffee maker, comprising: a coffee pot for storing coffee passing through the filter basket.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 2a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A to 5B.

우선, 도시된 도 2a 내지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메이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2A to 3 schematically show the configuration of a coffe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발명의 커피 메이커는 크게 본체(110)와, 식수통(120)과, 필터 바스켓(130)과, 온수 공급수단과, 개폐수단과, 커피포트(170) 그리고, 히터(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at is, the coffee m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comprises the main body 110, the drinking water container 120, the filter basket 130, the hot water supply means,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the coffee pot 170 and the heater 18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여기서, 상기 본체(110)는 커피 메이커의 외관을 형성한다.Here, the main body 110 forms the appearance of the coffee maker.

그리고, 상기 식수통(120)은 상기 본체(110)내 상부의 후방측 공간에 구비되며, 그 내부에는 식수가 저장된다.In addition, the drinking water container 120 is provided in the rear side space of the upper portion in the main body 110, the drinking water is stored therein.

이 때, 상기 식수통(120)에는 식수 공급을 위한 식수 공급공(121)을 가지며, 상기 식수 공급공(121)은 개폐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drinking water container 120 has a drinking water supply hole 121 for drinking water supply, the drinking water supply hole 121 is openable.

그리고, 상기 필터 바스켓(130)은 상기 본체(110)내 상부의 전방측 공간인 상기 식수통(120)의 전방에 구비되며, 저부가 개구된 상태로써 하부로 갈수록 협소해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filter basket 130 is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drinking water container 120, which is a front side space of the upper portion in the main body 110, and has a funnel shape that narrows toward the bottom in an open state.

이와 함께, 상기 필터 바스켓(130)의 내부는 걸름망이 장착되는 다수의 걸름망 장착부(131,132,133)를 가진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filter basket 130 has a plurality of filter net mounting portion (131, 132, 133) is mounted.

이 때, 상기 각 걸름망 장착부(131,132,133)는 상기 필터 바스켓(130)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필터 바스켓(130)의 개구된 저부에 이르기까지 각각의 공간이 서로 구획될 수 있도록 격벽(134)을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형성된다.At this time, each of the strainer mounting portion (131, 132, 133)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partition wall 134 so that each space can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basket 130 to the open bottom of the filter basket 130. It is formed by.

상기한 각 걸름망 장착부(131,132,133)는 많으면 많을 수록 다양한 종류의 커피를 혼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지만, 이를 위한 형상적인 특징에 의해 제조 단가가 높아질 수 있음을 고려한다면 적어도 셋이상 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걸름망 장착부(131,132,133)가 세개로 이루어짐을 제시한다.Each of the strainer mounting portion (131, 132, 133)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ix a variety of types of coffee as the more, but considering tha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increased by the shape characteristic for this is preferably configured to at least three or more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that the strainer mounting portion (131, 132, 133) is made of three.

그리고, 상기 온수 공급수단은 식수통(120)의 식수를 상기 필터 바스켓(130)의 각 걸름망 장착부(131,132,133)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샤워헤드(151)와 온수 공급관(152)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hot water supply means is configured to supply the drinking water of the drinking water tank 120 to each strainer mounting portion (131, 132, 133) of the filter basket 130, and includes a shower head 151 and hot water supply pipe 152.

여기서, 상기 샤워헤드(151)는 상기 필터 바스켓(130)의 상측을 덮도록 넓게 형성되고, 그 내부 공간을 따라 상기 온수 공급관(152)의 일단이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필터 바스켓(130)의 각 걸름망 장착부(131,132,133)에 대응되는 위치로 온수를 제공하도록 분지된 분지관(134)을 가진다.Here, the shower head 151 is formed to cover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basket 130, one end of the hot water supply pipe 152 is connected along the inner space and each strainer of the filter basket 130 It has a branch pipe 134 branched to provide hot water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portion (131, 132, 133).

이 때, 상기 분지관(134)의 각 분지된 관로의 끝단 저면에는 온수가 배출되는 분무홀(151a,151b,151c)이 각각 형성된다.At this time, spray holes 151a, 151b, and 151c through which hot water is discharged are formed at bottom ends of the branch pipes of the branch pipes 134, respectively.

또한, 상기 온수 공급관(152)의 타단은 상기 식수통(120)에 연결되어 식수통(120)에 저장된 식수를 상기 샤워헤드(151)로 공급한다.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hot water supply pipe 152 is connected to the drinking water container 120 to supply drinking water stored in the drinking water container 120 to the shower head 151.

여기서, 도시한 도 3은 상기한 샤워헤드(151)와 필터 바스켓(130) 간의 상관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shower head 151 and the filter basket 130.

그리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샤워헤드(151)에 구비된 분지관(134)의 각 분무홀(151a,151b,151c)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each spray hole (151a, 151b, 151c) of the branch pipe 134 provided in the shower head 151.

상기와 같은 개폐수단은 상기 각 분무홀(151a,151b,151c)에 대응하는 복수의 개수로 구비되며, 상기 본체(110) 내의 상기 샤워헤드(151)와 상기 필터 바스켓(13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상태로써 손잡이(161a,161b,161c)와 차단판(162a,162b,162c)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spray holes (151a, 151b, 151c), it is possible to rotate between the shower head 151 and the filter basket 130 in the main body 110 The handles 161a, 161b, 161c and the blocking plates 162a, 162b, 162c are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in a hinged state.

이 때, 상기 각 개폐수단의 손잡이(161a,161b,161c)는 상기 본체(110)의 전면을 관통하여 전방측으로 각각 노출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각 개폐수단의 차단판(162a,162b,162c)은 상기 손잡이(161a,161b,161c)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각 분무홀(151a,151b,151c)을 폐쇄할 수 있도록 판상으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handles (161a, 161b, 161c)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re mounted to penetrate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to be exposed to the front side, and the blocking plates (162a, 162b, 162c)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re The handles 161a, 161b, and 161c are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and are formed in a plate shape to close the spray holes 151a, 151b, and 151c.

특히, 상기에서 각 분지관(134)에 형성되는 분무홀(151a,151b,151c)은 상기 각 개폐수단의 개폐를 위해 동작되는 회동 방향 즉, 상기 차단판(162a,162b,162c)의 회동 경로를 따라 길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각 분무홀(151a,151b,151c)이 일부분만 개방되도록 조절됨이 가능하게 구성된다.In particular, the spray holes (151a, 151b, 151c) formed in each branch pipe 134 in the rotational direction that is operat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that is, the rotation path of the blocking plate (162a, 162b, 162c) By forming along the length of each of the spray holes (151a, 151b, 151c) is configured to be adjusted to be opened only a portion.

그리고, 상기 커피포트(170)는 상기 본체(110) 내의 하측 공간상인 상기 필터 바스켓(13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 바스켓(130)을 통과한 온수 및 커피 추출액이 저장된다.In addition, the coffee pot 170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er basket 130 in the lower space in the main body 110, and the hot water and the coffee extract liquid passing through the filter basket 130 are stored.

그리고, 상기 히터(180)는 상기 온수 공급관(152)을 유동하는 식수를 가열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heater 180 is configured to heat the drink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hot water supply pipe 152.

이 때, 상기 히터(180)는 커피포트(170)의 저부에 위치도록 하여 상기 커피포트(170)를 적정 온도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되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heater 180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offee pot 170 so as to simultaneously perform a role of maintaining the coffee pot 170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특히, 상기의 경우 온수 공급관(152)은 상기 히터(180)를 감싸도록 절곡 형성함으로써 그 내부를 유동하는 식수가 상기 히터(180)에 의한 충분한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In particular, in this case, the hot water supply pipe 152 is bent to surround the heater 180 so that the drinking water flowing therein can be sufficiently heated by the heater 180.

하기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커피 메이커를 이용하여 다수 종류의 커피를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추출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extracting a plurality of types of coffee according to a user's taste using the coffee m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사용자는 다수의 걸름망에 여러 종류의 커피 원두 분말을 각각 투입한 후 상기 각 걸름망을 필터 바스켓(130)의 각 걸름망 장착부(제1걸름망 장착부, 제2걸름망 장착부, 제3걸름망 장착부)(131,132,133)에 각각 장착한다.First, a user inputs several kinds of coffee beans powder into a plurality of strainers, respectively, and then, each strain net mounts (first strain net mounts, second strain net mounts, and third strain net mounts) of the filter basket 130 (131, 132, 133). Each).

이의 상태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취향에 따라 각각의 개폐수단을 구성하는 손잡이(161a,161b,161c)를 각각 조작한다.In this state, the user manipulates the handles 161a, 161b, and 161c constituting the respective opening and closing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desired taste.

예컨대, 상기 사용자가 제1걸름망 장착부(131) 내의 걸름망에 투입된 커피 원두 분말과 제2걸름망 장착부(132) 내의 걸름망에 투입된 커피 원두 분말을 혼합한 커피의 추출을 원할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1걸름망 장착부(131)에 대응하는 제1개폐수단의 손잡이(161a) 및 상기 제2걸름망 장착부(132)에 대응하는 제2개폐수단의 손잡이(161b)를 각각 조작하여 각각의 차단판(162)이 해당 위치의 분지관에 형성된 제1분무홀(151a) 및 제2분무홀(151b)만이 개방되도록 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wants to extract the coffee mixed with the coffee beans powder injected into the strainer in the first strainer mounting portion 131 and the coffee beans powder injected into the strainer in the second strainer mounting portion 132, the user may extract the coffee. The handle 161a of the first opening / clos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portion 131 and the handle 161b of the second opening / clos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trainer mounting portion 132 are respectively manipulated to correspond to the respective blocking plates 162. Only the first spray hole 151a and the second spray hole 151b formed in the branch pipe at the position are opened.

이 때, 제3개폐수단의 차단판(162c)은 해당 위치의 분지관에 형성된 제3분무홀(151c)을 폐쇄한 상태로 유지된다.At this time, the blocking plate 162c of the third opening and closing means is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of the third spray hole 151c formed in the branch pipe of the corresponding position.

이의 상태는 도시한 도 2a 및 도 2b와 같다.Its state is as shown in Figs. 2a and 2b.

그리고, 상기의 상태에서 커피 메이커에 전원을 인가하여 히터(180)를 발열하면 온수 공급관(152) 내부에 위치된 식수는 가열됨과 더불어 증기압에 의해 상기 온수 공급관(152)을 타고 상승하면서 외부로 개방된 부위 즉, 다수의 분무홀(151a,151b)이 형성된 샤워헤드(151) 내의 분지관(134)으로 공급된다.In addition, when the heater 180 is heated by applying power to the coffee maker in the above state, the drinking water located inside the hot water supply pipe 152 is heated, and ascends through the hot water supply pipe 152 by steam pressure, and opens to the outside. To the branch pipe 134 in the shower head 151 where the spray holes 151a and 151b are formed.

이 때, 식수통(120) 내의 식수는 상기 온수 공급관(152)으로 제공된다.At this time, the drinking water in the drinking water bottle 120 is provided to the hot water supply pipe (152).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샤워헤드(151) 내의 분지관으로 공급된 온수는 상기 분지관(134)의 각 분지된 관로 끝단에 각각의 분무홀(151a,151b,151c) 중 개방된 상태의 분무홀(151a,151b)을 통해 제1걸름망 장착부(131) 및 제2걸름망 장착부(132)로 제공되고, 상기 각 걸름망 장착부(131,132) 내의 커피 원두 분말이 투입된 걸름망을 각각 거치면서 혼합 커피가 생성된다.And, as described above, the hot water supplied to the branch pipe in the shower head 151 is the spray hole in the open state of the respective spray holes (151a, 151b, 151c) at the end of each branched pipe of the branch pipe (134) Through 151a and 151b, the first strainer mounting portion 131 and the second strainer mounting portion 132 are provided, and mixed coffee is produced while passing through the strainer into which the coffee beans powder in the strainer mounting portions 131 and 132 is added.

이와 함께, 상기 생성된 혼합 커피는 계속해서 하부로 흘러내려 결국, 상기 필터 바스켓(130)의 하측에 구비된 커피포트(170) 내부로 투입된다.Along with this, the generated mixed coffee continues to flow down into the bottom and is finally introduced into the coffee pot 170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basket 130.

이 때, 상기 커피포트(170) 내부로 투입된 커피는 상기 커피포트(170) 저부측 공간상에 구비된 히터(180)에 의해 계속해서 일정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offee introduced into the coffee pot 170 continues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by the heater 180 provided on the bottom space of the coffee pot 170.

한편, 전술한 일련의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가 제1걸름망 장착부(131) 내의 걸름망에 투입된 커피 원두 분말과 제3걸름망 장착부(133) 내의 걸름망에 투입된 커피 원두 분말을 혼합한 커피의 추출을 원할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1걸름망 장착부(131)에 대응하는 제1개폐수단의 손잡이(161a) 및 상기 제3걸름망 장착부(133)에 대응하는 제3개폐수단의 손잡이(161c)를 각각 조작하여 각각의 차단판(162a.162c)이 해당 위치의 분지관(134)에 형성된 제1분무홀(151a) 및 제3분무홀(151c)만이 개방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wants to extract the coffee mixed with the coffee beans powder injected into the strainer in the first strainer mounting portion 131 and the coffee beans powder injected into the strainer in the third strainer mounting portion 133 in the above-described series of processes The user operates the handle 161a of the first opening / clos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rainer mounting portion 131 and the handle 161c of the third opening and clos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third strainer mounting portion 133, respectively. Only the first spraying hole 151a and the third spraying hole 151c formed in the branch pipe 134 at the position where the plates 162a and 162c are opened.

이의 상태는 도시한 도 4a 및 도 4b와 같다.Its state is as shown in Figs. 4a and 4b.

만일, 상기 사용자가 제2걸름망 장착부(132) 내의 걸름망에 투입된 커피 원두 분말과 제3걸름망 장착부(133) 내의 걸름망에 투입된 커피 원두 분말을 혼합한 커피의 추출을 원할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2걸름망 장착부(132)에 대응하는 제2개폐수단의 손잡이(161b) 및 상기 제3걸름망 장착부(133)에 대응하는 제3개폐수단의 손잡이(161c)를 각각 조작하여 각각의 차단판(162b,161c))이 해당 위치의 분지관에 형성된 제2분무홀(151b) 및 제3분무홀(151c)만이 개방되도록 한다.If the user wants to extract coffee mixed with the coffee beans powder injected into the strainer in the second strainer mounting portion 132 and the coffee beans powder injected into the strainer in the third strainer mounting portion 133, the user may extract the second strainer. The handles 161b of the second opening / clos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portion 132 and the handles 161c of the third opening / clos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third strainer mounting portion 133 are respectively operated to respectively block plates 162b and 161c. ) So that only the second spray hole 151b and the third spray hole 151c formed in the branch pipe of the corresponding position are opened.

이의 상태는 도시한 도 5a 및 도 5b와 같다.Its state is as shown in Figs. 5a and 5b.

한편, 본 발명에서는 분지관(134)에 형성된 각각의 분무홀(151a,151b,151c)이 차단판(162a,162b,162c)의 회동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한 더욱 미세한 커피 혼합량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each spray hole (151a, 151b, 151c) formed in the branch pipe 134 is formed long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locking plate (162a, 162b, 162c) finer coffee mixing amount by the user Can be adjusted.

즉, 제1걸름망 장착부(131) 내의 걸름망에 투입된 커피에 비해 제2걸름망 장착부(132) 내의 걸름망에 투입된 커피가 보다 진하길 원한다면 제1개폐수단의 차단판(162a) 조작시 제1분무홀(151a)을 일부만 개방되도록 조작하면 되는 것이다.That is, if the coffee introduced into the strainer in the second strainer mounting portion 132 is thicker than the coffee put into the strainer in the first strainer mounting portion 131, the first spray hole (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operate 151a) so that only a part is open.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취향에 따른 혼합 커피를 즐길 수 있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Therefore, it is understood that the user can enjoy the mixed coffee according to the desired taste.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피 메이커는 사용자의 단순한 조작에 의해 추출하는 혼합 커피에 대한 각 종류별 커피 혼합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커피 생성이 가능하여 제품 만족도를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coffee m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adjust the amount of coffee blended for each type of coffee to be extracted by a simple operation of the user, thereby creating coffee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thereby improving product satisfaction as much as possible. Can have the effect.

도 1 은 종래의 커피 메이커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coffee maker configuration

도 2a 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메이커의 제1동작 상태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Figure 2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first operating state of the coffe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b 는 도 2a의 Ⅰ-Ⅰ단면도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2A

도 3 은 본 발명 커피 메이커를 구성하는 필터 바스켓 및 샤워헤드 간의 상관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chematically show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ilter basket and the showerhead constituting the coffee m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메이커의 제2동작 상태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Figure 4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operating state of the coffe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b 는 도 4a의 Ⅱ-Ⅱ단면도FIG. 4B is a II-II cross-sectional view of FIG. 4A

도 5a 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메이커의 제3동작 상태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Figure 5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third operating state of the coffe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b 는 도 5a의 Ⅲ-Ⅲ단면도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III-III of FIG. 5A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본체 120. 식수통110. Main body 120. Drinking water bottle

121. 식수 공급공 130. 필터 바스켓121. Drinking water supply hole 130. Filter basket

131,132,133. 걸름망 장착부 134. 격벽131,132,133. Strainer mount 134. bulkhead

151. 샤워헤드 151a,151b,151c. 분무홀151. Showerheads 151a, 151b, 151c. Spray hole

152. 온수 공급관 161a,161b,161c. 손잡이152. Hot water supply pipes 161a, 161b, 161c. handle

162a,162b,162c. 차단판 170. 커피포트162a, 162b, 162c. Blocker 170. Coffee Pot

180. 히터180. Heater

Claims (6)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A main body forming an appearance;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어 식수가 저장된 식수통과;A drinking water passage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store drinking water; 상기 본체 내의 상측 공간상에 구비되고, 각각의 공간이 서로 구획된 상태로 걸름망이 각각 장착되는 다수의 걸름망 장착부를 가지는 필터 바스켓과;A filter basket provided on the upper space in the main body, the filter basket having a plurality of strainer mounting portions each of which has a strainer mounted thereon, with each spac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상기 필터 바스켓의 각 걸름망 장착부를 향하여 상기 식수통의 식수를 공급하도록 다수의 분무홀을 가지는 온수 공급수단과;Hot water supply means having a plurality of spray holes to supply drinking water of the drinking water bottle toward each strainer mounting portion of the filter basket; 상기 온수 공급수단의 각 분무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과;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each spray hole of the hot water supply means; 상기 필터 바스켓으로 공급되는 식수를 가열하는 히터; 그리고,A heater for heating drinking water supplied to the filter basket; And, 상기 본체 내의 하측 공간상인 상기 필터 바스켓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 바스켓을 통과한 커피가 저장되는 커피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메이커.And a coffee po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lter basket on the lower space in the main body to store coffee passing through the filter baske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온수 공급수단은The hot water supply means 상기 필터 바스켓의 상측에 위치되고, 그 내부 공간을 따라 상기 필터 바스켓의 각 걸름망 장착부에 대응되는 위치로 온수를 제공하도록 다수 갈래로 분지된 상태로써 분무홀이 각각 형성된 분지관을 가지는 샤워헤드와,A shower head having a branch pipe positioned above the filter basket and having branching pipes formed in a plurality of branches in order to provide hot water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strainer mounting portion of the filter basket along an inner space thereof; 일단이 상기 식수통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샤워헤드의 분지관에 연결되어 식수를 공급하는 온수 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메이커.One end is connected to the drinking water container,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branch pipe of the shower head Coffee mak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t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drinking wat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개폐수단은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is 상기 온수 공급수단의 각 분무홀에 대응하는 복수의 개수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메이커.Coffee mak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a plurality of numbers corresponding to each spray hole of the hot water supply means.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개폐수단은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is 상기 본체 내의 상기 샤워헤드와 상기 필터 바스켓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기 본체의 전방측으로 노출된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와 일체로 형성된 상태로써 상기 각 대응하는 분무홀을 개폐하는 판상의 차단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메이커.A plate-shaped blocking plate rotatably hinged between the shower head and the filter basket in the main body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handle exposed to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handle to open and close the corresponding spray holes; Coffee maker, characterized in that mad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각 분무홀은Each spray hole is 상기 개폐수단의 개폐를 위해 동작되는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메이커.Coffee mak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long along the direction that is operated for opening and clos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필터 바스켓의 각 걸름망 장착부는 적어도 셋이상이 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메이커.Coffee strain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at least three of each filter net of the filter basket.
KR10-2003-0017804A 2003-03-21 2003-03-21 coffee maker KR1004933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7804A KR100493313B1 (en) 2003-03-21 2003-03-21 coffee m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7804A KR100493313B1 (en) 2003-03-21 2003-03-21 coffee ma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222A KR20040083222A (en) 2004-10-01
KR100493313B1 true KR100493313B1 (en) 2005-06-07

Family

ID=37367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7804A KR100493313B1 (en) 2003-03-21 2003-03-21 coffee m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331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836B1 (en) * 2009-05-14 2012-06-12 김명기 Automatic drip coffee machine
KR200469512Y1 (en) * 2012-01-11 2013-10-16 강명곤 Coffee basket for drip coffee
KR101246888B1 (en) * 2013-01-04 2013-03-25 강정모 Apparatus to spill water for coffee drip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222A (en) 200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5104A (en) Food steamer
US20060283332A1 (en) Hot beverage maker
US6101924A (en) Coffee maker
US4911067A (en) Infusion beverage maker
CA2413489A1 (en) Hot beverage maker with cup-activated dispenser
WO2008103281A1 (en) Tea maker
US5907993A (en) Satellite brewing system
US7543528B2 (en) Hot beverage maker
US581613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dispensing hot water or hot beverages
KR100493313B1 (en) coffee maker
US4155292A (en) Filter coffee machine
KR100525405B1 (en) coffee maker
US7095954B2 (en) Chocolate fountain apparatus with output port
KR200342134Y1 (en) coffee maker
KR19990025713A (en) Coffee maker
KR200354880Y1 (en) coffee maker
TWM570676U (en) Hand-held electric coffee machine
KR200342136Y1 (en) coffee maker
KR200354879Y1 (en) coffee maker
KR200339331Y1 (en) A cooking vessel using steam
TWI724959B (en) Brewing water-injection device
KR200342135Y1 (en) coffee maker
JP2001238799A (en) Coffee maker
JP3952809B2 (en) Coffee extraction equipment
JP2023117275A (en) coffee m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