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2016Y1 - 공기튜브 골격을 갖는 모기장 - Google Patents

공기튜브 골격을 갖는 모기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2016Y1
KR200342016Y1 KR20-2003-0035454U KR20030035454U KR200342016Y1 KR 200342016 Y1 KR200342016 Y1 KR 200342016Y1 KR 20030035454 U KR20030035454 U KR 20030035454U KR 200342016 Y1 KR200342016 Y1 KR 2003420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mosquito net
skeleton
lower horizontal
horizontal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4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윤석
Original Assignee
한윤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윤석 filed Critical 한윤석
Priority to KR20-2003-00354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20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20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20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52Net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02Slide fasteners with a series of separate interlocking members secured to each stringer tape
    • A44B19/04Stringers arranged edge-to-edge when fastened, e.g. abutting stringers
    • A44B19/06Stringers arranged edge-to-edge when fastened, e.g. abutting stringers with substantially rectangular members having interlocking projections and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튜브 골격을 갖는 모기장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하부 수평튜브(22), 상부 수평튜브(24) 및 상기 상,하부 수평튜브(22,24)와 연통되도록 결합된 각각의 수직튜브(26)로 이루어지고, 공기 주입구(28)를 구비하여 공기 주입시 골격을 형성하기 위한 튜브 골격부재(20); 상기 각 수직튜브(26) 사이에 설치되는 망사부재(30A); 상기 상부 수평튜브(24) 사이에 설치되는 방수천부재(30B); 상기 하부 수평튜브(22)의 저면에 설치되어 바닥과의 사이로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 망사부재(40); 및 상기 망사부재(30A)에 설치되어 출입구(50)를 형성하고, 출입구(50)를 개폐하기 위한 지퍼부재(60)를 포함하는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실내 또는 실외에서 공기의 주입만으로 모기장(10)의 설치가 완료될 수 있고, 모기장(10)의 설치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부 수평튜브(22)와 바닥사이에 보조 망사부재(40)가 설치되어 틈을 형성하지 않게 되므로 해충의 침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고, 상부의 방수천부재(30B)에 의해 상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되고, 야외에 설치시 이슬이나 빗물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공기튜브 골격을 갖는 모기장{a mosquito net with air tube frame}
본 고안은 공기튜브 골격을 갖는 모기장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기장의 골격을 공기튜브로 구성하여 공기의 주입만으로 모기장이 펼쳐져 설치됨으로써, 설치가용이하게 되는 모기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기장은 각 상부 모서리에 부설된 연결끈을 네곳의 벽에 각각 고정을 해야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결끈을 부가적으로 설치해야 하고, 모기장을 설치하는 방의 규모에 비하여 모기장의 크기가 다를 경우에는 연결끈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별도의 보조끈을 추가로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모기장은 고정할 곳이 없는 실외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연결끈이 구비되지 않을 경우에는 모기장의 형태를 형성할 수 없어서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최근에 모기장 겸 이불이 제시되었으나, 이는 모기장이나 이불 사이에 튜브를 내장한 것으로, 직접 몸에 덮어야만 효과를 볼 수 있어서 수면시에는 활용을 할 수 있으나, 모기장 안에서의 활동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하절기에 실내나 실외에 제한받지 않고 모기장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설치한 후에는 모기나 나방과 같은 해충의 접근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모기장을 야외에 설치했을 때 상부로부터 이슬이나 빗물 또는 기타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모기장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기장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모기장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기장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모기장 20 : 튜브 골격부재
22 : 하부 수평튜브 24 : 상부 수평튜브
26 : 수직튜브 30A : 망사부재
30B : 방수천부재 40 : 보조 망사부재
50 : 출입구 60 : 지퍼부재
70 : 끈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부 수평튜브, 상부 수평튜브 및 상기 상,하부 수평튜브와 연통되도록 결합된 각각의 수직튜브로 이루어지고, 공기 주입구를 구비하여 공기 주입시 골격을 형성하기 위한 튜브 골격부재; 상기 각 수직튜브 사이에 설치되는 망사부재; 상기 상부 수평튜브 사이에 설치되는 방수천부재; 상기 하부 수평튜브의 저면에 직하방으로 설치되어 바닥과의 사이로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 망사부재; 및 상기 망사부재에 설치되어 출입구를 형성하고, 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지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튜브 골격을 갖는 모기장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때, 상기 상부 수평튜브의 각 코너부위에는 지지용 끈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모기장(10)은 공기 주입구(28)를 구비한 튜브 골격부재(20)와, 상기 튜브 골격부재(20) 중에서 각 수직튜브(26)에 설치되는 망사부재(30A)와, 상기 상부 수평튜브(24)에 설치되는 방수천부재(30B)와, 상기 망사부재(30A)에 설치되는 지퍼부재(60)와, 하부 수평튜브(22)의 저면에 설치되는 보조 망사부재(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튜브 골격부재(20)는 모기장(10) 각 변의 골격을 이루기 위한 것으로, 원형, 직사각 또는 정사각형상의 하부 수평튜브(22)와, 상기 하부 수평튜브(22)와동일 형상이거나,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 수평튜브(24)와, 상기 상,하부 수평튜브(22,24)와 연통되도록 결합된 각각의 수직튜브(26)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수평튜브(22)와 상부 수평튜브(24)는 각각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상기 하부 수평튜브(22)와 상부 수평튜브(24)는 다수개의 수직튜브(26)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수평튜브(22)와 상부 수평튜브(24) 및 수직튜브(26)는 일체형이 되어 그 내부는 모두 연통된다.
이때, 상기 상부 수평튜브(24)에는 지붕형상의 지붕골격 튜브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튜브 골격부재(20)에는 공기 주입구(28)가 설치되는데, 이 공기 주입구(28)는 튜브 골격부재(20) 내부로 공기를 주입시키거나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망사부재(30A)는 상기 튜브 골격부재(20)에 설치되어 각종 해충이 튜브 골격부재(20)가 형성된 내부 공간으로 칩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가는 눈의 망사천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튜브 골격부재(20) 중에서 상부 수평튜브(24) 사이에는 방수천부재(30B)가 설치된다. 상기 방수천부재(30B)는 모기장(10) 상부로부터 이슬, 빗물, 각종 이물질이 모기장(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방수천부재(30B)는 선택된 수직튜브(26)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망사부재(30A)와 방수천부재(30B)의 각 가장자리는 박음질 또는 열융착, 초음파 융착법에 의해 상기 튜브 골격부재(20)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망사부재(30A)와 방수천부재(30B)가 튜브 골격부재(20)에 결합되면 튜브 골격부재(20)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은 망사부재(30)와 방수천부재(30B)에 의해 폐쇄된 공간이 된다. 즉, 공기는 유통되나 해충의 칩입은 방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망사부재(30A)의 선택된 위치에는 망사부재(30A)가 절개되어 출입구(50)가 형성된다.
이러한 출입구(50)에는 지퍼부재(60)가 설치되어 개폐하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모기장(10)이 설치된 상태에서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출입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출입구(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하부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도 있 다.
상기 보조 망사부재(40)는 그 저면과 바닥 사이로 해충이 침입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 수평튜브(22)의 저면에 직하방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 수평튜브(24)의 각 코너부위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용 끈(70)이 설치되는데, 이 지지용 끈(70)은 상기 튜브 골격부재(20)의 공기가 누출될 경우에 그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보조적 골격수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모기장(10)의 형태를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공기 주입구(28)에 공기를 주입한다.
이와 같이 공기 주입구(28)로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주입된 공기는 서로 연통된 하부 수평튜브(22)와 상부 수평튜브(24)와 수직튜브(26)를 부풀려 팽창시킨다.
상기 튜브 골격부재(20)가 팽창되면 모기장(10)의 골격이 일정한 형태를 이루게되고, 이로 인하여 모기장(10)이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공기 주입이 완료되면 공기 주입구(28)를 폐쇄시켜 모기장(10)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모기장(10)의 공기의 주입으로 펼쳐지게 되면, 상기 하부 수평튜브(22)의 저면과 바닥 사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망사부재(40)가 주름을 형성하여 위치하기 때문에 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게 되어 해충의 침입이 차단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 수평튜브(22)의 저면과 바닥 사이에 이물질(책, 의류, 기타 물품)이 위치하더라도 상기 보조 방사부재(40)가 이를 감싸면서 틈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각종 해충의 침입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모기장(10)의 설치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지퍼부재(60)를 이용하여 출입구(50)를 개방한 후 모기장(10) 내부로 들어가고, 다시 지퍼부재(60)를 이용하여 출입구(50)를 폐쇄한다.
이와 같이 모기장(10)이 설치된 상태에서 모기장(10)의 내부로는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는다. 이는 모기장(10)의 상부가 방수천부재(30B)에 의해 폐쇄되어 있기 때문이며, 이로 인하여 모기장(10)을 야외에 설치하더라도 각종 이물질은물론, 이슬이나 빗물등의 유입이 차단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튜브 골격부재(20) 내부의 공기가 누출되어 모기장(10)의 골격 형태를 유지할 수 없는 상황이 되면, 상기 상부 수평튜브(24)의 각 코너부위에 설치된 각각의 지지용 끈(70)을 각 구조물에 고정하여 모기장(10)의 형태를 유지시킨다.
즉, 상기 지지용 끈(70)은 모기장(10)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보조적인 수단인 것이며, 상기 모기장(10)이 야외에 설치되었을 경우에 바람과 같은 외압에 의해 모기장(10)의 형태가 변형될 경우에 이를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기장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수평튜브(24)의 상부에 지붕형태의 보조튜브(24A)가 설치되고, 이 보조튜브(24A)에 방수천부재(30B)가 설치된 것이다.
상기 보조튜브(24A)에 의해 형성되는 모기장(10)의 상부 형태가 가옥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모기장(10)의 미관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사용자가 일어섰을 경우에 사용자의 머리부가 모기장(20)의 상부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사용이 완료된 모기장(10)을 철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공기 주입구(28)를 개방하여 튜브 골격부재(20)에 주입된 공기를 배출시킨다. 공기의 배출이 완료되면, 모기장(10)은 튜브 골격부재(20)가 골격기능을 상실하게 되어 그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모기장(10)을 접어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공기튜브 골격을 갖는 모기장은 그 골격을 공기튜브로 구성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실내 또는 실외에서 공기의 주입만으로 모기장의 설치가 완료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부 수평튜브와 바닥사이를 보조 망사부재가 설치되어 틈을 형성하지 않게 되므로 해충의 침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며, 방수천부재에 의해 이슬이나 빗물 또는 각종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2)

  1. 하부 수평튜브(22), 상부 수평튜브(24) 및 상기 상,하부 수평튜브(22,24)와 연통되도록 결합된 각각의 수직튜브(26)로 이루어지고, 공기 주입구(28)를 구비하여 공기 주입시 골격을 형성하기 위한 튜브 골격부재(20);
    상기 각 수직튜브(26) 사이에 설치되는 망사부재(30A);
    상기 상부 수평튜브(24) 사이에 설치되는 방수천부재(30B);
    상기 하부 수평튜브(22)의 저면에 직하방으로 설치되어 바닥과의 사이로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 망사부재(40); 및
    상기 망사부재(30A)에 설치되어 출입구(50)를 형성하고, 출입구(50)를 개폐하기 위한 지퍼부재(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튜브 골격을 갖는 모기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수평튜브(24)의 각 코너부위에는 지지용 끈(7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튜브 골격을 갖는 모기장.
KR20-2003-0035454U 2003-11-13 2003-11-13 공기튜브 골격을 갖는 모기장 KR2003420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454U KR200342016Y1 (ko) 2003-11-13 2003-11-13 공기튜브 골격을 갖는 모기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454U KR200342016Y1 (ko) 2003-11-13 2003-11-13 공기튜브 골격을 갖는 모기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2016Y1 true KR200342016Y1 (ko) 2004-02-14

Family

ID=49343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454U KR200342016Y1 (ko) 2003-11-13 2003-11-13 공기튜브 골격을 갖는 모기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201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9164B2 (en) Solar shade
KR101914221B1 (ko) 침대 프레임용 방충망 설치대
KR200342016Y1 (ko) 공기튜브 골격을 갖는 모기장
GB2403487A (en) A tent with openings at top and bottom of weather resistant outer to vary ventilation
KR200454810Y1 (ko) 모기장 해먹
KR101185694B1 (ko) 빗물 유입 방지 장치
KR102345521B1 (ko) 파라솔텐트
WO2016073921A1 (en) Vent control system for tent
KR200457440Y1 (ko) 캠핑용 하이브리드 스크린 타프
KR20110001625U (ko) 플로우팅 텐트
KR101258509B1 (ko) 사이즈 가변형 실내 텐트
KR20200081118A (ko) 타프 설치식 텐트
CN215291783U (zh) 一种透气式军用帐篷
KR102476344B1 (ko) 빗물 유입 차단 구조를 갖는 텐트
CN220790800U (zh) 一种户外露营帐篷
KR200162240Y1 (ko) 생활공간실이 형성된 텐트
KR200382870Y1 (ko) 천막형 모기장
KR200242600Y1 (ko) 모기장이 탈착이 되면서 사방으로 그늘막을 갖는 텐트
KR200392044Y1 (ko) 낚시용 그늘막 텐트
KR200163305Y1 (ko) 차양텐트
KR102633993B1 (ko) 슬라이딩 타입의 방충망 및 미세망 겸용 창호구조
KR20060120858A (ko) 낚시용 그늘막 텐트
KR200259894Y1 (ko) 모기장
KR20180012594A (ko) 상부공간 활용을 개선한 원터치 텐트
KR200361982Y1 (ko) 차양막을 구비하는 방충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