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402Y1 - Water supply heater water level control valve for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Google Patents

Water supply heater water level control valve for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402Y1
KR200341402Y1 KR20-2003-0035661U KR20030035661U KR200341402Y1 KR 200341402 Y1 KR200341402 Y1 KR 200341402Y1 KR 20030035661 U KR20030035661 U KR 20030035661U KR 200341402 Y1 KR200341402 Y1 KR 2003414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orifice
control valve
level contro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66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영준
한창희
이원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신
Priority to KR20-2003-00356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40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4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402Y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0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 F16K1/06Special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flow, e.g. special shape of passages or casings
    • F16K1/08Special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flow, e.g. special shape of passages or casings in which the spindle is perpendicular to the general direction of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8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decreasing pressure or noise level and having a throttling member separate from the closure member, e.g. screens, slots, labyrin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ps Or Co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전용 보일러의 급수가열기 수위제어밸브에 관한 것으로, 발전설비의 유량제어를 통한 수위를 제어하기 위한 케이지공의 구조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내경이 점점 감소하는 리듀스형 오리피스와 스트레이트 오리피스 구조로 형성하여 리듀스형 오리피스 내에서 박리흐름과 교축부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케이지공 내부에 스케일이 부착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발전용 보일러의 급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급수가 유출되는 유출구 사이의 밸브몸체 일측에 다수의 케이지공이 형성된 케이지(Cage)가 설치되어지되 엑츄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수직 유동되는 스템에 의해 플러그(Plug)가 케이지 내부를 승강하면서 케이지공을 개폐시켜 급수의 유량을 제어하여 수위를 제어하는 발전용 보일러의 급수가열기 수위제어밸브에 있어서, 케이지의 케이지공은 그 내경이 원주면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점점 감소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리듀스형 오리피스와 리듀스형 오리피스의 내측 끝단으로부터 케이지의 내주면에 이르기까지 리듀스형 오리피스의 내측 끝단과 동일한 내경의 구조로 형성되는 스트레이트형 오리피스의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level control valve of a feed water heater of a power generation boiler, and a reducer type orifice and a straight orifice whose inn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a cage hole for controlling the water level through the flow rate control of the power plant. The purpose is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scale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cage hole by forming a structure to prevent the peeling flow and the throttle in the reduce-type orifice.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for this purpose is provided with a cage (Cage) formed with a plurality of cage holes on one side of the valve body between the inlet inlet and the outlet of the feedwater inlet for the power generation boiler is installed in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In the water supply heater level control valve of the power plant boiler which controls the water level by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water supply by opening and closing the cage hole as the plug ascends the inside of the cage by the stem vertically flowing up and down, the cage of the cage The ball has the same inner diameter as the inner end of the reducer orifice from the inner end of the reducer orifice and the reducer orific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ge, the inner diameter of which is gradually reduced from the out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o the inner side of the cage. It is made in the form of a straight orifice formed by.

Description

발전용 보일러의 급수가열기 수위제어밸브{Water supply heater water level control valve for generation of electric power}Water supply heater water level control valve for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본 고안은 발전용 보일러의 급수가열기 수위제어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전소의 보일러 안으로 유입되는 물의 흐름을 제어하여 보일러 급수히터의 수위를 조절하는 급수가열기 수위제어밸브의 케이지 상에 형성되는 스케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발전용 보일러의 급수가열기 수위제어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heater level control valve of a power plant boiler, and more particularly, on a cage of a water heater level control valve that controls the flow of water flowing into a boiler of a power plant to control the water level of the boiler water hea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edwater heater level control valve of a power generation boiler to effectively remove a scale formed.

일반적으로 발전용 보일러의 급수가열기 수위제어밸브는 원자로냉각재계통 가압기의 수위제어기에 의하여 제어되는 밸브로써 외주면상의 4방향에 등간격으로 케이지공이 형성된 케이지(Cage) 내부를 플러그(Plug)가 승강하면서 케이지공을 개폐시킴으로써 발전용 보일러의 수위를 조절하게 된다. 다음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발전용 보일러의 급수가열기 수위제어밸브를 보인 것이다.In general, the water heater level control valve of the power plant boiler is controlled by the water level controller of the reactor coolant system pressurizer. As the plug is lifted up and down inside the cage in which cage hole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four directions on the outer circumference. By opening and closing the cage hole, the water level of the boiler for power generation is controlled. The following shows the feedwater heater level control valve of the boiler for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발전용 보일러의 구성에서 급수가열기 수위제어밸브의 케이지를 확대하여 보인 평단면도, 도 2 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발전용 보일러의 구성에서 급수가열기 수위제어밸브의 케이지를 통한 급수의 유출 작용을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이다.1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cage of a water heater level control valve in a configuration of a power boil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2 is a view of a water heater level control valve in a configuration of a boiler for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flow of water through the cage.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발전용 보일러의 급수가열기 수위제어밸브의 구성에서 케이지(10)는 그 원주면에 내외가 관통되도록 4방향에 케이지공(12)이 형성되고, 그 내부는 상하로 관통되어 있는 원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구성된 케이지(10)는 밸브몸체(도시하지 않음)의 일측에 압입 설치되어 밸브몸체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급수를 케이지공(12)과 케이지(10)의 내측 하부를 경유하여 밸브몸체의 유출구로 유출시키게 된다.1 and 2, the cage 10 has a cage hole 12 in four directions such that the cage 10 passes throug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eedwater heater level control valve of the power generation boil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t is formed, the inside is in the form of a cylinder penetrating up and down. The cage 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ress-fitted on one side of the valve body (not shown), and the water flowing out through the inlet of the valve body is passed through the cage hole 12 and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cage 10 to flow out of the valve body. Drained into a sphere.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케이지(10)의 케이지공(12)은 수위조절밸브의 엑츄에이터(도시하지 않음) 작동에 따라 상하로 수직 유동되는 스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케이지(10) 내부를 승강하는 플러그(20: Plug)에 의해 개폐된다.The cage hole 12 of the cage 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moved up and down inside the cage 10 by a stem (not shown) that vertically flows up and down according to an actuator (not shown) of the water level control valve. It is opened and closed by a plug 20.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케이지(10)의 케이지공(12) 구조는 스트레이트(Straight) 형태의 오리피스(Orifice)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케이지공(12) 입구의 축류부(14: Vena Contracta)에 부압(Back Flow)이 발생하여 와류 흐름 상태에서 물리적인 작용에 의하여 스로틀링부(16) 주위에 스케일(Scale)이 점점 쌓여 결국에는 케이지공(12)을 막음으로써 유체의 흐름을 완전히 차단시켜 유량제어를 불가능하게 하는 문제가 발생된다.However, since the cage hole 12 structure of the cage 10 as described above has a straight orifice structure, the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to the axial portion 14 of the cage hole 12 inlet. (Back Flow) occurs and scale gradually accumulates around the throttling portion 16 due to physical action in the vortex flow state, and eventually blocks the flow of the fluid by blocking the cage hole 12, thereby controlling the flow rate. A problem arises that makes it impossible.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지공(10)의 스트레이트 오리피스 구조에 의한 케이지공(12) 내에 스케일이 쌓여 케이지공(12)이 막힘으로 인해 발전설비의 유량제어가 불가능하게 됨으로써 발전설비의 효율저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케이지공(12)의 스트레이트 오리피스 구조에 의한 케이지공(12) 내에 스케일이 쌓임으로써 이를 제거하여 수위제어밸브를 유지 보수하기 위한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scale is accumulated in the cage hole 12 due to the straight orifice structure of the cage hole 10, so that the flow rate control of the power generation equipment becomes impossible due to the blockage of the cage hole 12, thereby reducing the efficiency of the power generation equipment. There is a problem that occurs. In addition, the scale is accumulated in the cage hole 12 by the straight orifice structure of the cage hole 12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for maintaining the level control valve by removing it.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전설비의 유량제어를 통한 수위를 제어하기 위한 케이지공의 구조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내경이 점점 감소하는 리듀스형 오리피스와 스트레이트 오리피스 구조로 형성하여 리듀스형 오리피스 내에서 박리흐름과 교축부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케이지공 내부에 스케일이 부착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 발전용 보일러의 급수가열기 수위제어밸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all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structure of the cage hole for controlling the water level through the flow rate control of the power generation equipment reduced type orifice and straight orifice structure with the inner diameter gradually decreasing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eedwater heater level control valve of a power plant boiler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scale adheres to the inside of the cage hole by preventing the separation flow and throttle in the reducer type orific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케이지공의 구조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내경이 점점 감소하는 리듀스형 오리피스와 스트레이트 오리피스 구조로 형성하여 케이지공 내부에 스케일이 부착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케이지공의 막힘을 방지하여 유체의 흐름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cage hole structure with a reduced orifice and a straight orifice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outer side to the inner side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scale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cage hole to prevent the blockage of the cage hole It is to prevent the flow of the fluid to be blocked.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지공의 구조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내경이 점점 감소하는 리듀스형 오리피스와 스트레이트 오리피스 구조로 형성하여 케이지공 내부에 스케일이 부착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케이지공의 막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발전설비의 과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cage hole with a reduced orifice and a straight orifice structure whose inn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outer side to the inner side, thereby preventing the phenomenon that the scale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cage hole. It is to prevent overloading of power generation equipment that may occur.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기술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지공의 구조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내경이 점점 감소하는 리듀스형 오리피스와 스트레이트 오리피스 구조로 형성하여 케이지공 내부에 스케일이 부착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스케일의 쌓임으로 인해 발생하는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structure of the cage hole with a reduced orifice and straight orifice structure of the inn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to prevent the scale adheres to the inside of the cage hole To reduce the cost of maintenance caused by the accumulation of money.

아울러,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들 이외에 리듀스형 오리피스와 스트레이트 오리피스 구조의 케이지공을 케이지의 중심에서 직교되도록 4방향에 형성하여 케이지공을 통해 그 내부로 유입되는 분사류가 케이지의 내부에서 충돌되도록 함으로써 케이지 내부의 충돌영역에서 와류를 발생시켜 석출된 스케일이 밸브몸체의 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즉, 석출된 스케일이 케이지의 하류에서 부착되지 않고 밸브몸체의 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함에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four directions so that the cage hole of the reduction type orifice and the straight orifice structure perpendicular to the center of the cage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purposes, the jet flow introduced into the cage through the cage hole collides in the cage By generating a vortex in the collision area inside the cage to ensure that the precipitated scal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of the valve body. In other words, the precipitated scale is not attached to the cage downstream, so that it can flow out through the outlet of the valve body.

도 1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발전용 보일러의 구성에서 급수가열기 수위제어밸브의 케이지를 확대하여 보인 평단면도.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age of a feed water heater level control valve in the configuration of a boiler for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 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발전용 보일러의 구성에서 급수가열기 수위제어밸브의 케이지를 통한 급수의 유출 작용을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Figure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utflow action of the water supply through the cage of the feed water heater level control valv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ower generation boil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발전용 보일러의 급수가열기 수위제어밸브를 보인 종단면도.Figure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feed water heater level control valve of a power generation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발전용 보일러의 구성에서 급수가열기 수위제어밸브의 케이지를 확대하여 보인 평단면도.Figure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age of the water heater level control valv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boiler for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발전용 보일러의 구성에서 급수가열기 수위제어밸브의 케이지를 통한 급수의 유출시 스케일의 석출 작용을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Figure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recipitation action of the scale when the outflow of the water supply through the cage of the feed water heater level control valv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ower generation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발전용 보일러의 구성에서 급수가열기 수위제어밸브의 급수 유출시의 작용을 보인 단면도.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ction of the feed water when the water supply of the water heater level control valv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boiler for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급수가열기 수위조절밸브 110. 밸브몸체100. Water level heater valve 110. Valve body

112. 유입구 114. 유출구112. Inlet 114. Outlet

116. 설치공간부 120. 케이지116. Installation space 120. Cage

122. 케이지공 122a. 리듀스형 오리피스122. Cage ball 122a. Reduced Orifice

122b. 스트레이트형 오리피스 130. 보닛122b. Straight orifice 130. Bonnet

140. 엑츄에이터 150. 밸브스템140.Actuator 150. Valve stem

160. 플러그160. Plug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발전용 보일러의 급수가열기 수위제어밸브는 발전용 보일러의 급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급수가 유출되는 유출구 사이의 밸브몸체 일측에 다수의 케이지공이 형성된 케이지(Cage)가 설치되어지되 엑츄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수직 유동되는 스템에 의해 플러그(Plug)가 케이지 내부를 승강하면서 케이지공을 개폐시켜 급수의 유량제어를 통해 수위를 제어하는 발전용 보일러의 급수가열기 수위제어밸브에 있어서, 케이지의 케이지공은 그 내경이 원주면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점점 감소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리듀스형 오리피스와 리듀스형 오리피스의 내측 끝단으로부터 케이지의 내주면에 이르기까지 리듀스형 오리피스의 내측 끝단과 동일한 내경의 구조로 형성되는 스트레이트형 오리피스의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That is, the water supply heater level control valve of the power generation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ge in which a plurality of cage hole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valve body between the inlet through which the water supply of the power boiler is introduced and the outlet through which the inflow of water is introduced. Cage) is installed, but the water supply of the power generation boiler that controls the water level through the flow rate control of the water supply by opening and closing the cage hole by the plug ascending the inside of the cage by the stem vertically flowing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In the hot water level control valve, the cage hole of the cage is reduced from the inner end of the reducer orifice and the reducer orific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ge, the inner diameter of which is gradually reduced from the out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o the inner side. In the form of a straight orifice formed of the same inner diameter as the inner end of the orifice Eojinda.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케이지공의 리듀스형 오리피스가 이루는 각도는 30∼40도의 범위로 이루어지고, 스트레이트형 오리피스의 길이는 1∼2mm의 길이로 형성됨이 양호하다.In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angle formed by the reduced orifice of the cage hole is made in the range of 30 to 40 degrees, and the length of the straight orifice is preferably formed in the length of 1 to 2 mm.

한편, 전술한 케이지공은 전후와 좌우를 연결하는 선의 교차점이 케이지의 중심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케이지의 원주면 전후좌우 4방향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4방향의 케이지공을 통해 유입되는 분사류가 케이지의 내부 중심에서 상호 충돌됨으로써 충돌영역에서 와류가 발생되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cage hole is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four directions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ge so that the intersection of the line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and left and right is made in the center of the cage, the jet flow flowing through the cage hole in the four directions is cage It is composed of a configuration so that the vortex is generated in the collision region by mutual collision at the inner center of the.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발전용 보일러의 급수가열기 수위제어밸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water supply heater level control valve of the power generation boi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발전용 보일러의 급수가열기 수위제어밸브를 보인 종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발전용 보일러의 구성에서 급수가열기 수위제어밸브의 케이지를 확대하여 보인 평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발전용 보일러의 구성에서 급수가열기 수위제어밸브의 케이지를 통한 급수의 유출시 스케일의 석출 작용을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발전용 보일러의 구성에서 급수가열기 수위제어밸브의 급수 유출시의 작용을 보인 단면도이다.Figure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water heater level control valve of the power plant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cage of the water heater level control valv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boiler for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precipitation action of the scale when the water flows out through the cage of the water heater level control valv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ower generation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onfiguration of the power generation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ction of the feedwater heater level control valve when water is outflowed.

도 3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발전용 보일러의 급수가열기 수위제어밸브(100)는 케이지(120)의 원주면에 형성되는 케이지공(122)의 리듀스형 오리피스 구조로 하여 케이지공(122) 내부에서 급수의 박리 흐름과 교축부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케이지공(122) 내벽에 스케일(Scale)의 부착이 방지되도록 한 기술이다.3 to 6, the water supply heater level control valve 100 of the power generation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duced orifice structure of the cage hole 122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ge 120 By preventing the separation flow and the throttle of the water supply in the cage hole 122 to prevent the adhesion of the scale to the inner wall of the cage hole 122.

본 고안의 급수가열기 수위제어밸브(1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용 보일러의 급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2)와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급수가 유출되는 유출구(114) 사이의 밸브몸체(110)에 설치되어 유량을 제어하는 케이지(120)의 원주 상에 형성된 케이지공(122)은 케이지(120)의 원주면 전후좌우의 4방향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지되 그 내경은 케이지(120)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으로 점점 감소하는 리듀스형 오리피스(122a)와 리듀스형 오리피스(122a)의 내측 끝단으로부터 케이지(120)의 내주면에 이르는 스트레이트형 오리피스(122b)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When the water heater level control valv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inlet 112 and the inlet 112 into which the water supply of the power generation boiler is introduced, as shown in FIGS. 3 to 6. Cage hole 122 formed on the circumference of the cage 120 to control the flow rate is installed in the valve body 110 between the outlet 114 through which the outlet flows out, etc. in the four directions of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ge 120, etc. The orifice is formed at intervals, the inner diameter of the reducer orifice 122a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ge 120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straight orifice from the inner end of the reducer orifice 122a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ge 120 It consists of the structure of 122b.

즉,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케이지공(122)은 케이지(120)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 방향으로 일정깊이에 이르기까지 내경이 점점 감소하는 테이퍼 경사각을 주어 형성한 리듀스형 오리피스(122a)와 리듀스형 오리피스(122a)의 내측단인 최소내경의 끝단으로부터 케이지(120)의 내주면에 이르기까지 리듀스형 오리피스(122a)의 최소내경 끝단과 동일한 내경의 스트레이트형 오리피스(122b)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cage hole 122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reducer-type orifice 122a and reduce formed by giving a tapered inclination angle whose inn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ge 120 to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consists of the structure of the straight orifice 122b of the same inner diameter as the minimum inner diameter end of the reducer type orifice 122a from the end of the minimum inner diameter which is the inner end of the shaped orifice 122a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ge 120.

전술한 바와 같은 케이지공(122)의 구성에서 리듀스형 오리피스(122a)가 이루는 테이퍼 각도는 30∼40도의 범위로 이루어지고, 스트레이트형 오리피스(122b)의 길이는 1∼2mm의 범위로 형성한다.In the configuration of the cage hole 122 as described above, the taper angle formed by the reduced orifice 122a is in the range of 30 to 40 degrees, and the length of the straight orifice 122b is in the range of 1 to 2 mm. .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지공(122)을 30∼40도의 범위로 테이퍼 각도를 준 리듀스형 오리피스(122a)와 리듀스형 오리피스(122a) 내측 끝단에 형성되는 1∼2mm 길이의 스트레이트형 오리피스(122b)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케이지공(122) 내부로 유입되는 급수의 박리 흐름과 교축부의 발생을 방지하여 케이지공(122) 내벽에 스케일(Scale)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duced orifice 122a having the tapered angle of the cage hole 122 in the range of 30 to 40 degrees and the straight orifice 122b having a length of 1 to 2 mm formed at the inner end of the reduced orifice 122a.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cale from being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cage hole 122 by preventing the separation flow and the generation of the throttle portion of the water supply flowing into the cage hole 122 by forming a) structure.

즉, 본 고안에 따른 기술은 케이지공(122)을 테이퍼 각도를 준 리듀스형 오리피스(122a)와 리듀스형 오리피스(122a) 내측 끝단에 형성되는 스트레이트형 오리피스(122b)의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케이지공(122) 입구에서의 부압(Back Flow)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케이지공(122) 내부로 유입되는 급수의 박리 흐름과 교축부의 발생을 방지하여 케이지공(122) 내벽에 스케일(Scale)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forming the cage hole in the structure of the straight orifice (122b) formed at the inner end of the reducer type orifice (122a) and the reducer type orifice (122a) with a tapered angle Since back flow is not generated at the inlet of the ball 122, a scale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cage hole 122 by preventing the separation flow of water supply flowing into the cage hole 122 and the occurrence of throttles. The attachment can be prevented.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리듀스형 오리피스(122a)와 스트레이트형 오리피스(122b)의 구조로 이루어진 케이지공(122)은 케이지(120)의 원주면 전후좌우 4방향에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때, 4방향의 케이지공(122) 중에서 전후와 좌우의 케이지공(122)을 연결하는 선의 교차점은 케이지(120) 내부의 중심에 위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cage hole 122 made of the structure of the reduced orifice 122a and the straight orifice 122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four directions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ge 120. At this time,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line connecting the cage hole 122 in the front and rear and left and right of the cage hole 122 in the four directions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age 120.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지(120)의 원주면 전후좌우 4방향에 등간격으로 리듀스형 오리피스(122a)와 스트레이트형 오리피스(122b)의 구조로 이루어진 케이지공(122)을 형성함으로써 4방향의 케이지공(122)을 통해 케이지(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4방향의 분사류가 케이지(120) 내부의 공간에서 상호 충돌되고, 이에 따라 케이지(120) 내부공간의 분사류 충돌영역에서는 분사류의 충돌로 인한 와류가 발생되어 그 중에 스케일이 석출된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the cage hole 122 having the structure of the reducer type orifice 122a and the straight type orifice 122b at equal intervals in the four directions in front, back, left, and right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ge 120, Four-way injection flows introduced into the cage 120 through the cage hole 122 collide with each other in the space inside the cage 120, and thus, the injection flow in the injection flow collision region of the cage 120 internal space. Vortex occurs due to the collision of and scale is deposited therein.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지(120) 내부공간의 분사류 충돌영역에서 분사류의 충돌로 인하여 석출된 스케일은 분사류의 충돌로 인하여 발생된 와류와 함께 케이지(120)의 하부를 거쳐 밸브몸체(110)의 유출구(114)를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이처럼 분사류의 충돌로 인하여 발생된 와류와 함께 석출된 스케일이 밸브몸체(110)의 유출구(114)를 동해 외부로 유출되기 때문에 석출된 스케일은 케이지(120)의 하류에서도 부착되지 않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cale precipitated by the collision of the jet stream in the jet stream collision region of the cage 120 is passed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cage 120 together with the vortices generated by the jet stream. It flows out through the outlet 114 of the 110. Since the scale precipitated together with the vortices generated by the collision of the jet stream flows out through the outlet 114 of the valve body 110, the precipitated scale is not attached even downstream of the cage 120.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리듀스형 오리피스(122a)와 스트레이트형오리피스(122b) 구조의 케이지공(122)을 통한 케이지(120) 내부의 스케일 부착방지와 분사류의 충돌을 통한 와류의 형성으로 케이지(120) 하류에서의 스케일 부착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기술임을 알 수 있다.Therefore, the cage is formed by the formation of the vortex through the collision of the jet flow and prevention of scale attachment inside the cage 120 through the cage hole 122 of the reduced orifice 122a and the straight orifice 122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0) It can be seen that the technique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scale adhesion downstream.

본 고안에 따른 리듀스형 오리피스(122a)와 스트레이트형 오리피스(122b)의 구조로 이루어진 케이지공(122)이 적용된 케이지(120)를 포함한 수위제어밸브(1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water level control valve 100 including the cage 120 to which the cage hole 122 made of the structure of the reduced orifice 122a and the straight orifice 122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

즉, 본 고안에 따른 발전용 보일러의 급수가열기 수위제어밸브(100)는 급수가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112)와 유입된 급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구(114) 및 유입구(112)와 유출구(114) 사이의 중심부에 상향의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설치공간부(116)가 형성되어 하부를 이루는 밸브몸체(110), 밸브몸체(110)의 설치공간부(116)에 설치되어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급수를 케이지공(122)과 그 내부를 통해 유출구(114)로 안내 및 제어하는 케이지(120), 밸브몸체(110)의 설치공간부(116)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보닛(130), 보닛(130)의 상부에 설치되어 공기의 유입 여부에 따라 작동되는 엑츄에이터(140), 엑츄에이터(140)의 하부로부터 케이지(120)의 내부 중심으로 수직 설치되어 엑츄에이터(140)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밸브스템(150) 및 밸브스템(150)의 하단에 설치되어 케이지(120)의 내부에서 케이지공(122)을 개폐시키는 플러그(16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water heater level control valve 100 of the boiler for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inlet port 112 and the inlet port 112 and the inlet port 112 and the outlet port in which the water supply flows into the outside The installation space 116 is formed in the center between the 114 is formed in an upward open shape is formed in the valve body 110, the installation space 116 of the valve body 110 forming a lower inlet ( Bonnet is connected to the cage 120 and the installation space 116 of the valve body 110 to guide and control the water supply introduced through the cage hole 122 and the outlet 114 through the inside. 130, an actuator 140 installed on the top of the bonnet 130 and operated vertically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actuator 140 to the inner center of the cage 120 to operate the actuator 140.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valve stem 150 and the valve stem 150 is moved up and down by It takes place in the interior of the cage 120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lug 16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all cage (122).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은 수위제어밸브(100)의 구성에서 케이지(120)의 원주면 4방향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케이지공(122)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테이퍼 각도를 준 리듀스형 오리피스(122a)와 리듀스형 오리피스(122a) 내측 끝단에 형성되는 스트레이트형 오리피스(122b)의 구조로 이루어진다.Of cours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water level control valve 100 as described above, the cage hole 122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the fou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cage 120 has a reduced orifice having a tapered angle as described above. 122a) and the straight orifice 122b formed at the inner end of the reducer orifice 122a.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발전용 보일러의 급수가열기 수위제어밸브(100)는 발전용 보일러의 수위에 따른 엑츄에이터(140) 내부로의 공기유입 여부에 따라 엑츄에이터(140)가 작동되면 밸브스템(150)이 상하의 수직으로 유동된다. 이에 따라, 밸브스템(150)의 하단에 연결되어 케이지(120)의 내부에 위치된 플러그(160)가 상하의 수직으로 승강되면서 케이지(120)의 케이지공(122)을 개폐시킨다.The water supply heater level control valve 100 of the power generation boil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he valve stem 150 when the actuator 140 is operat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air flow into the actuator 140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power generation boiler. It flows vertically up and down. Accordingly, the plug 160 located in the cage 12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valve stem 150 to vertically move up and down to open and close the cage hole 122 of the cage 120.

즉, 플러그(160)의 상승에 의해 케이지공(122)이 열려 밸브몸체(110)의 유입구(112)를 거쳐 유입된 급수가 케이지공(122)을 통해 케이지(120)의 내부로 유입되어 케이지(120)의 하류를 거쳐 밸브몸체(110)의 유출구(114)로 유출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플러그(160)의 하강에 의해 케이지공(122)이 폐쇄되어 급수의 유출이 방지되는 상태가 된다.That is, the cage hole 122 is opened by the rise of the plug 160, and the water supply flowing through the inlet 112 of the valve body 110 flows into the cage 120 through the cage hole 122 and is caged. Through the downstream of the 120 is a state tha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let 114 of the valve body 110, the cage hole 122 is closed by the lowering of the plug 160 to prevent the outflow of water supply do.

물론,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케이지공(122)이 열림에 따라 케이지공(122)을 통해 케이지(120)의 내부공간으로 분사되는 분사류의 충돌로 인하여 석출된 스케일은 분사류의 충돌로 인하여 발생된 와류와 함께 케이지(120)의 하부를 거쳐 밸브몸체(110)의 유출구(114)를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Of course, as described above, as the cage hole 122 is opened, the scale that is precipitated due to the collision of jetting jets injec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age 120 through the cage hole 122 is generated due to the collision of jetting streams. Together with the vortex, it flows out through the outlet 114 of the valve body 110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cage 120.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기술은 리듀스형 오리피스(122a)와 스트레이트형 오리피스(122b) 구조의 케이지공(122)과 분사류의 충돌에 의한 와류의 발생으로 인하여 케이지공(122) 내부에 스케일의 부착이 방지됨은 물론, 케이지(120) 하류에서의 스케일 부착 역시도 방지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ge hole 122 having the reducer type orifice 122a and the straight type orifice 122b is formed inside the cage hole 122 due to the generation of the vortex due to the collision of the jetting flow. In addition to preventing the attachment of the scale, attachment of the scale downstream of the cage 120 is also prevented.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carried out in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range permitt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발전설비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케이지공의 구조를 리듀스형 오리피스와 스트레이트형 오리피스 구조로 형성하여 리듀스형 오리피스 내에서 박리흐름과 교축부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케이지공 내부에 스케일이 부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ge hole structure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is formed by the reducer type orifice and the straight type orifice structure so that the separation flow and the throttle are not generated in the reducer type orifice. The effect of preventing scale from sticking inside the ball is exerted.

본 고안의 다른 효과로는 케이지공의 구조를 리듀스형 오리피스와 스트레이트형 오리피스 구조로 형성하여 케이지공 내부에 스케일이 부착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케이지공의 막힘을 방지하여 유체의 흐름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structure of the cage hole by reducing orifice and straight orifice structure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scale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cage hole to prevent the blockage of the cage hole to block the flow of fluid You can prevent it.

본 고안의 또 다른 효과로는 케이지공의 구조를 리듀스형 오리피스와 스트레이트형 오리피스 구조로 형성하여 케이지공 내부에 스케일이 부착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케이지공의 막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발전설비의 과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cage hole structure with a reduced orifice and a straight orifice structure to prevent the scale from sticking inside the cage hole to overload the power generation equipment that may be caused by blockage of the cage hol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기술은 케이지공의 구조를 리듀스형 오리피스와 스트레이트형 오리피스 구조로 형성하여 케이지공 내부의 스케일 부착방지를 도모함으로써 스케일의 쌓임으로 인해 발생하는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cost of the maintenance caused by the accumulation of scale by forming the cage hole structure of the reduction orifice and straight orifice structure to prevent the attachment of the scale inside the cage hole Can be.

아울러, 본 고안은 리듀스형 오리피스와 스트레이트형 오리피스 구조의 케이지공을 통해 케이지 내부의 충돌영역에서 발생되는 와류에 의해 석출된 스케일이 케이지의 하류에서 부착되지 않고 유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케이지의 하류에 스케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scale precipitated by the vortex generated in the collision area inside the cage through the cage hole of the reduced orifice and the straight orifice structure to flow out without being attached downstream of the cage, The scal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ttached.

Claims (4)

발전용 보일러의 급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급수가 유출되는 유출구 사이의 밸브몸체 일측에 다수의 케이지공이 형성된 케이지(Cage)가 설치되어지되 엑츄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수직 유동되는 스템에 의해 플러그(Plug)가 케이지 내부를 승강하면서 케이지공을 개폐시켜 급수의 유량을 제어하는 발전용 보일러의 급수가열기 수위제어밸브에 있어서,A cage in which a plurality of cage holes are formed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valve body between an inlet in which water supply of a power generation boiler flows in and an outlet in which the inflow of water supplied through the inlet flows out, and vertically flows verticall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In the feed water heater level control valve of a power generation boiler, which opens and closes the cage hole by controlling the flow of the water by raising the inside of the cage by the stem, 상기 케이지의 케이지공은 그 내경이 원주면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점점 감소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리듀스형 오리피스와 상기 리듀스형 오리피스의 내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케이지의 내주면에 이르기까지 상기 리듀스형 오리피스의 내측 끝단과 동일한 내경의 구조로 형성되는 스트레이트형 오리피스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용 보일러의 급수가열기 수위제어밸브.The cage hole of the cage has a reducer type orifice whose inn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out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o the inner side of the cage from the inner end of the reducer orific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ge. Water supply heater water level control valve of the power generation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 of a straight orifice formed in the same inner diameter structure as the inner e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공의 리듀스형 오리피스가 이루는 각도는 30∼40도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용 보일러의 급수가열기 수위제어밸브.The water supply heater level control valve of claim 1, wherein an angle formed by the reduced orifice of the cage hole is in a range of 30 to 40 degre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트형 오리피스의 길이는 1∼2mm의 길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용 보일러의 급수가열기 수위제어밸브.The water supply heater level control valve of claim 2, wherein the straight orifice has a length of 1 to 2 mm.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공은 전후와 좌우를 연결하는 선의 교차점이 상기 케이지의 중심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케이지의 원주면 전후좌우 4방향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4방향의 케이지공을 통해 유입되는 분사류가 상기 케이지의 내부 중심에서 상호 충돌되어 충돌영역에서 와류가 발생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용 보일러의 급수가열기 수위제어밸브.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age hole is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four directions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ge so that the intersection of the line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and left and right is made in the center of the cage On the other hand, water supply heater level control valve of the power plant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jection flow flowing through the cage hole in the four directions to collide with each other in the inner center of the cage to generate a vortex in the collision area.
KR20-2003-0035661U 2003-11-14 2003-11-14 Water supply heater water level control valve for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KR20034140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661U KR200341402Y1 (en) 2003-11-14 2003-11-14 Water supply heater water level control valve for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661U KR200341402Y1 (en) 2003-11-14 2003-11-14 Water supply heater water level control valve for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402Y1 true KR200341402Y1 (en) 2004-02-14

Family

ID=49424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661U KR200341402Y1 (en) 2003-11-14 2003-11-14 Water supply heater water level control valve for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402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584B1 (en) * 2011-06-16 2011-12-13 김충호 Valve trim apparatus for prohibiting scale attatch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20002470A (en) * 2019-06-13 2022-01-06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Valve silencer and electronic expansion valve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584B1 (en) * 2011-06-16 2011-12-13 김충호 Valve trim apparatus for prohibiting scale attatch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20002470A (en) * 2019-06-13 2022-01-06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Valve silencer and electronic expansion valve thereof
KR102630724B1 (en) * 2019-06-13 2024-01-29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Valve silencer and its electronic expansion val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34300A2 (en) High-stability valve arrangement for a governor valve
CN206309972U (en) A kind of Cascade Multistage decompression high-differential-pressure regulating valve
US5758689A (en) Control valve with partial flow diffuser
KR200341402Y1 (en) Water supply heater water level control valve for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CN1283726A (en) Flow regulator
WO2021057034A1 (en) Anti-backflow anti-siphon module
KR20200061214A (en) Nozzle + plug type orifice adjustment steam trap
JP6083656B2 (en) Sand collection method for sand basin
US20200332906A1 (en) Diaphragm Filter
US3753529A (en) Spray apparatus
GB2170927A (en) Energy dissipator
KR200395487Y1 (en) Wall hung toilet with siphon system
CN101566245A (en) Automatic flow control water-saving valve
CN109914357B (en) Method for arranging sand discharge holes of dam body of high-sand-content river
CN201434117Y (en) Whirl valve capable of controlling flow automatically
JP6592813B2 (en) Sand collection method for sand basin
KR101760098B1 (en) Nozzle for dredging sewage pipe
KR200418455Y1 (en) siphon spillway
CN206887143U (en) A kind of airtight box for blast furnace water cooling plant
JP2021021460A (en) Float type steam trap
KR200302157Y1 (en) Vortex Valve for Flow Control
KR20140031827A (en) Continuous injection type's steam condensate exhauster, in which engineering nozzle can be adopted
US6024128A (en) Valve assembly with integral phase regenerator
KR20070038302A (en) A valve for fluid with pressure reduction structure
CN212899963U (en) Novel erosion-resistant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