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355Y1 - A bus bar - Google Patents

A bus b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355Y1
KR200341355Y1 KR20-2003-0034697U KR20030034697U KR200341355Y1 KR 200341355 Y1 KR200341355 Y1 KR 200341355Y1 KR 20030034697 U KR20030034697 U KR 20030034697U KR 200341355 Y1 KR200341355 Y1 KR 2003413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bar body
present
bent
be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69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원규
이봉건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346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35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3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355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스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각각의 구간이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지는 판상의 버스바몸체(22)와, 상기 버스바몸체(22)를 상하로 관통하여 다수 곳에 형성되어 인접하는 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하는 간섭회피부(26)와, 상기 버스바몸체(22)의 소정 구간에서 통과가능한 전류량을 늘이기 위해 형성되고 그 표면이 상기 버스바몸체(22)의 표면과 적어도 소정 각도를 형성하면서 마주보게 형성되는 절곡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절곡부(24)는 상기 버스바몸체(22)의 표면에 일측 표면이 밀착되게 절곡된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서 절곡부(24')는 상기 버스바몸체(22)의 표면에 대해 마주보는 표면이 예각을 이루도록 절곡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버스바의 높이가 최소화되어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줄어들고 버스바의 설계자유도가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s bar.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ate-shaped bus bar body 22 each section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and through the bus bar body 22 up and down formed in a number of places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adjacent parts The bending portion 26 and the bending formed to increase the amount of current that can pass through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bus bar body 22, the surface of which is formed to face at leas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surface of the bus bar body 22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part 24. The bent portion 24 is bent such that one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bus bar body 22. In another embodiment, the bent portion 24 ′ is bent such that the surface facing the surface of the bus bar body 22 forms an acute ang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height of the bus bar is minimized, thereby reducing the space required for installation and increasing the design freedom of the bus bar.

Description

버스바{A bus bar}Bus bar {A bus bar}

본 고안은 버스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에 필요한 체적이 최소로 되는 버스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s ba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s bar with a minimum volume required for installation.

버스바(Bus bar)는 낮은 임피던스와 높은 전류 용량을 갖는 도체로, 2개 이상의 회로를 개별적으로 연결할 수 있거나 한 시스템 내의 여러 등량점(like point)을 연결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버스바는 여러 지점으로 전원을 분배하는 공통 도체로 많이 사용된다.Bus bars are conductors with low impedance and high current capacity, capable of connecting two or more circuits individually or connecting several like points in a system. Busbars are often used as common conductors to distribute power to multiple points.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버스바의 요부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버스바(10)를 구성하는 버스바몸체(12)는 각 부분이 소정의 두께(T)와 폭(W)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몸체(12)의 각 부분의 두께(T)와 폭(W)은 각 부분을 통과하는 전류량에 따라 결정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ain part of a bus ba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ccording to this, the bus bar body 12 constituting the bus bar 10 is formed such that each part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T and a width W. The thickness T and the width W of each part of the bus bar body 12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current passing through each part.

한편, 버스바몸체(12)의 특정 구간에는 필요에 따라 상대적으로 많은 전류량을 통과시키기 위해서 소정의 구간에는 수직부(14)를 수직으로 절곡형성하기도 한다. 이는 수직부(14)의 단면적(H×T)에 비례해서 상대적으로 많은 전류를 해당되는 구간에서 통과시키기 위함이다. 즉, 상기 수직부(14)가 형성된 구간을 예로 들면, 그 구간의 단면적은 (H×T)+(W×T)가 되어 상대적으로 많은 전류가 통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Meanwhile, in order to allow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current to pass through a specific section of the bus bar body 12, the vertical portion 14 may be vertically bent in a predetermined section. This is to allow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current to pass in the corresponding section in proportion to the cross-sectional area (H × T) of the vertical portion 14. That is, taking the section in which the vertical portion 14 is formed as an exampl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tion becomes (H × T) + (W × T), so that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current can pass therethrough.

그리고, 상기 수직부(14)를 형성하는 다른 이유는 간섭회피부(16)를 일정 면적 이상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즉, 상기 버스바몸체(12)에는 군데군데 간섭회피부(16)가 형성된다. 상기 간섭회피부(16)는 예를 들면 상기 버스바(10)가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 구비될 때,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전자부품과 버스바(10)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부분이다. 또는 상기 간섭회피부(16)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상기 버스바몸체(12)를 관통하여 전자부품을 착탈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기능을 한다.In addition, another reason for forming the vertical portion 14 is that the interference avoiding portion 16 should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or more. That is, the bus bar body 12 is formed in the interference avoiding portion 16 in several places. The interference avoiding part 16 is a part for avoiding interference between the bus bar 10 and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when the bus bar 10 is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be. Alternatively, the interference avoiding part 16 may serve to penetrate the bus bar body 12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so as to detachably connect the electronic component.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먼저, 상기 수직부(14)는 버스바몸체(12)의 표면에서 수직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버스바몸체(12)의 상부 공간을 상대적으로 많이 차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버스바몸체(12)의 상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First, the vertical portion 14 protrudes vertically upward from the surface of the bus bar body 12. Therefore, the upper space of the bus bar body 12 occupies a relatively large amount. In this case,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upper space of the bus bar body 12 cannot be efficiently used.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버스바가 높이방향으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space occupied by the bus bar in the height direc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버스바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configuration of a bus ba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버스바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버스바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b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버스바 22: 버스바몸체20: bus bar 22: bus bar body

24: 절곡부 26: 간섭회피부24: bend part 26: interference avoiding skin

T: 두께 W: 폭T: Thickness W: Width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각각의 구간이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지는 판상의 버스바몸체와, 상기 버스바몸체를 상하로 관통하여 다수 곳에 형성되어 인접하는 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하는 간섭회피부와, 상기 버스바몸체의 소정 구간에서 통과가능한 전류량을 늘이기 위해 형성되고 그 표면이 상기 버스바몸체의 표면과 적어도 소정 각도를 형성하면서 마주보게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te-shaped bus bar body each section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and is formed in a number of places through the bus bar body up and down An interference avoiding part for preventing interference with an adjacent component, and formed to increase an amount of current that can pass through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bus bar body, and a surface thereof formed to face at leas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surface of the bus bar bod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ent portion.

상기 절곡부는 상기 버스바몸체의 표면에 일측 표면이 밀착되게 절곡된다.The bent portion is bent such that one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bus bar body.

상기 절곡부는 상기 버스바몸체의 표면에 대해 마주보는 표면이 예각을 이루도록 절곡된다.The bent portion is bent such that the surface facing the surface of the bus bar body forms an acute angle.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버스바는 그 설치를 위한 공간이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B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space for its installation is minimized.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버스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b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버스바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버스바(20)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20)를 구성하는 버스바몸체(22)는 각각의 구간이 소정의 두께(T)와 폭(W)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몸체(22)의 각각의 구간의 두께(T)와 폭(W)은 그 구간을 통과하여야 하는 전류량에 따라 달리 설정된다. 일반적으로는 폭(W)을 적절하게 설정하여 통과하는 전류량을 달리할 수 있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us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is, the bus ba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plate shape. Bus bar body 22 constituting the bus bar 20 is formed so that each section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T) and width (W). The thickness T and the width W of each section of the bus bar body 22 ar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mount of current that must pass through the section. In general, the amount of current passing through can be varied by setting the width W appropriately.

특정 구간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전류를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별도로 절곡부(24)를 형성하기도 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바몸체(22)의 특정 구간에서 버스바몸체(22)의 표면에 겹쳐지게 절곡부(24)를 절곡하여 형성한다. 다시 말해, 절곡부(24)의 일면이 상기 버스바몸체(22)의 표면과 겹쳐지게 한다. 따라서, 도 2에서 거리가 L되는 구간에서는 전류가 흐를 수 있는 단면적이 2T×W로 되어 절곡부(24)가 없을 때에 비해 2배의 단면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In order to pass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current in a particular section, a bent portion 24 may be formed separately. 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bent portion 24 is bent to overlap the surface of the bus bar body 22 in a specific section of the bus bar body 22. In other words, one surface of the bent portion 24 overlaps the surface of the bus bar body 22. Therefore, in the section where the distance is L in FIG. 2, the cross-sectional area through which current can flow is 2T × W,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can be twice as large as without the bent portion 24.

상기 절곡부(24)는 버스바몸체(22)에서 해당되는 구간에서 원하는 폭(W)을 얻을 수 없을 때, 형성한다. 즉, 그 구간에 인접하여 간섭회피부(26)가 형성되어야 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상기 간섭회피부(26)는 버스바(20)가 설치되는 공간에서 버스바(20)의 상부나 하부에 위치되는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형성하는 부분이다.The bent portion 24 is formed when the desired width W is not obtained in the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bus bar body 22. That is, the case where the interference avoiding part 26 should be formed adjacent to the section can be considered. The interference avoiding part 26 is a portion formed to avoid interference with other components located at the top or the bottom of the bus bar 20 in the space where the bus bar 20 is installed.

상기 간섭회피부(26)는 상기 버스바몸체(22)의 군데군데 형성되는데, 그 면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섭회피부(26)는, 예를 들면 상기 버스바(20)의 하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에 상기 버스바몸체(22)를 관통하여 전자부품을 착탈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도 한다.The interference avoiding part 26 is formed in several places of the bus bar body 22, and an area thereof may be variously formed. The interference avoiding part 26 also functions to detachably connect electronic components through the bus bar body 22 to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under the bus bar 20, for example. .

한편, 도 3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절곡부(24')를 형성함에 있어 버스바몸체(22)의 표면에 그 일면이 밀착되게 하지 않고, 절곡부(24')의 일면과 버스바몸체(22)의 표면이 이루는 각도가 예각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only part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forming the bent portion 24 ', one surface of the bent portion 24' and the surface of the bus bar body 22 are formed without making one surface adhere to the surface of the bus bar body 22. The angle is acute.

물론, 상기 절곡부(24')와 버스바몸체(22)의 표면이 이루는 각도가 크면 클수록 버스바(20)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은 많아지게 될 것이므로, 상대적으로 상기 각도를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f course, the larger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bent portion 24 'and the surface of the bus bar body 22, the larger the space required for the installation of the bus bar 20.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angle relatively small. .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버스바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b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고안의 버스바(20)는 버스바몸체(22)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다. 즉, 버스바몸체(22)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부분의 높이를 최대한 낮게 설계하여 버스바(20)가 설치되는 공간을 최소화하고 있다.The bus ba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latively low height of the bus bar body 22. That is, the height of the portion formed to protrud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s bar body 22 is designed to be as low as possible to minimize the space in which the bus bar 20 is installed.

즉, 본 고안에서는 절곡부(24)를 형성하여 버스바몸체(22)의 소정 구간을 통과할 수 있는 전류량을 상대적으로 크게 만들어주는데, 상기 절곡부(24)의 일면이 버스바몸체(22)의 표면에 밀착되게 설계한다. 또는 절곡부(24')의 일면이 상기 버스바몸체(22)의 표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한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ent portion 24 is formed to relatively increase the amount of current that can pass through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bus bar body 22, and one side of the bent portion 24 is the bus bar body 22. Design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Alternatively, one surface of the bent portion 24 ′ is formed to form an acute angle with the surface of the bus bar body 22.

이와 같이 절곡부(24)를 형성하면 해당되는 구간(L)을 필요한 만큼의 전류가 통과할 수 있어 원하는 위치로 원하는 전류량을 전달할 수 있고, 전류의 통과도 원활하게 되어 열발생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Forming the bent portion 24 as described above can pass the required amount of current through the corresponding section (L) can deliver the desired amount of current to the desired position, and the passage of the current is also smooth to minimize heat generation, etc. have.

그리고, 본 고안에서와 같이 상기 절곡부(24)를 버스바몸체(22)의 표면에 밀착되게 형성함에 의해 간섭회피부(26)의 형성을 보다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넓은 간섭회피부(26)의 형성을 위해서 절곡부의 폭(W)을 상기 절곡부(24)가 겹쳐지는 버스바몸체(22)부분의 그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하면 된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bent portion 24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bus bar body 22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reely form the interference avoiding portion 26. That is, the width W of the bent portion may be made relatively larger than that of the portion of the bus bar body 22 in which the bent portion 24 overlaps to form the relatively wider avoidance portion 26.

따라서, 버스바(20)의 상면과 하면에 설치되어 버스바몸체(22)를 관통하는 부품의 배치설계가 보다 자유롭게 될 수 있고, 특히 간섭회피부(26)를 관통하는 부품의 높이에 따른 제약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된다.Therefore, the design of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s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us bar 20 and penetrating the bus bar body 22 can be more freely, in particular, the constraints of the height of the components penetrating the interference avoiding portion 26. This will be reduced relatively.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what is stat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s described in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버스바에서는 버스바몸체의 소정 구간을 통과하는 전류량을 크게 하고 간섭회피부의 설계를 위해 절곡부가 버스바몸체의 표면에 밀착되거나 예각을 이루도록 절곡하였다.In the b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current amount passing through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bus bar body was increased, and the bent portion was ben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bus bar body or formed at an acute angle for the design of the interference avoiding part.

따라서, 본 고안의 버스바는 그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되어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최소화되면서 버스바가 사용되는 세트의 경박단소화를 이룰 수 있다.Therefore, the bus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latively low in height, so that the space required for installation can be minimized, making it possible to achieve a light and short reduction in the set of the bus bar.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간섭회피부의 면적을 보다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게되어 버스바의 설계자유도가 높아지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of the interference avoiding portion can be designed more freely, and thu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design freedom of the bus bar can be expected.

Claims (3)

각각의 구간이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지는 판상의 버스바몸체와,Each section has a plate-shaped bus bar body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상기 버스바몸체를 상하로 관통하여 다수 곳에 형성되어 인접하는 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하는 간섭회피부와,An interference avoiding part which penetrates the bus bar body up and down and is formed in a plurality of places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adjacent parts; 상기 버스바몸체의 소정 구간에서 통과가능한 전류량을 늘이기 위해 형성되고 그 표면이 상기 버스바몸체의 표면과 적어도 소정 각도를 형성하면서 마주보게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Bus bar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increase the amount of current that can pass in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bus bar body and the surface is formed to be formed facing at least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surface of the bus bar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버스바몸체의 표면에 일측 표면이 밀착되게 절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The bus bar of claim 1, wherein the bent portion is bent such that one side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bus bar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버스바몸체의 표면에 대해 마주보는 표면이 예각을 이루도록 절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The bus bar of claim 1, wherein the bent portion is bent such that a surface facing the surface of the bus bar body is at an acute angle.
KR20-2003-0034697U 2003-11-05 2003-11-05 A bus bar KR20034135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697U KR200341355Y1 (en) 2003-11-05 2003-11-05 A bus b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697U KR200341355Y1 (en) 2003-11-05 2003-11-05 A bus b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355Y1 true KR200341355Y1 (en) 2004-02-11

Family

ID=49424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697U KR200341355Y1 (en) 2003-11-05 2003-11-05 A bus b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355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9135B2 (en) Vehicle power distributor and method of connecting control circuit board to vehicle power distributor
CN110036700B (en) Circuit structure
US10062633B2 (en) Substrate unit
JP4234687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for automobiles
JP2006033941A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CN101499454A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341355Y1 (en) A bus bar
EP0964496B1 (en) Electric connection box
JP2009011047A (en) Bar holder for distribution board
JP4728776B2 (en) Circuit board with bus bar
KR20050037845A (en) Pcb with complex-wafer for refrigerator
JP5244669B2 (en) Electronic device mounting structure
JP3151308U (en) Terminal block
KR200409804Y1 (en) dielectric board in a junction-box
CN209929907U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6537100B2 (en) Multi-stage substrate connection structure and electrical connection box
KR20120059134A (en) Printed circuits board and circuits board block for vehicle using the same
KR200432944Y1 (en) Bus bar
JP5195184B2 (en) Programmable controller
KR200342711Y1 (en) A joint bar
US10869400B2 (en) Case
KR200432943Y1 (en) Bus bar
JP2007265954A (en) Fuse and fuse connection structure
JP2002329533A (en) Screwed two-stage terminal block
JP2002159119A (en) Electrical junction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