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277Y1 - 장식용 병 지지구 - Google Patents

장식용 병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277Y1
KR200341277Y1 KR20-2003-0029221U KR20030029221U KR200341277Y1 KR 200341277 Y1 KR200341277 Y1 KR 200341277Y1 KR 20030029221 U KR20030029221 U KR 20030029221U KR 200341277 Y1 KR200341277 Y1 KR 2003412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support
band
coupled
bottle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92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덕환
Original Assignee
최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덕환 filed Critical 최덕환
Priority to KR20-2003-00292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2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2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2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25Flower-pot stabilisers, i.e. means to prevent flower-pots from tipping ov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83Picture frames having means for holding flower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이 완료된 유리병 제품의 병목부위에 결합되어 그 유리병을 꽃병등의 수납용기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장식용 병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상부의 외경이 하부와 다른 병목을 갖는 병과, 그 병목 부위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밴드부와, 그 밴드부의 외주연 일측에 결합되어 지면에 대해 적정 경사각을 갖는 지지부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밴드부의 다른 실시예로 나사 결합으로 병목부위에 결합되는 캡 형식과, 클램핑으로 병목부위에 결합되는 수축가능한 클램프 형식을 채용한 것이 있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사용이 완료된 유리병 제품을 수납용기의 다른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재처리공정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렴한 비용으로 포장용기 및 수납용기의 두가지 기능을 겸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장식용 병 지지구{APPARATUS FOR SURPORT OF A BOTTLE}
본 고안은 장식용 병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부에 병목을 갖는 병제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병제품에 내장된 상품의 사용이 완료된 후에도 그 병자체를 꽃병이나 펜꽂이등의 수납공간을 갖는 물품으로 재활용하도록 함과 아울러, 액자등의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한 장식용 병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용기는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있으며, 액상 또는 고체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의 경우에는 밀폐성과 외관상 미려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유리병 제품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 유리병 제품은 내충격성이 약해서 파손의 우려가 큰 취약점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투명성 포장용기라는 기능적 용도 및 성형된 모양에 따라 장식적 효과가 우수하여 고가의 상품을 포장하는 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기존 유리병 제품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품으로는 주로 취식가능한 내용물이 내장되어 보관되는 데, 그 내용물을 다 사용하고 난 후에는 병 마개와 유리병 본체를 분리하여 쓰레기 수거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유리병 제품은 포장용기에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꽃병이나 액자틀등에도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일 예(액자 겸용 꽃병)로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꽃의 하단부가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물이 일정 수위 충전되며 외주면에 록킹돌기(15)가 일체로 형성된 병(10)과, 상단부가 그 병(10)의 록킹돌기(15)에 록킹 결합되고 하단부가 지면에 접촉되도록 적정 경사각을 이루는 경사부(20)로 구성된다.
그 경사부(20)는 상단부에 록킹돌기(15)와 록킹 결합되도록 록킹후크(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 부위에는 사진이나 그림 또는 거울등의 소물품(50)이 수납되도록 수납공간(22)이 형성되고, 그 수납공간(22)을 마감하는 커버(24)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의 유리병 제품은 하나의 제품으로 액자와 꽃병의 두가지 기능을 겸하는 유용한 기능을 갖는다.
그런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포장용기용 유리병 제품은 그 내부에 내장된 내용물을 다 사용한 후에는 그 기능을 상실하여 쓰레기로 취급받게 되며, 그 재활용을 위해 복잡한 재처리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는,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의 현실상 재활용 처리를 위한 비용 부담이 있음과 아울러, 유리를 녹여 새로운 제품으로 제작하기 위해서 별도의 생산공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포장용기용 유리병 제품을 별도의 재처리 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다른 수납기능을 갖는 제품으로 재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액자 또는 탁상용 시계로도 사용할 수 있는 부가적인 기능외에도 외관상 미려함을 제공하는 장식용 병 지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액자 겸용 꽃병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물품이 수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병 지지구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은 본 고안 장식용 병 지지구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장식용 병 지지구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장식용 병 지지구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 장식용 병 지지구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 장식용 병 지지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 받침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 받침부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병 12 : 병목
22 : 수납공간 24 : 커버
50 : 물품 110 : 밴드부
110a : (밴드부의)나사산
112 : 결합공 114 : 나사부재
115 : 걸림돌기 210 : 지지부
220 : 수납부 230 : 받침부
240 : 연장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와 하부가 연통되고 병의 병목부위에 결합되는 링 형태의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외주면에 스톱퍼수단에 의해 회전각도가 제한되도록 결합되며 적정 경사각을 갖는 지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으로, 상기 밴드부는 그 내경이 수축/확장이 가능하도록 자체 탄성력을 갖는 고무 밴드인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밴드부는 표면에 다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그 결합공에 치합되는 나사부재를 구비하여서, 상기 나사부재의 회전시 그 내경이 수축/확장이 가능한 클램핑 밴드인 것을 특징요소라 할 수 있다.
또, 상기 밴드부는 내주면에 상기 병목 부위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호 나사 결합되는 캡 밴드인 것을 본 고안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지지부는 하단부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 받침부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그 중앙 부위에 물품이 수납되는 수납부를 더 마련하되, 상기 수납부는 지지부의 중앙에 적정 용적의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의 외측에 결합되는 커버가 외부를 마감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외에도, 상기 스톱퍼수단은 상기 밴드부의 외주연 일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되는 걸림후크가 형성되어 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앞서 설명한 기존의 병과 커버 및 수납공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기재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본 고안 장식용 병 지지구의 제 1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이 상부의 외경이 하부와 다른 병목(12)을 갖는 병(10)과, 그 병목(12) 부위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신축자재한 밴드부(110)와, 그 밴드부(110)의 외주연 일측에 결합되어 지면에 대해 적정 경사각을 갖는 지지부(210)로 구성된 것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그 밴드부(110)는 크기가 다른 병(10)의 병목(12)부위와 결합이 가능하도록 수축/확장이 가능한 자체 탄성력을 갖는 고무 밴드를 채용한 것이다.
그 지지부(210)는 중앙 부위에 사진이나 거울 및 시계등의 소물품(50)들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부(220)가 마련되어 있으며, 그 수납부(220)는 홈 형태의 수납공간(22)이 형성되고, 그 수납공간(22)의 외측으로 커버(24)가 록킹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참고로, 본 고안의 수납부(220)는 커버(24)의 생략이 가능하다.
그리고, 여기서는 밴드부(110)와 지지부(210)의 결합구조를 지지부(210)의 상단부에 밴드부(110)의 외주면이 삽입되어 일체로 끼움 결합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또, 지지부(210)와 병(10)은 외관상 미려함을 줄 수 있도록 재질을 채용하되, 일 예로 병(10)과 지지부(210)를 유리재 또는 합성수지재를 채용할 수 있으나, 그 재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그 지지부(210)를 병(10)의 형태에 따라 병(10)의 길이보다 더 길거나, 더 짧게 형성된 것을 병(10)의 형태를 고려하여 채용하는 것이다.
그 지지부(210)의 길이가 병(10)의 길이보다 길 경우에는 상관이 없지만, 이와 반대로 지지부(210)의 길이가 병(10)의 길이보다 짧을 경우에는 지지부(210)의 하단부가 병(10)의 병목(12)부위로부터 지면에 닿기 위해 병(10)을 적정 경사각으로 기울여서 사용해야 하며, 이는 병(10)의 두께 및 부피가 지지부(2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차이날 정도로 클 경우 지지구조상 불안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 설명 부호 "60"은 병(10)의 병목(12)부위에 결합되어 내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병마개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 제 1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장식용 병 지지구는, 병(10) 내부의 내용물을 완전히 사용한 후에 병마개(60)를 개방시킨 후에, 밴드부(110)를 확장시켜 벌린 후에 병(10)의 병목(12)부위 외주면에 끼워서 지지부(210)의 하단부를 지면에 지지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밴드부(110)는 자체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병(10)의 병목(12)부위를 압박하여 견고하게 상호 결합시키게 된다.
이어서, 병(10)의 내부에 물을 일정 수위까지 채워 넣은 후에 병목(12)에 결합된 지지부(210)를 지면에 대해 일정 경사각을 갖도록 세우면, 상부가 개구된 병(10)의 내부로 꽃을 꽂아서 꽃병으로 재활용하거나, 혹은 그 병(10)의 내부에 연필이나 펜등을 꽂아 수납용기로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부(210)의 수납부에 자신이 원하는 사진이나 거울 및 시계등의 소물품(50)을 수납공간(22) 내에 수용시킨 후에 커버(24)를 닫아 액자틀등의 수납기능을 갖도록 한다.
그리고, 후술하는 제 2,3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동일 구성요소를 가지나, 다만 밴드부(110)가 다른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 것이므로, 그외 다른 실시예에서도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기재하며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2 실시예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밴드부(110)가 클램핑 작동에 의해 내경이 수축/확장가능한 클램핑 밴드를 채용한 것이다.
그 밴드부(110)는 기존의 수축형 클램프와 동일하게 나사부재(114)의 정,역방향 회전시 밴드 표면에 형성된 결합공(112)에 치합되면서 직경이 수축 및 확장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그 밴드부(110)의 구조는 표면에 다수개의 결합공(112)이 형성되고, 그 결합공(112)의 간격에 대응되는 피치를 갖는 나사부재(114)의 나사산이 결합공(112)에 접촉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의 본 고안 제 2 실시예는 나사부재(114)의 일방향 회전시 그 나사산이 정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결합공(112)과 면 접촉된 밴드부(110)의 내경이 수축되면서 병(10)의 병목(12)부위를 감싸게 되고, 이에 따라 병(10)과 지지부(210)를 일체로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병(10)과 밴드부(110)의 결합을 해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나사부재(114)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사산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밴드부(110)의 내경을 확장시켜 그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제 3 실시예
도 5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밴드부(110)가 병목(12)에 대해 나사 결합으로 체결되는 캡 밴드를 구비한 것이다.
그 밴드부(110)는 캡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병목(12)이 삽입될 정도의 내경을 가지며, 내주면에 병목(12)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110a)이 형성되어 상호 나사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캡 형태의 밴드부(110)를 병목(12)부위까지 근접시킨 후에 밴드부(110)를 회전시키면, 그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10a)이 병목(12)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되어 일체로 고정된다.
또, 제 2실시예와 제 3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제 1실시예와는 다른 스톱퍼수단을 구비하며, 그 스톱퍼수단은 밴드부(110)와 지지부(210) 사이에 마련되어 지지부(210)의 지지각도를 일정 각도의 범위내로 회전되도록 제한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그 스톱퍼수단은 밴드부(110)의 외주면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115)가 형성되고, 그 지지부(210)의 상단부에는 걸림돌기(115)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호 록킹 결합되는 걸림후크(215)가 형성된 것을 채택하고 있으나, 그외에도 핀으로 결합되거나, 경첩에 의한 힌지 결합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이는, 지지부(210)가 밴드부(110)의 단부에 결합되어 적정 각도범위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을 의미한다.
제 4 실시예
도 6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지지부(210)의 하단부가 병(10)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지면과 수평상태를 갖는 받침부(230)가 더 구비된 것이다.
그 받침부(230)는 일단부가 지지부(210)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고, 타단부가 병(10)의 하단부에 접촉되어 지지하는 기능을 가지며, 이를 위해 도 9에서와 같이, 받침부(230)의 단부 형상을 병(10)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도 10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받침부(230)는 중앙에병(10)의 하부가 수용되어 지지되도록 지지공(235)이 형성된 것을 또 다른 실시예로 채용할 수 있다.
제 5 실시예
도 7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지지부(210)의 상단부가 병(10)의 병목(12)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240)가 더 구비된 것이다.
그 연장부(240)는 병목(12)과 지지부(210)의 연결부위를 연장시켜 그 병(10)의 형태에 상관없이 지지부(210)와 결합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고안이 가지는 정신 및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얼마든지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컨대, 앞서 설명한 선 실시예와는 다른 개념의 일예로는, 도 8에서와 같이, 외주면에 걸림돌기(115)가 형성되고 그 천정부(62)와 테두리의 연결 부위가 열처리에 의해 이탈이 용이하도록 가결합되는 병마개(60)와, 그 병마개(60)의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돌기(115)에 대응되는 걸림후크(215)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지지부(210)로 구성된 것이다.
그 병마개(60)는 천정부(62)를 손가락으로 일정한 힘 이상을 가해 누르면, 병마개(62)의 테두리로부터 이탈되어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는 구조를 갖게 되며, 외측면에 걸림돌기(115)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 상,하부가 개구된 병마개(60)와 지지부(210)의 결합구조는 그 양측의 걸림돌기(115)와 걸림후크(215)를 상호 결합시켜 지지부(210)와 병마개를 일체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사용이 완료된 유리병 제품의 병목 부위에 결합되어 그 유리병을 다른 수납기능을 갖도록 재활용가능케 한 장식용 병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병목의 크기에 별로 관계없이 사용이 완료된 유리병 제품에 결합되어 그 유리병을 다른 수납도구의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재처리공정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렴한 비용으로 포장용기 및 수납용기의 두가지 기능을 겸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7)

  1. 상부와 하부가 연통되고 병(10)의 병목(12)부위에 결합되는 링 형태의 밴드부(110)와,
    상기 밴드부(110)의 외주면에 스톱퍼수단에 의해 회전각도가 제한되도록 결합되며 적정 경사각을 갖는 지지부(2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병 지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110)는 그 내경이 수축/확장이 가능하도록 자체 탄성력을 갖는 고무 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병 지지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110)는 표면에 다수개의 결합공(112)이 형성되고 그 결합공(112)에 치합되는 나사부재(114)를 구비하여서,
    상기 나사부재(114)의 회전시 그 내경이 수축/확장이 가능한 클램핑 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병 지지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110)는 내주면에 상기 병목(12) 부위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110a)이 형성되어 상호 나사 결합되는 캡 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병 지지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10)는 하단부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 받침부(230)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병 지지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10)는 그 중앙 부위에 물품(50)이 수납되는 수납부(220)를 마련하되,
    상기 수납부(220)는 지지부(210)의 중앙 후면에 적정 용적의 수납공간(22)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22)의 외측에 결합되는 커버(24)가 외부를 마감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병 지지구.
  7. 제 1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수단은 상기 밴드부(110)의 외주연 일측에 걸림돌기(115)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10)의 단부에 상기 걸림돌기(115)에 대응되는 걸림후크(215)가 형성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병 지지구.
KR20-2003-0029221U 2003-09-15 2003-09-15 장식용 병 지지구 KR2003412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221U KR200341277Y1 (ko) 2003-09-15 2003-09-15 장식용 병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221U KR200341277Y1 (ko) 2003-09-15 2003-09-15 장식용 병 지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277Y1 true KR200341277Y1 (ko) 2004-02-11

Family

ID=49424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221U KR200341277Y1 (ko) 2003-09-15 2003-09-15 장식용 병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2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117U (ko) 2018-07-06 2020-01-15 박은주 생화와 장식물을 동시 보존할 수 있는 꽃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117U (ko) 2018-07-06 2020-01-15 박은주 생화와 장식물을 동시 보존할 수 있는 꽃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64864C (zh) 端盖、包装以及用于制造包装的方法
CN103313917B (zh) 通过连接至容器的颈部而被使用的接收设备
JP2000118562A (ja) ハウジング並びにスパウト
KR200341277Y1 (ko) 장식용 병 지지구
KR200367726Y1 (ko) 파우더 분말용 화장품 케이스
KR200475203Y1 (ko) 오버캡에 반자동 퍼프받침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JP4427817B2 (ja) 把手付き合成樹脂製壜体
US7658281B2 (en) Device for receiving a commodity in a fixed position
TW201247486A (en) Liquid containing unit
KR20120001224U (ko) 이중 병마개의 내,외부마개의 결속구조
JP4344411B2 (ja) キャップ付き容器
JP6405089B2 (ja) 化粧料容器用緩衝構造体
JP4716303B2 (ja) 衝撃吸収容器
KR200489476Y1 (ko) 화장품 케이스
JP4638020B2 (ja) 包装鏡餅
JPH0717538A (ja) 詰め替え型容器
CN213058094U (zh) 一种可放置不同规格葡萄酒的包装盒
USD421390S (en) Shaped dual compartment bottle and package therefor
KR101676399B1 (ko) 이중 보틀
JP2000109075A (ja) キャップホルダーを設けたプラスチックボトル
JPH07315414A (ja) 液体用詰め替え容器
KR200475233Y1 (ko) 주류 용기
KR200339897Y1 (ko) 병제품 취부용 수납케이스
KR200398052Y1 (ko) 복수의 음료 저장 공간을 갖는 음료수 병
JP4090757B2 (ja) ボトル保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