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0970Y1 - 고층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기구 - Google Patents

고층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0970Y1
KR200340970Y1 KR20-2003-0033973U KR20030033973U KR200340970Y1 KR 200340970 Y1 KR200340970 Y1 KR 200340970Y1 KR 20030033973 U KR20030033973 U KR 20030033973U KR 200340970 Y1 KR200340970 Y1 KR 2003409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rum
rotating
shaf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39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천
Original Assignee
(주)제록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록건설 filed Critical (주)제록건설
Priority to KR20-2003-00339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09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09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09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08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 A62B1/1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mechanically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층 건물에서 화재등의 비상상황 발생시 등이나 배에 짊어지고 지상으로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와이어가 감겨 있는 드럼의 회전속도를 탈출하는 사람의 무게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속도 조절수단과, 그 속도조절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 키를 갖는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층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기구{Safety Apparatus for Emergency Escape from High-Storied Building}
본 고안은 고층 건물에서 화재등의 비상상황 발생시 등이나 배에 짊어지고 지상으로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와이어가 감겨 있는 드럼의 회전속도를 탈출하는 사람의 무게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속도 조절수단과, 그 속도조절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 키를 갖는 고층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기구를 제공한다.
건축기술의 발달과 주거 및 사무공간에 대한 수요의 팽창으로 인하여 현재의 아파트나 업무용 건물들은 고층화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고층에 주거하는 사람들의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고층건물에 화재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하여 비상계단이나엘리베이터 등이 폐쇄되어 이용할 수 없는 경우, 소방용 사다리차 등에 의존하여 비상상황에 처한 고층 거주자들을 구하고 있으나, 상기 사다리 차는 그 높이에 한계가 있어 아주 고층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구하기에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층 건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안전 하강기 또는 완강기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하강기 또는 완강기(이하, 하강장치라 함)는 속도가 제어되는 릴(reel)로부터 풀어지는 케이블이나 와이어에 사람 등의 물체를 매달아 하강시키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하강기 또는 완강기는 건물의 내벽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고정형과 사람의 몸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휴대용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 고정형의 경우 하강장치를 건물 내벽에 고정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최초 설정해 놓은 하강속도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순서를 기다리는 사람이 하강자의 하강 속도를 살피면서 조절해야만 하고, 하강자가 혼자인 경우 이미 설정해 놓은 속도로만 하강할 수 있어 하강 중 하강경로에 불길이나 연기가 올라올 경우 멈추거나 이동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고정형 하강장치가 설치된 곳으로만 하강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부분으로 불길이나 연기가 올라올 경우 하강장치 자체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용 하강장치들이 개발되어 있다.
종래의 휴대용 하강장치들은 주로 케이블이나 와이어가 감겨 있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케이블이나 와이어를 일정한 속도로 풀릴수 있도록 구성된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감속기와, 상기 기어부의 동작을 멈추게 하기 위한 제동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을 몸에 부착할 수 있도록 인체 부착용 벨트들이 설치되어 있다.
그 한 실시예로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용 하강장치는 외부케이스(10) 내부에 형성된 프레임에 원동풀리(20)와 종동풀리(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원동풀리(20)와 종동풀리(30)의 양측으로 원동기어와 감속기어(3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케이스(10) 내부 하측에 로프(50)가 감겨진 드럼(40)이 형성되어 있으며, 드럼(40)에서 풀려지는 로프(50)는 원동풀리(20)와 종동풀리(30)에 각각 감겨져 있고, 로프(50)의 단부에는 고정구(5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드럼(40)의 일측에는 밴드브레이크(41)가 형성되어 있으며, 밴드브레이크(41)의 일단이 외부케이스(10)의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비상제동끈(42)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하강장치는 기구(미도시)에 수용되어 있으며, 비상시 로프의 고정구를 고정물에 고정시키고, 비상용 하강기가 수용된 기구를 지고 뛰어 내리면 로프(50)에 인장력이 가해지고, 로프(50)는 원동풀리(20)와 종동풀리(30)를 회전시키면서 드럼(40)에서 풀려진다. 이때, 원동풀리(20)와 종동풀리(30)의 양측으로 결합된 원동기어(21)와 감속기어(31)로 회전력이 전달되면서 로프(50)의 풀림을 제어하여 로프(50)의 풀림이 서서히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전하게 지상으로 하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하강 중에 밴드브레이크(41)를 작동시켜 멈추거나 하강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하강장치는 로프 또는 와이어의 풀림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기어부와, 로프가 감겨있는 드럼이 각각 별도로 형성되어 있어 하강장치의 전체적인 부피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어부의 구조가 원동풀리, 종동풀리, 그리고 감속기 등으로 구성되며, 로프의 풀림을 멈추게 하기 위한 브레이크를 별도로 형성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사용자가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브레이크 끈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속도를 조절하기가 매우 번거롭고, 과체중의 사람이 이용할 경우 밴드브레이크가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로프 또는 와이어가 감겨지는 드럼 내부에 드럼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속도 조절장치를 내장하고, 드럼 측면에 설치되는 원형의 콘트롤 키에 의해 인체의 하중에 따라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속도 조절이 용이한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비상 탈출자가 상황에 따라 콘트롤 키를 조작하여 와이어의 풀림을 멈추거나 그 속도를 빠르게 하여 비상상황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며, 콘트롤 키를 통해 드럼의 와이어 풀림 속도를 조절하거나 드럼의 회전을 멈추게 할 수 있게 함으로서 별도의 제동수단이 없이도 제동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몸에 장착 가능한 안전 벨트를 갖는 인체 부착형 하강장치에 있어서, 외면에 안전 벨트에 걸 수 있는 띠 걸이가 다수개 형성된 밑판과; 상기 밑판 상부에 설치되며 밑면이 개방되고 일 측면 상단에 와이어 출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사각통 형태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축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속도조절수단이 내장되며 와이어가 감겨져 있는 와이어 드럼과; 상기 드럼의 케이스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속도조절수단과 연결되어 와이어 드럼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콘트롤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기구를 제공한다.
도1은 종래의 휴대용 하강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고층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기구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도2의 와이어 드럼의 내부에 장착되는 와이어 풀림 속도 조절수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하우징 110 : 밑판
120 : 띠 걸이 130 : 케이스
140 : 와이어 출수구 150 : 콘트롤 키
200 : 와이어 300 : 와이어 드럼
310 : 와이어 가이드 320 : 드럼 몸체
330 : 드럼 몸체 커버 410 : 고정부재
411 : 축 관통홀 412 : 고정수단 삽입구
413 : 회전판 체결홈 420 : 회전 및 제동 부재
421 : 스프링 체결봉 422 : 유동판
423 : 회전판 및 마찰판 체결몸체 424 : 회전판
425 : 마찰판 426 : 스프링
427 : 스프링 커버 430 : 축
431 : 가로홈 440 : 이완조절부재
450 : 회전속도 조절축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고층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기구의 안전벨트는 일반적으로 시중에 유통되는 것을 사용한다. 그 한 실시예로서 어깨를 걸기 위해 상호 교차하는 어깨띠와, 상기 양 어깨띠 하단에 각각 부착되어 양 다리를 삽입할 수 있도록 된 다리띠와 상기 어깨띠의 하단을 상호 연결하며 둔부에 걸 수 있도록 하는 하단띠로 구성되며, 양 어깨띠의 일방 즉, 교차되는 지점과 대응되는 부분에 가슴띠 및/또는 허리띠를 더 설치할 수 도 있다. 이때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가 감긴 드럼이 내장된 하우징(100)의 띠 걸이(120)와 결합할 수 있도록 각각의 어깨띠의 교차하는 부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띠 걸개를 설치한다. 상기 안전벨트는 통상적으로 시중에 유통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는다.
다음에,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고층건물 비상 탈출용 기구의 하우징(100)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안전벨트의 어깨띠 상에 설치된 띠 걸개에 걸 수 있는 띠 걸이(120)가 밑면 양측으로 설치되어 있는 밑판(110)과, 상기 밑판(110) 상부에 설치되며 하부가 개방되고 일측면에는 와이어 드럼(300)의 축의 일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축 고정홀이 형성되고 대응되는 다른 측면에는 상기 축을 관통시켜 고정하기 위한 축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면의 일부가 개방되어 내부로부터 와이어(200)가 유출되도록 하는 와이어 출수구(140)를 갖는 드럼 케이스(130)로 구성된다. 상기 드럼 케이스(130) 내부에는 와이어(200)가 감긴 와이어 드럼(300)이 설치되며 드럼 중앙 축의 일단은 상기 케이스 일측면의 축 고정홀에 축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되고, 타단의 축은 케이스 타측면의 축 관통홀을 통과하여 축의 단면이 노출되도록 고정된다. 이때, 드럼 케이스(130) 일측면으로 관통된 축의 끝단에는 와이어 드럼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원형의 콘트롤 키(150)가 설치되어 기구의 착용자가 용이하게 와이어의 풀림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드럼은 경우에 따라 콘트롤 키를 케이스 상면에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에 상기 와이어 드럼(300)의 구조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외주면에 와이어(200)가 감기며 밑면 중앙에 축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드럼 몸체(320)와, 상기 드럼 몸체 상면에 체결되며 중앙에 축 관통홀이 형성되어 드럼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는 드럼몸체 커버(330)와, 상기 드럼 몸체(320)의 양단면에 부착되어 와이어(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판(310)과, 상기 드럼내부의 중공에 설치되는 속도조절수단으로 구성된다.
다음에,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층건물 비상 탈출용 기구의 와이어 드럼 내부에 설치되는 속도조절수단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속도조절수단은 와이어 드럼 몸체(320)의 내부에 밀착하여 고정 설치되며 밑면에 축 관통홀(411)과 드럼 몸체의 내면 바닥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 삽입구(412)가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단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사각형태의 다수개의 회전판 체결홈(413)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 형상의 고정부재(410)와; 상기 고정부재(410)의 회전판 체결홈(413)에 체결되어 드럼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회전 및 제동 부재(420)와; 상기 회전 및 제동 부재(420)와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 드럼(300) 양면의 축 관통홀을 통과하며 결합된 회전 및 제동 부재(420) 일측에는 가로 홈(431)과 상기 축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가로홈(431)까지 관통되도록 내부에 피치가 형성된 중공홀(도시되지 않음)을 갖도록 구성된 축(430)과; 상기 축(430)의 가로홈(431)에 체결되어 회전 및 제동 부재(420)의 이완을 조절하는 이완조절부재(440)와; 상기 축(430)의 일단의 피치가 형성된 중공홀에 체결되도록 외면에 피치가 형성되고 상단이 상기 컨트롤 키(150)에 체결되며 타단이 이완조절부재(440)에 접촉하여 회전에 의해 이완조절부재(440)의 위치를 조정하여 와이어 드럼(3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회전속도 조절축(45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 및 제동 부재(420)는 중앙 부분에 4개의 스프링체결봉(421)이 형성되고 원판의 테두리에 단턱이 형성되며, 단턱 내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치형 돌기들이 형성되고 중앙에 축을 삽입하여 전후로 유동할 수 있는 유동판(422)과; 상기 유동판(422)에 형성된 스프링 체결봉(421)들이 삽입되도록 내면에 스프링 체결봉 삽입구가 형성되고, 표면에는 상기 유동판(422)에 형성된 치형 돌기와 대응되도록 치형돌기가 형성되어 일단에 상기 유통판(422)을 체결하고, 타단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판 및 마찰판 체결몸체(423)와; 원형의 내주면을 갖고 상기 회전판 및 마찰판 체결몸체(423)의 치형돌기 외주면에 삽입되어 유동판의 전후유동에 따라 회전 또는 정지하며, 외경에 드럼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고정판의 회전판 체결홈(413)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사각돌기들을 갖는 환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회전판(424)과; 상기 회전판(424) 사이에 삽입되며 내측에는 상기 회전판 및 유동판 체결몸체(423)의 외주면에 형성된 치형돌기들과 맞물리도록 치형 돌기들이 형성되며 회전판(424) 보다 하나 적은 숫자의 마찰판(425)과; 상기 체결몸체(423)에 회전판(424)과 마찰판(425)을 번갈아 삽입 한 후 유동판(422)을 체결하고 상기 회전 및 제동 부재 내부로 돌출된 스프링 체결봉(421)에 체결되는 4개의 스프링(426)과; 상기 스프링(425)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볼트에 의해 스프링 체결봉(421) 끝단에 체결되는 스프링 커버(427)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마찰판(425)은 브레이크 패드와 같은 기능을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속도조절수단의 조립순서는 먼저 축(430)에 회전판 및 마찰판 체결몸체(423)를 고정설치하고, 그 체결몸체(423)에 회전판(424)과 마찰판(425)을 교대로 삽입한다. 다음에 상기 마지막으로 삽입된 회전판(424) 후방으로부터 스프링 체결봉(421)이 체결몸체(423)의 스프링 체결봉 삽입구를 관통하도록 유동판(422)을 체결한다. 다음에 상기 체결몸체(423)로 삽입된 스프링 체결봉(421)에 스프링(426)을 삽입한 후, 스프링 커버(427)를 고정수단에 의해 스프링 체결봉(421)과 결합하여 고정한다. 다음에 상기 스프링 커버(427) 상부로 노출되는 축(430)의 가로홈(431)에 이완조절부재(440)를 삽입한 다음, 회전속도 조절축(450)을 축의 중공홀에 삽입하여 이완조절부재(440)가 유동되지 않도록 위치시킨다.
상기와 같이 조립 구성된 속도조절수단의 작동 방법은, 먼저 콘트롤 키(15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콘트롤 키(150)에 연결된 회전속도 조절축(450)이 회전하면서 이완조절부재(440)를 회전판 및 마찰판 체결몸체(423) 방향으로 밀게 되고, 상기 밀린 이완조절부재(440)는 스프링 커버(427)와 고정결합된 유동판(422)을 밀어내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몸체(423)와 유동판(422)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회전판(424)과 마찰판(425)의 간격이 이격되면서 회전판(424)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스프링(426)은 스프링 커버(427)와 상기 체결몸체(423) 사이에서 압축되게 되고 그 탄성에 의해 체결몸체(423)와 유동판(422)의 간격을 이완조절부재(440)의 이동위치 만큼 이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회전속도 조절축(450)에 의해 회전판(424)과 마찰판(425)의 간격이 이격되면 회전판(424)에 가해지는 마찰판(425)의 마찰력이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해 회전판(424)이 체결된 고정부재(410)와 고정부재(410)가 고정설치된 와이어 드럼(300)이 회전하는 것이다. 따라서, 와이어(200)의 끝단을 건물의 일정 부분에 걸고 사람이 하강하게 되면 사람의 몸무게에 따라 드럼이 회전하면서 와이어가 풀리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와이어(200)가 풀리는 중 콘트롤 키(150)를 반시계 반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속도 조절축(450)이 밀려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체결몸체(423)와 스프링 커버(427) 사이의 스프링(426)의 탄성력에 의해 스프링 커버(427)와 이완조절부재(440)를 회전속도 조절축(450)이 이동한 거리만큼 밀어낸다. 따라서, 스프링 커버(427)와 고정결합된 유동판(422)이 상기 체결몸체(423)와 가까워지게 되고, 이로 인해 회전판(424)과 마찰판(425)이 밀착하게 되며, 밀착 정도에 따라 회전판(424)에 가해지는 마찰판(425)의 마찰력이 증가하게 되어 드럼의 회전속도가 점차 감소하다가 콘트롤 키를 완전히 풀면 회전판(424)과 마찰판(425)이 완전히 밀착되어 회전판(423)이 유동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와이어 드럼(300)의 회전이 멈추게 된다.
이때, 콘트롤 키(150)가 설치된 케이스 측면에 콘트롤키의 회전정도에 본 고안의 안전기구 착용자의 몸무게에 따른 속도 눈금을 표시하여 둠으로써 고층건물로부터 하강하기 전에 하강속도를 미리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세팅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층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기구는 고층건물에 있는 사람들이 하층에서 화재등이 발생하면, 사무실이나 집에 비치되어 있는 비상 탈출용 안전기구를 앞이나 뒤로 메고, 최초 자신의 몸무게에 맞게 콘트롤키를 돌려 속도를 맞추어 놓은 후, 내부의 집기나 기둥 등에 와이어의 끝단을 고정시킨다. 다음에 창문 등으로 탈출하게 되는데, 이때는 최초 설정해 놓은 속도로 하강하게 되고, 주위 상황에 따라 빨리 하강해야 하거나 하강을 멈추어야 할 경우 콘트롤 키를 정 또는 역방향으로 돌려 드럼의 회전을 멈추게 하거나 회전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고층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 기구는 고층에서 탈출을 시도하는 사람이 직접 몸에 부착하기 때문에 탈출이 용이한 지점을 선택하여 하강을 시도할 수 있으며, 하우징 외부에 드럼에 감긴 와이어의 풀림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콘트롤 키가 장착되어 있어 하강시 하강속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고, 콘트롤 키에 의해 드럼의 회전을 멈추게 할 수 있어 별도의 브레이크 장치가 필요치 않다.
또한, 다수개의 회전판과 마찰판을 사용하여 드럼의 회전속도 및 제동을 조절함으로써 과체중인 사람이라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3)

  1. 몸에 장착 가능한 안전 벨트를 갖는 인체 부착형 하강장치에 있어서,
    외면에 안전 벨트에 걸 수 있는 띠 걸이가 다수개 형성된 밑판과,
    상기 밑판 상부에 설치되며 밑면이 개방되고 일 측면 상단에 와이어 출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사각통 형태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축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속도조절수단이 내장되고 와이어가 감겨있는 와이어 드럼과;
    상기 드럼의 케이스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속도조절수단과 연결되어 와이어 드럼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콘트롤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조절수단은 와이어 드럼 몸체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밑면에 축 관통홀과 드럼 몸체의 내면 바닥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단에는 치형돌기 형태의 회전판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 형상의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회전판 체결홈에 체결되어 스프링에 의한 이완작용으로 드럼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회전 및 제동 부재와;
    상기 회전 및 제동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 드럼 양면의 축 관통홀을통과하여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에 고정되며, 결합된 회전 및 제동 부재 일측에는 가로 홈과 상기 축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가로홈까지 관통되도록 내부에 피치가 형성된 중공홀을 갖도록 형성된 축과;
    상기 축의 가로홈에 체결되어 회전 및 제동 부재의 이완을 조절하는 이완조절부재와;
    상기 축의 일단의 피치가 형성된 중공홀에 체결되도록 외면에 피치가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컨트롤 키에 체결되며 타단이 이완조절부재에 접촉하여 회전에 의해 이완조절부재의 위치를 조정하여 와이어 드럼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회전속도 조절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비상 탈출용 안전 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및 제동 부재는 중앙에 4개의 스프링 체결봉이 형성되고 원판의 테두리에 단턱이 형성되며, 단턱 내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치형 돌기들이 형성되고 중앙에 축 삽입홀을 형성하여 전후로 유동되는 유동판과;
    상기 유동판에 형성된 스프링 체결봉들이 삽입되며 외주면 표면에는 상기 유동판에 형성된 치형 돌기와 대응되도록 치형돌기들이 형성되어 일단에 상기 유통판을 체결하고, 타단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판 및 마찰판 체결몸체과;
    상기 회전판 및 마찰판 체결몸체의 치형돌기 외주면에 삽입되며 원형의 내주면을 갖고 유동판의 전후유동에 따라 회전하며, 외경에 드럼 내부에 설치된 상기 고정부재의 회전판 체결홈에 체결되는 사각돌기를 갖는 다수개의 환형의 띠 형상의회전판과;
    상기 회전판 사이에 삽입되며 내측에는 상기 회전판 및 마찰판 체결몸체 외주면에 형성된 치형돌기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치형 돌기들을 가지며, 상기 회전판 보다 하나 적은 숫자의 마찰판과;
    상기 회전판 및 마찰판 체결몸체에 회전판과 마찰판을 번갈아 삽입한 후 유동판을 체결하고 상기 체결몸체를 통해 유출된 스프링 체결봉에 체결되는 스프링들과;
    상기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볼트에 의해 스프링 체결봉 끝단에 체결되는 스프링 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기구.
KR20-2003-0033973U 2003-10-30 2003-10-30 고층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기구 KR2003409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973U KR200340970Y1 (ko) 2003-10-30 2003-10-30 고층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973U KR200340970Y1 (ko) 2003-10-30 2003-10-30 고층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6320 Division 2003-10-30 2003-10-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0970Y1 true KR200340970Y1 (ko) 2004-02-05

Family

ID=49424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3973U KR200340970Y1 (ko) 2003-10-30 2003-10-30 고층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097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737B1 (ko) 2007-03-26 2007-09-03 김종익 완강기
KR100975467B1 (ko) * 2010-02-11 2010-08-11 최병일 비상 탈출기
KR20210056568A (ko) * 2019-11-11 2021-05-20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완강기 외부 케이스용 완충패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737B1 (ko) 2007-03-26 2007-09-03 김종익 완강기
KR100975467B1 (ko) * 2010-02-11 2010-08-11 최병일 비상 탈출기
KR20210056568A (ko) * 2019-11-11 2021-05-20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완강기 외부 케이스용 완충패드
KR102432083B1 (ko) * 2019-11-11 2022-08-12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완충패드를 포함하는 완강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0716A (en) High rise escape device
US8567561B2 (en) Personal escape device and methods for using same
US10065053B2 (en) Device for evacuating individuals
US8167090B2 (en) Apparatus for safely lowering user from structure
WO2005094181A2 (en) Portable apparatus for controlled descent
US6672428B2 (en) Personal descent apparatus
US6966407B2 (en) Escape-Right
CN102151369A (zh) 一种绳降装置
US3294196A (en) Emergency escape ladder and amusement device
US4448284A (en) People rescue device
US7278601B2 (en) Speed-adjustable life-saving apparatus
US4674599A (en) High rise fire escape mechanism
KR200340970Y1 (ko) 고층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기구
US5494133A (en) Controlled weight-lowering device
WO2010151907A1 (en) Rescue equipment for high-rise building
WO2008141553A1 (fr) Appareil flottant pour gratte-ciel
US20100163343A1 (en) Personal escape device
KR102095868B1 (ko) 비상탈출용 완강기
WO2022228202A1 (zh) 一种往复式高楼逃生缓降装置
KR200207854Y1 (ko) 휴대형 비상 하강기
KR100599168B1 (ko)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기구
CN108815727B (zh) 可调速液压双保险高空逃生装置
CN208770706U (zh) 可调速液压双保险高空逃生装置
US4714137A (en) Building safety rescue device
JP2008104867A (ja) 脱出用避難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