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0960Y1 - 수중 케이블 설치를 위한 앵커블록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수중 케이블 설치를 위한 앵커블록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0960Y1
KR200340960Y1 KR20-2003-0033681U KR20030033681U KR200340960Y1 KR 200340960 Y1 KR200340960 Y1 KR 200340960Y1 KR 20030033681 U KR20030033681 U KR 20030033681U KR 200340960 Y1 KR200340960 Y1 KR 2003409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anchor block
underwater
anchor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36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Priority to KR20-2003-00336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09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09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09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중 케이블 설치를 위한 앵커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중 케이블을 설치중 파도나 조류에 의한 케이블이 바닥면 밖으로 떠오르는 등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앵커 블록을 설치하고, 그 앵커 블록에 고무 롤러를 설치하여 수중 케이블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중 케이블 설치를 위한 앵커블록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강 또는 바다의 수중에 설치되는 케이블에 있어서, 수중 바닥면에 대한 터파기를 실시한 후 그 터파기한 장소에 앵커 블록과 케이블이 동시에 투하되어 수중 바닥면에 매설되는 한편, 상기 앵커 블록은, 상부에 U홈과 인양 고리가 형성되고, 그 U홈의 측면에 수평하게 체결홀이 형성되어 앵커 볼트가 체결되며, 상기 앵커 블록에 앵커 볼트가 체결시 고무 롤러가 체결되어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고, 터파기한 위치에 케이블을 고정하는 앵커 블록이 위치되면, 그 상부에 되메우기 작업을 실시한 연후에 덮개 매트와 누름 사석을 부설하여 파도 또는 조류의 유속에 의한 수중 케이블의 파손을 예방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중 케이블 설치를 위한 앵커블록의 설치구조{MOUNTING STRUCTURE OF ANCHOR BLOCK FOR MOUNT OF UNDERWATER CABLE}
본 고안은 수중 케이블 설치를 위한 앵커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중 케이블을 설치중 파도나 조류에 의한 케이블이 바닥면 밖으로 떠오르는등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앵커 블록을 설치하고, 그 앵커 블록에 고무 롤러를 설치하여 수중 케이블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중 케이블 설치를 위한 앵커블록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바다의 바닥면에는, 전기선, 통신선 및 다양한 종류의 케이블이 설치되어 사용된다.
이때, 상기 케이블은 바지선 또는 작업선에 적재되어 잠수부에 의하여 수중 작업을 실시하면서 케이블을 설치하게 되는데, 파도 또는 조류의 유속이 빠른 경우에는 작업이 어려운 단점이 있어 작업에 주위를 요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강이나 바다에 수중 케이블을 설치하는 도중, 파도나 조류의 유속에 의해 케이블이 수중 밖으로 떠오르거나 수중 터파기 위치를 벗어나는 일이 종종 발생되고, 케이블을 매설하기가 어려워 시공이 어려운 문제점을 갖는다.
즉, 수중 케이블은, 설치시 수심에 따라 시공성이 떨어짐과 동시에 파도나 조류의 유속에 의해 설치가 어려워 시공상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은, 수중 케이블 매설 위치에 수중 터파기 작업을 완료한 후 콘크리트로 제작된 앵커 블록을 케이블에 직접 체결하여 케이블과 앵커 블록을 수중에 동시에 투하하는 방법으로 작업이 진행되는 관계로, 간단하게 되메우기 작업만 하면 시공이 완료되고, 특히 앵커 블록의 사용으로 인하여 파도 또는 조류 유속에 의하여 떠오르거나 밀리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수중 케이블 설치를 위한 앵커블록의 설치 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수중 케이블 설치를 위한 앵커블록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수중 케이블 설치를 위한 앵커블록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앵커 블록 200: 앵커 볼트
300: 고무 롤러 400: 케이블
500: 덮개 매트 600: 누름 사석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강 또는 바다의 수중에 설치되는 케이블에 있어서, 수중 바닥면에 대한 터파기를 실시한 후 그 터파기한 장소에 앵커 블록과 케이블이 동시에 투하되어 수중 바닥면에 매설되는 한편, 상기 앵커 블록은, 상부에 U홈과 인양 고리가 형성되고, 그 U홈의 측면에 수평하게 체결홀이 형성되어 앵커 볼트가 체결되며, 상기 앵커 블록에 앵커 볼트가 체결시 고무 롤러가 체결되어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고, 터파기한 위치에 케이블을 고정하는 앵커 블록이 위치되면, 그 상부에 되메우기 작업을 실시한 연후에 덮개 매트와 누름 사석을 부설하여 파도 또는 조류의 유속에 의한 수중 케이블의 파손을 예방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케이블 설치를 위한 앵커블록의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수중 케이블 설치를 위한 앵커블록의 설치 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수중 케이블 설치를 위한 앵커블록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수중 케이블 설치를 위한 앵커블록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앵커 블록(100)은, 하부는 넓고 상부는 좁은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 U홈(102)과 인양 고리(106)이 형성되고, 그 U홈(102)의 측면을 수평하게 관통하는 체결홀(104)이 형성되어 앵커 볼트(200)가 체결된다.
상기 앵커 블록(100)에는, 앵커 볼트(200)가 체결시, 그 사이에 고무롤러(300)가 함께 설치되어 케이블(400)이 고무 롤러(300)의 하부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앵커 블록(100)은, 수중 바닥면(G)에 터파기를 실시한 위치에 설치되고, 그 상부에 되메우기를 실시한 후, 케이블이 설치된 상부에 덮개 매트(500)가 설치되며, 그 덮개 매트(500)의 상부에 누름 사석(600)이 부설되어 앵커 블록(100)을 견고하게 눌러 고정하게 된다.
상술한 구성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앵커 블록(100)과 케이블(400)이 동시에 수중에 투하되는 관계로, 작업중 파도나 조류의 유속에 따른 영향이 적으며, 그로 인하여 케이블(400)이 인장되어 발생되는 케이블 표면의 파손과, 지반 침하에 따른 변동으로 발생되는 케이블(400)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앵커 블록(100)과 케이블(400)은, 작업선 또는 바지선의 상부에서 함께 결합되어 수중으로 투하되지만, 여기서는 작업선과 바지선과 투하되는 단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한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앵커 블록의 설치 방법은, 케이블과 동시에 앵커 블록이 수중 투하되는 관계로, 종래와 같이 수중에 케이블을 설치시 케이블이 파도 또는 조류의 빠른 유속에 의하여 떠밀려지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특히 수중 바닥면의 세굴에 따른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도록 덮개 매트와 누름 사석이 설치되는 관계로, 오랜 시간이 경과된 후에도 외부의 영향을 덜 받을 수 있게 되어 하자가 적게 발생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강 또는 바다의 수중에 설치되는 케이블에 있어서,
    수중 바닥면(G)에 대한 터파기를 실시한 후 그 터파기한 장소에 앵커 블록(100)과 케이블(400)이 동시에 투하되어 수중 바닥면에 매설되는 한편,
    상기 앵커 블록(100)은, 상부에 U홈(102)과 인양 고리(106)가 형성되고, 그 U홈(102)의 측면에 수평하게 체결홀(104)이 형성되어 앵커 볼트(200)가 체결되며,
    상기 앵커 블록(100)에 앵커 볼트(200)가 체결시 고무 롤러(300)가 체결되어 케이블(40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고,
    터파기한 위치에 케이블(400)을 고정하는 앵커 블록(100)이 위치되면, 그 상부에 되메우기 작업을 실시한 연후에 덮개 매트(500)와 누름 사석(600)을 부설하여 파도 또는 조류의 유속에 의한 수중 케이블(400)의 파손을 예방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케이블 설치를 위한 앵커블록의 설치구조.
KR20-2003-0033681U 2003-10-28 2003-10-28 수중 케이블 설치를 위한 앵커블록의 설치구조 KR2003409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681U KR200340960Y1 (ko) 2003-10-28 2003-10-28 수중 케이블 설치를 위한 앵커블록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681U KR200340960Y1 (ko) 2003-10-28 2003-10-28 수중 케이블 설치를 위한 앵커블록의 설치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5351A Division KR100561359B1 (ko) 2003-10-28 2003-10-28 수중 케이블 설치를 위한 앵커블록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0960Y1 true KR200340960Y1 (ko) 2004-02-05

Family

ID=49343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3681U KR200340960Y1 (ko) 2003-10-28 2003-10-28 수중 케이블 설치를 위한 앵커블록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096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86747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ая самоподъемная буровая установка и аналогичные буровые платформы
KR101958907B1 (ko) 해안침식 방지용 파압 및 해빈류 완화 시스템
JPS6149029A (ja) 水中基礎固定装置
KR200340960Y1 (ko) 수중 케이블 설치를 위한 앵커블록의 설치구조
KR100561359B1 (ko) 수중 케이블 설치를 위한 앵커블록의 설치구조
KR100677898B1 (ko) 오탁방지막 설치용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오탁방지막의설치방법
KR101874955B1 (ko) 조립형 물막이 구조물 및 시공방법
KR20140092217A (ko) 작업선을 이용한 교각의 수중설치공법.
KR20030068347A (ko) 말뚝 기초를 이용한 방파제
CN211368838U (zh) 一种适用于深水嵌入式基础的水下铣槽导向定位装置
KR200391971Y1 (ko) 오탁방지막 설치용 앵커
JP2017160701A (ja) 重力式構造物の水底への設置方法
JP2815492B2 (ja) 水中基礎の構築方法
FR2671569A1 (fr) Procede d&#39;installation d&#39;un dispositif de protection contre la houle et dispositif resultant de la mise en óoeuvre de ce procede.
JP2014043754A (ja) 離岸式海中防波堤
KR20040084126A (ko) 수밀케이션을 이용한 수중 구조물의 건식 시공방법
KR200266845Y1 (ko) 부력을 이용한 수중 기초 지반
KR100983072B1 (ko) 등표 구조물
JP4229441B2 (ja) 浮力調整可能な人工リーフ
KR100642454B1 (ko) 조수간만의 차이가 큰 연약지반상의 구조물 축조방법
KR200361747Y1 (ko) 바다횡단 수중해저 상수도관 보호를 위한 누름덮개돌망태 연결구조
KR101241005B1 (ko) 해상풍력 발전기 지지부재
CN110593337A (zh) 一种适用于深水嵌入式基础的水下铣槽导向定位装置
KR200413359Y1 (ko) 해상구조물 설치용 앵커
EP2189576A1 (en) Foundation system for marine structures in deep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