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0364Y1 - 포장케이스용 외포장재의 개봉구조 - Google Patents

포장케이스용 외포장재의 개봉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0364Y1
KR200340364Y1 KR20-2003-0033074U KR20030033074U KR200340364Y1 KR 200340364 Y1 KR200340364 Y1 KR 200340364Y1 KR 20030033074 U KR20030033074 U KR 20030033074U KR 200340364 Y1 KR200340364 Y1 KR 2003403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material
outer packaging
cut
opening structur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30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수
Original Assignee
경원화성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원화성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원화성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330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03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03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03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30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r closing of containers
    • B65D77/32Tearing-strings or like flexibl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장케이스용 외포장재의 절취선 개봉구조에 관한 것으로, 뚜껑이 구비된 각종 포장용기의 외포장재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탈거시킬 수 있도록 하여 용기의 개폐사용이 용이한 포장케이스용 외포장재의 절취선 개봉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외포장재(10)는 OPS 또는 PET, PVC 등과 같은 박판소재의 수지필픔(12)을 이용하여 제조하게 되며, 상기 외포장재(10)를 구성하는 수지필름(12) 외표면상에 상·하 수평방향으로 한조를 이루는 절취선(13)을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하고, 이들 절취선(13) 사이에 절취제거영역(13a)을 구획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장케이스용 외포장재의 개봉구조{OPENING STRUCTURE OF PACKAGE CASE PACKAGE}
본 고안은 포장케이스용 외포장재의 절취선 개봉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상세하게는 뚜껑이 구비된 각종 포장용기의 외포장재를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탈거시킬 수 있도록 하여 용기의 개폐사용이 용이한 포장케이스용 외포장재의 절취선 개봉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 내부에 내용물을 담아 판매·유통시키게 되는 각종 포장용기들은 내부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뚜껑이 구비되고, 제품 출하시에 내용물 보존성을 높여주기 위해서, 포장용기의 외주면에 외포장재가 감싸지도록 하여 밀봉시키게 된다.
이러한, 외포장재는 통상적으로 비중이 가벼운 OPS 또는 PET, PVC 등과 같은 박판소재의 수지필름을 이용하여 제조하게 되며, 포장용기 외면에 접합 코팅하거나 열 봉합하여 밀봉처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포장용기의 외면에 수지필름을 이용하여 접합·코팅하거나 열 봉합한 외포장재는 수작업에 의한 개봉작업이 용이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열봉합 부분에 절취작동을 위한 절취선을 형성하여 주거나, 티어 테이프(tear-tape)등을 개재하여 개봉이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외포장재 개봉구조에 의하면, 먼저 종래 도면 도 1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외포장재(100')의 개봉부위에 형성된 절취선(110')이 단지 한줄로 이루어진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개봉을 위한 절취작동이 용이하지 못하게 됨은 물론 이를 분리시켜 주기 위해서는 칼 등과 같은 별도의 보조도구를 이용해야만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외포장재(100') 개봉시 컷팅된 단면이 깨끗하게 잘리지 않게 되어포장용기 사용에 따른 여러가지 불편한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었다.
또한, 도 2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외포장재(100")의 개봉부위에 티어 테이프(tear-tape)(110")가 개재된 포장재의 경우에는 이를 가공하기 위한 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난해하여 제품의 단가를 상승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각종 포장용기의 외면에 밀봉처리된 외포장재를 용이하게 분리 및 개봉시킬 수 있도록 하여 용기 뚜껑의 개폐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장용기 사용이 매우 간편하고 편리하게 되는 포장케이스용 외포장재의 절취선 개봉구조 및 그 가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포장케이스용 외포장재의 절취선 개봉구조는 OPS 또는 PET, PVC 등과 같은 박판소재의 수지필픔을 이용하여 반 가공물 형태로 제조하게 되며, 이렇게 제조된 수지필름 외표면상에 상·하 수평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절취선을 형성하고, 이들 사이에 절취개시부를 갖는 절취제거영역을 구획형성하여 줌으로써,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과 도 2는 종래 외포장재의 절취선 개봉구조를 보여주는 포장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외포장재의 절취선 개봉구조를 보여주는 포장용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부분에 대한 요부확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포장재의 절취선 개봉상태를 보여주는 포장용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외포장재 12 : 수지필름
13 : 절취선 13a: 절취제거영역
14 : 절취개시부 14a: 절개홈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외포장재의 절취선 개봉구조를 보여주는 포장용기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에 대한 요부확대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포장재의 절취선 개봉상태를 보여주는 포장용기의 사시도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즉,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외포장재(10)는 OPS 또는 PET, PVC 등과 같은 박판소재의 수지필픔(12)을 이용하여 반 가공물 형태로 접착 가공하게 되며, 각종 포장용기(20) 외주면에 완전히 감싸지는 형태로 밀봉시켜 포장하게 된다.
이러한 외포장재(10)의 개봉구조는 반 가공물 형태로 제조되는 수지필름(12)외표면상에 상·하 수평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한쌍의 절취선(13)을 형성하고, 이들 절취선(13) 사이에 절취제거영역(13a)을 구획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절취선(13)과 절취제거영역(13a)의 일측 끝단부에는 절취개시부(14)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절취개시부(14)는 첨부도면 도 4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절취선(13)과 절취제거영역(13a)의 일측 끝단부에서 이들 길이방향의 내측으로 소폭 절개된 형태의 절개홈(14a)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외포장재(10)를 이용한 밀봉 포장시, 상기 절취선(13)과 절취제거영역(13a)은 주로 개폐뚜껑(22)이 구비된 포장용기(20)의 뚜껑 착탈부위에 위치되도록 하여 외포장재(10)의 분리 및 개봉작업과 함께 개폐뚜껑(22)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외포장재의 제조작업은 통상적으로 OPS 또는 PET, PVC 등과 같은 박판소재의 수지필름을 이용하여 반 가공물 형태로 제조하게 되며, 이송 및 가공, 절단공정을 포함하는 제조장치(미도시됨)의 각 공정들을 통해서 연속적으로 제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외포장재(10)는 제조장치의 절취선 가공작업을 거치면서, 수지필름(12) 외표면에 분리 및 개봉작동을 위한 절취선(13)과 절취제거영역(13a)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제조된 외포장재(10)는 포장용기(20) 외주면에 밀봉처리되어 완성된 포장용기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외포장재(10)가 밀봉처리된 포장용기(20)의 분리 및 개봉작동은 첨부도면 도 5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외포장재(10)의 개봉부위에 형성된 절취제거영역(13a)을 상·하 절취선(13)을 따라서 일측방향으로 용이하게 절취하여 분리시킨 뒤, 용기의 개폐뚜껑(22)을 상부측 방향으로 간편하게 개방시켜 주면 된다.
이때, 상기 절취제거영역(13a)의 절취작동은 그 일단에 형성된 절취개시부(14)를 통해서 더욱 신속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상기 절취개시부(14)에 형성된 절개홈(14a)을 통해서 사용자들이 자신의 손톱 등을 이용하여 간편하고 용이하게 절취제거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포장용기(20)의 간편한 개폐작동과 더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됨은 물론, 사용자가 포장용기(20)의 외부를 감싸고 있는 외포장재(10)의 개봉을 위해서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분리 및 개봉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포장용기 사용에 따른 편리성과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포장케이스용 외포장재의 절취선 개봉구조에 의하면, 각종 포장용기의 외주면에 밀봉처리되는 외포장재를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분리 및 개봉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포장용기 사용시 개폐뚜껑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는 잇점과 함께 포장용기 사용에 따른 편리성과 용이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OPS 또는 PET, PVC 등과 같은 박판소재의 수지필름(12)을 이용하여 각종 포장용기(20) 외주면에 밀봉처리되는 외포장재(10)의 절취선 개봉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포장재(10)의 개봉부위에는 상·하 수평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한 쌍의 절취선(13)이 형성되고, 상·하 절취선(13) 사이에는 절취제거영역(13a)이 구획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케이스용 외포장재의 절취선 개봉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13)과 절취제거영역(13a)의 일측 끝단부에는 절개홈(14a)을 갖는 절취개시부(14)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케이스용 외포장재의 절취선 개봉구조.
KR20-2003-0033074U 2003-10-22 2003-10-22 포장케이스용 외포장재의 개봉구조 KR2003403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074U KR200340364Y1 (ko) 2003-10-22 2003-10-22 포장케이스용 외포장재의 개봉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074U KR200340364Y1 (ko) 2003-10-22 2003-10-22 포장케이스용 외포장재의 개봉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0364Y1 true KR200340364Y1 (ko) 2004-02-05

Family

ID=49342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3074U KR200340364Y1 (ko) 2003-10-22 2003-10-22 포장케이스용 외포장재의 개봉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036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9400B2 (en) Flexible reclosable container with easy opening
US4126263A (en) Packing container provided with opening arrangement
JP5116081B2 (ja) タンパーエビデント再封かん可能クロージャ
US3101870A (en) Film sealed container with pouring spout
US7958998B2 (en) Reclosable blister package assembly
KR20180132641A (ko) 용이한 개방 탭을 포함하는 재밀봉 가능한 용기
ITBO940445A1 (it) Erogatore perfezionato per un contenitore di liquidi.
US6390358B1 (en) Paperboard can with an integrated paperboard lid having a hinge on the lid
US20150375912A1 (en) Flexible package
KR102580503B1 (ko) 인서트를 포함하는 재밀봉식 용기
KR200340364Y1 (ko) 포장케이스용 외포장재의 개봉구조
CA2996569C (en) Blister package with detachable knife
KR200488594Y1 (ko) 절취선이 구비된 포장봉지
JP7090550B2 (ja) 所定平面において動きを制限される飲用装置を備える包装容器
JP6653018B2 (ja) 再閉鎖可能な開封特徴部を有する食品パッケージ、及び再閉鎖可能な食品パッケージを開封し、食品製品を取り出し、再閉鎖する方法
JP2006347589A (ja) 包装箱
KR200479343Y1 (ko) 분할 개봉이 가능한 이중 용기
JP6126411B2 (ja) 包装袋
KR200497477Y1 (ko) 절취분리홈이 형성된 음식포장용기
KR100586935B1 (ko) 포장케이스용 외포장재의 절취선 개봉구조 및 그 가공장치
JP7383887B2 (ja) ストロー一体型容器
JP7090989B2 (ja) 包装容器に取り付けられる中空体及び前記中空体を作製するための方法
KR200488351Y1 (ko) 다기능 포장상자
KR20170106794A (ko) 일회성 화장품 포장용기
EP3228556B1 (en) Stopper for brik-type container with air admi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