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0049Y1 -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파티션 - Google Patents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파티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0049Y1
KR200340049Y1 KR20-2003-0033853U KR20030033853U KR200340049Y1 KR 200340049 Y1 KR200340049 Y1 KR 200340049Y1 KR 20030033853 U KR20030033853 U KR 20030033853U KR 200340049 Y1 KR200340049 Y1 KR 2003400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planar heating
partition
carbon fiber
plan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38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라
Original Assignee
매직유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직유라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매직유라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338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00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00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00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24D13/024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in walls, floors, ceiling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서, 탄소섬유 발열지와, 상기 탄소섬유 발열지로 전기를 인가하는 한 쌍의 전극과, 상기 탄소섬유 발열지 및 상기 한 쌍의 전극을 외부에서 기밀하게 감싸지지하는 절연부재를 갖는 면상발열체와; 상기 면상발열체가 수용되는 소정의 수용부를 갖는 파티션본체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면상발열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면상발열체가 갖는 여러 장점이 이용하면서도 기존의 면상발열체의 구조를 개선하여 문제점을 해소하고, 면상발열체를 파티션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기존의 파티션이 갖는 공간 분할의 기능 외에도 파티션으로부터 균일한 온도분포의 열이 발산될 수 있어 난방의 효과를 함께 겸할 수 있다.

Description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파티션{Partition for plane heater}
본 고안은,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면상발열체가 갖는 여러 장점이 이용하면서도 기존의 면상발열체의 구조를 개선하여 문제점을 해소하고, 면상발열체를 파티션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기존의 파티션이 갖는 공간 분할의 기능 외에도 파티션으로부터 균일한 온도분포의 열이 발산될 수 있어 난방의 효과를 함께 겸할 수 있도록 한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전기가 인가되어 발열하는 통상의 면상발열체는, 공기를 오염시키지 않아 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그 온도조절이 용이하고 소음이 없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아파트나 일반주택 등의 주거용 난방장치로 널리 쓰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사무실이나 상점 등 상업용 건물의 난방장치, 작업장이나 창고, 막사 등의 산업용 난방장치와 각종 산업용 가열장치, 비닐 하우스와 농산물 건조시스템과 같은 농업용 설비, 도로나 주차장의 눈을 녹이거나 결빙을 방지할 수 있는 각종 동결방지장치를 비롯하여 레저용, 방한용, 가전제품, 거울이나 유리의 김서림 방지장치, 건강보조용, 축산용 등에도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면상발열체의 발열원으로써, 종래기술에 의하면 니크롬 등의 발열선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니크롬 등의 발열선으로 만든 면상발열체에서는 전기가 선을 통해 연속적으로 흐르기 때문에 발열선의 어느 한 부분이 단락될 경우, 전기가 통전되지 못해 면상발열체를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니크롬 등의 발열선을 이용하는 기존의 면상발열체에서는 발열선이 단락될 경우, 해당 부분에서 전기 저항이 크게 감소하여 심하게 발열되기 때문에 화재의 위험성이 존재한다. 이에, 발열선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발열선의 표면 또는 발열선들의 사이를 충분한 두께의 전기부도체에 의한 완전 절연을 하고 있으나, 이처럼 완전 절연을 행할 경우에는 열전도 특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면상발열체의 발열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니크롬 등의 발열선을 이용한 면상발열체는 발열선의 해당 부분만이 발열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면상발열체의 온도분포가 불균일하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반 회사나 대형 음식점 혹은 대형 공간의 내부를 보면 파티션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파티션은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구획하기 위해 사용되기는 하지만 단지 공간을 분할하는 기능 외에는 별다른 기능을 가지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면상발열체가 갖는 여러 장점이 이용하면서도 기존의 면상발열체의 구조를 개선하여 앞서 기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소하고, 이를 파티션에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파티션이 갖는 공간 분할의 기능 외에도 파티션으로부터 균일한 온도분포의 열이 발산될 수 있어 난방의 효과를 함께 겸할 수 있도록 한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파티션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면상발열체가 갖는 여러 장점이 이용하면서도 기존의 면상발열체의 구조를 개선하여 문제점을 해소하고, 면상발열체를 파티션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기존의 파티션이 갖는 공간 분할의 기능 외에도 파티션으로부터 균일한 온도분포의 열이 발산될 수 있어 난방의 효과를 함께 겸할 수 있도록 한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파티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면상발열체에 소정의 광고패턴을 형성함으로써 광고나 홍보의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한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파티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파티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티션으로부터 면상발열체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도 1의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파티션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3b는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파티션 중에서 탄소섬유 발열지에 대한 평면도,
도 4는 파티션에 적용된 면상발열체의 온도조절에 관련한 제어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탄소섬유 2 : 펄프부재
5 : 소밀부 6 : 조밀부
10 : 탄소섬유 발열지 20 : 절연부재
30a,30b : 전극 40 : 열압착부
50 : 면상발열체 60 : 파티션본체
60a : 수용부 70 : 지지부
70a : 로킹부 70b : 로킹핀
81 : 정류부 82 : 전압부
83 : 제어부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탄소섬유 발열지와, 상기 탄소섬유 발열지로 전기를 인가하는 한 쌍의 전극과, 상기 탄소섬유 발열지 및 상기 한 쌍의 전극을 외부에서 기밀하게 감싸지지하는 절연부재를 갖는 면상발열체와; 상기 면상발열체가 수용되는 소정의 수용부를 갖는 파티션본체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면상발열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파티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탄소섬유 발열지를 사이에 두고 상하면에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상부 및 하부부분의 상호 접합부에는 열압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연부재는, 고분자 절연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탄소섬유 발열지는, 펄프부재와, 상기 펄프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전극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탄소섬유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수용부의 주변에 둘레방향을 따라 간헐적으로 형성된 로킹부와, 상기 로킹부에 삽설되어 상기 면상발열체를 상기 수용부 내에 지지하는 로킹핀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로킹핀은 내열성을 갖는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면상발열체의 판면에는 소정의 광고패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면상발열체로 제공되는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와; 양단이 상기 정류부와 상기 면상발열체의 전극에 결합되어 상기 정류부로부터의 전압을 상기 면상발열체로 전달하는 전압부와; 상기 정류부로부터 상기 전압부로 제공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면상발열체로부터 발열되는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마련한다면 온도조절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파티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티션으로부터 면상발열체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파티션은, 파티션이 갖는 공간 분할의 기능 외에도 히터와 같은 난방의 효과를 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파티션은, 면상발열체(50)와, 면상발열체(50)가 수용되는 소정의 수용부(60a)를 갖는 파티션본체(60)와, 수용부(60a)에 수용된 면상발열체(50)를 지지하는 지지부(7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단 하나의 파티션본체(60)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통상적으로 하나의 파티션본체(60)만을 사용하는 예는 드물며, 이들은 상호 측방향으로 결합되어 하나의 벽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파티션본체(60)의 측면에는 다른 파티션본체의 측면과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수단으로써, 레일 등이 형성되어 있기 마련인데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것에 관해서는 생략하고 단지 그 하단에 높이 조절이 될 수 있는 푸트부재(62)만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파티션본체(60)에는 판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함몰되어 면상발열체(50)가 착탈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부(60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파티션을 별도로 제조할 수도 있고, 혹은 기존의 파티션의 구조를 변경(수용부(60a)를 형성)하여 면상발열체(50)를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자세히 후술하겠지만 면상발열체(50)는 공급된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히터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면상발열체(50)가 동작하는 동안 파티션본체(60)의 수용부(60a)로부터 쉽게 이탈되거나 분리되어서는 아니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지지부(70)를 별도로 마련하여 수용부(60a)에 수용된 면상발열체(50)를 지지하고 있다.
여러 가지 형태로 대체될 수 있는 지지부(70)의 일 예로써, 도 2에 보면 수용부(60a)의 주변에 둘레방향을 따라 간헐적으로 형성된 로킹부(70a)와,로킹부(70a)에 삽설되어 면상발열체(50)를 수용부(60a) 내에 지지하는 로킹핀(70b)이 개시되어 있다.
이 때 로킹핀(70b)은, 면상발열체(50)의 온도가 높은 관계를 고려하여 내열성을 가지면서도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동안 소정의 탄성력을 보유한 탄성체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실질적인 발열원인 면상발열체(5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티션본체(60)의 수용부(60a)에 수용될 수 있는데, 그 판면에는 광고패턴(P)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럴 경우, 히터의 역할 외에도 파티션 제조업체나 혹은 면상발열체(50) 제조업체에 대한 홍보나 광고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면상발열체(5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소섬유 발열지(10)와,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탄소섬유 발열지(10)의 일면에 배치되어 전원선(72)에 의해 탄소섬유 발열지(10)로 전기를 인가하는 한 쌍의 전극(30a,30b)과, 탄소섬유 발열지(10) 및 한 쌍의 전극(30a,30b)을 외부에서 감싸지지하는 한편 접합부가 상호 기밀하게 압착되어 있는 절연부재(20)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절연부재(20)는 탄소섬유 발열지(10)를 사이에 두고 상하면에 배치되는 상부부분(20a) 및 하부부분(20b)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재질은 고분자 절연재질로 형성된다.
참고로, 고분자 재질이란, 예를 들어 폴리에스터, 아크릴, ABS, 셀룰로오즈, 불화탄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타일렌, 고무, 폴리염화비닐(PVC),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 폴리아마이드, 폴리이미드, 우레탄, 에폭시, 에폭시 수지함침유리직물과 같이 분자량이 극히 큰(보통 1만 이상) 거대한 화합물을 가리킨다.
고분자화합물은 그 구조나 성질도 다양하지만, 유기고분자화합물과 무기고분자화합물로 대별되고, 이들은 다시 천연고분자화합물과 합성고분자화합물로 나누어진다. 유리나 인조견사는 천연물에 가공을 한 것으로 중간적 존재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화합물은, 플라스틱 및 각종 섬유 제품을 비롯해서 타이어, 튜브 등의 합성고무 제품, 안전유리, 접착제, 도료, 건축재료, 파이프, 각종 그릇, 보온재료, 전기 및 전자 제품 등의 제품에 적용된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갖는 고분자화합물을 이용하여 면상발열체(50)의 절연부재(20)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 중에서도 특히 우레탄과 에폭시를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파티션이 저온용도(약 80℃ 이하)로 이용된다면, 우레탄을 이용하여 절연부재(20)를 형성하는 것이 좋고, 고온용도(약 100℃ ~ 160℃)로 이용된다면 에폭시를 사용하여 절연부재(20)를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물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파티션은 히터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고온용도인 에폭시를 사용하여 절연부재(20)를 마련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즉, 탄소섬유 발열지(10)를 사이에 두고 그 상하면에 우레탄이나 에폭시로 된 상부부분(20a) 및 하부부분(20b)을 배치하고는, 상부 및 하부부분(20a,20b)의 상호 접합부에 방수처리를 위해 열압착부(40)를 형성하면 된다.
이 때, 절연부재(20)가 우레탄으로 되어 있다면 약 150℃의 온도로 10 Kg/cm2의 압력을 가함으로써 열압착부(40)를 형성하면 된다. 만일, 절연부재(20)가 에폭시로 되어 있다면 약 160℃의 온도로 190 Kg/cm2의 압력을 저온에서 고온까지 서서히 가하여 대략 1시간 30분 정도 가공함으로써 열압착부(40)를 쉽게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열압착부(40)를 형성하게 되면, 상부 및 하부부분(20a,20b)의 접합부가 외부와 기밀하게 압착되기 때문에 본 면상발열체(50)는 물이나 습기가 존재하는 곳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절연부재(20) 내에 마련되는 탄소섬유 발열지(1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프부재(2)와, 펄프부재(2)에 형성되어 한 쌍의 전극(30a,30b)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탄소섬유(1)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탄소섬유 발열지(10)를 제조할 경우, 펄프부재(2)에 탄소섬유(1)를 일정한 간격으로 촘촘히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소섬유(1)에는 제조상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조밀부(6)와 밀도가 낮은 소밀부(5)가 임의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탄소섬유(1)란, 유기섬유를 불활성 기체 속에서 가열, 탄화하여 만든 섬유로써, 셀룰로오스, 아크릴 섬유, 비닐론, 피치(pitch) 등의 원료가 사용된다. 사용되는 원료에 따라 혹은 처리 온도에 따라 분자배열과 결정의 변화가 생긴다. 일반적으로 탄소의 육각 고리가 연이어 층상격자를 형성한 구조이며 금속광택이 있고흑색이나 회색을 띤다.
강도 10∼20g/d, 비중 1.5∼2.1. 내열성, 내충격성이 뛰어나며 화학약품에 강하고 해충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 가열과정에서 산소, 수소, 질소 등의 분자가 빠져 나가 중량이 감소되므로 금속(알루미늄)보다 가볍고 반면에 금속(철)에 비해 탄성과 강도가 뛰어나다.
이런 특성으로 인해 탄소섬유(1)는, 스포츠용품(낚싯대, 골프채, 테니스 라켓), 항공우주산업(내열재, 항공기 동체), 자동차, 토목건축(경량재, 내장재), 전기전자, 통신(안테나), 환경산업(공기정화기, 정수기) 등 각 분야의 고성능 산업용 소재로 널리 사용된다.
이처럼 직경 5∼50 μm, 길이 0.5∼20 mm로 직경에 비해 길이가 훨씬 긴 탄소섬유(1)를 펄프부재(2) 내에 균일하게 분산 배치함으로써 면상발열체(50)의 전체 면에서 균일한 발열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니크롬 등의 발열선을 이용한 종래의 면상발열체(50)의 문제점인 발열선 부위만의 부분발열에 의한 불균일한 온도분포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탄소섬유(1)는 분산시 입자 형상의 카본블랙 분말에 비해 서로간의 접촉이 훨씬 용이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분산시키는 탄소섬유(1)의 함량을 훨씬 넓은 범위에서 변화시킬 수 있어 다양한 발열특성을 갖는 면상발열체(50)의 제조가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파티션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우선, 탄소섬유(1)를 펄프부재(2)에 촘촘히 배치고정시켜 탄소섬유 발열지(10)를 제조한후, 탄소섬유(1)가 접촉할 수 있도록 발열지(10) 상에 한 쌍의 전극(30a,30b)을 설치한다.
그리고는, 탄소섬유(1) 발열지(10)와 전극(30a,30b)을 외부에서 감싸지지할 수 있도록 절연부재(20)인 상부 및 하부부분(20a,20b)을 배치하고는 그 접합부에 앞서 설명한 방법으로 열압착부(40)를 형성한다. 물론, 필요여하에 따라 절연부재(20)인 상부 및 하부부분(20a,20b)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광고패턴(P)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면상발열체(50)가 제조되고 나면, 파티션본체(60)의 수용부(60a)에 삽입한 후, 로킹핀(70b)을 로킹부(70a)에 체결한다.
이처럼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파티션이 제조된 후, 전원선(72)을 통해 한 쌍의 전극(30a,30b)으로 전원을 인가하면 인가된 전원에 의해 탄소섬유(1)가 발열하면서 상대적으로 고온의 열을 발생시키며 이 열은 절연부재(20)를 통해 외부로 발산되고, 면상발열체(50)의 일면을 통해 외측으로 전달됨으로써, 본 파티션은 공간의 분할 기능 외에도 히터 대용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파티션에 의하면, 면상발열체(50)가 갖는 여러 장점이 이용하면서도 기존의 면상발열체의 구조를 개선하여 문제점을 해소하고, 면상발열체(50)를 파티션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기존의 파티션이 갖는 공간 분할의 기능 외에도 파티션으로부터 균일한 온도분포의 열이 발산될 수 있어 난방의 효과를 함께 겸할 수 있다. 또한, 판면에 형성된 광고패턴(P)으로 인해 소정의 광고나 홍보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한편, 앞서 기술한 실시예에 더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상발열체(50)로 제공되는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81)와, 양단이 정류부(81)와 면상발열체(50)의 전극(30a,30b)에 결합되어 정류부(81)로부터의 전압을 면상발열체(50)로 전달하는 전압부(82)와, 정류부(81)로부터 전압부(82)로 제공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면상발열체(50)로부터 발열되는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83)를 더 갖출 수 있다.
이럴 경우, 전원선(72)을 통해 정류부(81)로 제공되는 전원이 제어부(83)의 제어신호를 거쳐 전압부(82)로 향한 후, 면상발열체(50)의 전극(30a,30b)으로 인가됨으로써 면상발열체(50)로부터 방열되는 온도의 세기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기(미도시)가 별도로 갖춰져야 함은 두말할 여지가 없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면상발열체가 갖는 여러 장점이 이용하면서도 기존의 면상발열체의 구조를 개선하여 문제점을 해소하고, 면상발열체를 파티션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기존의 파티션이 갖는 공간 분할의 기능 외에도 파티션으로부터 균일한 온도분포의 열이 발산될 수 있어 난방의 효과를 함께 겸할 수 있도록 한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파티션이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면상발열체에 소정의 광고패턴을 형성함으로써 광고나 홍보의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한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파티션이 제공된다.

Claims (8)

  1. 탄소섬유 발열지와, 상기 탄소섬유 발열지로 전기를 인가하는 한 쌍의 전극과, 상기 탄소섬유 발열지 및 상기 한 쌍의 전극을 외부에서 기밀하게 감싸지지하는 절연부재를 갖는 면상발열체와;
    상기 면상발열체가 수용되는 소정의 수용부를 갖는 파티션본체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면상발열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파티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탄소섬유 발열지를 사이에 두고 상하면에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상부 및 하부부분의 상호 접합부에는 열압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파티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고분자 절연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파티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섬유 발열지는, 펄프부재와, 상기 펄프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전극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파티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수용부의 주변에 둘레방향을 따라 간헐적으로 형성된 로킹부와, 상기 로킹부에 삽설되어 상기 면상발열체를 상기 수용부 내에 지지하는 로킹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파티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핀은 내열성을 갖는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파티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발열체의 판면에는 소정의 광고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파티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발열체로 제공되는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와;
    양단이 상기 정류부와 상기 면상발열체의 전극에 결합되어 상기 정류부로부터의 전압을 상기 면상발열체로 전달하는 전압부와;
    상기 정류부로부터 상기 전압부로 제공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면상발열체로부터 발열되는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파티션.
KR20-2003-0033853U 2003-10-29 2003-10-29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파티션 KR2003400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853U KR200340049Y1 (ko) 2003-10-29 2003-10-29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파티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853U KR200340049Y1 (ko) 2003-10-29 2003-10-29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파티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0049Y1 true KR200340049Y1 (ko) 2004-01-28

Family

ID=49342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3853U KR200340049Y1 (ko) 2003-10-29 2003-10-29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파티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004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30046A1 (en) * 2006-09-07 2008-03-13 Han Gang Co., Ltd. Method for maintaining conduit line using sheet heating element
KR101329977B1 (ko) * 2006-12-13 2013-11-13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발열광고판
KR20150112450A (ko) 2014-03-28 2015-10-07 유니이노 주식회사 온도 조절 기능을 갖는 파티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30046A1 (en) * 2006-09-07 2008-03-13 Han Gang Co., Ltd. Method for maintaining conduit line using sheet heating element
KR101329977B1 (ko) * 2006-12-13 2013-11-13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발열광고판
KR20150112450A (ko) 2014-03-28 2015-10-07 유니이노 주식회사 온도 조절 기능을 갖는 파티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7609B1 (ko) 세라믹 탄소섬유지 면상발열체
CN206432687U (zh) 一种具有除湿功能的高压分支箱
KR200340049Y1 (ko)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파티션
KR100996301B1 (ko) 면상 발열체, 면상 발열판, 및 열풍기
DE29916723U1 (de) Modulplatte für elektrische Flächenheizung von Fußböden oder Wänden
KR200339058Y1 (ko) 고분자 절연재질로 피복되어진 면상발열체
US6944393B1 (en) Panel made of a highly insulated electrothermal fabric
KR200342260Y1 (ko) 면상발열체에 의한 액자
KR100984312B1 (ko) 와인딩 히터
KR200337775Y1 (ko) 면상발열체에 의한 패드
KR200432466Y1 (ko) 탄소발열섬유를 이용한 바닥 난방구조
CN208765033U (zh) 一种地暖装置
KR200346551Y1 (ko) 면상발열체용 데스크히터
KR100593296B1 (ko) 우레탄 면상발열체
US20150296567A1 (en) Heating element
CN206932421U (zh) 一种集成恒温发热板
CN211321527U (zh) 一种地暖加热模块
KR102186970B1 (ko) 난방용 전기발열체를 이용한 바닥슬래브의 난방 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발열체의 제조 방법
KR101555786B1 (ko) 히팅 케이블
KR200345266Y1 (ko) 면상발열체용 토시
KR20050079783A (ko) 마이카를 이용한 고온 면상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342962Y1 (ko)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침낭
CN207044853U (zh) 动力电池用聚酰亚胺膜封装隔热棉组合结构
CN207099345U (zh) 取暖器及表面绝缘型ptc电热器
CN105180249B (zh) 一种多功能远程智能控制低温电发热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