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9633Y1 - 우수관 및 하수관 내부의 연막살충소독을 위한 곡면분사장치 및 역류방지막 - Google Patents

우수관 및 하수관 내부의 연막살충소독을 위한 곡면분사장치 및 역류방지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9633Y1
KR200339633Y1 KR20-2003-0032706U KR20030032706U KR200339633Y1 KR 200339633 Y1 KR200339633 Y1 KR 200339633Y1 KR 20030032706 U KR20030032706 U KR 20030032706U KR 200339633 Y1 KR200339633 Y1 KR 2003396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disinfectant
pipe
rain gutter
steri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27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차환
Original Assignee
서울특별시 성동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특별시 성동구 filed Critical 서울특별시 성동구
Priority to KR20-2003-00327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96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96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96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3/00Fumigators; Apparatus for distributing gases
    • A01M13/003Enclosures for fumigation, e.g. containers, bags or hous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수관 및 하수관 내부에 연막살충소독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빗물받이뚜껑과 연막소독기를 연결하는 장치로 연막소독기에서 나온 연막소독약의 운동방향을 수평에서 수직으로 전환하여 빗물받이와 연결된 우수관 및 하수관 내부에 연막소독약의 유입이 가능하고, 빗물받이 내부로 투입된 연막소독약이 빗물받이 바닥에 부딪혀 생성된 반발력으로 인해 외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빗물받이뚜껑 상단에 역류방지막을 덮어 우수 및 하수관 내부 깊은 곳까지 연막소독약을 유입시켜 소독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수구 맨홀 개봉이 필요 없이 도로 가장자리에 위치한 빗물받이에서 작업이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 연막소독기에서 발생되는 연막소독약의 운동방향을 수직 전환 시 부하량을 줄여 연막소독기의 시동이 꺼지는 문제를 해결하고 빗물받이 내부에 압력을 유지시켜 우수관 및 하수관으로의 유입이 용이하게 하여 최적의 소독효과를 구현하고 교통장애를 전혀 유발하지 않으며 한 명의 인력으로 작업이 가능 한 매우 효율적이고 편리한 방역소독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우수관 및 하수관 내부의 연막살충소독을 위한 곡면분사장치 및 역류방지막{A CURVED SURFACE SPRAYING DEVICE AND A FLOWING BACKWARD PREVENTION COVER FOR DESTROYING INSECTS INSIDE OF THE RAINWATER PIPE AND DRAIN PIPE BY FOGGING}
본 고안은 우수관 및 하수관 내부에 연막살충소독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빗물받이뚜껑과 연막소독기를 연결하는 장치로 연막소독기에서 나온 연막소독약의 운동방향을 수평에서 수직으로 전환하여 빗물받이와 연결된 우수관 및 하수관 내부에 연막소독약의 유입이 가능하고, 빗물받이 내부로 투입된 연막소독약이 빗물받이 바닥에 부딪혀 생성된 반발력으로 인해 외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빗물받이뚜껑 상단에 역류방지막을 덮어 우수 및 하수관 내부 깊은 곳까지 연막소독약을 유입시켜 소독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가장 특징적인 것은 우수 및 하수관 내부의 연막살충소독을 위해 하수구 맨홀이 아닌 도로 가장자리에 위치한 빗물받이를 통해 연막살충소독이 가능한 것으로 빗물받이 뚜껑을 개봉하는 작업 없이 빗물받이가 설치되어 있는 모든 우수관 및 하수관 내부에 편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우수관 및 하수관 내부는 모기 등 위생해충에게 최적의 서식환경을 제공하고 있어 다른 위생해충 서식지보다 개체 수 가 높으며 도시 지역일수록 더 높은 밀도를 나타낸다. 최근 많은 방역기관들이 방역소독을 확대하고 있으나 우수관 및 하수관 내부에 대한 근본적인 살충소독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우수관 및 하수관의 길이는 시·군·구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특별시 및 광역시의 구 단위 행정구역 기준으로 보통 수 백 킬로에 달해 규모 면에서도 가장 취약한 방역소독 사각지역으로 방역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하겠다.
이 분야 종래의 기술은 별도의 장비제작 없이 하수구 맨홀을 개봉하여 연막소독기를 하수구 내부로 향하여 직접분사 하거나, 하수구 맨홀을 개봉한 후 개봉된 구멍에 적당한 크기로 구멍을 낸 합판을 덮고 알루미늄 재질로 만들어져 시판중인 보일러용 연통을 합판 구멍 안으로 집어넣은 상태에서 연통 안으로 연막소독기의 연막소독약 분출구를 넣어 소독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하수구 내부에 연막소독기로 직접 분사할 경우 생성되는 압력이 없어 연막소독약의 유입이 매우 적으며, 보일러용 연통을 사용하여 연막소독 할 경우에도 연통과 연막소독기의 규격이 달라 생기는 틈으로 압력 누수가 발생되어 하수구 내부에 연막소독약의 유입이 어렵고 유입되는 연막소독약도 적어 소독 효과가 매우 떨어진다.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보일러용 연통과 연막소독기와의 연결부분을 밀폐하여 연막소독을 실시할 경우 길어진 관은 연막소독약의 분출시간 상승과 관 내부의 부하량 증가로 엔진이 정지하거나, 연막소독기에서 발생된 열에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연통이 녹아버리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리고 하수구 맨홀 개봉 작업으로 작업소요 인력과 시간이 증가하여 작업효율은 매우 떨어지게 되며, 가장 근본적인 문제로 하수구의 맨홀은 대부분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 중앙부에 위치하여 작업 시 교통장애를 유발하여 연속적인 작업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수구 맨홀 개봉이 필요 없는 도로 가장자리에 위치한 빗물받이에서 작업이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 연막소독기에서 발생되는 연막소독약의 운동방향을 수직 전환 시 부하 량을 줄여 연막소독기의 시동이 꺼지는 문제를 해결하고 빗물받이 내부에 압력을 유지시켜 우수관 및 하수관으로의 유입이 용이하게 하여 최적의 소독효과를 구현하고 교통장애를 전혀 유발하지 않으며 한 명의 인력으로 작업이 가능 한 매우 효율적이고 편리한 방역소독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연막소독기에서 분사된 연막소독약의 방향을 수평에서 수직으로 전환하여 빗물받이(steel grating)내부를 통하여 우수관 및 하수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 연막소독기의 연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연막소독기에서 빗물받이 내부로 분사된 연막소독약의 역류를 방지하여 압력을 유지하는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 주입구 2 : 본체
3 : 분리막 4 : 제1분출관
5 : 제2분출관 6 : 누름막
7 : 손잡이
도1의 곡면분사장치는 격자모양의 강철로 만들어진 빗물받이뚜껑에 고정되어 연막소독기와 연결된 후 연막소독기에서 분사되는 연막소독약의 운동방향을 수평에서 수직으로 전환시키며, 빗물받이뚜껑과 곡면분사장치 사이에 부착하는 도2의 역류방지막은 빗물받이 내부로 분사된 연막소독약이 빗물받이 내부 바닥에 부딪혀 발생하는 반발력에 의해 외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우수관 및 하수관과 연결된 빗물받이 내부에 있는 연결통로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압력을 유지하여 주는 장치로 우수관 및 하수관 내부에 연막살충 소독이 가능한 효율적이고 편리한 연막살충소독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들 및 다른 목적들은 아래에서 기술된 바에 따라 달성된다. 본 고안은 연막소독기에서 분사된 연막소독약의 운동방향을 수평에서 수직으로 전환하게 하는 장치와 빗물받이뚜껑 상단부분에 위치하여 빗물받이 내부로 분사된 연막소독약이 밖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우수 및 하수관 내부의 연막살충소독을 위한 곡면분사장치 및 역류방지막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곡면분사장치는 제1도와 같이, 연막소독기의 분출구와 연결되는 부분인 주입구(1)는 연막소독기의 원활한 탈착과 최적의 연결로연막소독기를 장치에 연결 후 분사 시 연막소독약이 주입구(1) 틈으로 역류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부채꼴 모양의 원통으로, 연막소독기 주입시 최적의 밀폐가 되도록 구성하여 본체에 고정하고, 본체(2)는 주입구(1)를 통해 들어오는 연막소독약의 압력을 줄이기 위해 연막소독기의 분출 단면적 보다 연막소독약 통과면적을 크게 한 사각 통 모양으로 구성하여 본체 내부에 발생하는 압력을 감소시킨다.
본체를 통해 흘러 들어온 연막소독약은 두 개의 분출관(4,5)으로 적절히 분산 분출하기 위해 분리막(3)에 의해 나뉘어지며, 제1분출관(4)은 분리막(3)에서 분리된 연막소독약의 일부가 빗물받이 내부로 분출토록 하고 분출구 끝 단 면적을 대각선 모양으로 구성하여 분출 단 면적을 넓혀 연막소독약의 분출량을 극대화하여 장치 내부 압력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분출관(5)은 분리막(3)에서 나온 연막소독약 중 제1분출관(4)으로 분출된 연막소독약을 제외한 나머지 연막소독약이 빗물받이 내부로 분출토록 하며 분출구 끝 단 면적의 모양은 수평으로 격자모양의 강철로 이루어진 빗물받이 뚜껑에 끼워 고정이 가능한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는 모양으로 구성된다. 제2분출관(5)으로 분출되는 연막소독약의 마찰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본체(2)의 끝 부분은 완만한 곡면으로 구성되며, 곡면부분과 분리막(3)은 연막소독약의 운동방향을 수평에서 수직으로 전환이 시작되는 점이다.
곡면부분에서 제2분출관(5)으로 이어지는 부분의 용적은 점차적으로 줄여 내부의 급격한 압력저항을 줄이며, 제1분출관(4)과 제2분출관(5)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제2분출관(5)과 연결된 곡면부분을 완만하게 구성하여 본체(2)를 통과한 연막소독약의 운동방향이 수평에서 수직으로 전환될 때 발생되는 마찰저항을 최소화시키는 모양으로 구성된다.
제1분출관(4)과 제2분출관(5) 사이에 고정 부착된 누름막(6)은 곡면분사장치와 빗물받이뚜껑 사이에 위치하는 역류방지막을 눌러 연막소독약의 역류를 최소화한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연막소독기를 본 고안장치와 연결하여 가동 시 연막소독기의 엔진 부하량을 적절히 유지하여 시동이 꺼지거나 엔진에 무리를 주지 않고 연막소독기에서 분출된 연막소독약의 운동방향을 수직으로 전환이 가능한 것이다.
제2도는 곡면분사장치를 빗물받이뚜껑에 고정하기 전에 빗물받이뚜껑 상단부분을 덮는 것으로 상기 각각의 분출관(4,5)이 들어갈 수 있는 크기만큼 규격에 맞게 직사각형 모양의 구멍을 내어 구성한다. 본 장치는 곡면분사장치를 통해 분출된 연막소독약이 빗물받이 내부로 분출되면 빗물받이 뚜껑 상단부분을 덮은 역류방지막으로 인해 내부에 압력이 생성되고 연막소독약은 압력해소를 위해 빗물받이 내부에 우수 및 하수관과 직각으로 연결되어 있는 연결통로로 유입·확산되어 우수관 및 하수관 내부에 연막살충소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연막소독기를 이용한 우수관 및 하수관 내부 연막살충 소독 시 하수구 맨홀 및 빗물받이 뚜껑을 개봉하지 않고 한 사람의 인력으로 작업이 가능하여 매우 효율적이고 편리하며 압력을 이용하여 우수관 및 하수관 내부 깊이 소독 가능하며 평균 직선 우수 및 하수관의 경우 150m ∼ 200m 떨어진 우수 및 하수관 내부에까지 소독이 가능하며, 곡선 구간이 포함된 우수 및 하수관의 경우 50m ∼ 80m 떨어진 곳까지 소독이 가능하여 모기 등 위생해충으로 인한 전염성 질환의 발생을 감소시킨다.

Claims (3)

  1. 연막소독기와 연결시 최적의 밀폐가 유지되고 연막소독약이 주입구(1) 틈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고 연막소독기의 탈착이 용이하게 한 부채꼴 모양의 원통형 주입구(1)와 주입구(1)에서 유입되는 연막소독약의 압력을 줄이기 위해 연막소독기의 연막소독약 분출 단면적 보다 넓은 사각 통 모양의 본체(2) 그리고 본체(2) 내부에서 연막소독약의 적절한 분리 분출을 돕는 분리막(3), 빗물받이 뚜껑에 고정되어 지지대 역할을 하면서 연막소독약을 분출하는 분출구(5), 본체(2) 내부에 있는 연막소독약의 분출을 극대화하여 압력을 해소하기 위해 분출 단면적을 대각선 모양으로 구성한 분출구(4)와 각각의 분출구 사이에서 역류방지막을 눌러 연막소독약의 역류를 줄이는 누름막(6)으로 구성된 곡면분사장치.
  2. 청구항1항에 있어 제2분출관(5)과 본체(2)가 만나는 부분을 곡면 처리하여 내부 마찰저항을 감소시켜 연막소독약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곡면분사장치
  3. 곡면분사기에 의해 빗물받이 내부로 분출된 연막소독약의 역류를 방지하고 내부에 발생된 압력을 유지시켜 우수 및 하수관 내부로 연막소독을 유입하게 하는 역류방지막
KR20-2003-0032706U 2003-10-18 2003-10-18 우수관 및 하수관 내부의 연막살충소독을 위한 곡면분사장치 및 역류방지막 KR2003396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706U KR200339633Y1 (ko) 2003-10-18 2003-10-18 우수관 및 하수관 내부의 연막살충소독을 위한 곡면분사장치 및 역류방지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706U KR200339633Y1 (ko) 2003-10-18 2003-10-18 우수관 및 하수관 내부의 연막살충소독을 위한 곡면분사장치 및 역류방지막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2114A Division KR20050036427A (ko) 2003-10-16 2003-10-16 우수관 및 하수관 내부의 연막살충소독을 위한 곡면분사장치 및 역류방지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9633Y1 true KR200339633Y1 (ko) 2004-01-24

Family

ID=49423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2706U KR200339633Y1 (ko) 2003-10-18 2003-10-18 우수관 및 하수관 내부의 연막살충소독을 위한 곡면분사장치 및 역류방지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9633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5080A (ko) * 2018-04-09 2019-02-13 조정준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KR20190015079A (ko) * 2018-04-09 2019-02-13 조정준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KR20190060729A (ko) * 2019-04-16 2019-06-03 조정준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KR20200046011A (ko) * 2020-04-24 2020-05-06 조정준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KR20200046010A (ko) * 2020-04-24 2020-05-06 조정준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KR20210038511A (ko) * 2020-04-24 2021-04-07 조정준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5080A (ko) * 2018-04-09 2019-02-13 조정준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KR20190015079A (ko) * 2018-04-09 2019-02-13 조정준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KR101974131B1 (ko) 2018-04-09 2019-04-30 조정준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KR101974132B1 (ko) 2018-04-09 2019-04-30 조정준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KR20190060729A (ko) * 2019-04-16 2019-06-03 조정준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KR102106510B1 (ko) 2019-04-16 2020-05-04 조정준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KR20200046011A (ko) * 2020-04-24 2020-05-06 조정준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KR20200046010A (ko) * 2020-04-24 2020-05-06 조정준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KR102236833B1 (ko) 2020-04-24 2021-04-06 조정준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KR102236834B1 (ko) 2020-04-24 2021-04-06 조정준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KR20210038511A (ko) * 2020-04-24 2021-04-07 조정준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KR102477668B1 (ko) 2020-04-24 2022-12-13 조정준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32821B (zh) 带保洁装置的小便器
KR200339633Y1 (ko) 우수관 및 하수관 내부의 연막살충소독을 위한 곡면분사장치 및 역류방지막
US20170009440A1 (en) Flush toilet with deodorizing function
US20110258770A1 (en) Portable urinal comprising a hollow prism having a rectangular base and a u-shaped concave urinal projecting out from the front surface thereof, the base of said concave urinal being in communication with an upper oval wash-hand basin and with the prism interior by means of a lower hole
US6467995B2 (en) Self-flushing pipe
KR20050036427A (ko) 우수관 및 하수관 내부의 연막살충소독을 위한 곡면분사장치 및 역류방지막
WO2004099513A3 (en) Toilet overflow prevention system
CA2292345C (en) Self-flushing pipe
JP4131440B2 (ja) 流体洗浄小便器
KR200370894Y1 (ko) 우수관 및 하수관 내부의 연막살충소독을 위한 곡면분사장치 및 역류방지막
WO2002092926A1 (en) Drain-outlet structure
KR100952989B1 (ko) 배수 트랩 구조물
JP2022179007A (ja) 浄化槽用汚泥除去装置
CN217742862U (zh) 一种城市下水道杀菌灭虫装置
US20030155009A1 (en) Drain apparatus with a branch tube and a valve for removing a blockage in the drain
CN216766159U (zh) 一种用于健康建筑的消毒雨水口
CN212477956U (zh) 一种排水系统防臭器
CN218091185U (zh) 洁净室用地漏
CN210168690U (zh) 水帘式冲水宠物厕所
CN201169812Y (zh) 下水管防反味密封装置
KR101974131B1 (ko)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KR101974132B1 (ko)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KR20230118001A (ko) 이동식 간이 화장실
KR200289215Y1 (ko) 물고임이 방지되는 배수구
CN104763036A (zh) 一种多功能的存水弯浮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