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9588Y1 - 원터치형 용기뚜껑 - Google Patents

원터치형 용기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9588Y1
KR200339588Y1 KR20-2003-0031877U KR20030031877U KR200339588Y1 KR 200339588 Y1 KR200339588 Y1 KR 200339588Y1 KR 20030031877 U KR20030031877 U KR 20030031877U KR 200339588 Y1 KR200339588 Y1 KR 2003395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locking groove
touch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18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섭
Original Assignee
이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섭 filed Critical 이호섭
Priority to KR20-2003-00318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95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95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95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16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원터치형 용기뚜껑에 대해 개시한다. 본 고안은 용기(100)의 주입구(110)에 삽입되어 고정된 고정부(210)와, 상기 주입구(110)를 개폐시키도록 고정부(210)에 그 일단이 힌지되고 힌지부(240) 반대편의 타단부에는 고정부(210)에 걸림되는 후크부(230)를 갖는 덮개부(220)를 포함하는 뚜껑(200)을 형성시키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용기를 한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뚜껑을 간편하게 개방시킬 수 있어, 용기내의 음료를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터치형 용기뚜껑{One touch cap of bottle}
본 고안은 원터치형 용기뚜껑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를 한손으로 파지한상태에서 뚜껑을 간편하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 원터치형 용기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이하, 음료용기를 그 일례로 설명하기로 함) 즉, 음료용기는 용기 상단에 음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직경이 작은 주입구가 형성되고, 이 주입구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뚜껑이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음료용기내의 음료를 음용하고자 할 때에는 뚜껑을 열고 주입구에 입을 댄 상태에서 음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용기는 특히, 운전자가 운전중에 음료용기내의 음료를 음용하고자 할 때에는 양손을 사용하여 즉, 한손으로는 음료용기를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는 뚜겅을 파지한 상태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려 음료용기의 뚜껑을 개방시켜야 하기 때문에, 운행중에는 매우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주행중인 차를 정차시켜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용기를 한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간편하게 뚜껑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한 원터치형 용기뚜껑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뚜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이 용기의 주입구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용기 110 : 주입구
112 : 플랜지부 200 : 뚜껑
210 : 고정부 212 : 걸림홈
214 : 유동걸이부 220 : 덮개부
230 : 후크부 240 : 힌지부
250 : 밀봉부 252 : 밀착돌부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원터치형 용기뚜껑은, 용기의 주입구에 삽입되어 고정된 고정부와, 상기 주입구를 개폐시키도록 고정부에 그 일단이 힌지되고 힌지부 반대편의 타단부에는 고정부에 걸림되는 후크부를 갖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뚜껑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에는, 주입구에 삽입되어 용기를 밀봉시키는 밀봉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밀봉부는, 그 외주면에 주입구의 내주면에 접하는 밀착돌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덮개부의 외주연과 고정부의 외주연을 접합시켜 이루어지며, 접합되는 중앙을 절곡시켜 덮개부가 닫혀진 상태에서 그 내각을 10° 내지 120°범위내로 유지시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는, 연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고정부에 걸림홈을 형성시키되, 고정부의 외주부를 개방시키고, 걸림홈과 후크부가 서로 물릴 수 있도록 개방된 반대측에 나사산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걸림홈 내부에 형성되는 나사산은 유동걸이부에 형성시키고, 상기 유동걸이부의 상단 일측을 걸림홈 내부에 접합시켜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뚜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이 용기의 주입구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a는 뚜껑이 닫힌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0)의 주입구(110)에는 주입구를 개폐시키는 뚜껑(200)이 장착된다.
상기 뚜껑(200)은, 크게 고정부(210)와, 덮개부(220)로 대별되어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210)는,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진 환형의 띠형상으로서, 용기(100)의 주입구(11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고정부(210)는, 용기(100)의 주입구(110)상에 형성된 플랜지부(112)에 그 상단부가 걸림되어 주입구(110)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덮개부(220)는, 실리콘 등과 같은 연질로서 형성되고, 고정부(210)상에서 상하로 회전되면서 상기 용기(100)의 주입구(110)를 개폐시키도록 구비된다.
상기 덮개부(220)는, 그 일단이 고정부(210)에 힌지되고, 타단은 고정부에 형성된 걸림홈(212)에 걸림되도록 된 후크부(230)가 형성된다. 이 때, 걸림홈(212)은 고정부(210)의 외주부를 개방시키고 있으며, 개방정도는 후크부(230)가 빠져나올 수 있을 정도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걸림홈(212)과 후크부(230)가 접촉하는 면에는 나사산을 형성시켜 서로 물릴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나사산은 구체적으로 스프로킷 돌기를 의미한다. 이 스프로킷 돌기는 일방향으로 묶어지고 풀어지지 않는 용도로 많이 사용된다. 이 때, 걸림홈(212) 내부에 형성되는 나사산은 유동걸이부(214)에 형성되는데, 이 유동걸이부(214)는 상단 일측이 걸림홈(212) 내부에 접합되어 후크부(230)가 걸림홈(212) 내부로 삽입될 경우에 걸림홈(212) 내부벽으로 밀려나면서 후크부(23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며, 용기(100)의 압력 등에 의해 덮개부(220)에 압력이 가해져 후크부(230)가 이탈되려고 하면 후크부(230)에 형성된 나사산에 걸림되어 나사산간에 밀착되게 된다.
한편, 힌지부(240)는, 상기 덮개부(220)의 외주연과, 고정부(210)의 외주연이 서로 접합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덮개부(220)가 닫혀진 상태에서 힌지부(240)가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며, 그 내각이 120° 이내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힌지부(240)는 자연스런 상태, 즉 덮개부(220)가 열려진 상태에서 일자형태를 유지하려는 탄성을 가지고 있으며, 덮개부(220)가 일정각도(대략 75°∼85° 지점)로 열려질 정도의 탄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주입구(110)에 대향하는 덮개부(220)의 하면에는 주입구에 삽입되어 용기(100)를 완전히 밀봉시키는 밀봉부(250)가 돌출 형성되고, 이 밀봉부(250) 역시도 전술한 바와 같이 실리콘 등과 같은 연질로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밀봉부(250)의 외주면에는 주입구(110)의 내주면에 접하는 밀착돌부(252)가 원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보관시에 용기(100) 내부를 완전히 밀폐시켜 음료의 변질 및 쏟아짐, 이물질 등의 침투를 미연에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형 용기뚜껑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기(100)의 개방시는 한손으로 용기(100)의 주입구(110) 부분을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을 덮개부(220)의 후크부(230) 하단에 밀착시킨 후후크부(230)를 걸림홈(212) 외주부의 개방된 곳을 통해 밀어내면, 연질의 후크부(230)가 고정부(210)의 걸림홈(212)으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힌지부(240)의 탄성에 의해 덮개부(220)가 고정부(210)로부터 회전된다.
이 때, 덮개부(220) 하면의 밀봉부(250)는 연질로서, 그 형태가 순간적으로 찌그러지면서 용기(100)의 주입구(110)로부터 빠져나와 분리된다.
그리고, 회전되는 덮개부(220)가 대략 75°∼85°의 지점까지 힌지부(240)에 의해서 자동으로 회전되어 완전히 개방되고, 닫힘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덮개부(220)는 개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용기(100)내의 음료를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게 되고, 음용 후 개방된 덮개부(220)를 전술한 반대방향 즉, 닫힘방향으로 밀면 덮개부(220)에 의해 용기(100)의 주입구(110)가 닫혀지게 된다. 이 때, 덮개부(220)의 회전반경에 주입구(110)의 최상단부가 걸릴 수 있으므로 절곡된 힌지부를 눌러줌으로써 회전반경을 크게 한 후 닫힘방향으로 밀면 용이하게 주입구(110)에 덮개부(220)를 밀폐시킬 수 있다. 그리고, 덮개부(220)의 회전에 따라 후크부(230)가 걸림홈(212)에 이르게 되면 후크부(230)의 끝단을 걸림홈(212)에 유도시킨 후 덮개부(220)의 상단을 눌러줌으로써 덮개부(220)의 후크부(230)가 고정부(210)의 걸림홈(212)에 완전히 걸림되어 고정되고, 덮개부(220) 하면의 밀봉부(250)는 용기(100)의 주입구(110)내로 삽입되며, 그 외주면의 밀착돌부(252)는 주입구(110)의 내주면에 면접촉되어 용기(100) 내부를 완전히 밀폐시키면서 닫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형 용기뚜껑에 의하면, 용기를 한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뚜껑을 간편하게 개방시킬 수 있어, 용기내의 음료를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용기의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200)은,
    용기(100)의 주입구(110)에 삽입되어 고정된 고정부(210); 및
    상기 주입구(110)를 개폐시키도록 고정부(210)에 그 일단이 힌지되고 힌지부(240) 반대편의 타단부에는 고정부(210)에 걸림되는 후크부(230)를 갖는 덮개부(220)
    를 포함하는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용기뚜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220)에는, 주입구(110)에 삽입되어 용기(100)를 밀봉시키는 밀봉부(250)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용기뚜껑.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250)는, 그 외주면에 주입구(110)의 내주면에 접하는 밀착돌부(252)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용기뚜껑.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240)는, 상기 덮개부(220)의 외주연과 고정부(210)의 외주연을 접합시켜 이루어지며, 접합되는 중앙을 절곡시켜 덮개부(220)가 닫혀진 상태에서 그 내각을 10° 내지 120°범위내로 유지시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용기뚜껑.
  5.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220)는, 연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용기뚜껑.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10)에 걸림홈(212)을 형성시키되, 고정부(210)의 외주부를 개방시키고, 걸림홈(212)과 후크부(230)가 서로 물릴 수 있도록 개방된 반대측에 나사산을 형성시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용기뚜껑.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212) 내부에 형성되는 나사산은 유동걸이부(214)에 형성되는 스프로킷 돌기이고, 상기 유동걸이부(214)의 상단 일측을 걸림홈(212) 내부에 접합시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용기뚜껑.
KR20-2003-0031877U 2003-10-10 2003-10-10 원터치형 용기뚜껑 KR2003395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877U KR200339588Y1 (ko) 2003-10-10 2003-10-10 원터치형 용기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877U KR200339588Y1 (ko) 2003-10-10 2003-10-10 원터치형 용기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9588Y1 true KR200339588Y1 (ko) 2004-01-24

Family

ID=49423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1877U KR200339588Y1 (ko) 2003-10-10 2003-10-10 원터치형 용기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958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2320A (en) Closure with articulated lid
JP5240313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US5499736A (en) Reclosable, removable cap for reusable shaker dispenser bottle
US6964359B1 (en) Plastic container
AU2002338746B2 (en) Dispensing closure for a container that holds pourable material
US20060201904A1 (en) System including a hinged closure and tube container and method for sealing a hinged closure on a tube container
US10543960B2 (en) Lid for a beverage container
JPS6216354A (ja) スナツプタイプのヒンジキヤツプを伴つた閉鎖部材
WO2007148916A1 (en) Closure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JP5607151B2 (ja) 密閉部材と、これを有する容器
KR101538759B1 (ko) 용기 마개
US4066191A (en) Drinking and pouring spout for use with easy-opening containers
JP2007069952A (ja) ボトルキャップ
JP4921477B2 (ja) 液体容器用の分配用栓
KR200339588Y1 (ko) 원터치형 용기뚜껑
JP4641833B2 (ja) 開閉自在の小蓋を有するヒンジキャップ
JP3124569U (ja) 容器の口栓装置
KR200261828Y1 (ko) 밀폐용기용 뚜껑
WO2005097612A1 (en) Drinking cup
CN220077220U (zh) 储物瓶盖及包装瓶
KR200230242Y1 (ko) 컵 겸용 음료용기 뚜껑
KR200236868Y1 (ko) 식품 보관용기의 뚜껑 결합구조
CN210276970U (zh) 一种容器
KR200182992Y1 (ko) 컵 겸용 병뚜껑
KR200188238Y1 (ko) 음료용기의 컵겸용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