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9585Y1 - 김치냉장고용 하부포장재 - Google Patents

김치냉장고용 하부포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9585Y1
KR200339585Y1 KR20-2003-0031761U KR20030031761U KR200339585Y1 KR 200339585 Y1 KR200339585 Y1 KR 200339585Y1 KR 20030031761 U KR20030031761 U KR 20030031761U KR 200339585 Y1 KR200339585 Y1 KR 2003395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mchi refrigerator
reinforcement
support plate
packaging material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17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현
Original Assignee
김석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현 filed Critical 김석현
Priority to KR20-2003-00317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95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95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95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of a shape specially adapted to accommodate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65D2585/68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 B65D2585/68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kitchen devices, including unspecified devices, e.g. Haushaltgeräte
    • B65D2585/681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kitchen devices, including unspecified devices, e.g. Haushaltgeräte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김치냉장고용 포장박스에 삽입되어 김치냉장고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포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김치냉장고의 하부면 양측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발포수지재로 이루어진 완충재, 두 개의 완충재를 소정 거리 이격되게 지지함과 아울러 타측 양면을 접어서 보강부를 형성하는 골판지로 이루어진 하부지지판으로 구성되어, 발포수지재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생산 및 재활용이 편리하도록 한 김치냉장고용 하부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김치냉장고용 하부포장재는 김치냉장고용 포장박스에 삽입되어 김치냉장고의 하부를 지지 보호하는 하부포장재에 있어서, 상기 김치냉장고의 저면 양측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발포수지재로 이루어진 두 개의 완충재와,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 상기 두 개의 완충재를 일체로 고정시키고 상기 두 개의 완충재와 직교하는 양측 단부를 사각형태로 접어서 소정의 보강재를 감싸는 골판지로 이루어진 하부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김치냉장고용 하부포장재{Packing case}
본 고안은 김치냉장고용 포장박스에 삽입되어 김치냉장고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포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김치냉장고의 하부면 양측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발포수지재로 이루어진 완충재, 두 개의발포수지재 완충재를 소정 거리 이격되게 지지함과 아울러 타측 양면을 접어서 보강대를 형성하는 골판지로 이루어진 하부지지판으로 구성되어, 발포수지재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생산 및 재활용이 편리하도록 한 김치냉장고용 하부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치냉장고는 구매자의 가정에 전달되기까지 골판지로 이루어진 포장박스에 담겨진 상태로 이송되는데, 이러한 포장박스의 내부에는 김치냉장고의 하중을 지지함과 아울러 외부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발포수지재로 이루어진 완충재가 삽입되게 된다. 도1a는 종래의 김치냉장고용 포장박스에 사용된 하부완충재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하부완충재(2)는 스티로폼과 같은 완충력이 우수한 발포수지재를 사출 성형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발포수지재로 이루어진 하부완충재(2)는 김치냉장고의 양측 저면을 지지하는 안착부(5)와, 상기 안착부의 둘레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김치냉장고의 하부 측면을 감싸는 측면지지부(7)로 이루어진 완충부(3)와, 두 개의 완충부(3)와 함께 일체로 성형되어 상기 완충부(3)를 지지하는 지지부(4)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하부완충재(2)는 완충부(3)와 지지부(4)가 모두 발포수지재로 이루어지기기 때문에 부피가 커져서 보관 및 운송에 따른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재활용이 곤란한 발포수지재를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환경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아울러 종래의 하부완충재(2)는 완충부(3)와 지지부(4)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구조이므로 하부완충재의 형상으로 제작된 대형 금형 및 사출장치가 필요하므로 장비구입에 따른 비용도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재활용이 곤란하여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는 발포수지재의 사용을 줄이고 생산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포수지재와 골판지를 이용하는 혼합형 하부포장재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골판지를 접어서 박스 형태로 만들어진 하부지지박스(14)와, 상기 하부지지박스 내에 안착되며 나무로 이루어진 다수의 보강재(16)와, 상기 하부지지박스(14)의 양측면 내측에 밀착되도록 개재되는 발포수지재로 이루어진 한 쌍의 완충재(13)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하부포장재(12)는 하부지지박스(14)의 네 모서리를 모두 절곡하여 고정수단으로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조립 공정이 복잡하고, 목재로 이루어진 보강재(16)를 다수 개 사용하기 때문에 재활용시 이를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보강재(16)는 하부지지박스의 상면에 접착제로 접착되는 구조이므로 분리작업이 극히 곤란하였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골판지와 발포수지재로 이루어진 김치냉장고용 하부포장재를 제공하되 골판지로 이루어진 보강재를 골판지로 된 하부지지판의 절곡편으로 감싸서 고정시킴으로써 재활용이 용이하고 외관이 미려하며 경량화가 가능한 김치냉장고용 하부포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하부완충재의 일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하부포장재의 일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김치냉장고용 하부포장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4는 도3의 A-A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하부포장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완충재 33 : 삽입홈
40 : 하부지지판 43 : 절곡편
44 : 절곡선 46 : 손잡이 구멍
60 : 보강부 63 : 보강재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김치냉장고용 하부포장재는,김치냉장고용 포장박스에 삽입되어 김치냉장고의 하부를 지지 보호하는 하부포장재에 있어서,
상기 김치냉장고의 저면 양측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발포수지재로 이루어진 두 개의 완충재와,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 두 개의 상기 완충재를 고정시키며 소정의 보강재를 상기 완충재와 직교하는 양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절곡편으로 감싸서 보강부를 형성하는 골판지로 된 하부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완충재는 김치냉장고의 양측 저면을 지지하도록 소정 깊이로 형성된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둘레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김치냉장고의 하부 측면을 감싸는 측면지지부와, 상기 하부지지판에 형성된 보강부의 양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그 저면 양측에 형성된 삽입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판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절곡편에는 사각형상으로 접을 수 있는 절곡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재는 두 개 이상의 골판지가 적층된 막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김치냉장고용 하부포장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김치냉장고용 하부포장재의 사시도이고, 도4는 도3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5는 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김치냉장고용 하부포장재(20)는 크게 발포수지재로 이루어진 두 개의 완충재(30)와 상기 두 개의 완충재(30)를 소정 간격이격되게 고정시키는 골판지로 이루어진 하부지지판(4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지지판(40)의 양측 단부에는 절곡편(43)을 사각형상으로 접고 그 내부에 소정의 보강재(63)를 삽입한 보강부(60)가 형성된다.
상기 완충재(30)는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것과 유사하게 김치냉장고의 양측 저면을 지지하도록 소정 깊이로 형성된 안착부(50)와, 상기 안착부의 둘레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김치냉장고의 하부 측면을 감싸는 측면지지부(7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지지판(40)에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완충재(30)의 저면 양측에는 상기 보강부(60)의 양측 단부가 소정 길이 삽입되는 삽입홈(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지지판(40)는 전체적으로 평판 형상의 골판지로서,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완충재(3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타측 양 단부에는 소정 크기의 절곡편(4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절곡편(43)에는 다수의 절곡선(44)이 형성되어 사각형태로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두 개 이상의 골판지가 적층된 막대 형상의 보강재(63)를 상기 절곡편(43)에 놓고 사각형태로 절곡하여 감싸면 본 고안에 따른 보강부(60)가 형성되게 된다. 즉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강부(60)는 다수의 골판지를 적층한 보강재(63)를 접착제 등으로 접착시키지 않고 하부지지판(40)의 절곡편(43)으로 감싸서 고정시킨 것이다.
또한 상기 보강부(60)의 양단은 상기 완충재(30)의 저면 양측에 형성된 삽입홈(33)에 의해 고정된다. 즉, 상술한 보강재(63)를 하부지지판(40)에 형성된 절곡편(43)을 이용하여 감싸서 소정의 보강부(60)를 형성한 다음, 상기 보강부(60)의 양단에 상기 삽입홈(33)이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완충재(30)를 하부지지판에 접착시킴으로써 상기 보강부(60)를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김치냉장고용 하부포장재(20)는 김치냉장고의 하중을 직접 받게 되는 완충재(30)만을 발포수지재로 형성하고, 상기 완충재(30)를 고정시키는 하부지지판(40) 및 보강부(60)는 골판지로 형성함으로써 발포수지재의 사용을 최소하하고 전체 하부포장재의 부피를 크게 줄 일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골판지로 이루어진 상기 하부지지판(40)의 저면에 합성수지필름을 코팅함으로써 상기 하부지지판(40)이 수분을 흡수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미설명 부호 46은 손잡이 역할을 하는 구멍이다.
본 고안에 따른 김치냉장고용 하부포장재(20)는 살균공정이 필요하거나 또는 비교적 무거운 목재 등으로 이루어진 보강재를 사용하는 대신에 두 개 이상의 골판지를 적층시킨 골판지로 이루어진 보강재를 사용함으로써 재활용시 별도의 분리작업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골판지로 이루어진 보강재를 하부지지판의 절곡편으로 감싸서 보강력을 크게 할 뿐만 아니라 접착공정을 생략함으로써 생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김치냉장고용 하부포장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골판지로 만들어진 하부지지판(40)의 절곡편(43)에 막대 형상의 보강재(63)를 올려 놓고 상기 절곡편(43)을 절곡선(44)을 따라 사각형상으로 절곡하여 보강재(63)를 감싼다. 그러면 상기 하부지지판(40)의 양측 단부에 두 개의 보강부(60)가 형성된다.
이어, 상기 보강부(60)의 양측 단부에 상기 완충재(30) 저면의 삽입부(33)가 놓이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완충재(30)를 상기 하부지지판(40)에 소정의 접착제로 접착시킨다. 그러면 상기 완충재(30)가 상기 하부지지판(40)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보강부(60)를 단단히 고정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김치냉장고용 하부포장재는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발포수지재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살균작업이 필요하고 비교적 무거운 목재를 사용하지 않은 뿐만 아니라 골판지의 일부를 접어서 보강재를 감쌈으로써 재활용시 별도의 분리공정이 필요없고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또한 김치냉장고의 하중을 직접 받게 되는 완충재만을 발포수지재로 형성하고, 상기 완충재를 고정시키는 하부지지판는 골판지를 사용함으로써 전체 하부포장재의 부피를 줄이고 경량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보강재를 하부지지판에 직접 접착시키지 않기 때문에 접착제의 사용을 줄일 수 있고 보강재를 하부지지판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제품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김치냉장고용 포장박스에 삽입되어 김치냉장고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포장재에 있어서,
    상기 김치냉장고의 저면 양측에 설치되며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발포수지재로 이루어진 두 개의 완충재와,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 상기 두 개의 완충재를 고정시키고 상기 완충재와 직교하도록 양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절곡편으로 소정의 보강재를 감싸서 보강부를 형성하는 평판형 골판지로 이루어진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용 하부포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는 김치냉장고의 양측 저면을 지지하도록 소정 깊이로 형성된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둘레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김치냉장고의 하부 측면을 감싸는 측면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저면 양측에는 소정 크기의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용 하부포장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편에는 사각형상으로 접을 수 있도록 다수의 절곡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용 하부포장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두 개 이상의 골판지를 적층시킨 막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용 하부포장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판의 저면은 합성수지시트로 방수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용 하부포장재.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를 감싸고 있는 절곡편은 상기 완충재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용 하부포장재.
KR20-2003-0031761U 2003-10-09 2003-10-09 김치냉장고용 하부포장재 KR2003395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761U KR200339585Y1 (ko) 2003-10-09 2003-10-09 김치냉장고용 하부포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761U KR200339585Y1 (ko) 2003-10-09 2003-10-09 김치냉장고용 하부포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9585Y1 true KR200339585Y1 (ko) 2004-01-24

Family

ID=49423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1761U KR200339585Y1 (ko) 2003-10-09 2003-10-09 김치냉장고용 하부포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95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152B1 (ko) * 2018-03-06 2019-08-08 에스피엔피(주) 가전제품의 하부 포장재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152B1 (ko) * 2018-03-06 2019-08-08 에스피엔피(주) 가전제품의 하부 포장재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34723A1 (en) System and method of packaging
KR102088108B1 (ko) 외부 충격에 대해 완충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US20070125671A1 (en) Surfboardpack
WO2017109967A1 (ja) 物品梱包箱
KR200339585Y1 (ko) 김치냉장고용 하부포장재
JP4526345B2 (ja) 梱包箱
KR200391925Y1 (ko) 포장용 완충재
CN217261294U (zh) 一种瓶包装结构及箱子
EP2590873B1 (en) Dual-purpose packaging insert and packaging box for sensitive flat objects
CN211443255U (zh) 一种悬空包装装置
JP4675979B2 (ja) 梱包装置
JP4060933B2 (ja) 緩衝機能付き包装体
JPH07125773A (ja) 簡易包装装置
JP4841258B2 (ja) 梱包箱用緩衝材と梱包箱用緩衝材を有する梱包箱
CN220315641U (zh) 包装纸箱加强纸板和加强包装纸箱
KR20090008139U (ko) 포장재
KR200464052Y1 (ko) 패널제품용 포장박스
CN215098910U (zh) 纸木结构快速折叠箱
JP4176419B2 (ja) 緩衝体及びこれを用いた包装箱
KR200210376Y1 (ko) 골판지를 이용한 칸막이 수납형 제품포장구
KR200388014Y1 (ko) 구획 완충재
KR200316749Y1 (ko) 포장용 완충재
JP2005186988A (ja) 緩衝材
KR20060131380A (ko) 포장완충재
KR200359761Y1 (ko) 전자 부품 운반용 포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