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9280Y1 - 정화조용 기포발생장치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정화조용 기포발생장치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9280Y1
KR200339280Y1 KR20-2003-0033322U KR20030033322U KR200339280Y1 KR 200339280 Y1 KR200339280 Y1 KR 200339280Y1 KR 20030033322 U KR20030033322 U KR 20030033322U KR 200339280 Y1 KR200339280 Y1 KR 2003392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ank
air pump
installation structure
septic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33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규만
Original Assignee
전규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규만 filed Critical 전규만
Priority to KR20-2003-00333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92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92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92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2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circulation pip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78Provisions for mixing or aeration of the mixed liquor
    • C02F3/1289Aeration by saturation under super-atmospheric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5/00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3/00Apparatus and plants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3/006Apparatus and plants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details of construction, e.g. specially adapted seals, modules, connec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화조용 기포발생장치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면부에 공기흡입구와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싱부재와, 상기 케이싱부재의 내측에는 구획된 독립적인 공간부가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독립된 공간부 별로 상기 공기토출구와 연결되는 배관이 설치되는 에어탱크부재와, 상기 에어탱크부재의 독립된 공간부와 대응하는 갯수의 에어펌프가 상기 에어탱크부재의 상측에 장착된 에어펌프부재와, 상기 에어펌프부재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싱부재의 공기흡입구와 연결된 에어관로가 일측에 연결되며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에어펌프부재로 이송되기 위하여 일측에는 상측통공이 형성된 상부에어공급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다수개의 에어탱크와 에어펌프를 이용한 정화조용 기포발생장치를 별도의 보관장소 없이 일체로 구성하게 되어 공간활용을 극대화 하게되며 생산비를 절감하게 된다.

Description

정화조용 기포발생장치의 설치구조{Installation structure of air bubble a producer for septic tank}
본 고안은 정화조용 기포발생장치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기 기능이 다른 2개 이상의 에어펌프와 에어탱크와 관리기등을 일체로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공간활용을 극대화하며 비용을 절감하게 되는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화조는 오수나 폐수등을 정화시키는 장치로서 오수등이 각 단계별로 정화되도록 격판등에 의하여 구획된 다수개의 탱크를 구비하고, 각 탱크별로 공기를 공급하여 기포를 발생시키는 것에 의하여 오수 및 폐수를 정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독립적으로 구획된 각 탱크별로 기포발생을 위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서는, 상기 각 탱크와 대응되는 갯수의 에어펌프가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정화가 되지 않은 오수등을 다시 정화하기 위해서 후처리 탱크에서 전처리 탱크로 정화되지 않은 오수등을 이송하기 위해서도 별도의 에어펌프가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정화조용 기포발생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에어펌프가 필요하게 되며, 이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케이스가 요구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정화조용 기포발생장치의 설치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내측 공간부를 형성하는 캐비닛(1)에는 정화조 탱크에 공기를 공급하여 기포를 발생시키도록 하거나 후처리 공정에서 정화되지 않은 오수등을 전처리 과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각각의 에어펌프와 상기 에어펌프와 연결된 에어탱크가 단일개의 케이스(2) 내측에 설치되어서 상기 캐비닛(1)에 필요한 갯수 만큼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설치구조에 의하여, 오수 처리를 위하여 구획된 탱크가 많아 질수록 상기 캐비닛(1)에는 상기 케이스(2) 내측에 설치된 에어펌프와 에어탱크로 이루어진 기포발생장치가 다수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 내측에 설치된 에어펌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장치인 관리기(3)와 누전 발생시 작동되는 누전차단기(4) 등이 상기 캐비닛(1) 일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 케이스(2) 마다 배관(5)과 전선(6)이 연결되어 있어야 하는 비교적 복잡한 설치구조를 갖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정화조용 기포발생장치의 설치구조에서, 별도의 부재인 캐비닛(1)을 구비하고 상기 캐비닛(1) 내측에 비교적 큰 부피를 갖는 에어펌프와 에어탱크가 내측에 설치된 기포발생장치인 케이스(2)를 다수개 설치하는 구조에 의하여 비교적 큰 공간을 차지하게 되며, 상기 캐비닛(1) 제작등에 의하여 생산비가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에어탱크와 에어펌프의 조립체를 별도로 제작하는 것에 의하여 제작공정의 증가와 재료 손실에 의한 생산비가 증가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펌프와 연결되는 배관작업과 배선작업이 비교적 복잡하게 되어서, 설치 및 보수작업이 난해하게 된다.
상기 열거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수개의 기포발생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공간활용을 극대화 하며 제작공정 감소등에 의하여 생산비를 절감하게 되고 단순화된 구조에 의하여 배관작업과 배선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정화조용 기포발생장치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정화조용 기포발생장치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정화조용 기포발생장치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이 결합된 상태를 보이는 도면.
도 4는 도 1에서 공기토출구의 연결배관소켓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서 다리부재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에서 에어탱크부재 상측에 에어펌프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정화조용 기포발생장치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케이싱부재 11 : 저면부
12 : 공기토출구 13 : 연결배관소켓
14 : 공기흡입구 15 : 에어관로
16: 고정바 17 : 전면체결바
18 : 연결관 20 : 에어탱크부재
22 : 장착판 24 : 공간부
26 : 배관 28 : 고정돌기
30 : 에어펌프부재 32 : 에어펌프
34 : 송출구 40 : 상부에어공급부
42 : 에어관로 44 : 연결구
46 : 상부체결바 48 : 상측통공
50 : 필터 52 : 상부커버
54 : 상부체결노브 60 : 다리부재
61 : 상부고정부 62 : 결착면
63 : 안내홈 64 : 체결홈
65 : 볼트 66 : 너트
70 : 보조케이스 72 : 관리기
74 : 누전차단기 76 : 전면체결노브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저면부에 공기흡입구와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싱부재와, 상기 케이싱부재의 내측에는 구획된 독립적인 공간부가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독립된 공간부 별로 상기 공기토출구와 연결되는 배관이 설치되는 에어탱크부재와, 상기 에어탱크부재의 독립된 공간부와 대응하는 갯수의 에어펌프가 상기 에어탱크부재의 상측에 장착된 에어펌프부재와, 상기 에어펌프부재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싱부재의 공기흡입구와 연결된 에어관로가 일측에 연결되며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에어펌프부재로 이송되기 위하여 일측에는 상측통공이 형성된 상부에어공급부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싱부재 하측면에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돌기형상의 상부고정부가 형성된 다리부재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부재의 전면에는 착탈가능한 보조케이스가 설치되며 상기 보조케이스 내측에는 상기 에어펌프부재를 제어하기 위한 관리기와 전기회로의 누전을 차단하기 위한 누전차단기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토출구의 연결배관소켓이 상기 케이싱부재 내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탱크부재와 상기 에어펌프부재는 횡측으로 하나 이상의 열로 배열 설치되며 종측으로는 한층 이상의 층으로 배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다수개의 에어탱크와 에어펌프를 이용한 정화조용 기포발생장치를 별도의 보관장소 없이 일체로 구성하게 되어 공간활용을 극대화 하게되며 생산비를 절감하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정화조용 기포발생장치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이 결합된 상태를 보이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1에서 공기토출구의 연결배관소켓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1에서 다리부재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1에서 에어탱크부재 상측에 에어펌프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정화조용 기포발생장치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케이싱부재(10)의 저면부(11)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공기토출구(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토출구(12)의 내측에는 연결배관소켓(13)이 설치된다.
상기 연결배관소켓(13)은 상기 저면부(11)와 접하여 케이싱부재(10) 내측에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운반등에 있어서 외부 충돌에 의하여 상기 연결배관소켓(13)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저면부(11)의 또 다른 일측에는 공기흡입구(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흡입구(14)는 파이프 형상의 에어관로(15)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에서 공기흡입구(14)가 하측을 향한 저면부(11)에 형성된 것에 의하여 비교적 저온의 찬공기가 상기 공급흡입구(14)로 유입되며, 빗물등이 상기 공기흡입구(14)로 유입될 가능성이 적어지게 되어 습기방지의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저면부(11)에는 상측으로 통공이 형성된 고정바(16)가 소정 갯수 설치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부재(10) 전면에는 전면체결바(17)가 전면으로 돌출 형성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토출구(12)를 통하여 케이싱부재(10) 내측에 있는 연결배관소켓(13)에 연결되어 공기를 이송하기 위한 연결관(18)이 상기 공기토출구(12)와 대응하는 갯수로 구비된다.
상기 고정바(16)의 상측에 설치되는 에어탱크부재(20)는 상측에 판재 형상의 장착판(22)이 구비되며, 상기 장착판(22)의 하측에는 구획되어 독립적인 공간부(24)가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공간부(24)에는 배관(26)이 설치되어 상기 공기토출구(12)와 연결된 연결배관소켓(13)의 상단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판(22) 하측에는 고무재질로 되어 있는 고정돌기(28)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고정바(16)의 내측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에어탱크부재(20)가 케이싱부재(10) 내측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에어탱크부재(20)의 장착판(22) 상측에 설치되는 에어펌프부재(30)는 상기 공간부(24)의 갯수대로 에어펌프(32)가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에어펌프(32)와 공간부(24)는 송출구(34)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에어펌프(32)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에어공급부(40)는 상기 공기흡입구(14)와 연결된 에어관로(15)와 연결되기 위한 별도의 에어관로(42)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에어관로(42) 상측에는 연결구(4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에어공급부(40)의 중앙측에는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부체결바(46)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에어공급부(40)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에어펌프부재(30)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상측통공(48)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구(44)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50)는 상기 연결구(44)와 상측통공(48)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부커버(52)는 상부체결노브(54)에 의하여 상부체결바(46)에 고정된다.
상기 케이싱부재(10)의 저부면에 고정되는 다리부재(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부고정부(61)와, 상기 상부고정부(61)와 수직을 이루며 설치된 결착면(62)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고정부(61)가 삽입되기 위하여 상기 저부면의 하측에는 안내홈(6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홈(63)과 인접한 저부면의 일측과 이에 대응하는 결착면(62)의 일측에는 체결홈(64)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64)을 통하여 볼트(65)와 너트(66)가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다리부재(60)가 케이싱부재(10)의 저부면 하측에 고정된다.
상기 케이싱부재(10)의 전면에는 보조케이스(70)가 설치되며, 상기 보조케이스(70)와 상기 케이싱부재(10) 사이에는 상기 에어펌프부재(30)를 제에하기 위한 관리기(72)와 전기회로의 누전을 차단하기 위한 누전차단기(74)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보조케이스(70)는 상기 관리기(72)의 상태를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투명재질의 재료로 제조되어 전면체결바(17)에 전면체결노브(76)가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케이싱부재(10) 전면에 결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에서 케이싱부재(10)와 상부에어공급부(40)와 상부커버(52)도 투명재질로 만들수 있으며, 투명재질이 아닌 다른 유색의 합성수지 재질로도 상기 케이싱부재(10)와 상부에어공급부(40)와 상부커버(52)를 만들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탱크부재(80)의 독립된 공간부(84)가 다수개 설치되며, 상기 독립된 공간부(84)의 갯수에 대응하는 에어펌프(92)가 장착판(82)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공간부(84)와 에어펌프(92)는 송출구(94)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공간부(84)에는 외측으로 공기를 이송하기 위한 배관(86)이 설치되며, 상기 에어탱크부재(80)를 케이싱부재(10) 내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돌기(88)도 상기 에어탱크부재(80) 하측에 고정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에어탱크부재(20,80) 상측에 에어펌프(32,92)가 설치되도록 하는 기본적인 구조에서 상기 독립적인 공간부(24,84)의 갯수대로 에어펌프(32,92)를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 고안 실시예와 본 고안 다른 실시예에서는 에어탱크부재(20,80)와 상기 에어탱크부재(20,80) 상측에 고정되는 에어펌프(32,92)가 1열로 된 배열된 상태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실시예에 의한 것일 뿐, 2열이나 3열 또는 그 이상의 열로 이루어진 것도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에어탱크부재(20,80) 상측에 에어펌프(32,92)가 고정설치되는 1층 구조만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에어탱크부재 상측에 에어펌프가 고정설치되며, 다시 상기 에어펌프 상측에 에어탱크가 위치하고 다시 에어펌프가 그 상측에 고정설치되는 2층 구조나 그 이상의 복층 구조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에어탱크와 에어펌프가 배열되는 상태가 1열 뿐만 아니라 2열, 3열 또는 그 이상의 열로 이루어지며, 에어탱크 부재 상측에 에어펌프가 고정설치되어 1층을 이루는 구조도 2층이나 3층 또는 그 이상의 복층을 이루는 것에 의하여 다수개의 에어탱크와 에어펌프를 동시에 설치할 수 있게 되며 공간활용도를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정화조용 기포발생장치의 설치구조와 동작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케이싱부재(10)의 고정바(16)에 에어탱크부재(20)의 고정돌기(28)가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에어탱크부재(20)가 케이싱부재(10) 내측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고정돌기(28)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것에 의하여 상기 에어펌프부재(30)에 의하여 발생되는 진동이나 소음등을 저감시키게 된다.
상기 에어탱크부재(20)의 독립된 각각의 공간부(24)와 연결된 배관(26)은 상기 공간부(24)와 대응하는 갯수를 이루는 연결배관소켓(13)의 상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펌프(32)에서 토출된 공기는 송출구(34)에 의하여 상기 공간부(24)로 이송된다.
상기와 같은 정화조용 기포발생장치의 설치구조에서 공기의 흐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케이싱부재(10)의 저면부(11)에 형성된 공기흡입구(14)를 통하여 외측의 공기는 유입되어 에어관로(15,42)를 통하여 상측으로 이동하여 연결구(44)를 통하여 상부에어공급부(40)로 공기는 이동된다.
상기 연결구(44)를 통하여 상측으로 이송된 공기는 필터(50)를 통과하며 이물질들이 걸러지게 되며, 일측에 구비된 상측통공(48)을 통하여 에어펌프(32)로 공급된다.
상기 에어펌프(32)는 주위의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한 후에 송출구(34)를 통하여 에어탱크부재(20)의 공간부(24)로 전달하며, 에어탱크부재(20)의 공간부(24)를 지나는 공기는 배관(26)을 통하여 연결배관소켓(13)으로 전달되어 공기토출구(12)에 삽입되는 연결관(18)을 통하여 외측으로 이송되어 정화조용 탱크로 각각 전달되어 기포발생 또는 정화되지 않은 오수등을 재처리 하기위한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에어펌프부재(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관리기(72)는 고온에 의하여동작이상등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기 케이싱부재(10) 전면측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보조케이스(70)의 장착에 의하여 상기 관리기(72)가 외부 습기에 의하여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투명재질의 보조케이스(70)를 통하여 상기 관리기(72)의 조작 및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리부재(60)가 케이싱부재(10)의 저면부(11)에 고정되는 작업은 먼저 상기 안내홈(63)에 상부고정부(61)를 삽입한 후에 저면부(11)와 결착면(62)의 체결홈(64)을 연통되도록 위치하고, 볼트(65)를 상기 체결홈(64)을 통과하도록 한 후 너트(66)에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안내홈(63)의 형상은 상부고정부(61)가 삽입되었을때 상측과 측면으로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내판이 각각 설치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에어펌프(32)와 공간부(24)가 2개인 것을 실시예로 하였으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펌프(92)와 공간부(84)가 5개인 것을 실시예로 하였으며, 상기 에어펌프와 이에 대응하는 공간부가 구비되며 각각의 공간부에는 배관이 연결된 것도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정화조용 기포발생장치의 설치구조에 의하면, 단일 케이싱부재 내측에 기포발생장치인 에어탱크와 에어펌프를 다수개 설치할 수 있는 것과 관리기와 누전차단기를 상기 케이싱부재 일측에 설치할 수 있게되어 공간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게 되며 제작공정등이 감소되며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5)

  1. 저면부에 공기흡입구와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싱부재와,
    상기 케이싱부재의 내측에는 구획된 독립적인 공간부가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독립된 공간부 별로 상기 공기토출구와 연결되는 배관이 설치되는 에어탱크부재와,
    상기 에어탱크부재의 독립된 공간부와 대응하는 갯수의 에어펌프가 상기 에어탱크부재의 상측에 장착된 에어펌프부재와,
    상기 에어펌프부재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싱부재의 공기흡입구와 연결된 에어관로가 일측에 연결되며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에어펌프부재로 이송되기 위하여 일측에는 상측통공이 형성된 상부에어공급부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용 기포발생장치의 설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재 하측면에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돌기형상의 상부고정부가 구비된 다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용 기포발생장치의 설치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재의 전면에는 착탈가능한 보조케이스가 설치되며 상기 보조케이스 내측에는 상기 에어펌프부재를 제어하기 위한 관리기와 전기회로의 누전을 차단하기 위한 누전차단기가 각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용 기포발생장치의 설치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토출구의 연결배관소켓이 상기 케이싱부재 내측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용 기포발생장치의 설치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탱크부재와 상기 에어펌프부재는 횡측으로 하나 이상의 열로 배열 설치되며 종측으로는 한층 이상의 층으로 배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용 기포발생장치의 설치구조.
KR20-2003-0033322U 2003-10-24 2003-10-24 정화조용 기포발생장치의 설치구조 KR2003392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322U KR200339280Y1 (ko) 2003-10-24 2003-10-24 정화조용 기포발생장치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322U KR200339280Y1 (ko) 2003-10-24 2003-10-24 정화조용 기포발생장치의 설치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4498A Division KR20050039110A (ko) 2003-10-24 2003-10-24 정화조용 기포발생장치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9280Y1 true KR200339280Y1 (ko) 2004-01-28

Family

ID=49423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3322U KR200339280Y1 (ko) 2003-10-24 2003-10-24 정화조용 기포발생장치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928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621B1 (ko) 살균 모듈,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CN100353124C (zh) 模块型空气净化器
US7132009B2 (en) Air filter device for air exhauster
KR20080110862A (ko) 막 엘리먼트, 막 유닛 및 다단 적층 막 유닛
KR200391439Y1 (ko) 정수기의 필터 하우징용 캡
KR100722332B1 (ko) 블럭형 평막 모듈 프레임
KR0168274B1 (ko) 정수기
KR200339280Y1 (ko) 정화조용 기포발생장치의 설치구조
CA2552432C (en) Scrubber with multiple wash stages
KR20050039110A (ko) 정화조용 기포발생장치의 설치구조
KR100885513B1 (ko) 침지형 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여과막 모듈의 적층을 위한다층 구조의 여과막 모듈 가이드
JP5425394B2 (ja) 濾過モジュール、濾過モジュール積層体、および濾過装置
CN104805650A (zh) 洗衣机
CN104805652A (zh) 洗衣机
KR101979824B1 (ko) 광원 유닛 및 광원 유닛을 포함하는 유체 처리 장치
KR20030094959A (ko) 중공사 막 모듈
KR101038738B1 (ko) 정수 필터
KR100786538B1 (ko) 정수기의 필터 하우징용 캡
CN209876252U (zh) 一种用于净水机的水路切换组件
CN212327579U (zh) 前置过滤器
CN213866484U (zh) 一种电镀液智能过滤设备
KR0168276B1 (ko) 정수기의 가압펌프 고정장치
JP2009276894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CN210117246U (zh) 净饮机的排气结构和净饮机
CN115838220A (zh) 一种一体化生活污水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