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8982Y1 - 워터마크를 갖는 위조 방지용 홀로그램필름과 워터마크를식별하기 위한 필터 - Google Patents

워터마크를 갖는 위조 방지용 홀로그램필름과 워터마크를식별하기 위한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8982Y1
KR200338982Y1 KR20-2003-0034481U KR20030034481U KR200338982Y1 KR 200338982 Y1 KR200338982 Y1 KR 200338982Y1 KR 20030034481 U KR20030034481 U KR 20030034481U KR 200338982 Y1 KR200338982 Y1 KR 2003389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watermark
hologram
key
key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4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옥광호
김귀영
정일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임텍
Priority to KR20-2003-00344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89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89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89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 G06K19/1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at least one kind of marking being used for authentication, e.g. of credit or identity cards
    • G06K19/1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at least one kind of marking being used for authentication, e.g. of credit or identity cards the marking being a hologram or diffraction 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21Image watermarking
    • G06T1/0028Adaptive watermarking, e.g. Human Visual System [HVS]-based watermar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olo Graph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홀로그램의 위조 방지능력을 보다 강화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는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으며 키패턴을 갖는 필터에 의해서만 식별되는 워터마크 혹은 잠상을 소정의 부위에 인각시킨 홀로그램필름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홀로그램필름은, 소정의 패턴이 인각되는 키패턴(22), 숨기고자 하는 문자 또는 이미지에 패턴이 인각되어 형상화되며 그 패턴은 상기 키패턴과 동일한 패턴이 상기 키패턴이 인각된 위치에 대하여 일측방향으로 소정간격 어긋난 위치에 나란히 배치되도록 인각되는 패턴인 워터마크(21)와, 상기 워터마크를 제외한 부분에 패턴이 인각되어 형상화되며 그 패턴은 상기 키패턴과 동일한 패턴이 상기 키패턴이 인각된 위치에 대하여 타측방향으로 소정의 간격 어긋난 위치에 나란히 배치되도록 인각된 패턴인 배경(31)을 구비하여 상기 워터마크의 식별이 용이하지 않거나 식별되지 않도록 한 워터마크부(20)를 갖는 위조방지용 홀로그램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워터마크의 식별을 보다 어렵게 하기 위하여 대칭 키패턴, 임의패턴과 같은 스크린패턴을 부가적으로 인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위조 방지형 홀로그램필름은 스티거, 라벨, 스템핑 포일 등에 사용되어, 이들이 부착된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워터마크를 갖는 위조 방지용 홀로그램필름과 워터마크를 식별하기 위한 필터{Security Hologram Film Having Water Mark and Filter}
본 고안은 보안성이 강화된 위조 방지용 홀로그램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홀로그램이 적용되는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홀로그램의 위조 방지능력을 보다 강화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는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으며 키패턴(Key Pattern)을 갖는 필터에 의해서만 식별되는 워터마크(Water Mark) 혹은 잠상(Latent Image)을 소정의 부위에 인각시킨 홀로그램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홀로그램은 단일 파장 및 단일 주파수를 장시간 보유할 수 있으며 간섭성이 좋은 레이저빔의 위상정보가 기록되어 다양한 색상, 입체적 형상 또는 동적인 이미지가 구현된 것을 말하는 것으로, 홀로그램의 독특한 영상은 생성 및 재생과정이 광학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존의 칼라복사기 또는 정밀 스캐너에 의해 복사될 경우 그 광학적 정보의 일부만이 인쇄되는 등 복제가 쉽지 않아 각종 위조 방지의 수단으로 응용되고 있으며 각종 라벨, 스티커 및 스탬핑 포일의 형태로 제품화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엠보스드 홀로그램필름의 단면을 확대하여 홀로그램 패턴을 나타낸 것으로, 홀로그램필름(1)에는 수백∼수천 nm의 깊이(B)와 길이(A)를 갖는 sine파 형태의 미세요철로 이루어진 홀로그램 패턴이 기록된다. 즉, 홀로그램필름의 홀로그램 수용층(1) 표면에는 홀로그램 패턴이 요철형상으로 인각되며, 수용층 위에는 미세요철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의 관측이 용이하도록 Al, Ag, ZnS, ZnO, SiO2등의 금속증착층(2)이 얇게 도포되어 진다.
또한, 보다 복잡하고 입체적인 이미지를 홀로그램으로 형상화하기 위하여 도 1에서와 같은 패턴 사이사이에 미세 요철을 더 형성하거나, 정밀 엠보싱 과정을 통하여 대량 생산되는 홀로그램 스티커 또는 라벨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홀로그램 수용층(1) 상하에 점착층, 이형층, 착색층, 홀로그램 보호층 등을 추가적으로 적층한다.
홀로그램이 응용된 일례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21843호에는 "복재방지용 라벨 및 그 제조방법"이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84963호에는 "스크래치 홀로그램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한편 홀로그램의 제작은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한 앞서 설명한 엠보스드 홀로그램과 같이 홀로그램 원판의 대량 복제를 위하여 홀로그램 원판을 제작하여 그 원판의 요철을 열과 압력에 의해 홀로그램필름에 전이시키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홀로그램은 스티커, 라벨, 스탬핑 포일과 같은 형태로 상품에 부착되어 모조품 또는 복제품의 제조나 유통을 견제하는데 뛰어난 기능을 발휘하고 있으나, 종래의 홀로그램(간섭무늬)은 육안을 통한 식별이 가능하여 거의 유사하게 위조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며 이렇게 위조된 홀로그램을 일반소비자가 구별해내기는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엠보스드 타입의 홀로그램에 대한 위조 기술이 매년 고도화되고 홀로그램 재료의 입수도 쉬워져서 '언뜻 보기에 닮은' 수준의 홀로그램 라벨 또는 스티커가 위조되고 또한 실제로 간과되어 버리는 경우도 있어 왔다.
한편, 이와 같은 홀로그램의 위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홀로그램의 제작에 있어서도 점차 고도화된 기술을 사용하거나 위조가 곤란한 이미지를 인각하는 형태의 노력이 경주되고 있으나, 이는 홀로그램의 제조비용의 증가를 가져와 결국 홀로그램이 사용되는 제품의 제조단가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홀로그램의 대량생산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홀로그램이 적용된 스티커, 라벨 등은 그 자체로서 위조 가 쉽지 않아야(복제의 난이성) 할 뿐만 아니라 또한 위조된 홀로그램과 용이하게 구별될 수 있어야(식별의 용이성) 한다는 측면에서도, 복제 방지를 위한 복제 난이도의 증가는 홀로그램에 대한 비전문가가 그 진위를 확인하기 어렵게 만들고 오히려 위조된 홀로그램과 진품과의 구별을 모호하게 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00484호에는 신분증, 신용카드와 같은 플라스틱 재질의 카드표면에 직접 엠보싱을 하여 잠상문양을 형성시키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러한 잠상은 플라스틱 카드를 일정각도로 기울임에 따라 육안으로 관찰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복사가 원천적으로 방지되지 않으며, 다양한 색감과 이미지가 표현되어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는 홀로그램의 장점을 그대로 이용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홀로그램 자체에 워터마크 혹은 잠상이 형성된 홀로그램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육안으로는 식별되지 않는 워터마크 혹은 잠상을 홀로그램에 적용하여 홀로그램의 위조를 원천적으로 방지함과 아울러 이러한 워터마크는 별도의 수단에 의하여 육안으로 간단하게 확인될 수 있도록 하여 진품여부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한 홀로그램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엠보스드 홀로그램필름의 단면을 확대하여 홀로그램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마크를 갖는 홀로그램필름과 필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마크부의 키패턴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으로, 도 3a는 워터마크부에 인각된 키패턴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마크부의 워터마크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도 3의 키패턴이 인각된 워터마크부 상에 도 4의 워터마크를 인각한 것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며, 도 5b는 도 5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워터마크부에 인각되는 배경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며, 도 6b는 도 3의 키패턴이 인각된 워터마크부 상에 배경이 인각된 것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며, 도 6c는 도 6b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a는 도 5의 키패턴과 워터마크가 인각된 워터마크부 상에 도 6의 배경이인각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b는 도 7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a는 본 고안에 따른 이(異)방향 키패턴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며, 도 8b는 도 7의 키패턴과 워터마크와 배경이 인각된 워터마크부 상에 도 8a의 대칭 키패턴이 인각된 것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는 본 고안에 따른 임의패턴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며, 도 9b는 도 8b의 키패턴, 워터마크, 배경, 및 대칭 키패턴이 인각된 홀로그램필름 상에 도 9a의 임의패턴이 인각된 것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는 본 고안에 따른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b는 도 10b의 홀로그램필름 상에 도 10a의 필터를 오버랩시킴에 따라 감춰진 워터마크가 식별되는 것을 나타낸 간략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홀로그램 수용층 2: 금속 증착층
10: 홀로그램필름 20: 워터마크부
21: 워터마크 22: 키패턴
23: 명부 24: 암부
31: 배경 32: 대칭 키패턴
40: 필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위조 방지용 홀로그램필름은, 소정의 패턴이 인각되는 키패턴, 숨기고자 하는 문자 또는 이미지에 패턴이 인각되어 형상화되며, 그 패턴은 상기 키패턴과 동일한 패턴이 상기 키패턴이 인각된 위치에 대하여 일측방향으로 소정간격 어긋난 위치에 나란히 배치되도록 인각되는 패턴인 워터마크, 이 워터마크를 제외한 부분에 패턴이 인각되어 형상화되며, 그 패턴은 상기 키패턴과 동일한 패턴이 상기 키패턴이 인각된 위치에 대하여 타측방향으로 소정의 간격 어긋난 위치에 나란히 배치되도록 인각된 패턴인 배경을 구비하여 상기 워터마크의 식별이 용이하지 않거나 식별되지 않도록 한 워터마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워터마크부는 상기 키패턴과 동일한 패턴이 상기 키패턴에 대하여 회전대칭 또는 거울대칭 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인각되는 대칭 키패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워터마크부는 상기 키패턴의 패턴과 동일하지 않은 임의의 패턴이 인각되는 임의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위조 방지용 홀로그램필름은 상기한 워터마크, 배경, 임의패턴이 모두 인각되고 키패턴은 인각되지 않은 워터마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한 패턴들이 인각된 워터마크부로부터 워터마크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며, 상기 키패턴에 상응하는 패턴이 통상의 복사기기 또는 인쇄기기에 의해 인쇄된 투명필름으로 이루어진 필터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홀로그램필름은 대체로 그 두께가 얇게는 20μm이하에서 두껍게는 200 ∼ 300μm 정도를 갖는 합성 수지계 필름(예: 폴리에스터 필름)이 사용되며 이외에도, 감광판이나 금속박막 등과 같은 매체가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홀로그램은 앞서의 종래의 설명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홀로그램 수용층과 그 위에 도포된 금속증착층 상에 요철형상으로 인각됨이 일반적인데 필요에 따라 이들 필름층 상하에 홀로그램 보호층, 착색층, 이형지 등이 적층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설명에서 홀로그램필름이라 함은 홀로그램의 이미지 정보가 기록되는 매체 일반을 지칭하는 것으로 하며, 홀로그램의 간섭무늬가 엠보싱 작업을 통해 요철형상으로 인각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완제품 형태의 필름도 홀로그램필름에 해당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조 방지용 홀로그램에 대하여 살펴본다. 별도의 구분이 없는 한, 동일한 명칭은 동일 또는 그에 상당하는 부재를 지칭하며 또한 동일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한다.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워터마크를 갖는 홀로그램필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의 간섭광을 이용한 평면 또는 입체적 형상의홀로그램이 요철 인각되는 홀로그램필름의 네 귀퉁이에는 홀로그램의 보안성 강화를 위한 워터마크(21: "LIT"가 인각됨)가 인각되어 있는 워터마크부(20)가 형성된다. 이때 워터마크(21)를 포함한 홀로그램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홀로그램필름에 직접 인각되거나 또는 엠보스드 홀로그램과 같이 미리 제작된 금형을 이용하여 홀로그램필름(10)에 압력과 열을 가함으로써 엠보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홀로그램필름(10)에 인각된 워터마크(21)는 스크린패턴에 의해 가려져 통상적으로는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으며, 별도의 필터(40)를 워터마크부 위에 오버랩하여 워터마크(21)와의 관계에서 필터(40)의 상대적 위치를 조절함을 통하여 숨겨져 있던 워터마크(21)가 식별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필름의 워터마크부(21)에는 명부(23)와 암부(24)가 교차배열하는 키패턴(22)이 인각되어진다. 다만, 명부(23)와 암부(24)는 다양한 간섭무늬를 갖는 홀로그램 패턴을 일반화하여 설명하기 위해 도출해낸 개념으로 도 1에서의 요철형상에 있어 볼록한 부분은 밝은 부분 그리고 오목한 부분은 어두운 부분으로 홀로그램패턴을 도식화하여 설명할 수 있겠으나, 실제로도 모든 홀로그램 패턴이 이와같이 밝은 부분(명부)과 어두운 부분(암부)으로 단순하게 구분되어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보여지는 홀로그램 패턴은 인각된 홀로그램을 수만배 확대하여 보여진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키패턴(22)의 명부(23)와 암부(24)의 연장형성패턴은, 필터(40)를 이용하여 워터마크(21)를 보다 선명하게 식별하기 위해 일정한 규칙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명부(23)와 암부(24) 자체의 폭이 키패턴(22) 전체를 통하여 동일하도록 형성되도록 한다. 즉 키패턴 특정부분의 명암부(23, 24)의 폭이 2:3 비율로 형성되었다면 키패턴 전체에 걸쳐 2:3의 비율이 유지됨이 바람직하다. 패턴은 패턴을 이루는 명부와 암부의 폭과 이들 명부와 암부가 연장형성되는(실제로 패턴이 인각되어지는 순서 혹은 방향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형태로서 파악될 수 있다.
도 3b는 도 3a의 키패턴의 특정부를 확대한 도면으로 키패턴의 패턴 형성방향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명암부(23, 24)가 연장되는 방향이 왼쪽 아래에서 오른쪽 위로 향해져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워터마크(21)는 숨기고자 하는 문자 또는 이미지, 문양 등이 패턴에 의해 형상화된 것을 말하며, 키패턴(22)에서 문자("LIT") 부분만을 남기고 나머지는 패턴을 제거한 형태로 나타난다.
도 5a는 키패턴(22)이 인각된 워터마크부(20) 상에 워터마크(21)가 인각된 것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으로, 워터마크가 키패턴 상에 선명하게 나타난다.
이와 같이 키패턴(22)과 동일한 패턴을 갖는 워터마크(21)가 키패턴 상에 선명하게 나타나는 것은 워터마크(21)가 키패턴(22)에 대하여 일측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 어긋나도록 인각되기 때문이다.
즉, 도 5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워터마크(21)의 패턴은 키패턴(22)과 동일한 패턴이 키패턴이 인각된 위치에 대하여 일측방향으로 소정간격 어긋난 위치에 나란히 배치되도록 인각되며, 바람직하게는 워터마크(21)와 키패턴(22)의 패턴이 서로 겹쳐지도록 인각된다. 즉, 워터마크(21)의 패턴들이 키패턴(22)의 패턴들에 대해 각각 상측방향으로 어긋나도록 형성되어 워터마크(21)의 암부가 주위의 키패턴(22)의 암부에 비해 폭이 굵어져 전체적으로 워터마크가 선명하게 나타나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워터마크를 감추기 위하여 키패턴과 워터마크가 인각된 워터마크부 상에 인각되는 스크린 패턴들을 설명한다. 다만 앞서의 키패턴(22) 또한 엄밀하게는 워터마크(21)를 숨기기 위한 스크린패턴에 해당하는 것이다.
도 6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경(31)은 워터마크(21)와 반대로 키패턴(22)에서 워터마크 형상인 "LIT"를 이루는 패턴을 제거하여 앞서의 워터마크 부분에는 패턴이 인각되지 않고 워터마크가 인각되는 부분의 주변에만 패턴이 인각되는 형태를 하고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턴(22)위에 배경(31)이 인각되는 경우에는, 키패턴 위에 워터마크가 인각된 경우와 달리, 워터마크 부분이 주위의 배경보다 밝게 나타나며, 그 이유는 배경(31)이 키패턴(22)에 대하여 타측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 어긋나도록 인각되기 때문이다.
도 6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배경(31)은 키패턴(22)과 동일한 패턴이 키패턴이 인각된 위치에 대하여 타측방향으로 소정의 간격 어긋난 위치에 나란히 배치되도록 인각되며, 특히 그 어긋남의 정도(즉, 간격)는 도 5b에서 워터마크(21)가 키패턴(22)에 대해 어긋나는 정도와 동일한 정도로 어긋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타측방향이라 함은 앞서의 워터마크(21)가 어긋나는 방향 이외의 방향을말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배경(31)이 키패턴(22)에 대해 하측방향으로 어긋나도록 하였으며 이에 따라 배경(31)의 암부 두께가 굵어져 상대적으로 워터마크 부분이 밝게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배경(31)이 키패턴(22)과 워터마크(21)이 인각된 워터마크부(20) 상에 인각되어 지는 경우에,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터마크(21)는 미세한 윤곽만 남긴채 감추어져 쉽게 식별되지 않게 된다.
도 7b는 이렇게 워터마크(21)가 감추어지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면으로서, 워터마크(21)와 배경(31)의 패턴이 키패턴에 대하여 상하로 각각 어긋나게 인각되나 그 어긋남의 정도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조절되어 워터마크(21)와 배경(31)의 명암부(23, 24) 각각의 폭(최초 키패턴의 명암부 각각의 폭보다는 굵다)에는 별다른 차이가 발생하지 않게 되며 따라서 워터마크(21)는 쉽게 식별되지 않게 된다.
다만, 워터마크(21)의 패턴이 배경(31)의 패턴 보다 소정의 간격 위쪽에 놓여지기 때문에, 패턴을 따라 워터마크(21)의 명부를 가리는 경우에는 워터마크(21)는 완전히 암부로만 이루어진 상태가 되나 배경(31)의 명부는 완전히 가려지지 않아 워터마크(21)가 주위보다 어둡게 나타나 식별될 수 있다. 반대로, 배경(31)의 명부를 가리는 경우에는 배경은 완전히 가려져 암부로만 이루어진 상태로 되지만 워터마크(21)는 완전히 가려지지 않아 주위보다 밝게 나타나 식별 가능하게 된다. 이를 이용한 것이 후술하는 필터이다.
도 8a은 워터마크를 감추기 위한 스크린패턴들 중의 하나인 이(異)방향 키패턴을 도시한 것으로, 대칭 키패턴(32)은 키패턴(22)과 동일한 패턴이 키패턴에 대하여 회전대칭 또는 거울대칭 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인각된다. 즉, 키패턴(22)을 90°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 키패턴(22)과 동일한 패턴이 된다.
이러한 대칭 키패턴(32)은 키패턴(22)의 홀로그램패턴을 쉽게 구별할 수 없도록 한다.
도 8b는 이러한 대칭 키패턴(32)을 키패턴(22)과 워터마크(21)와 배경(31)이 인각된 워터마크부(20) 상에 인각한 것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으로, 워터마크(21)의 윤곽이 미세하게 남아 있으나 쉽게 식별되지는 않는다.
한편 워터마크부(20) 상에 남아 있는 이러한 워터마크(21)의 윤곽을 완전히 감추기 위해, 키패턴의 홀로그램패턴과 동일하지 않은 임의의 홀로그램 패턴을 갖는 임의패턴을 워터마크부(20)에 추가적으로 인각할 필요가 있다.
도 9a는 이러한 임의패턴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키패턴(22)과 달리 임의패턴의 형성방향은 좌우로 연장되는 물결무늬를 하고 있으며, 명부와 암부의 폭 또한 키패턴(22)과는 상이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도 9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앞서의 스크린패턴들에 추가적으로 임의패턴이 워터마크부(20)에 인각됨으로써 미세한 윤곽으로 남아 있던 워터마크(21)는 육안으로 전혀 식별되지 않게 된다.
도 10a는 스크린패턴들에 의해 감추어진 워터마크(21)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필터(40)를 도시한 것으로, 투명필름으로 이루어진 필터(40)에는 바람직하게는 키패턴(22)의 패턴에 상응하는 혹은 동일한 패턴이 통상의 복사기기 또는인쇄기기에 의해 명암의 선으로 복제된다.
필터(40)는 필터의 암부로 워터마크(21) 또는 배경(31)의 명부를 선택적으로 가려 워터마크(21)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0b에는, 키패턴(22) 및 워터마크(21)와 스크린패턴들이 인각된 워터마크부(21)에 필터(40)를 오버랩시켜 워터마크(21)가 암부로서 식별되도록 필터(40)의 위치가 조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필터(40)를 다시 조정하여 필터의 암부가 배경(31)의 명부를 완전히 가리도록 하는 경우에는 암부로 이루어진 배경(31) 상에 워터마크(21)가 명부로서 식별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워터마크는 키패턴과 동일한 패턴을 갖는 필터에 의하여 식별되기 때문에, 워터마크부의 키패턴과 이 워터마크부를 제외한 홀로그램필름 상의 홀로그램 패턴은 서로 동일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워터마크를 갖는 홀로그램필름의 제작과정을 살펴본다. 상기와 같은 키패턴, 워터마크 및 스크린패턴이 인각되는 워터마크부와 이 워터마크부를 제외한 부분의 홀로그램 모두(즉, 홀로그램필름 상에 인각되는 전체 홀로그램)는 그래픽 프로그램에 의해 하나의 총괄적 패턴으로 합성되어 홀로그램 원판으로 제작되며, 그 원판의 요철은 열과 압력에 의해 홀로그램필름에 전이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컴퓨터 그래픽 작업을 통하여 홀로그램필름에 전이 시키고자 하는 워터마크를 포함한 이미지를 디자인한 다음, 이 이미지를 고해상도 감광재가 도포된 유리판 위에 노광기를 이용하여 촬영함으로써 그라스 마스터(Glass Master)를 만들고, 이 그라스 마스터의 표면을 도금하여 홀로그램 원판인 니켈금형을 제작한다.
이때 그라스 마스터의 표면에 도금되는 금속은 보통 니켈을 사용하는데, 앞서의 그라스 마스터 위에 은이나 니켈을 증착하여 전도성을 부가하고 니켈도금을 200에서 300㎛정도로 하여 니켈판을 벗겨 내는 과정을 거쳐서 니켈금형이 만들어진다. 그리고 이 니켈금형의 심(Shim)을 이용하여 홀로그램필름에다 열과 압력을 가하면서 인쇄함으로써 요철형의 홀로그램패턴이 인각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터마크를 갖는 위조 방지용 홀로그램필름으로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의 키패턴이 인각되지 않은 상태의 워터마크부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워터마크부에는 앞서의 워터마크, 배경, 임의패턴이 모두 인각되나 키패턴은 인각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때에도 필터는 앞서의 키패턴이 인쇄된 투명필름이 사용된다.
앞서의 실시예에서와 다른 것은 키패턴이 워터마크부에 인각되지 않음으로 인해 필터에 의해 식별되는 워터마크의 선명도가 조금은 떨어지게 된다는 점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으로 각 구성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본 설명에서는 엠보스드 홀로그램 방식에 의해 제작된 워터마크를 갖는 홀로그램필름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에 따른 홀로그램필름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워터마크를 갖는 홀로그램필름에 의하면, 키패턴이 인각되거나 혹은 인각되지 않은 홀로그램필름의 워터마크부에 키패턴과동일한 패턴을 갖는 워터마크와 배경을 서로 소정의 간격 어긋나게 인각함으로써 워터마크가 육안으로는 쉽게 식별되지 않게 된다.
또한, 이러한 워터마크부에는 추가적인 스크린패턴들이 인각되어 워터마크의 보안성은 더욱 강화되어, 워터마크 이외의 홀로그램을 모방할 수 있다 하더라도 워터마크의 복제는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투명필름에 키패턴이 인쇄된 필터에 의해 간단하게 워터마크를 식별 수 있어 본 고안에 따른 홀로그램필름이 부착된 제품의 진품여부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소정의 패턴이 인각되는 키패턴(22);
    숨기고자 하는 문자 또는 이미지에 패턴이 인각되어 형상화되며, 그 패턴은 상기 키패턴과 동일한 패턴이 상기 키패턴이 인각된 위치에 대하여 일측방향으로 소정간격 어긋난 위치에 나란히 배치되도록 인각되는 패턴인 워터마크(21);
    상기 워터마크를 제외한 부분에 패턴이 인각되어 형상화되며, 그 패턴은 상기 키패턴과 동일한 패턴이 상기 키패턴이 인각된 위치에 대하여 타측방향으로 소정의 간격 어긋난 위치에 나란히 배치되도록 인각된 패턴인 배경(31);을 구비하여 상기 워터마크의 식별이 용이하지 않거나 식별되지 않도록 한 워터마크부(20)를 갖는 위조방지용 홀로그램필름.
  2. 제 1 항에 있어, 상기 워터마크부는,
    상기 키패턴과 동일한 패턴이 상기 키패턴에 대하여 회전대칭 또는 거울대칭 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인각되는 대칭 키패턴(32)을 포함하는 위조방지용 홀로그램필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마크부는,
    상기 키패턴의 패턴과 동일하지 않은 임의의 패턴이 인각되는 임의패턴을 포함하는 위조 방지용 홀로그램필름.
  4. 소정의 패턴으로 이루어진 키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항들의 워터마크, 배경, 임의패턴을 인각하고 상기 키패턴은 인각하지 않은 워터마크부를 구비하는 위조 방지용 홀로그램필름.
  5. 상기 항들의 워터마크와 배경을 포함하는 패턴들이 인각된 워토마크부로부터 상기 워터마크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며, 상기 키패턴에 상응하는 패턴이 통상의 복사기기 또는 인쇄기기에 의해 인쇄된 투명필름으로 이루어진 필터(40).
KR20-2003-0034481U 2003-11-04 2003-11-04 워터마크를 갖는 위조 방지용 홀로그램필름과 워터마크를식별하기 위한 필터 KR2003389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481U KR200338982Y1 (ko) 2003-11-04 2003-11-04 워터마크를 갖는 위조 방지용 홀로그램필름과 워터마크를식별하기 위한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481U KR200338982Y1 (ko) 2003-11-04 2003-11-04 워터마크를 갖는 위조 방지용 홀로그램필름과 워터마크를식별하기 위한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8982Y1 true KR200338982Y1 (ko) 2004-01-24

Family

ID=49342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481U KR200338982Y1 (ko) 2003-11-04 2003-11-04 워터마크를 갖는 위조 방지용 홀로그램필름과 워터마크를식별하기 위한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89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375B1 (ko) * 2006-03-20 2008-03-27 한국조폐공사 요판 인쇄 공정에 의해 광가변 요소가 부가된 보안도큐먼트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375B1 (ko) * 2006-03-20 2008-03-27 한국조폐공사 요판 인쇄 공정에 의해 광가변 요소가 부가된 보안도큐먼트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28086B2 (en) Articles incorporating non-continuous holographs and methods of making them
US10259252B2 (en) Security element for a security document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10252562B2 (en) Security elements and methods of their manufacture
RU2491595C2 (ru) Защитный элемент и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защитного элемента
EP1782108B1 (en) A method of creating a three-dimensional image, a diffractive element and method of creating the same
AU2001266211B2 (en) A security device
JP4930937B2 (ja) セキュリティ素子
EP1287516B1 (en) Label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JP4660187B2 (ja) 薄膜層配列を備えた光学的に変化する素子
GB2136352A (en) Hologram Devices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100033486A (ko) 진정성 탐지용 필름 소자
AU2001266211A1 (en) A security device
JP2014500811A (ja) セキュリティエレメント及びセキュリティエレメントの製造プロセス
JP2005534521A (ja) ストリップ形セキュリティー素子
KR102487148B1 (ko) 정보 기록 매체, 라벨, 카드, 및 진위 판정 방법
JP5565251B2 (ja) 個人認証媒体
KR200338982Y1 (ko) 워터마크를 갖는 위조 방지용 홀로그램필름과 워터마크를식별하기 위한 필터
KR20130010301A (ko) 다중이미지의 워터마크를 갖는 위조 방지용 홀로그램필름, 그 제조방법 및 워터마크 식별방법
JP2009037112A (ja)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2011062876A (ja) 判定セット、判定シート、潜像シート及び可視化シート
JPH09300863A (ja) 磁気カード
GB2536769A (en) Security elements and methods of their manufacture
EA019121B1 (ru) Защитная метка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аких мето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