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8282Y1 -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절첩형 통신 단말기의 힌지 조립체 - Google Patents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절첩형 통신 단말기의 힌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8282Y1
KR200338282Y1 KR20-2003-0031130U KR20030031130U KR200338282Y1 KR 200338282 Y1 KR200338282 Y1 KR 200338282Y1 KR 20030031130 U KR20030031130 U KR 20030031130U KR 200338282 Y1 KR200338282 Y1 KR 2003382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cover
fixed
housing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11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익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20-2003-00311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82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82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82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에 커버가 절첩가능하게 힌지된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본체에 커버를 절첩가능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힌지 조립체를 본체에 설치하거나 분해하고자 하는 경우 힌지 조립체의 고정캠을 하우징 내부로 눌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과 분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절첩형 통신 단말기의 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본체(10)에 대하여 커버(20)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조립체(200)로서, 상기 커버(20)에 회전불가한 상태로 삽입되는 하우징(210); 이 하우징(210)내에 회전불가하면서 축방향으로는 미끄럼운동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는 슬라이딩 캠(220); 상기 슬라이딩 캠(220)에 대향하면서 상기 단말기 본체(10)에 고정되는 고정캠(230); 상기 하우징(210)의 일측에서 상기 하우징(210) 및 슬라이딩 캠(220)의 중앙을 접동가능하게 관통하여 그 단부가 상기 고정캠(230)에 고정되며, 중간에 플랜지(242)가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240); 상기 슬라이딩 캠(220)과 상기 샤프트(240)의 플랜지(242) 사이에 개재되어 슬라이딩 캠(220)을 상기 고정캠(230)측으로 탄력지지하는 제1탄성부재(250); 상기 슬라이딩 캠(220) 반대측의 상기 하우징(220)에 안내부(214a)와 걸림부(214b)를 포함하도록 굴곡형성되는 캠홈(214); 상기 캠홈(214)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돌기(262)를 가지며, 상기 플랜지(242)를 기준으로 상기 제1탄성부재(250)의 반대측 샤프트(240)상에 접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추종편(260); 및 상기 추종편(260)을 상기 플랜지(242)측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210)의 일측 단부 내면과 상기 추종편(260) 사이에 개재되는 제2탄성부재(270)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캠(230)을 누르는 경우, 상기 샤프트(240)의 플랜지(242)가 상기 추종편(260)을 밀어, 추종편(260)의 안내돌기(262)가 상기 캠홈(214)의 안내부(214a)를 따라 이동한 후 걸림부(214b)에 걸림으로써 상기 고정캠(230)이 상기 커버(20) 안으로 진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고정캠(230)을 다시 누르는 경우, 상기 추종편(260)의 안내돌기(262)가 상기 캠홈(214)의 걸림부(214b)로부터 벗어나 안내부(214a)를 따라 후퇴함으로써 상기 고정캠(230)이 상기 커버(20) 밖으로 돌출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절첩형 통신 단말기의 힌지 조립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절첩형 통신 단말기의 힌지 조립체{Easy to place and detach hindge assembly of folding type communication terminal}
본 고안은 본체에 커버가 절첩가능하게 힌지된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본체에 커버를 절첩가능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힌지 조립체를 본체에 설치하거나 분해하고자 하는 경우 힌지 조립체의 고정캠을 하우징 내부로 눌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과 분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절첩형 통신 단말기의 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istant) 단말기 등과 같은 통신 단말기(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의 절첩형 통신 단말기는, 본체에 커버를 회동가능하게 힌지하여 커버를 회동개폐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절첩형 통신단말기의 커버 내측에는 통상적으로 대형 엘씨디(LCD) 화면이 구비되어, 상기 커버를 회동 개방시키는 경우 상기 커버 내측의 엘씨디 화면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절첩형 통신 단말기의 커버를 본체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종래의 힌지 조립체가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에 대하여 커버(20)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조립체(100)는, 상기 커버(20)에 회전불가하게 삽입되는 하우징(110)과, 이 하우징(110)내에 회전 불가하고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는 슬라이딩 캠(120)과, 이 슬라이딩 캠(120)에 대향하면서 상기 단말기 본체(10)에 고정되는 고정캠(130)과, 상기 슬라이딩 캠(120)을 상기 고정캠(130)측으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140)과,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서 하우징(110) 및 슬라이딩 캠(120)의 중앙을 회전가능하게 관통하여 그 단부가 상기 고정캠(130)에 고정되는 샤프트(150)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힌지 조립체에 있어서, 커버(20)의 개방 초기에는, 즉 커버(20)를 약간 열면, 하우징(110)과 함께 슬라이딩 캠(120)이 회전하여 본체(10)측에 고정된 고정캠(130)의 산(캠면)을 타고 넘어가려고 한다. 이러한 힘에 의해 슬라이딩 캠(120)이 후퇴하여 스프링(140)을 압축시키게 되므로, 상기 스프링(140)의 힘은 상기 슬라이딩 캠(120)의 회전 즉, 커버(20)의 회전을 방해하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커버(20)를 조금만 연 상태에서 커버(20)를 놓으면, 상기한 스프링(140)의 힘에 의하여 슬라이딩 캠(120)이 제자리로 돌아가므로 커버(20)가 저절로 닫히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20)를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슬라이딩 캠(120)이 더욱 후퇴되면서 고정캠(130)의 산을 완전히 타고 넘어가게 되고, 여기서 더욱 회전시키면 슬라이딩 캠(120)이 고정캠(130)의 다음의 산을 타고 내려오는 상태가 된다. 이때 스프링(140)은 계속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캠(120)에 힘을 가하고 있으므로, 슬라이딩 캠(120)은 다음의 산에 걸릴때까지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려고 하는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커버(20)를 소정 각도 이상 연상태에서는 커버(20)에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커버(20)는 자동적으로 계속회전하여 완전히 열리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절첩형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의 힌지 조립체는, 커버의 회동을 가능케 하면서, 커버가 일정각도 이상으로 열리거나 닫히는 경우 별도로 가해지는 힘이 없더라도 개폐동작이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커버의 개폐동작에 절도감을 주고,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준다.
그러나, 상기 힌지 조립체(100)에 있어서는, 고정캠(130)이 본체(10)에 삽입되기 위하여 커버(20)로부터 돌출되어야만 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조립과 분해가 어려워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조립 또는 분해시 본체와 커버에 손상을 주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요컨대, 힌지 조립체(100)에 커버(20)가 조립된 상태에서, 커버(20)를 본체(10)에 조립하고자 하면, 상기 고정캠(130)을 커버(20) 내측으로 밀어넣은 다음 본체(10)측의 조립용 구멍에 일치시켜야 한다.
따라서, 조립시에는 커버(20)가 본체(10)에 일치할 때까지, 그리고 분해시에는 커버(20)가 본체(10)로부터 완전히 빠질때까지, 상기 고정캠(130)을 강압적인 힘으로 계속 누르고 있어야 함으로써, 조립과 분해에 상당한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불편한 요소 때문에, 조립과 분해가 서투르거나 혹은 어느 정도 숙련된 자업자라 할지라도, 본체와 커버에 스크래치 등의 흠집을 생기게할 염려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힌지 조립체를 본체에 설치하거나 분해하고자 하는 경우 힌지 조립체의 고정캠을 하우징 내부로 눌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과 분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힌지 조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힌지 조립체를 나타내는 외관도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힌지 조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c는 도 2a의 A-A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힌지 조립체의 작동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20 : 커버
200 : 힌지 조립체 210 : 하우징
214 : 캠홈 214a : 안내부
214b : 걸림부 220 : 슬라이딩 캠
230 : 고정캠 240 : 샤프트
242 : 플랜지 250 : 제1탄성부재
260 : 추종편 262 : 안내돌기
270 : 제2탄성부재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본체에 대하여 커버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조립체로서, 상기 커버에 회전불가한 상태로 삽입되는 하우징; 이 하우징내에 회전불가하면서 축방향으로는 미끄럼운동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는 슬라이딩 캠; 상기 슬라이딩 캠에 대향하면서 상기 단말기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하우징 및 슬라이딩 캠의 중앙을 접동가능하게 관통하여 그 단부가 상기 고정캠에 고정되며, 중간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 상기 슬라이딩 캠과 상기 샤프트의 플랜지 사이에 개재되어 슬라이딩 캠을 상기 고정캠측으로 탄력지지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슬라이딩 캠 반대측의 상기 하우징에 안내부와 걸림부를 포함하도록 굴곡형성되는 캠홈; 상기 캠홈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돌기를 가지며, 상기 플랜지를 기준으로 상기 제1탄성부재의 반대측 샤프트상에 접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추종편; 및 상기 추종편을 상기 플랜지측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측 단부 내면과 상기 추종편 사이에 개재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절첩형 통신 단말기의 힌지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고정캠을 누르는 경우, 상기 샤프트의 플랜지가 상기 추종편을 밀어, 추종편의 안내돌기가 상기 캠홈의 안내부를 따라 이동한 후 걸림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고정캠이 상기 커버 안으로 진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고정캠을 다시 누르는 경우, 상기 추종편의 안내돌기가 상기 캠홈의 걸림부로부터 벗어나 안내부를 따라 후퇴함으로써 상기 고정캠이 상기 커버 밖으로 돌출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단말기의 커버를 본체에 설치하거나 분해하고자 하는 경우에, 힌지 조립체의 고정캠을 단말기 커버 내부로 진입시킨 상태에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탄성부재는, 상기 고정캠을 누르는 경우, 상기 제1탄성부재의 압축없이 제2탄성부재만이 압축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에 따른 힌지 조립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2a에는 외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b에는 통신 단말기에 설치한 상태에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c에는 도 2a의 A-A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힌지 조립체(200)는, 커버(20)에 회전불가한 상태로 삽입되는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내에 회전불가하면서 축방향으로는 미끄럼운동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는 슬라이딩 캠(220), 및 상기 슬라이딩 캠(220)에 대향하면서 상기 단말기 본체(10)에 고정되는 고정캠(23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10)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외곽이 사각단면을 가지고 있어, 이를 통하여 상기 커버(20)에 회전하지 못하는 상태로 조립된다.
상기한 하우징(210), 슬라이딩 캠(220) 및 고정캠(230)은, 앞서 도 1을 통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10) 내에는 샤프트(240)가 설치된다. 이 샤프트(240)는, 중간에 플랜지(2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210) 및 슬라이딩 캠(220)의 중앙을 접동(摺動)가능하게 즉, 회전 및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한 상태로 관통하여 그의 단부가 상기 고정캠(230)에 고정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240)는 상기 고정캠(230)에 고정핀(244)을 관통시킨 형태로 고정된다.
이러한 샤프트(240)의 플랜지(242)와 상기 슬라이딩 캠(220) 사이에는 제1탄성부재(250)가 개재된다. 이 제1탄성부재(250)는, 앞서 종래의 힌지체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상기 슬라이딩 캠(220)을 상기 고정캠(230)측으로 탄력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210)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캠(220)이 설치된 부분의반대측에는 캠홈(214)이 관통형성된다. 상기 캠홈(214)은 길이가 긴 안내부(214a)와, 상기 안내부로부터 굴곡되면서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걸림부(214b)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캠홈(214)은 상기 하우징(210)의 주된 부분으로부터 후단으로 연장되는 소직경의 연장부(212)를 형성하고, 이 연장부(212)에 상기 캠홈(214)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하우징(210)은 전체 길이에 걸쳐 동일한 단면 모양으로 구성하여도 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240)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242)를 기준으로 상기 제1탄성부재(250)가 설치된 부분의 반대측 부분에는 추종편(260)이 접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추종편(260)의 둘레 일측에는 안내돌기(262)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돌기(262)는 상기 캠홈(214)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궁극적으로 캠홈(214)을 이동하여 캠홈(214)의 걸림부(214b)에 걸려 있게 되거나, 걸림부(214b)로부터 해제되는 경우 안내부(214a)를 따라 후퇴하여 초기의 위치에 위치되게 된다.
상기 추종편(260)과 상기 하우징(210)의 일측 단부 내면 사이에는 제2탄성부재(270)가 개재된다. 상기 제2탄성부재(270)는, 상기 추종편(260)을 상기 플랜지(242)측으로 탄성지지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부재(270)는, 상기 고정캠(230)을 누르는 경우, 상기 제1탄성부재(250)의 압축없이 제2탄성부재(270)만이 압축되도록 상기 제1탄성부재(270)에 비하여 작은 탄성력을 가지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b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고정캠(230)까지 관통되는 공구 삽입공(12)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공구 삽입공(12)은 캡(14)으로 막음되어 있다. 상기 공구 삽입공(12)은 본체(10)로부터 커버(2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소정의 공구를 삽입시켜 고정캠(230)을 누르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힌지 조립체(200)를 적용한 단말기의 경우에 있어서는, 도면에 도시된 예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형태의 공구삽입공(12) 및 캡(14)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고정캠(230)을 누르는 경우, 상기 샤프트(240)의 플랜지(242)가 상기 추종편(260)을 밀어, 추종편(260)의 안내돌기(262)가 상기 캠홈(214)의 안내부(214a)를 따라 이동한 후 걸림부(214b)에 걸림으로써 상기 고정캠(230)이 상기 커버(20) 안으로 진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캠(230)을 다시 누르는 경우, 상기 추종편(260)의 안내돌기(262)가 상기 캠홈(214)의 걸림부(214b)로부터 벗어나 안내부(214a)를 따라 후퇴함으로써 상기 고정캠(230)이 상기 커버(20) 밖으로 돌출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체(10)에 대하여 커버(20)를 개폐시키는 경우에 있어서의 힌지 조립체의 동작 및 역할은 전술한 종래의 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본체(10)에 대하여 커버(20)를 회동시키는 경우 슬라이딩 캠(220)이 커버(20)에 의해 회전함과 동시에, 본체(10)측에 고정된 고정캠(230)과의 상대작용으로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탄성부재(250)를 압축시키려고 한다. 그런데, 상기 제1탄성부재(250)를 지지하는 플랜지(242)가 샤프트(240) 상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240)의 단부는 상기 고정캠(23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샤프트(240)와 플랜지(242)는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딩 캠(220)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스프링(250)이 압축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캠(220)의 회전 즉, 커버(20)의 회전을 방해하려는 힘으로 그대로 작용하게 된다.
첨부도면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힌지 조립체(200)를 커버(20)에 조립하여 본체(10)에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나, 본체(10)로부터 커버(2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 본 고안에 따른 힌지 조립체(200)의 작동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앞서 개략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힌지 조립체(200)를 커버(20)에 조립하여 본체(10)에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나, 본체(10)로부터 커버(2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고정캠(230)을 하우징(210) 즉, 커버(20) 내부로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시켜 돌출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먼저 도 3의 (가)에는 초기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에, 고정캠(230)은 하우징(210)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추종편(260)의 안내돌기(262)는 캠홈(214)의 안내부(214a) 단부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고정캠(230)을 하우징(210) 내측으로 진입시키기 위해, 상기고정캠(230)을 누르면, 고정캠(230)에 고정된 샤프트(240) 및 그의 플랜지(242)가 밀려들어가 추종편(260)을 밀게 된다. 상기 추종편(260)이 밀려들어가면 추종편(260)의 안내돌기(262)는 상기 캠홈(214)의 안내부(214a)를 따라 최대한 이동하게 되어 도 3의 (나)와 같은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캠(230)을 밀어넣는 과정에서, 상기 제1탄성부재(250)와 제2탄성부재(270)는 모두 압축력을 받게 되나, 상기 제1탄성부재(250)에 비하여 제2탄성부재(270)의 탄성력이 작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1탄성부재(250)는 압축되지 아니하고 제2탄성부재(270)만이 압축된다(도 3의 (나) 참조).
상기와 같이, 고정캠(230)을 눌러 추종편(260)의 안내돌기(262)가 캠홈(214)의 굴곡부까지 최대한 이동된 상태에서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제2탄성부재(270)의 탄성력에 의해 추종편(260)이 약간 후퇴하게 되고, 추종편(260)이 후퇴하는 과정에서 추종편(260)의 안내돌기(262)는 캠홈(214)의 걸림부(214b)로 들어가 걸리게 된다. 따라서, 고정캠(230)은 상기 하우징(210) 안쪽에 들어가 있는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고정캠(230)이 하우징(210) 안쪽에 들어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고정캠을 계속적으로 눌러주어야 하는 종래의 힌지 조립체에 비하여 조립과 분해 작업이 편리하고 용이해진다.
상기와 같이 고정캠(230)이 하우징(210) 안쪽에 들어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고정캠(230)을 돌출시켜 본체(10)측으로 삽입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캠(230)을 다시 눌렀다가 놓으면, 전술한 과정의 역순으로 동작이 이루어져 고정캠(230)이 돌출된다.
즉, 도 3의 (다)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캠(230)을 다시 누르면, 상기 추종편(260)의 안내돌기(262)가 상기 캠홈(214)의 걸림부(214b)로부터 벗어나 최대한 밀리게 되고, 이 상태에서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제2탄성부재(270)의 탄성력에 의해 추종편(260)이 후퇴하면서 그의 안내돌기(262)가 캠홈(214)의 안내부(214a)를 따라 후퇴함으로써 상기 고정캠(230)이 상기 커버(20) 밖으로 돌출되는 상태가 유지 된다.
이상에서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는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단말기의 커버를 본체에 설치하거나 분해하고자 하는 경우에, 힌지 조립체의 고정캠을 단말기 커버 내부로 진입시킨 상태에서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써, 커버와 본체의 조립과 분해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종래에는, 조립과 분해시 고정캠을 강압적인 힘으로 계속 누르고 있어야 함으로써, 조립과 분해에 상당한 불편함이 있었고, 그에 따라 작업시 본체와 커버에 스크래치 등의 흠집을 생기게 할 염려가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고정캠이 단말기 커버 내부로 진입된 상태에서 고정됨으로써, 고정캠을 계속적으로 누르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되고, 그에 따라 조립 및 분해 작업시에 수반되는 단말기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Claims (2)

  1. 본체(10)에 대하여 커버(20)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조립체(200)로서,
    상기 커버(20)에 회전불가한 상태로 삽입되는 하우징(210);
    이 하우징(210)내에 회전불가하면서 축방향으로는 미끄럼운동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는 슬라이딩 캠(220);
    상기 슬라이딩 캠(220)에 대향하면서 상기 단말기 본체(10)에 고정되는 고정캠(230);
    상기 하우징(210)의 일측에서 상기 하우징(210) 및 슬라이딩 캠(220)의 중앙을 접동가능하게 관통하여 그 단부가 상기 고정캠(230)에 고정되며, 중간에 플랜지(242)가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240);
    상기 슬라이딩 캠(220)과 상기 샤프트(240)의 플랜지(242) 사이에 개재되어 슬라이딩 캠(220)을 상기 고정캠(230)측으로 탄력지지하는 제1탄성부재(250);
    상기 슬라이딩 캠(220) 반대측의 상기 하우징(210)에 안내부(214a)와 걸림부(214b)를 포함하도록 굴곡형성되는 캠홈(214);
    상기 캠홈(214)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돌기(262)를 가지며, 상기 플랜지(242)를 기준으로 상기 제1탄성부재(250)의 반대측 샤프트(240)상에 접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추종편(260); 및
    상기 추종편(260)을 상기 플랜지(242)측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210)의일측 단부 내면과 상기 추종편(260) 사이에 개재되는 제2탄성부재(270)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캠(230)을 누르는 경우, 상기 샤프트(240)의 플랜지(242)가 상기 추종편(260)을 밀어, 추종편(260)의 안내돌기(262)가 상기 캠홈(214)의 안내부(214a)를 따라 이동한 후 걸림부(214b)에 걸림으로써 상기 고정캠(230)이 상기 커버(20) 안으로 진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고정캠(230)을 다시 누르는 경우, 상기 추종편(260)의 안내돌기(262)가 상기 캠홈(214)의 걸림부(214b)로부터 벗어나 안내부(214a)를 따라 후퇴함으로써 상기 고정캠(230)이 상기 커버(20) 밖으로 돌출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절첩형 통신 단말기의 힌지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부재(270)는, 상기 고정캠(230)을 누르는 경우, 상기 제1탄성부재(250)의 압축없이 제2탄성부재(270)만이 압축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조립체.
KR20-2003-0031130U 2003-10-02 2003-10-02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절첩형 통신 단말기의 힌지 조립체 KR2003382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130U KR200338282Y1 (ko) 2003-10-02 2003-10-02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절첩형 통신 단말기의 힌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130U KR200338282Y1 (ko) 2003-10-02 2003-10-02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절첩형 통신 단말기의 힌지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8282Y1 true KR200338282Y1 (ko) 2004-01-14

Family

ID=49342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1130U KR200338282Y1 (ko) 2003-10-02 2003-10-02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절첩형 통신 단말기의 힌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828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7062A (en) Hinge module for mounting a flip onto a portable telephone set
US7299523B2 (en) Hinge mechanism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JP3733117B2 (ja) ダンパヒンジ
US7111361B2 (en) Hinge assembly
US8240007B2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7634838B2 (en) Hinge and a mobile phone with the hinge
US7383616B2 (en)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334297B2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20060070211A1 (en) Hinge mechanism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7155780B2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20060112517A1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20060045261A1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20040237259A1 (en) Hinge assembly
US20030172495A1 (en) Flip phone having a hinge mechanism with an auto-lock function
US20100162526A1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7168136B2 (en)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6865778B2 (en) Hinge mechanism
US20090305753A1 (en) Rotary cover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110254417A1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7406343B2 (en) Hinge and mobile phone with the hinge
US20040261223A1 (en) Hinge assembly
KR200338282Y1 (ko)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절첩형 통신 단말기의 힌지 조립체
US6981296B2 (en) Hinge apparatus for mobile phones
US8078236B2 (en) Rotary cover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050138774A1 (en)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