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8279Y1 - 수문개폐기의 과부하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수문개폐기의 과부하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8279Y1
KR200338279Y1 KR20-2003-0030939U KR20030030939U KR200338279Y1 KR 200338279 Y1 KR200338279 Y1 KR 200338279Y1 KR 20030030939 U KR20030030939 U KR 20030030939U KR 200338279 Y1 KR200338279 Y1 KR 2003382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ocket
inner ring
cam
pressure regulating
r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09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복만
Original Assignee
손복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복만 filed Critical 손복만
Priority to KR20-2003-00309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82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82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82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021Screw mechanisms with means for avoiding overloa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63Finally actuated members, e.g.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16H2007/087Spr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문 개폐기의 출력축에 설치한 스프로킷과 감속기의 입력축에 설치한 스프로킷에 체인을 걸고 입력축에 설치된 스프로킷의 내측에는 내륜부와 외륜부를 두고 그 사이에 로울러 베어링과 판스프링과 브레이크 역활을 하는 라이닝과 브레이크 훨등을 구성 하여서 이물질이나 토사에 의하여 과부하가 걸리면 수문은 하강하지 않고 스프로킷만 공회전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수문 개폐기의 출력축에 설치한 스프로켓과 감속기의 입력축에 설치한 스프로켓에 체인을 걸어 구동하는 장치에 있어서, 입력축에 설치된 스프로켓의 내륜부와 외측에 위치한 외륜부 사이에 로울러 베어링과 판스프링, 캠턱으로 이루어진 역전 방지캠을 구성하고, 스프로켓의 내륜부와 외륜부 사이에 라이닝의 접지 압력을 조절해주는 압력조절판과 그 압력조절판을 지지하는 로크너트를 내륜부 외주면에 나사 체결하고 로크너트에 설치된 다수의 압력조절볼트와 압력조절판 사이에 위치한 접시스프링의 구성을 갖는 것에 있어서 압력조절판과 접시스프링의 내주면에 형성된 안내면과 내륜부 외주면의 좌, 우 일측면을 수직방향으로 절단하여 형성한 안내면이 결합하여 수문의 과부하에 의해 스프로켓이 공회전하면 압력조절판과 접시스프링이 내륜부의 외주면에서 헛도는 현상을 방지하였며,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이 외륜부와 내륜부 사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해 외륜부 일측면에 다수의 볼트로 설치된 덮개로 구성 하였으며, 내륜부 접지면에 다수의 리벳으로 설치된 라이닝과 외륜부에 다수의 볼트로 고정 설치되는 브레이크 훨을 구성하고 내륜부의압력조절판과 역전 방지캠 사이에 위치한 고정판에 라이닝을 다수의 리벳으로 고정 설치하여 이물질이나 토사에 의하여 수문에 과부하가 걸리면 수문은 하강하지 않고 스프로켓만 공회전 되도록 한 수문 개폐기의 과부하 방지장치이다.

Description

수문개폐기의 과부하 방지 장치{The device of prevention that overload switch of floodgate}
본 고안은 수문 개폐기의 과부하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자세하게는 수문 상승시에는 모터의 구동력을 로울러 베어링과 로울러 캠으로 구성된 클러치에 의하여 수문을 상승시키며, 수문을 닫을 때에는 스프로킷에 부착된 접시스프링과 압력조절판의 압력을 받고 있는 압지륜과 내륜부에 부착된 라이닝과 브레이크 훨이 압지하고 있는 라이닝의 마찰력에 의하여 평상시에는 축과 일체하여 구동하다 이물질이나 토사에 의하여 과부하가 걸리면 수문은 하강하지 않고 스프로킷에 삽입되어 있는 축만 공회전 하고 스프로켓은 정지 되도록 구성한 수문 개폐기의 과부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수문 개폐기(10)의 출력축(11)에 설치한 스프로켓(12)과 감속기(13)의 입력축(14)에 설치한 스프로켓(12a)에 체인(15)을 걸어 설치한 것에 있어서 입력축(14)에 설치한 스프로켓(12a)의 내측에 내륜(20)과 외륜(21) 사이에 로울러 베어링(22)과 로울러 캠(23)을 교호로 설치한 역전방지장치(24)를 설치하여 스프로켓(12a)에 볼트(25)로 고정시켜 역전을 방지시키고, 스프로켓(12a)의 외측에는 브레이크 패드(30)와 O 링(31)을 설치하고 그 외측에 압지륜(32)을 설치하여 테이퍼진 원판스프링(33)을 설치한 다음 로크너트(34)로 나사물림시켜 조이거나, 풀어 주어 압지륜(32)이 압지하고 있는 브레이크 패드(30)의 마찰력을 조절하면서 수문을 서서히 하강시키게 하기 위한 것이었으나, 라이닝(30)과 압지륜(32)이 별도의 구성 없이 원형축으로 구성되어 있고, 로크너트(34)도 입력축(14)에 고정되어 있어 회전과 정지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로크너트(34)에 생기는 충격에 의해 로크너트(34)가 풀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라이닝(30)과 압지륜(32)의 마찰력이 감소하고 정상 작동시 압지륜(32)과 브레이크 패드(30)가 헛도는 현상이 생겨 그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적게 하기 위하여 수문 개폐기의 출력축에 설치한 스프로킷과 감속기의 입력축에 설치된 스프로켓의 내륜부와 외측에 위치한 외륜부 사이에 로울러 베어링과 판스프링, 캠턱으로 이루어진 역전 방지 캠을 구성하였고, 스프로켓의 내륜부와 외륜부 사이에 라이닝의 접지 압력을 조절해주는 압력조절판과 그 압력조절판을 지지하는 로크너트와 로크너트의 원주를 중심으로 설치된 다수의 압력조절볼트와 압력조절판 사이에 위치한 접시스프링의 구성을 갖는 것에서 압력조절판과 접시스프링의 내주면에 형성된 키면과 내륜부 외주면의 좌,우 일측면을 수직방향으로 절단하여 형성한 안내면을 형성하였으며, 내륜부의 접지면에 라이닝을 리벳 고정하고 외륜부의 일측면에 브레이크 훨을 볼트 고정 하였으며, 다시 압력조절판과 역전 방지캠 사이에 고정판에 볼트 고정되는 라이닝을 구성하여 이물질이나 토사에 위해 과부하가 걸리면 수문은 하강하지 않고 스프로켓만 공회전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수문개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전체도면.
도 2 는 수문개폐기의 과부하 방지장치의 종래 기술을 나타내는 조립 단면도.
도 3 는 본 고안에 따른 수문개페기의 과부하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 은 본 고안에 따른 수문개페기의 과부하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조립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역전방지캠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면 주요부호의 설명>
10 : 수문 개폐기 11 : 출력축 13 : 감속기
14 : 출력축 40,40a : 스프로켓 41 : 외륜부
40 : 덮개 42 : 로크너트 43: 압력조절볼트
50 : 내륜부 52,61 : 라이닝 54 : 브레이크 훨 60 : 고정판 62,62' : 압력조절판 63 : 접시스프링 64 : 키면 64a : 안내면 70 : 역전 방치캠
72 : 캠돌기 73 : 판스프링 74 로울러 베어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 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스프로켓(40)의 내륜부(50)와 외측에 위치한 외륜부(41) 사이에 로울러 베어링(74)과 판스프링(73), 캠턱(71)으로 이루어진 역전 방지캠(70)을 구성하여 역전 방지캠(70)에 의해 역전을 방지 할 수 있게 하였으며, 스프로켓(40)의 내륜부(50)와 외륜부(41) 사이에 라이닝(61)의 접지 압력을 조절해주는 압력조절판(62)과 그 압력조절판(62)을 지지하는 로크너트(42)와 로크너트(42)에 설치된 압력조절볼트(43)와 압력조절판(62,62') 사이에 위치한 접시스프링(63)의 구성을 갖는 것에서 압력조절판(62,62'))과 접시스프링(63)의 내주면에 형성된 키면(64)과 내륜부(50) 외주면의 좌,우 일측면을 수직방향으로 절단하여 형성한 안내면(64a)을 형성하였으며,
상기 내륜부(50)의 접지면(51)에 라이닝(52)을 리벳(53) 고정하고 외륜부(41)의 일측면에 브레이크 훨(54)을 다수의 볼트(54a)로 고정하였으며,
상기 역전 방지캠(70)과 압력조절판(62) 사이에 고정판(60)과 라이닝(61)을 다수의 리벳(53)으로 고정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수문개폐기의 과부하 방지장치의 종래 기술을 나타내는 조립 단면도이며, 수문 개폐기(10)의 출력축(11)에 설치한 스프로켓(40a)과 감속기(13)의 입력축(14)에 설치한 스프로켓(40a)에 체인(15)을 걸어 설치한 것에 있어서 입력축(11)에 설치된 스프로켓(12)의 내측에 내륜(20)과 외륜(21) 사이에 로울러 베어링(22)과 로울러 캠(23)을 교호 된 역전 방지장치(24)를 설치하여 스프로켓(12)에 볼트(25)로 고정시켜 역전을 방지시키고, 스프로켓(12)의 외측에는 브레이크 패드(30)와 O링(32)을 설치하고 그 외측면에 압지륜(33)이 압지하고 있는 브레이크 패드(30)로 구성한 것이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수문개폐기의 과부하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스프로켓(40)의 내륜부(50)와 외측에 위치한 외륜부(41) 사이에 로울러 베어링(74)과 판스프링(73)과 캠돌기(72)와 캠돌기(72) 사이에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경사면을 갖으며서 일측 방향으로 점점 좁아지는 쐬기 형상의 캠턱(71)으로 이루어진 역전 방지캠(70)을 구성하여 로울러 베어링(74)과 캠턱(71)에 의해 역전을 방지 할 수 있게 하였으며, 캠돌기(72)와 캠돌기(72) 사이에 판스프링(73)을 구성하여 로울러 베어링(74)을 캠턱에 밀착시켜 유동하지 않게 구성하였고, 스프로켓(40)의 내륜부(50)와 외륜부(41) 사이에 라이닝(61)의 접지 압력을 조절해주는 압력조절판(62)과 그 압력조절판(62)을 지지하는 로크너트(42)를 내륜부(50)의 외주면에 나사 체결하여 구성하고 로크너트(42)에 설치된 다수의 압력조절볼트(43)와 압력조절판(62)과 압력조절판(62') 사이에 위치한 접시스프링(63)의 구성을 갖는 것에서 있어 압력조절판(62,62')과 접시스프링(63)의 내주면에 수직 방향으로 좌, 우에 키면(64)을 형성시키고, 내륜부(50) 외주면의 좌, 우 일측면을 수직방향으로 절단하여 안내면(64a)을 형성하여 내륜부(50)의 안내면(64a)을 따라 압력조절판(62,62')과 접시스프링(63)을 삽입하여 스프로켓(40)의 구동시 회전력에 위해 내륜부(50)의 외주면에서 압력조절판(62,62')과 접시스프링(63)이 헛도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내륜부(50)의 접지면(51)에 라이닝(52)을 다수의 리벳(53)으로 고정 설치하고, 외륜부(41)의 일측면에 브레이크 훨(54)을 다수의 볼트(54a)로 고정 설치하고 압력조절판(62')과 역전 방지캠(70) 사이에 고정판(60)과 라이닝(61)을 구성하여 이물질이나 토사에 의해 수문에 과부하가 걸리면 수문은 하강하지 않고 스프로켓(40)만 공회전 되도록 구성하였고, 스프로켓(40)의 일측면에 다수의 볼트(44a)로 고정되는 덮개(44)를 구성하여 외륜부(41)와 내륜부(50) 사이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게 구성한 것이다.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수문 개폐기의 과부하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조립 단면도이며, 스프로켓(40)의 내륜부(50)와 외륜부(41) 사이에 라이닝(61)의 접지 압력을 조절해주는 압력조절판(62)과 그 압력조절판(62)을 지지하는 로크너트(42)를 내륜부(50)의 외주면에 나사 체결하고, 로크너트(42)에 설치된 압력조절볼트(43)와 압력조절판(62)과 압력조절판(62') 사이에 위치한 접시스프링(63)을 구성하여 라이닝(61)과 압력조절판(62')의 접지 압력을 항시 최적의 접지 압력으로 유지 할 수 있게 하였으며, 내륜부(50)의 일측면의 접지면(51)에 라이닝(52)을 다수의 리벳(53)으로 고정 설치하고 외륜부(41)의 일측면에 브레이크 훨(54)을 구성하여 다수의 볼트(54a)로 외륜부(41)에 고정 하였으며 역전 방지캠(70)과 압력조절판(62') 사이에 고정판(60)에 라이닝(61)을 다수의 리벳(53)으로 고정한 것을 구성하여 감속기(13)에서 전달 되는 회전력을 두 곳의 라이닝(52,61)에서 분산 편중되지 않게 하여 효율적인 회전력 전달로 스프로켓(40)이 구동 할 수 있게 하였으며, 스프로켓(40)의 일측면에 다수의 볼트(44a)로 고정되는 덮개(44)를 구성하여 외륜부(41)와 내륜부(50) 사이로 이물질이나 먼지가 유입되어 오작동이 생기는 것을 방지 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역전 방지캠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외륜부(41)와 내륜부(50) 사이에 설치된 역전 방지캠(70)과 로울러 베어링(74)과 판스프링(73), 캠돌기(72), 캠턱(71)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전 방지캠(70)의 내부 원주면을 따라 다 수의 캠돌기(72)가 내륜부(50)의 외주면의 높이 만큼 원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역전 방지캠(70)의 내주면을 따라 캠돌기(72)와 캠돌기(72) 사이에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경사를 갖으며서 일측 방향으로 점점 좁아지는 쐬기 형상의 캠턱(71)이 형성되어 있고, 역전 방지캠(70) 내의 캠돌기(72)가 형성된 높이 만큼 로울러 베어링(74)의 크기가 형성되어 역전 방지캠(70)의 내주면과 내륜부(50)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되어 역전시 로울러 베어링(74)이 캠턱(71)에 걸려 역전을 방지 하게 구성 한 것이다. 또한 캠돌기(72)와 캠돌기(72) 사이에 판스프링(73)을 구성하여 로울러 베어링(74)을 캠턱(71)에 밀차시켜 유동하지 않게 구성한 것이다.
본 고안은 수문 개폐기(10)의 출력축(11)에 설치한 스프로켓(40)과 감속기(13)의 입력축(14)에 설치한 스프로켓(40a)에 체인(15)을 걸어 구동하는 장치에 있어서, 입력축(11)에 설치된 스프로켓(40)의 내륜부(50)와 외측에 위치한 외륜부(41) 사이에 로울러 베어링(74)과 판스프링(73), 캠턱(71), 캠돌기(72)로 이루어진 역전 방지캠(70)으로 구성되어 역전을 방지 할 수 있게 하였으며,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이 외륜부(41)와 내륜부(50) 사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해 외륜부(41) 일측면에 다수의 볼트(44a)로 설치된 덮개(44)를 구성하였고, 스프로켓(40)의 내륜부(50)와 외륜부(41) 사이에 라이닝(63)의 접지 압력을 조절해주는 압력조절판(62,62')과 압력조절판(62)을 지지하는 로크너트(42)를 내륜부(50)의 외주면에 나사 체결하고 로크너트(42)에 설치된 압력조절볼트(43)와 압력조절판(62,62') 사이에 위치한 접시스프링(63)의 구성을 갖는 것에서 압력조절판(62,62')과 접시스프링(63)의 내주면에 형성된 키면(64)과 내륜부(50) 외주면의 안내면(64a)에 결합하여 수문의 과부하에 의해 발생한 압력 발생시 압력조절판(62,62')과 접시스프링(63)과 라이닝(61)이 내륜부(50)의 외주면에서 헛도는 현상을 하였으며, 또한 이물질이나 토사에 의하여 수문에 과부하가 걸리면 수문은 하강하지 않고 스프로켓(40)만 공회전 되도록 하여 고장률을 극히 적게 하고 동력전달을 극대화 한 것이다.

Claims (3)

  1. 수문 개폐기(10)의 출력축(11)에 설치한 스프로켓(40a)과 감속기(13)의 입력축(14)에 설치한 스프로켓(40)에 체인(15)을 걸어 구동하는 장치에 있어서, 입력축(14)에 설치된 스프로켓(40)의 내륜부(50)와 외측에 위치한 외륜부(41) 사이에 로울러 베어링(74)과 판스프링(73)과 판스프링(73)을 지지할 수 있는 다수의 캠돌기(72)를 역전 방지캠(70)의 내주면에서 내주면 중심으로 돌출 형성 한 것과, 캠돌기(72)와 캠돌기(72) 사이에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경사면을 갖으며서 일측 방향으로 점점 좁아지는 쐬기 형상의 캠턱(71)을 구성한 것과, 캠턱(71)과 캠돌기(72) 사이에 로울러 베어링(74)을 구성하고 로울러 베어링(74)과 캠돌기(72) 사이에 판스프링(73)으로 구성 한 역전 방지캠(70)과 내륜부(50)의 접지면(51)에 다수의 리벳(53)으로 고정 설치된 라이닝(52)과 외륜부(41)의 일측면에 다수의 볼트(54a)로 고정 설치된 브레이크 훨(54)을 구성 한 것과, 외륜부(41)와 내륜분(50) 사이에 위치한 역전 방지캠(70)과 압력조절판(62') 사이에 고정판(60)에 라이닝(61)을 다수의 리벳(53)으로 고정되게 구성한 것과, 라이닝(61)이 구성된 면에 압력조절판(62')과 접시스프링(63)과 압력조절판(62)을 삽입하여 구성한 것과,
    상기 라이닝(61)과 압력조절판(62,62')의 압력을 조절해주는 로크너트(42)를 내륜부(50)애 나사 체결하고, 로크너트(42)의 일측면에 원주를 중심으로 다수의 압력조절볼트(43)를 삽입 구성한 것과, 상기 외륜부(41)와 내륜부(50) 사이에 구성된 것을 보호 해주는 덮개(44)가 스프로켓(40)의 일측면에 다수의 볼트(44a)에 의해설치되어 구성된 수문 개폐기의 과부하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내륜부(50)의 외주면의 좌,우 일측면을 수직절단하여 형성된 안내면(64a)과 압력조절판(62,62'), 접시스프링(63)의 내주면에 키면(64)을 좌, 우로 돌출 형성하여 압력조절판(62,62')과 접시스프링(63)의 키면(64)을 내륜부(50)의 안내면(64a)을 따라 삽입하여 스프로켓(40)의 회전력에 의해 내륜부(50)의 외주면에 삽입된 압력조절판(62,62')과 접시 스프링(63)이 헛도는 현상을 방지 하기 위해 구성한 수문 개폐기의 과부하 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외륜부(41)와 내륜부(50) 사이에 접시스프링(63)과 압력조절판(62,62')을 구성한 것에서, 내륜부(50)의 외주면에 로크너트(42)를 나사 체결하고 로크너트(42)의 일측면에 원주를 중심으로 다수의 압력조정볼트(43)를 구성하여 압력조절판(62)과 압력조절판(62') 사이에 위치한 접시스프링(63)의 압력을 조절하여 라이닝(61)의 마찰력을 조절 할 수 있게 구성한 수문 개폐기의 과부하 방지장치.
KR20-2003-0030939U 2003-10-01 2003-10-01 수문개폐기의 과부하 방지 장치 KR2003382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939U KR200338279Y1 (ko) 2003-10-01 2003-10-01 수문개폐기의 과부하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939U KR200338279Y1 (ko) 2003-10-01 2003-10-01 수문개폐기의 과부하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8279Y1 true KR200338279Y1 (ko) 2004-01-13

Family

ID=49422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939U KR200338279Y1 (ko) 2003-10-01 2003-10-01 수문개폐기의 과부하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827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484B1 (ko) 2009-02-10 2009-06-24 (주) 대유 과부하를 차단하는 수문조작용 권양기
KR101164053B1 (ko) * 2008-11-28 2012-07-18 이명우 수문 개폐기
KR200478655Y1 (ko) 2013-11-18 2015-11-02 전대희 수문의 과부하 방지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053B1 (ko) * 2008-11-28 2012-07-18 이명우 수문 개폐기
KR100904484B1 (ko) 2009-02-10 2009-06-24 (주) 대유 과부하를 차단하는 수문조작용 권양기
WO2010093154A2 (ko) * 2009-02-10 2010-08-19 주식회사 대유 과부하를 차단하는 수문조작용 권양기
WO2010093154A3 (ko) * 2009-02-10 2011-01-13 주식회사 대유 과부하를 차단하는 수문조작용 권양기
KR200478655Y1 (ko) 2013-11-18 2015-11-02 전대희 수문의 과부하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8260B1 (en) Electric fail safe valve actuator
KR102020925B1 (ko) 수동 강하제어가 가능한 수문권양기
US4793457A (en) Snap-on dust shield for automotive compessor clutch
DE3910369C2 (ko)
US20090038904A1 (en) Wedge clutch assembly
KR200338279Y1 (ko) 수문개폐기의 과부하 방지 장치
US5529157A (en) Combination brake and clutch assembly for electric motors
KR100904484B1 (ko) 과부하를 차단하는 수문조작용 권양기
CN101813146B (zh) 联轴制动限载器
EP0361030B1 (de) Reibungskupplung
US4463933A (en) Clutch/brake mechanism
KR200445977Y1 (ko) 수문 권양기의 클러치
US3095766A (en) Fan reversing mechanism
US2949979A (en) Safety brake
US3111824A (en) Torque limiting mechanism
US5752373A (en) Non-riding commercial lawn mower having an end shaft mounted clutch
CN201100339Y (zh) 通用逆向制动轮
KR200272093Y1 (ko) 수문 개폐기의 과부하 방지장치
US5101938A (en) Mechanical load brake with automatic adjustment
KR100450287B1 (ko) 권양기 과부하 방지용 안전장치
AU688350B2 (en) Manual chain block
JP6769824B2 (ja) 変速装置、ポンプ装置、排水機場
EP1422187A1 (de) Schwenkantrieb
US3382684A (en) Slip clutch
JP2000018271A (ja) トルクリミッ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