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7960Y1 - 고액분리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고액분리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7960Y1
KR200337960Y1 KR20-2003-0025533U KR20030025533U KR200337960Y1 KR 200337960 Y1 KR200337960 Y1 KR 200337960Y1 KR 20030025533 U KR20030025533 U KR 20030025533U KR 200337960 Y1 KR200337960 Y1 KR 2003379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t
sludge
liquid separation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55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유찬
Original Assignee
(주) 상원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상원이엔씨 filed Critical (주) 상원이엔씨
Priority to KR20-2003-00255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79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79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79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filtering bands or the like supported on cylinders which are impervious for filtering

Abstract

본 고안은 물리학적 오·폐수 처리에 이용되는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과장치 내부에 재질을 비스코(viscose)sk 폴리프로페놀로 하고 미세공 크기를 5~70㎛로 형성한 여과망을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설치하여 부유물질(SS) 을 여과하여 활성슬러지공법의 후처리(3차처리, 고도처리), 유분함유 오·폐수의 유수분리, 멤브레인 적용공법의 전처리로서 활용이 가능한 고액분리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액분리 여과장치{Solid Liquid Separation and Filterathion Apparatus}
본 고안은 생물학적 오폐수 처리 공법에 이용되는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과장치 내부에 재질을 비스코(viscose)sk 폴리프로페놀로 하고 미세공 크기를 5~70㎛로 형성한 여과망을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설치하여 침전수를 여과하여 침전수에 포함된 노화된 미생물이나 슬러지를 제거하는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폐수 처리 공법은 크게 물리적 처리, 화학적 처리 및 생물 학적 처리로 분류할 수 있는 것으로, 물리적처리공법은 스크린조, 침사지 등을 이용하여 화학적 반응이 전혀 일어나지 않고 단지 물리적인 작용에 의한 처리방법이고, 화학적처리공법은 중화조, 산화, 환원반응조, 응집조, 흡착탑 등을 이용하여 화학적인 반응을 주로 이용하는 방법이며, 생물학적처리공법은 활성오니조, 활성슬러지조 등의 반응 시설에 미생물을 이용하여 폐수를 처리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처리방법 중 화학약품을 사용하는 화학적 처리공법은 화학성분이 자연환경에 영향을 주는 성분이 있으므로 폐수처리를 함으로서 동반되는 다른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며, 또한 수처리에 처리비용이 높아 최근에 들어서는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처리공법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생물학적 처리공법을 이용하여 처리한 침전수는 미생물을 이용함으로 미생물의 노화에 의해 처리수가 점액성을 띠고 있고, 이러한 처리수 중 노화된 미생물 및 슬러지를 제거하기위해서 상향류 및 하향류식 모래여과기를 이용하여 처리수에 내포한 노화된 미생물 및 슬러지를 제거하였으나, 상기 모래여과기는 여과부에 일정 이상의 노화된 미생물 및 슬러지가 쌓이게되면 그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여과처리의 효율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여과장치의 여과부를 일정한 양의 처리수를 여과처리하였을 때 한번씩 여과장치내부를 역세시켜야 하는 번거러움 및 역세를 하더라도 여과장치내의 여과부가 폐색현상이 발생하여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뿐만 아니라 여과장치 내부에 설치된 여과부의 수리 및 보수유지가 어려워 수리보수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여과기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섬유유연사를 이용한 여과필터R가 개발되었으나, 이는 부유물질이 많을 경우 여과를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역세를 위한 시설이 모래여과시설과 비슷하므로 운영유지관리비용이 많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모래여과기와 선여과기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오폐수의 전처리 장치 중 스크린역할과 유수분리장치를 겸할 수 있고, 생물학적 처리과정을 거친 처리수에 내포한 노회미생물 및 슬러지를 역세 없이 연속처리가 가능하여, 3차 고도처리를 할 수 있어 직방류가 가능하며, 역삼투압(R/O), 한외여과막(U/F)의 전처리필터로도 사용가능하며, 운영유지관리가 매우 편리한 고액분리 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고액분리 여과장치의 구체적인 수단으로,
상부에 처리수가 공급되는 공급관이 설치된 공급부과, 생물학적 처리수의 노화된 미생물이나 스컴슬러지 등과 유입원수의 부유물질 및 유분을 여과하는 미세극공이 형성된 여과망이 설치된 여과부과, 상기 여과망이 권치되어 소종의 경사각을 갖는 공급롤과 수급롤이 설치된 구동부와, 상기 수급롤일측에 여과망에 의해 걸러진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슬러지제거편이 설치된 슬러지제거부와, 상기 구동부 하단에 여과망에 의해 여과처리된 방출수가 집수되는 집수부와, 상기 여과망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수심을 감지하여 구동부를 작동시켜 최적수심을 유지시키는 수심측정기와, 상기 집수부 일측에 방출수를 배출하는 배출관이 설치된 배출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여과망의 재질을 비스코나 폴리프로페놀로 형성하며; 상기 여과망의 미세공 크기를 5~70㎛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고액분리 여과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고액분리 여과장치를 도시한 일부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액분리 여과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액분리 여과장치를 도시한 작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공급부 11 : 공급관
2 : 여과부 21: 여과망
3: 구동부 31 : 공급롤
32 : 수급롤 4 : 집수부
5 : 슬러지제거부 51 : 슬러지제거편
6 : 배출부 61 : 배출관
7 : 수심측정기 8 : 모터
81 : 체인 9 : 제어판
이에,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고액분리 여과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고액분리 여과장치를 도시한 일부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액분리 여과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액분리 여과장치를 도시한 작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공급부(1)의 공급관(11)은 상단부 일측에설치되어 생물확적 수처리공정을 마친 처리수를 공급하고, 상기 공급부(1) 하단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생물학적 처리수의 노화된 미생물이나 스컴슬러지 등과 유입원수의 부유물질 및 유분을 여과하는 미세극공이 형성된 여과망(2)이 설치된 여과부(2)가 공급롤과(31)과 수급롤(32)로 이루어진 구동부(3)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3) 하단으로 여과부(2)에 의해 처리수 중 노화된 미생물이나 스컴슬러지 등과 유입원수의 부유물질 및 유분이 여과처리된 방출수가 수집되는 집수부(4)가 설치되어지며, 상기 집수부(4) 일측으로 수집된 방출수를 배출하는 배출관(61)이 설치된 배출부(6)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수심측정기(7)는 여과망(21) 상부의 수심을 감지하여 적정수심 이상일 경우 공급롤(31)과 수급롤(32)의 구동부(3)를 작동시켜 상기 여과망(2)의 슬러지를 제거하여 최적수심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여과부의 상부 일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와같이, 상기 구동부(3)의 수급롤(32) 일측에는 여과부(2)의 여과망(21)에 의해 걸러진 노화된 미생물이나 스컴슬러지 등과 유입원수의 부유물질 및 유분을 고형화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슬러지제거편(51)이 설치된 슬러지제거부(5)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3)는 일정한 수처리 후 여과망(21)을 권치하기위해서는 공급롤(31)과 수급롤(32)에 구동수단을 동시에 연결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 하게는 수급롤(32)에 구동수단인 모터(8)에 정밀도를 위해 체인벨트(81)로 동력연결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며, 상기 언급한 각,각의 구성은 유기적으로 본체 전면에 설치된 제어판(9)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구동부(3)의 공급롤(31)과 수급롤(32)의 여과부(2)의 여과망(21)이 이루는 경사각은 5~44°이루도록 설치가 가능할 것이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여과망(21)에 여과되는 노화된 미생물이나 스컴슬러지 등과 유입원수의 부유물질 및 유분을 처리하는 효율이 가장 높은 경사각은 여과부(2)의 여과망(21) 경가각을 15°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와같은, 상기 여과부(2)의 여과망(21) 제질은 제작이 용이하고 생산원가가 저렴하며 무게가 가벼운 비스코나 폴리프로페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고, 상기 여과망(21)의 미세공 크기를 5~70㎛로 형성하여 크기가 큰 일부 대장균까지도 여과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제어판(9)에 설치된 작동버튼으로 여과장치를 작동하여 먼저, 생물학적 수처리가 된 처리수가 공급부(1)의 공급관(11)을 통하여 여과부(2)의 여과망(21)에 일정량이 공급되고, 일정시간이 경과하면서 여과망(21)을 통해 여과된 방출수는 집수부(4)에 수집되고, 여과망(21)의 수심이 낮아지면 구동부(3)에서 여과망(21)을 권치하며, 상기 권치되는 여과망(21)의 끝단에 설치된 슬러지제거부(5)의 슬러지제거편(51)에 의해 여과망(21)에 의해 걸러진 고형화된 슬러지가 배출되어지는 것이며, 상기 집수부(4)에 수집된 방출수는 배출부(6)의 배출관(61)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어지는 것이다.
이와같은 처리과정을 갖기 위해서는 상기 여과부(2)의 여과망(21)이 설치된 구동부(3) 경사각 내에 공급된 처리수의 수심을 인식하는 수심측정기(7)가 설치하여, 상기 수심측정기(7)에 의해 측정된 수심의 높이를 제어판(9)으로 자료전송하면 제어판(9)에서 공급부(1)의 공급관(11)을 통해 공급되는 처리수와 구동부(3)가 작동되는 여과망(2)의 권치거리 및 집수부(4)에 수집된 방출수를 배출부(6)의 배출관(61)을 통한 배출되는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고액분리 여과장치는 생물학적 수처리된 처리수의 노화된 미생물이나 스컴슬러지 등과 유입원수의 부유물질 및 유분을 여과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공업분야의 기계류에 사용되는 제활용이 가능한 연마수나 오일 등에 포함된 찌거기나 슬러지를 여과하여 제거하는데 폭넓게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여과장치 내부에 재질을 비스코(viscose)sk 폴리프로페놀로 하고 미세공 크기를 5~70㎛로 형성한 여과망을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설치하여 부유물질(SS)을 여과할수 있어 활성슬러지공법의 후처리, 유분함유 오·폐수의 유수분리, 멤브레인 적용공법의 전처리로서 역세없이 연속처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속처리시에도 처리효율이 저하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권치되는 여과망은 설치및 교체가 편리하여 수리보수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상부에 처리수가 공급되는 공급관(11)이 설치된 공급부(1)과,
    생물학적 처리수의 노화된 미생물이나 스컴슬러지 등과 유입원수의 부유물질 및 유분을 여과하는 미세극공이 형성된 여과망(21)이 설치된 여과부(2)과
    상기 여과망(2)이 권치되어 소종의 경사각을 갖는 공급롤(31)과 수급롤(32)이 설치된 구동부(3)와,
    상기 수급롤(32)일측에 여과망에 의해 걸러진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슬러지제거편(51)이 설치된 슬러지제거부(5)와,
    상기 구동부(3) 하단에 여과망에 의해 여과처리된 방출수가 집수되는 집수부(4)와,
    상기 여과망(2)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수심을 감지하여 구동부(3)를 작동시켜 최적수심을 유지시키는 수심측정기(7)와
    상기 집수부(4) 일측에 방출수를 배출하는 배출관(61)이 설치된 배출부(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 여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망(2)의 재질을 비스코나 폴리프로페놀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 여과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망(2)의 미세공 크기를 5~70㎛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 여과장치.
KR20-2003-0025533U 2003-08-07 2003-08-07 고액분리 여과장치 KR2003379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533U KR200337960Y1 (ko) 2003-08-07 2003-08-07 고액분리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533U KR200337960Y1 (ko) 2003-08-07 2003-08-07 고액분리 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7960Y1 true KR200337960Y1 (ko) 2004-01-07

Family

ID=49422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533U KR200337960Y1 (ko) 2003-08-07 2003-08-07 고액분리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796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90070B1 (en) Dissolved-air flotation-type pretreatment apparatus
KR100521628B1 (ko) 전기탈이온 시스템을 구비한 정수기
US10722846B2 (en) Method and system for cleaning membrane filters
WO2007105851A1 (en) Water-treatment apparatus using membrane module submerged at inside of fiber filter
KR101391709B1 (ko) 공업용수로 재이용이 가능한 유화 오일폐수의 처리 방법
EP0803274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fbereitung von Filterrückspülwasser
JP4408524B2 (ja) 造水システム
CN105129969A (zh) 周边过滤出水生化沉淀池
KR100847909B1 (ko) 유해물질 및 염분을 제거하는 원심분리식 담수화장치
KR101126049B1 (ko) 전처리 및 배출수 처리가 효율적인 상수 및 하폐수 처리용 막여과 시스템
US20140311970A1 (en) Rotating drum micro-screen for primary wastewater treatment
KR20080010909A (ko) 섬유여과기 내에 침지식 분리막 모듈을 일체화한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JP2006122795A (ja) 排水処理方法
JP2003093803A (ja) 含油排水処理方法
KR100301650B1 (ko) 원추형경사판을 이용한 폐수 정화 처리장치
MX2008004820A (es) Sistema de filtro aireado sumergido y metodo que implica tratamientos especificos en etapas respectivas.
KR100352740B1 (ko) 가압부상조 및 연속식 정밀여과기를 이용한 하·폐수재이용 시스템의 전처리 방법
KR200337960Y1 (ko) 고액분리 여과장치
KR20230167258A (ko) 역세 필터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GB2366746A (en) A water purification treatment apparatus with a large pore size filter membrane unit
CN209352725U (zh) 一种煤化工废水处理装置
KR101444185B1 (ko) 금속가공 오일폐수의 처리방법
JP2001347295A (ja) 浮遊物質含有海水の浄化装置
CN108911441A (zh) 高效环保发动机废水成套处理设备
KR19990033050U (ko) 침지형 막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