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968Y1 -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968Y1
KR200336968Y1 KR20-2003-0031799U KR20030031799U KR200336968Y1 KR 200336968 Y1 KR200336968 Y1 KR 200336968Y1 KR 20030031799 U KR20030031799 U KR 20030031799U KR 200336968 Y1 KR200336968 Y1 KR 2003369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water
neck
bath
bath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17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창민
Original Assignee
서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창민 filed Critical 서창민
Priority to KR20-2003-00317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9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9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9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4Devices for impeding movement; Devices for impeding passage through fencing, e.g. hobbles or the like; Anti-kicking devices

Abstract

본 고안은 애완동물용 목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애완동물을 목욕시킬 경우 애완동물이 욕조 내에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함으로써 애완동물의 목욕을 보다 용이하게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애완동물용 목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물과 애완동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와, 라운드 홈이 마련된 욕조; 라운드 홈의 양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애완동물의 목을 고정시킬 수 있는 목 고정부재; 및 상기 목 고정부재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본 고안은 종래의 애완동물용 목욕장치들과는 달리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특히 목 고정부재를 단부가 굴곡되어 휘어진 막대모양의 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애완동물의 목이 좌ㆍ우로는 고정되지만 상ㆍ하로는 어느 정도 움직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욕조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부재와 회동부재에 설치되어 회전 가능한 물 분사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원하는 곳에 물을 공급하면서 애완동물 몸체의 모든 부위를 목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목욕장치{Bathing apparatus for pet animal}
본 고안은 애완동물용 목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애완동물의 목 부위를 거부감 없이 고정시킴으로써 애완동물을 보다 용이하게 목욕시킬 수 있는 애완동물용 목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완동물을 목욕시키기 위해서는 욕실의 욕조에 물을 채운 다음에 애완동물을 욕조에 넣고 비누로 목욕을 시키고 있지만, 애완동물이 목욕 도중에 얌전히 있지 못하고 욕실 내부를 이리저리 뛰어 다니거나 비눗물이 범벅이 된 몸을 터는 것과 같은 행동을 하기 때문에 애완동물을 목욕시키기는 매우 어려운 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함체형 목욕케이스의 내부에 회전 브러쉬, 물과 샴푸의 공급장치 및 히터장치 등을 설치하고, 애완견을 목욕케이스에 넣어 물과 샴푸를 자동적으로 공급하여 목욕을 시키는 방법이 있다. 목욕 후에는 상기 회전브러쉬로 애완견의 몸을 닦아낸 다음, 히터 장치를 이용하여 목욕케이스의 내부에서 애완동물의 피부와 털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애완동물 목욕장치는 애완동물의 목욕을 신속, 간편하게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목욕장치 가격 자체가 매우 고가일 뿐만 아니라 브러쉬의 회전을 위한 구동장치, 물과 샴푸의 공급장치 및 히터장치 등으로 인하여 목욕장치를 욕실에 설치하는 비용과 그 사용에 따른 유지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있다. 또한 이러한 목욕장치들은 애완동물들을 일정한 공간에 강제적으로 감금시키므로 애완동물들로 하여금 심한 고통 또는 학대 등의 감정을 느끼게 할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착상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특히 목 고정부재를 단부가 굴곡되어 휘어진 막대모양의 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애완동물의 목이 좌ㆍ우로는 고정되지만 상ㆍ하로는 어느 정도 움직일 수 있는 애완동물용 목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욕조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에 설치되어 회전 가능한 물 분사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원하는 곳에 물을 공급하면서 애완동물 몸체의 모든 부위를 목욕시킬 수 있는 애완동물용 목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목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애완동물용 목욕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애완동물용 목욕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애완동물용 목욕장치의 회동부재가 회동하며 물을 분사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도 1의 애완동물용 목욕장치의 배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인 애완동물용 목욕장치에 사용되는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욕조 17:라운드 홈
20:목 고정부재 21:고정수단
30:물공급 유니트 31:회동부재
35:물 분사부재 50:공급포트
70:배수구 80:연결 부재
100:애완동물용 목욕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물과 애완동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와, 라운드 홈이 마련된 욕조; 상기 라운드 홈의 양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애완동물의 목을 고정시킬 수 있는 목 고정부재; 및 상기 목 고정부재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목 고정부재는 단부가 굴곡되어 휘어진 막대 형상으로 애완동물의 목이 좌ㆍ우로는 고정되지만 상ㆍ하로는 소정 구간 움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애완동물용 목욕장치는 수용부에 물을 분사할 수 있는 물공급 유니트를 더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물공급 유니트는, 상기 욕조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중공의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 내부에 설치된 호스; 및 상기 회동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호스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부에 물을 분사할 수 있는 물 분사부재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는 회동 후 소정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물 분사부재는 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욕조는 수용된 물을 배수시킬 수 있는 배수구를 더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욕조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감지하여 외부로 표시할 수 있는 온도감지/표시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목욕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적절하게 정의되었다. 따라서, 이들의 용어나 단어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목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애완동물용 목욕장치(100)는 수용부(11)와 라운드 홈(17)이 마련된 욕조(10)와, 상기 라운드 홈(17)의 양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애완동물의 목을 고정시킬 수 있는 목 고정부재(20)와, 상기 목 고정부재(20)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21), 및 물을 욕조(10)로 분사하는 물공급 유니트(30)를 구비한다.
상기 욕조(10)는 물을 수용하는 수용부(11)와 애완동물의 목이 놓여지는 라운드 홈(17)을 구비한다. 상기 수용부(11)는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긴 장방형의 형상을 가지며, 중공(中空)인 테두리 부(13)와 바닥의 저면부(15)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공(中空)인 테두리 부(13)의 내부에는 후술할 호스(미도시)가 설치되어 물이 운반된다. 상기 저면부(15)는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소정 개수의 배수구(70)와 배수구 마개를 구비한다.
상기 라운드 홈(17) 양쪽에는 상기 애완동물의 목을 고정시킬 수 있는 목 고정부재(20)와, 상기 목 고정부재(20)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수단(21), 및 상기 목 고정부재(20)가 소정 구간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홈(23)이 구비된다.
상기 목 고정부재(20)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부가 굴곡되어 휘어진 막대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애완동물의 목이 고정될 경우에도 좌ㆍ우 방향으로는 고정이 되지만, 상ㆍ하 방향으로는 어느 정도 움직일 수 있으므로 애완동물이 느끼는 목욕에 대한 거부감, 공포감 등을 줄어들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의 도면에서는 목 고정부재(20)가 막대 형상이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의 목 고정부재, 예를 들면, 아치(arch) 형상의 부재 두개가 서로 형합하여 원을 만드는 목 고정부재도 가능하다.
상기 고정 수단(21)은, 도 3의 A-A 단면도인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경사면을 가진 2개의 블록(21a)(21b)이 경사면끼리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구조이다. 상기 2개의 블록 중 하나의 블록(21a)은 레버(21c)와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의 블록(21b)은 목 고정부재(20)에 연결된다. 상기 레버(21c)를 회전시키면 경사면을 가진 블록(21a)이 회전하면서 욕조(10)의 벽을 바이어싱하게 되어 목 고정부재(20)를 일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물공급 유니트(30)는, 욕조(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중공의 회동부재(31)와, 상기 회동부재(31) 내부의 호스(미도시), 및 상기 호스로부터 공급된 물을 수용부 및 애완동물로 분사하는 물 분사부재(35)를 구비한다. 상기 호스는 후술할 공급포트(50)에 연결되어 중공(中空)인 테두리 부(13)의 내부를 지나 물 분사부재(35)에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호스의 단부에는 물 분사부재(35)가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11) 또는 애완동물에 물을 분사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물 분사부재(35)는 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31)가 힌지축(33)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물을 분사하는 동안에 물 분사부재(35)가 회전 가능하면 원하는 방향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동부재(31)를 회전 후에 일정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힌지축(33) 둘레의 회동 부재에는 탄성 돌기를 설치하고, 수용부에는 상기 탄성돌기에 상응하는 홈을 형성한다. 또한, 힌지축(33) 둘레의 회동 부재에는 홈을 설치하고, 수용부에는 상기 홈에 상응하는 탄성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회동부재(31)가 소정 각도 회전 후 일정 위치에 고정되면 목욕 작업자는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 애완동물을 목욕시킬 수 있으므로 목욕작업이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욕조(10)의 바닥에는 슬립 방지용 지지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욕실 바닥과 욕조의 저면 사이에 공간을 유지하여 상기 배출구를 통해 물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기능도 가진다. 그리고, 배수구(70)를 통해 물이 원활히 배출되도록,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목 고정 부재(20) 쪽을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목 고정 부재(20) 쪽의 욕조(10) 바닥에 받침대(72)를 설치한다. 상기 받침대(72)는 욕조 바닥 쪽으로 회동하며 절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욕조에는 온도 감지/표시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애완동물은 의사표현이 미숙한 경우가 많으므로 물의 온도를 표시하는 상기 온도 감지/표시부재가 필요한 것이다. 상기 온도 감지/표시부재에는 통상의 전자식 온도계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온도 감지/표시부재는 상기 회동부재(31) 내에 설치된 호스에 설치된다. 욕조에 설치된 상기 온도 감지/표시부재는 욕조 물의 온도를 나타내지만, 상기 호스에 설치된 상기 온도 감지/표시부재는 공급되는 물의온도를 직접적으로 나타낸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인 애완동물용 목욕장치는, 수용부(11)에 수용되는 물에 향, 기능성 약품, 비누 또는 샴푸 등을 부가할 수 있는 보조 용기를 더 구비한다. 즉, 샤워기 호스와 공급포트(50) 사이에 보조 용기를 설치하고, 상기 보조 용기에 향, 기능성 약품, 비누 또는 샴푸 등을 투입한다. 샤워기 호스에서 공급된 물은 상기 보조 용기에서 향, 기능성 약품, 비누 또는 샴푸 등과 혼합되고, 중공부 내의 호스와 물 분사부재(35)를 통과하여 욕조로 공급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향, 기능성 약품, 비누 등을 가제 같은 헝겊으로 만든 주머니에 수납시켜 상기 보조 용기에 투입한다. 상기 보조 용기에는 향, 기능성 약품, 비누 등이 들어있는 주머니를 주입 또는 반출시킬 수 있는 뚜껑이 있는 투입구가 설치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인 애완동물용 목욕장치는, 공급포트와 샤워기 호스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연결 부재(80)를 구비한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결 부재(80)의 일단에는 샤워기 호스와의 결합을 위한 샤워기 호스 삽입홈(82)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공급포트(50)와의 결합을 위해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샤워기 호스 삽입홈(82) 둘레에는 삽입된 샤워기 호스를 바이어싱할 수 있는 바이어스 부(8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의 외주면에는 나사홈(86)이 형성되어 연결 부재(80)의 급수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뚜껑(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애완동물용 목욕장치를 이용하여 애완 동물을 목욕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애완동물을 목욕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애완동물의 목을 욕조의 라운드 홈(17)에 위치시키고, 목 고정부재(20)를 상기 애완동물의 목에 맞도록 슬라이딩 시킨 후 고정수단(21)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이어서, 물 공급 호스, 바람직하게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샤워기의 꼭지를 제거한 호스를 공급포트(50)에 연결한다. 이 때, 샤워기 호스와 공급 포트(50)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7과 같은 연결 부재(80)를 사용할 수도 있다. 물은 욕조(10) 후면에 위치한 공급포트(50)를 통해 공급되어 회동부재(31)의 내부에 설치된 호스를 통해 물 분사부재(35)로 공급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샤워기 호스와 공급포트(50) 사이에 보조 용기를 더 설치하여 욕조로 공급되는 물에 향, 기능성 약품 또는 비누 등을 혼합시킨다.
그 다음에는 상기 회동부재(31)를 힌지축(33)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애완동물을 목욕시킨다. 회동부재(31)를 회동시키면서 동시에 회동부재(31)에 설치된 물 분사부재(35)를 회전시키면 원하는 곳에 물을 공급하면서 애완동물 몸체의 모든 부위를 목욕시킬 수 있다. 또한, 회동부재(31)를 일정한 각도에 고정시키면, 목욕 작업자는 양손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신속한 목욕 작업을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온도 감지/표시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적절한 물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애완동물용 목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종래의 애완동물용 목욕장치들과 달리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특히 목 고정부재를 단부가 굴곡되어 휘어진 막대모양의 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애완동물의 목이 좌ㆍ우로는 고정되지만 상ㆍ하로는 어느 정도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애완동물의 목욕에 대한 거부감을 최소화하도록 하였다.
둘째, 욕조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에 설치되어 회전 가능한 물 분사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원하는 곳에 물을 공급하면서 애완동물 몸체의 모든 부위를 목욕시킬 수 있다.

Claims (8)

  1. 물과 애완동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와, 라운드 홈이 마련된 욕조;
    상기 라운드 홈의 양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애완동물의 목을 고정시킬 수 있는 목 고정부재; 및
    상기 목 고정부재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 고정부재는 단부가 굴곡되어 휘어진 막대 형상으로 애완동물의 목이 좌ㆍ우로는 고정되지만 상ㆍ하로는 소정 구간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물을 분사할 수 있는 물공급 유니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 유니트는,
    상기 욕조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중공의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 내부에 설치된 호스; 및
    상기 회동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호스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부에 물을 분사할 수 있는 물 분사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회동 후 소정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 분사부재는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욕조는 수용된 물을 배수시킬 수 있는 배수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욕조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감지하여 외부로 표시할 수 있는 온도감지/표시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KR20-2003-0031799U 2003-10-09 2003-10-09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KR2003369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799U KR200336968Y1 (ko) 2003-10-09 2003-10-09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799U KR200336968Y1 (ko) 2003-10-09 2003-10-09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0375A Division KR100616140B1 (ko) 2003-04-16 2003-10-09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968Y1 true KR200336968Y1 (ko) 2004-01-03

Family

ID=49341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1799U KR200336968Y1 (ko) 2003-10-09 2003-10-09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96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998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fluid handling in a shower or bath
CA2707181C (en) Portable device and process to automatically cleanse and dry pets
US5924148A (en) Automatic hand washing and drying machine
US8555819B1 (en) Pet bathing brush with hose attachment
KR102031225B1 (ko) 애완동물 목욕장치
KR101005309B1 (ko) 치료용 복합기능 좌욕기
JP2015116465A (ja) シャワー装置
KR200336968Y1 (ko)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KR100616140B1 (ko)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KR200291042Y1 (ko) 애완동물 목욕 및 건조장치
KR20040067817A (ko) 애완동물 세척장치 및 방법
KR101670013B1 (ko) 애완동물 세척 장치
KR100341002B1 (ko) 애완견 다기능 욕조기
JP4318590B2 (ja) 浴室洗浄装置
KR200318535Y1 (ko)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KR100589701B1 (ko)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KR100460591B1 (ko) 애완동물 세척장치
JP3110292U (ja) 温水散布装置
KR200345887Y1 (ko) 가정용 애완동물 샤워기, 가정용 애완동물 목욕기
KR200432203Y1 (ko) 스팀 영양세안장치
US202102149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fluid handling in a shower or bath
KR102546642B1 (ko) 반려동물 목욕 시스템
JP2004173969A (ja) 入浴・洗髪装置
JPH0363020A (ja) 自動浴槽
JP4089777B2 (ja) 自動洗髪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1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