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924Y1 - 마네킹 바디의 받침대의 조립구조 및 그 구조에 사용되는 조립부재 - Google Patents

마네킹 바디의 받침대의 조립구조 및 그 구조에 사용되는 조립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924Y1
KR200336924Y1 KR20-2003-0029858U KR20030029858U KR200336924Y1 KR 200336924 Y1 KR200336924 Y1 KR 200336924Y1 KR 20030029858 U KR20030029858 U KR 20030029858U KR 200336924 Y1 KR200336924 Y1 KR 2003369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upper plate
hollow
fixed
mannequ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98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창춘
Original Assignee
오창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창춘 filed Critical 오창춘
Priority to KR20-2003-00298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9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9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9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8/00Dummies, busts or the like, e.g. for displaying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4Stands with a central pillar, e.g. tre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A47F5/13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made of tubes or w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2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hooks or lik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네킹 바디의 받침대의 조립구조 및 그 구조에 사용 되는 조립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하측이 개방되어 있으면서 중심부에 삽입용 요부(1aa)가 형성된 고정용 통공(1a)이 형성되어 있는 상판(1)과, 상기 상판(1)의 내측 하부에 조립 고정되면서 내측 중심부에 상기 상판(1)의 삽입용 요부(1aa)가 형성된 고정용 통공(1a)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의 삽입용 요부(2da')가 형성된 고정용 통공(2da)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이 개방되어 있는 하판(2)으로 이루어진 수평부재(A)와;
상기 수평부재(A)의 상판(1)과 하판(2)의 삽입용 요부(1aa)(2da')가 각각 형성된 고정용 통공(1a)(2da)을 관통하여 상기 수평부재(A)에 고정되고, 마네킹의 지주(4)가 상측 중공부(3b)에 삽입 고정되는 수직부재(3)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은 수평부재(A)의 하판(2)에 상판(1)을 올려놓고 약간 누르기만 하면 수평부재(A)가 조립되고, 수직부재(3)를 수평부재(A)의 고정용 통공(1a)(2da)에 삽입, 관통시켜서 회전시켜주기만 하면 견고하게 조립이 완성되므로 조립, 분해가 극히 신속하면서도 간편하게 이루어지면서 조립상태가 견고하게 되고, 분해할 수 있으므로 운반 및 보관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마네킹 바디의 받침대의 조립구조 및 그 구조에 사용되는 조립부재{An Assembly Structure of Support of Mannequin Body and Assembly Members Therefor}
본 고안은 마네킹 바디의 받침대의 조립구조 및 그 구조에 사용되는 조립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네킹 바디의 지주 고정용 수직부재를 수평부재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수평부재의 상판과 하판을 원터치로 서로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간편하면서도 원활하게 조립 분해할 수 있도록 구성된 마네킹 바디의 받침대의 조립구조 및 그 구조에 사용되는 조립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네킹은 받침대의 수직부재의 중공부에 마네킹 바디의 하부에 결합된 지주가 삽입된 상태에서 의류 등을 마네킹 바디에 걸쳐 두거나 입혀서 신 상품을 널리 전시하여 수요자들로 하여금 구매욕을 끌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에 이용되었던 마네킹 바디의 받침대는 마네킹 바디의 하부에 결합된 지주가 고정되는 수직부재와 그 밑의 수평부재가 체결볼트로 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상기 수직부재를 수평부재에 결합시킬 때 체결볼트로 일일이 돌려서 결합시켜야 하므로 결합시키는 시간이 오래 걸리면서 결합시킨 후에도 사용에 의하여 점차로 체결볼트로 체결되어진 상태가 헐거워지게 되므로 이때마다 다시 체결볼트를 돌려서 조여준 후 사용하여야 하고, 목재로 일일이 제작하여야 하므로 대량 생산할 수 없고, 다양한 색상을 형성할 수 없으며 가격이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간편하고도 신속하게 조립, 분해할 수 있음면서 보관이 용이한 마네킹 바디의 받침대의 조립구조 및 그 구조에 사용되는 조립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색상으로 외관이 미려하면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마네킹 바디의 받침대의 조립구조 및 그 구조에 사용되는 조립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가격이 저렴한 마네킹 바디의 받침대의 조립구조 및 그 구조에 사용되는 조립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마네킹 바디의 받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수직부재를 분리시킨 상태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수평부재의 상판을 분리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마네킹 바디의 받침대의 저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상판 1a, 2b, 2da : 고정용 통공
2 : 하판 2aa : 탄성편
2c, 2d : 중공환형돌부 2db : 걸림용 돌편
2db' : 경사면 2e : 중량체
2g : 스토퍼 3 : 수직부재
3aa : 고정용 돌편 3aa' : 경사면
3c : 중공환형걸림용 부재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마네킹 바디 받침대의 조립구조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수평부재(A)와, 상기 수평부재(A)의 중심부에 조립되면서 마네킹 바디에 체결된 지주(4)가 삽입 고정되도록 수직방향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수직부재(3)로 이루어져서 마네킹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하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중심부에 고정용 통공(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용 통공(1a)의 주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고정용 통공(1a)이 연장되어서 형성된 삽입용 요부(1aa)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의 환형상의 측벽부(1b)의 내주면 상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용 요부(1ba)가 형성되어 있는 상협하광형상의상판(1)과, 상기 상판(1)의 내측 하부에 조립 고정되면서 내측 중심부에 상기 상판(1)의 삽입용 요부(1aa)들이 형성된 고정용 통공(1a)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의 고정용 통공(2da)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이 개방되어 있는 하판(2)으로 이루어진 수평부재(A)와;
상기 수평부재(A)의 중심부의 고정용 통공(1a)(2da)과 상기 고정용 통공(1a)(2da)의 각 삽입용 요부(1aa)(2da')를 관통하면서 상기 수평부재(A)에 고정되도록 원통형상의 하부(3a) 및 상기 원통형상의 하부(3a)의 밑부분의 외주면에 외측 방향으로 상기 수평부재(A)의 상판(1)과 하판(2)의 각 삽입용 요부(1aa)(2da')에 삽입 관통되는 고정용 돌편(3aa)들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마네킹(미도시 함)의 하부에 체결되어서 마네킹을 지지하는 지주(4)가 삽입 고정되면서 상, 하측이 개방된 수직방향의 공간부인 중공부(3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방향의 중공부(3b)내의 대략 중간부위에 상기 마네킹의 지주(4)가 삽입되어서 고정되도록 중공 환형걸림부(3c)가 형성된 수직부재(3)로 이루어져있다.
상기 하판(2)은 상기 상판(1)의 각 고정용 요부(1ba)에 각각 삽입되어서 고정되도록 환형상의 측벽부(2a)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용 탄성편(2aa)이 형성되어 있고, 중심부에 고정용 통공(2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용 통공(2b)의 직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원통형상의 상, 하측이 개방된 중공환형돌부(2c)가 상면에 수직방향인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환형돌부(2c)의 내주면의 대략 하측에 내측방향으로 중공환형돌부(2d)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중공환형돌부(2d)의 중공부인 고정용 통공(2da)의 주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고정용 통공(2da)이 연장되어서 형성된 삽입용 요부(2d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접하는 각 삽입용 요부(2da') 사이에 걸림용 돌편(2db)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걸림용 돌편(2db) 중 어느 소정의 걸림용 돌편(2db)의 저면 일측에 상기 수직부재(3)의 고정용 돌편(3aa)이 걸려서 하판(2)에 고정된 상태에서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도록 스토퍼(2g)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공환형돌부(2c)로부터 그 외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쇠 등의 무거운 중량체(2e)를 삽입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되면서, 상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환형돌부(2f)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판(1) 및 하판(2)의 각 고정용 통공(1a)(2da)에 형성된 각 삽입용 요부(1aa)(2da')는 서로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어 있고 그 개수는 네 부위에 형성된 삽입용 요부(1aa)(2da') 이외에도 그 개수를 필요에 따라 증감하여 형성하여도 된다.
상기 수직부재(3)의 하측부에 상기 상판(1)의 각 삽입용 요부(1aa)까지를 덮어서 외부로 삽입용 요부(1aa)가 보이지 않을 정도까지의 직경을 갖는 고정용 환형돌부(3d)가 형성되어서, 상판(1)의 삽입용 요부(1aa)들이 형성된 고정용 통공(1a)으로부터 그 외측의 상면에 상기 수직부재(3)의 고정용 환형돌부(3d)의 저면이 접하면서 고정용 환형돌부(3d)가 상판(1)의 상면에 걸려서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수직부재(3)의 고정용 돌편(3aa)이 하판(2)의 걸림용 돌편(2db)에 걸려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수직부재(3)와 수평부재(A)가 서로 견고하게 조립되어 있다.
상기 수직부재(3)의 환형상의 하측부(3a)에 형성된 각 고정용 돌편(3aa)은 상기 상판(1) 및 하판(2)의 각 삽입용 요부(1aa)(2da')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부재(A)의 상판(1)의 하부 내주면에 형성된 각 고정용 요부(1ba)와 상기 각 고정용 요부(1ba)에 삽입 고정되는 하판(2)의 고정용 탄성편(2aa)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그 개수는 네 부위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증감하여 형성하여도 된다.
상기 하판(2)의 측벽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각 고정용 탄성편(2aa)의 양단부는 인접하는 측벽부(2a)에 연결되어 있지 않고 상기 인접하는 측벽부(2a)와의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면서 그 상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고정용 돌편(2aa')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하판(2)의 상단부에 상판(1)의 하단부가 접하도록 올려놓고, 상판(1)을 밑으로 누르면, 하판(2)의 탄성편(2aa)이 상판(1)의 측벽부(1b)의 하부 내주면을 접하면서 상판(1)이 내려가서 고정용 돌편(2aa')의 외측으로 돌출된 거리만큼 순간적으로 각 탄성편(2aa)이 탄성에 의해서 안쪽으로 들어갔다가 다시 원위치 되면서 하판(2)의 탄성편(2aa)이 상판(1)의 측벽부(1b)의 내주면에 형성된 고정용 요부(1ba)에 삽입되어 상판(1)과 하판(2)이 원활하게 조립된다.
상기 하판(2)의 중량체(2e)가 내측 공간부에 삽입 수납되는 환형돌부(2f)는 네 부위 이외에도 그 부위를 증감하여 형성해도 된다.
상기 하판(2)의 중공환형돌부(2d)에 형성된 인접하는 삽입용 요부(2da')들사이에 형성된 각 걸림용 돌편(2db)의 저면과 수직부재(3)의 고정용 돌편(3aa)의 상면에는 서로 조립하기가 용이하면서 서로 밀착되어서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경사면(2db')(3a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부재(3)는 마네킹 바디의 하부에 체결된 지주(4)의 다각형 또는 원형 등 다양한 단면형상에 따라 수직부재(3)의 중공부(3b)의 단면형상도. 상기 지주(4)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직부재(3)의 하단부에 형성된 각 고정용 돌편(3aa)은 상기 상판(1) 및 하판(2)의 삽입용 요부(1aa)(2da')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부재(3)의 고정용 돌편(3aa)의 상면에는 상기 수평부재(A)의 하판(2)의 각 걸림용 돌편(2db)의 저면에 형성된 경사면(2db')에 수직부재(3)의 회전에 의해서 서로 접하면서 밀착되게 조립되도록 경사면(3a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부재(3)의 중공부(3b)의 소정의 부위에 형성된 중공 환형걸림부(3c)에 중공부(3b)에 삽입된 상기 마네킹 바디의 지주(4)가 걸려서 고정되며, 상기 중공 환형걸림부(3c)를 기준으로 하여 그 상측은 직경이 짧고 그 하측은 직경이 길게 형성된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판(1)의 고정용 통공(1a)과 하판(2)의 고정용 통공(2da)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면서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판(1)의 고정용 통공(1a)의 각 삽입용 요부(1aa)와 하판(2)의 각 삽입용 요부(2da')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립되어 있는 상판(1)과 하판(2)은 서로 원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상기원형상 이외의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중공환형돌부(2c) 및 환형돌부(2f)의 높이는 상판(1)의 저면에 닿지 않을 정도의 높이이다.
다음에 본 고안의 마네킹 바디의 받침대의 조립구조에 사용되는 조립부재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수평부재(A)는 하측이 개방되어 있고, 중심부에 고정용 통공(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용 통공(1a)의 주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고정용 통공(1a)이 연장되어서 형성된 삽입용 요부(1aa)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의 환형상의 측벽부(1b)의 내주면 상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용 요부(1ba)가 형성되어 있는 상협하광형상의 상판(1)과;
상기 상판(1)의 각 고정용 요부(1ba)에 각각 삽입되어서 고정되도록 환형상의 측벽부(2a)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용 탄성편(2aa)이 형성되어 있고, 중심부에 고정용 통공(2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용 통공(2b)의 직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원통형상의 상, 하측이 개방된 중공환형돌부(2c)가 상면에 수직방향인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환형돌부(2c)의 내주면의 대략 하측에 내측방향으로 중공환형돌부(2d)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환형돌부(2d)의 중공부인 고정용 통공(2da)의 주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고정용 통공(2da)이 연장되어서 형성된 삽입용 요부(2d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환형돌부(2c)로부터 그 외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쇠 등의 무거운 중량체(2e)를 삽입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되면서 상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환형돌부(2f)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이개방된 하판(2)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상판(1) 및 하판(2)의 각 고정용 통공(1a)(2da)에 형성된 각 삽입용 요부(1aa)(2da')는 서로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어 있고 그 개수는 네 부위에 형성된 삽입용 요부(1aa)(2da') 이외에도 그 개수를 필요에 따라 증감하여 형성해도 된다.
상기 수평부재(A)의 상판(1)의 하부 내주면에 형성된 각 고정용 요부(1ba)와 상기 각 고정용 요부(1ba)에 삽입 고정되는 하판(2)의 고정용 탄성편(2aa)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그 개수는 네 부위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증감하여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하판(2)의 측벽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각 고정용 탄성편(2aa)의 양단부는 인접하는 측벽부(2a)에 연결되어 있지 않고 상기 측벽부(2a)와의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면서 그 상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고정용 돌편(2aa')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하판(2)의 상단부에 상판(1)의 하단부가 접하도록 올려놓고, 상판(1)을 밑으로 누르면 하판(2)의 탄성편(2aa)이 상판(1)의 측벽부(1b)의 하부 내주면을 접하면서 상판(1)이 내려가서 고정용 돌편(2aa')의 외측으로 돌출된 거리만큼 순간적으로 탄성편(2aa)이 탄성에 의해서 안쪽으로 들어갔다가 다시 원위치 되면서 하판(2)의 탄성편(2aa)이 상판(1)의 측벽부(1b)의 내주면에 형성된 고정용 요부(1ba)에 삽입되어 상판(1)과 하판(2)의 원활하게 조립된다.
상기 하판(2)의 중량체(2e)가 내측 공간부에 삽입 수납되는 환형돌부(2f)는 네 부위 이외에도 그 부위를 증감하여 형성해도 된다.
상기 하판(2)의 중공환형돌부(2d)에 형성된 인접하는 삽입용 요부(2da') 사이에 형성된 각 걸림용 돌편(2db)의 저면과 수직부재(3)의 고정용 돌편(3aa)의 상면에는 서로 조립하기가 용이하면서 서로 밀착되어서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경사면(2db')(3a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수직부재(3)는 상기 수평부재(A)의 중심부의 고정용 통공(1a)(2da)의 각 삽입용 요부(1aa)(2da')를 관통하면서 상기 수평부재(A)에 고정되도록 환형상의 하측부(3a) 및 상기 원통형상의 하부(3a)의 밑 부분의 외주면에 외측방향으로 상기 수평부재(A)의 상판(1)과 하판(2)의 각 삽입용 요부(1aa)(2da')에 삽입 관통되는 고정용 돌편(3aa)들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마네킹(미도시함)의 하부에 체결되어서 마네킹을 지지하는 지주(4)가 삽입 고정되면서 상, 하측이 개방된 수직방향의 공간부인 중공부(3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방향의 중공부(3b) 내의 대략 중간부위에 상기 마네킹의 지주(4)가 삽입되어서 고정되도록 중공환형걸림부(3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부재(3)의 하단부에 형성된 각 고정용 돌편(3aa)은 상기 상판(1) 및 하판(2)의 삽입용 요부(1aa)(2da')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부재(3)의 고정용 돌편(3aa)의 상면에는 상기 수평부재(A)의 하판(2)의 각 걸림용 돌편(2db)의 저면에 형성된 경사면(2db')에 수직부재(3)의 회전에 의해서 서로 접하면서 밀착되게 조립되도록 경사면(3a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부재(3)는 마네킹 바디의 하부에 체결된 지주(4)의 다각형 또는 원형 등 다양한 단면형상에 따라 수직부재(3)의 중공부(3b)의 단면형상도 상기지주(4)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판(2)의 걸림용 돌편(2db)의 저면과 수직부재(3)의 고정용 돌편(3aa)의 상면에 형성된 경사면(2db')(3aa')은 서로 반대방향의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된 경사면이다.
본 고안의 마네킹 바디의 받침대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주물 등)로 제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마네킹 바디의 받침대의 조립 구조 및 그 구조에 사용되는 조립부재의 조립과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하판(2)의 상단에 상판(1)을 올려놓고 나서 상판(1)을 밑으로 누르면 하판(2)의 탄성편(2aa)이 고정용 돌편(2aa')의 외측으로 돌출하여 나온 거리만큼 순간적으로 안쪽을 향하여 휘어져 들어간 상태에서 상판(1)이 밑으로 내려간 후 하판(2)의 탄성편(2aa)의 고정용 돌편(2aa')이 상판(1)의 측벽부(1b)의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용 요부(1ba)에 삽입되어서 상판(1)과 하판(2)이 서로 조립되며, 이와 같은 동작은 순간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 다음에 수직부재(3)의 하단부에 형성된 각 고정용 돌편(3aa)들을 상기 수평부재(A)의 상판(1)의 중심부에 형성된 고정용 통공(1a)의 각 삽입용 요부(1aa)에 각각 일치시킨 후, 관통시켜서 수직부재(3)를 밑으로 내리고 다시 하판(2)의 고정용 통공(2da)의 각 삽입용 요부(2da')에 수직부재(3)의 각 고정용 돌편(3aa)들을 일치시킨 후 관통시켜서 밑으로 내리면 상기 수직부재(3)의 각 고정용 돌편(3aa)들이 하판(2)의 저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하여 나오게 된다.
그 다음으로 수직부재(3)를 화살표 방향으로 돌리면 하판(2)의 각 걸림용 돌편(2db)들의 경사면(2db')에 상기 수직부재(3)의 각 고정용 돌편(3aa) 들의 각 경사면(3aa')이 서로 밀착되게 접하면서 수직부재(3)와 수평부재(A)가 견고하게 조립이 된다.
다음에 본 고안의 마네킹 바디의 받침대를 사용할 경우에는 마네킹의 하부에 상단부가 체결된 지주(4)를 상기 수직부재(3)의 중공부(3b)에 삽입시키면 수직부재(3)의 중공부(3b)내에 형성된 중공환형 걸림부(3c)의 상면에 접촉되면서 본 고안의 받침대의 수직부재(3)의 중공부(3b)에 마네킹의 지주(4)가 삽입 고정된다.
다음에 본 고안의 마네킹 바디의 받침대의 조립 구조 및 그 구조에 사용되는 조립부재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조립과정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평부재(A)의 상판(1)의 측벽부(1b)의 내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용 요부(1ba)가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상판(1)의 각 고정용 요부(1ba)에 대응하도록 하판(2)의 측벽부(2a)에 고정용 돌편(2aa')이 각각 형성된 탄성편(2aa)들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판(2)의 상단에 상판(1)의 하단부를 접한 상태로 올려 놓여진 상태에서 상판(1)을 밑으로 누르기만 하면 상기 하판(2)의 각 탄성편(2aa)들이 순간적으로 안쪽으로 이동한 후 상판(1)의 고정용 요부(1ba)에 탄성편(2aa)의 고정용 돌편(2aa')이 삽입 고정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조립이 간편하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수평부재(A)의 상판(1)의 각 삽입용 요부(1aa)와 하판(2)의 각 삽입용 요부(2da')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또한, 하판(2)의 걸림용 돌편(2db)이 서로 인접하는 삽입용 요부(2da')의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직부재(3)를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으면서 상기 수직부재(3)를 삽입용 요부(1aa)가 형성된 고정용 통공(1a) 및 삽입용 요부(2da')가 형성된 고정용 통공(2da)에 각각 삽입, 관통시켜서 스토퍼(2g)에 수직부재(3)의 고정용 돌편(3aa)의 측부가 접할 때까지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키기만 하면 수직부재(3)의 각 고정용 돌편(3aa)의 경사면(3aa')이 하판(2)의 각 걸림용 돌편(2db)의 경사면(2db')에 서로 견고하게 밀착되면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립이 완성된 마네킹 바디의 받침대를 사용시에는 수직부재(3)의 중공부(3b)로 마네킹의 지주(4)를 삽입시키기만 하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하기에도 간편하며, 보관할 경우에는 상기 수평부재(A)에 조립되어 있는 수직부재(3)를 화살표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려서 고정용 돌편(3aa)을 상판(1) 및 하판(2)의 각 삽입용 요부(2da') 및 삽입용 요부(1aa)에 일치시킨 후 위로 빼내면 수직부재(3)가 수평부재(A)에서 분리되게 되므로 상기 분리된 수직부재(3)와 수평부재(A)를 적은공간에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운반하기에도 편리하면서 무거운 중량체(2e)가 환형돌부(2f) 내에 내장되어 있으므로 마네킹이 쓰러질 염려가 없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평부재(A)의 하판(2)에 상판(1)을 올려놓고약간 누르기만 하면 수평부재(A)가 조립되고, 수직부재(3)를 수평부재(A)의 고정용 통공(1a)(2da)에 삽입, 관통시켜서 회전시켜주기만 하면 견고하게 조립이 완성되므로 조립 및 분해가 극히 신속하면서도 간편하게 이루어지면서 조립상태가 견고하게 되고, 사출성형에 의해서 제조됨으로써 다양한 색상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고, 가격이 저렴하며 분해할 수 있으므로 운반 및 보관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하측이 개방되어 있으면서 중심부에 삽입용 요부가 형성된 고정용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내측 하부에 조립 고정되면서 내측 중심부에 상기 상판의 삽입용 요부가 형성된 고정용 통공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의 삽입용 요부가 형성된 고정용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이 개방되어 있는 하판으로 이루어진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상판과 하판의 삽입용 요부가 각각 형성된 고정용 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수평부재에 고정되고, 마네킹의 지주가 상측 중공부에 삽입 고정되는 수직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 바디의 받침대의 조립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수평부재는 하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중심부에 형성된 고정용 통공의 주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고정용 통공이 연장되어서 형성된 삽입용 요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의 환형상의 측벽부의 내주면 상측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용 요부가 형성된 상협하광형상의 상판과;
    상기 상판의 각 고정용 요부에 각각 삽입되어서 고정되도록 측벽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용 탄성편이 형성되어 있고, 중심부에 고정용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의 중심부의 고정용 통공의 직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원통형상의 상, 하측이 개방된 중공환형돌부가 상면에 수직방향인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환형돌부의 내주면의 대략 하측에 내측방향으로 중공환형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환형돌부의 중공부인 고정용 통공의 주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고정용 통공이 연장되어서 형성된 삽입용 요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접하는 각 삽입용 요부 사이에 내측 방향으로 걸림용 돌편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환형돌부로부터 그 외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쇠 등의 무거운 중량체를 삽입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되면서, 상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환형돌부들이 형성되어 있는 하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 바디의 받침대의 조립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수직부재는 상기 수평부재의 중심부의 각 고정용 통공과 상기 각 고정용 통공의 각 삽입용 요부를 관통하면서 상기 수평부재에 고정되도록 원통형상의 하부 및 상기 원통형상의 하부의 밑 부분의 외주면에 외측 방향으로 상기 수평부재의 상판과 하판의 각 삽입용 요부에 삽입 관통되어서 상기 하판의 각 걸림용 돌편들의 저부에 걸려서 고정되는 고정용 돌편들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마네킹의 하부에 체결된 지주가 삽입 고정되면서 상, 하측이 개방된 수직방향의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부내에 상기 마네킹의 지주가 삽입되어서 고정되도록 중공환형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 바디의 받침대의 조립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판의 걸림용 돌편의 상면과 수직부재의 고정용 돌편의 저면이 서로 접하여 걸려서 상기 수직부재가 수직상태로고정되도록 상기 하판의 걸림용 돌편의 저면과 수직부재의 고정용 돌편의 상면에 서로 반대방향의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된 경사면으로 각각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 바디의 받침대의 조립구조.
  5. 수평부재는 하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중심부에 고정용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용 통공의 주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고정용 통공이 연장되어서 형성된 삽입용 요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의 환형상의 측벽부의 내주면 상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용 요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각 고정용 요부에 각각 삽입되어서 고정되도록 측벽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용 탄성편이 형성되어 있고, 중심부에 고정용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의 중심부의 고정용 통공의 직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원통형상의 상, 하측이 개방된 중공환형돌부가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환형돌부의 내주면의 대략 하측에 내측방향으로 중공환형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환형돌부의 중공부인 고정용 통공의 주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고정용 통공이 연장되어서 형성된 삽입용 요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접하는 각 삽입용 요부사이에 내측방향으로 걸림용 돌편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환형돌부로부터 그 외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쇠 등의 무거운 중량체를 삽입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되면서 상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환형돌부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이 개방된 하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 바디의 받침대의 조립구조에 사용되는 조립부재.
  6. 수직부재는 상기 수평부재의 중심부의 고정용 통공과 상기 고정용 통공의 각 삽입용 요부를 관통하면서 상기 수평부재에 고정되도록 원통형상의 하부 및 상기 원통형상의 하부의 밑 부분의 외주면에 외측 방향으로 상기 수평부재의 상판과 하판의 각 삽입용 요부에 삽입 관통되어서 하판의 각 걸림용 돌편들의 저부에 걸려서 고정되는 고정용 돌편들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마네킹의 하부에 체결된 지주가 삽입 고정되면서 상, 하측이 개방된 수직방향의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부내에 상기 마네킹의 지주가 삽입되어서 고정되도록 중공환형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 바디의 받침대의 조립구조에 사용되는 조립부재.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하판의 걸림용 돌편의 상면과 수직부재의 고정용 돌편의 저면이 서로 접하여 걸려서 상기 수직부재가 수직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하판의 걸림용 돌편의 저면과 수직부재의 고정용 돌편의 상면이 서로 반대방향의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된 경사면으로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 바디의 받침대의 조립구조에 사용되는 조립부재.
KR20-2003-0029858U 2003-09-20 2003-09-20 마네킹 바디의 받침대의 조립구조 및 그 구조에 사용되는 조립부재 KR2003369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858U KR200336924Y1 (ko) 2003-09-20 2003-09-20 마네킹 바디의 받침대의 조립구조 및 그 구조에 사용되는 조립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858U KR200336924Y1 (ko) 2003-09-20 2003-09-20 마네킹 바디의 받침대의 조립구조 및 그 구조에 사용되는 조립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924Y1 true KR200336924Y1 (ko) 2003-12-31

Family

ID=49341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858U KR200336924Y1 (ko) 2003-09-20 2003-09-20 마네킹 바디의 받침대의 조립구조 및 그 구조에 사용되는 조립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92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8878B2 (en) Shelf positioning mechanism for sectional rack
US7004082B2 (en) Outdoor table, outdoor table and chair set
US4421434A (en) Clamp members
KR100544604B1 (ko) 장식판넬 고정장치
KR200455707Y1 (ko) 이동식 칸막이 구조
KR200336924Y1 (ko) 마네킹 바디의 받침대의 조립구조 및 그 구조에 사용되는 조립부재
US5865129A (en) Knock-down table
KR101287403B1 (ko) 조립식 테이블
US4045090A (en) Easy-to-assemble structure
CA1227928A (en) Display fixture
KR100345795B1 (ko) 오디오기기의장식장조립방법및오디오기기의장식장
JP3160266U (ja) 組立式置物棚
JPH0535711Y2 (ko)
KR200305777Y1 (ko) 천정몰딩부재의 조립구조
US3693823A (en) Repairable plastic and wire crate
KR200171703Y1 (ko) 철판재 파렛트용 받침구
KR200351425Y1 (ko) 선반 받침구
KR200181030Y1 (ko) 야외용테이블
KR19980056235U (ko) 조립용 진열대
KR200189744Y1 (ko) 마네킹 바디의 받침대
KR102607210B1 (ko) 강화유리가 씌워진 책상 상판
KR0121737Y1 (ko) 가로수 호울덮개의 조립식 받침블록
KR200322285Y1 (ko) 조립식 평상
JPH0246751Y2 (ko)
KR200223528Y1 (ko) 팔래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