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884Y1 - 의자 프레임의 구조 - Google Patents

의자 프레임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884Y1
KR200336884Y1 KR20-2003-0031640U KR20030031640U KR200336884Y1 KR 200336884 Y1 KR200336884 Y1 KR 200336884Y1 KR 20030031640 U KR20030031640 U KR 20030031640U KR 200336884 Y1 KR200336884 Y1 KR 2003368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haped bending
seat
chair
chai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16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목송균
Original Assignee
목송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송균 filed Critical 목송균
Priority to KR20-2003-00316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8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8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8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5/00Chairs of special materials
    • A47C5/04Metal chairs, e.g. tubular

Abstract

본 고안은 등받이와 좌판으로 이루어진 시트를 지탱해 주기 위한 프레임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제작을 간단하게 하여 작업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의자의 적층을 가능케 하여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의자 프레임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등받이 및 좌판으로 이루어진 시트와, 이 시트를 지탱하기 위해 금속재의 파이프를 벤딩하여 이루어진 의자 프레임의 구조에 있어서, 수평방향의 ㄷ자형 벤딩부 및 이 ㄷ자형 벤딩부의 끝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이어지는 S자형 벤딩부를 가지며, 이 S자형 벤딩부의 중앙부근에는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제1보강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S자형 벤딩부의 끝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이어지는 받침부 및 이들 사이를 직각으로 연결하는 제2보강틀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의자 프레임의 구조{A structure for chair frame}
본 고안은 의자 프레임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등받이와 좌판으로 이루어진 시트(seat)를 지탱해 주기 위한 프레임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제작을 간단하게 하여 작업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의자의 적층을 가능케 하여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의자 프레임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체중의 85%∼90%에 이르는 무게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인체 구조에 맞지 않으면 허리부분에 상당한 부담을 주어 허리디스크를 유발시키게 되므로, 최근에 이르러서는 인체 공학적인 디자인에 의해 이용자의 허리를 보호하고 자세를 바르게 교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의 의자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의자는, 통상 금속재나 합성수지재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그 용도에 따라 여러 형태로 제작되고 있으며, 이용자가 착석하였을 때 편안하고 안정된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통상 등받이와 좌판을 프레임에 장착한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특히, 주로 회의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의자의 경우에는, 금속 파이프를 여러번 벤딩하여 수평 및 수직 프레임을 구성하고, 이 프레임 상에 등받이와 좌판 혹은 팔걸이 등을 장착함으로써, 이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어느 정도의 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의자와 관련된 출원으로서, 예를 들면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85608호 공보(2002.07.31. 등록)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은, 금속재 파이프에 의해 등받이와 팔걸이 및 지지다리, 받침대를 벤딩하여 프레임을 구성하고, 이 프레임에 각각 한쌍씩의 보강대를 용접하여 등받이 및 좌판을 고정시켜 의자를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의자에 있어서는, 상기 등받이 및 좌석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사이에 보강대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 자체의 탄성을 기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보강대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공정을 거처야만 하므로 전반적인 생산능률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또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16000호 공보(2003.05.29. 등록)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은, 금속재 파이프에 의해 상단 및 하단 수평부와 직립부, 제1 및 제2연결봉을 벤딩하여 프레임을 구성하고, 이 제1 및 제2연결봉의 중앙부에 서로 유동이 가능한 제1 및 제2파이프를 연결하여 등받이와 좌판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시트를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의자를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및 제2파이프의 유동에 의해 프레임에 어느 정도의 탄성을 기대할 수는 있으나 장기간 사용시에는 이들 연결부분이 파손되어 버릴 염려가 있고, 등받이를 지지해 줄 수 없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구조적인 강도가 취약해 진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들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프레임의 구조적인 강도를 유지하면서 제작을 간단하게 하여 작업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의자 프레임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프레임의 바닥 후방에 설치되는 보강틀을 착탈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의자의 받침대 역할을 행하게 되고, 운반이나 보관시에는 시트 위로 겹쳐서 적층시킬 수 있도록 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많은 물량의 의자를 운반 및 보관할 수 있는 의자 프레임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 프레임의 구성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시트가 조립된 상태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보강틀 및 연결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제2보강틀 및 연결부재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및 정면도,
도 5는 도 4b에 도시된 A부의 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시트 10a: 등받이
10b: 좌판 20: 프레임
21a,21b: 체결나사 22: ㄷ자형 벤딩부
23: S자형 벤딩부 24: 제1보강틀
25: 받침부 25a: 장공
26: 제2보강틀 27: 연결부재
27a: 결합편 27b: 안착홈
27c: 걸림홈 27d: 고정돌기
28: 착지편 28a: 고정돌기
29: 팔걸이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등받이 및 좌판으로 이루어진 시트와, 이 시트를 지탱하기 위해 금속재의 파이프를 벤딩하여 이루어진 의자 프레임의 구조에 있어서, 수평방향의 ㄷ자형 벤딩부 및 이 ㄷ자형 벤딩부의 끝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이어지는 S자형 벤딩부를 가지며, 이 S자형 벤딩부의 중앙부근에는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제1보강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S자형 벤딩부의 끝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이어지는 받침부 및 이들 사이를 직각으로 연결하는 제2보강틀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보강틀은 받침부의 전방에서 후방에 이르는 전체 길이에 대해 1/3의 길이에 해당하는 만큼 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보강틀의 양 끝단부에는 일측에 결합편을 가지는 연결부재가 장착되어 있고, 이 연결부재에 형성된 안착홈으로 상기 받침부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편에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제2보강틀의 양 끝단부를 압착하는 것에 의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의 안착홈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받침부의 저면에 대응하여 형성된 장공으로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 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우선 등받이(10a)와 좌판(10b)으로 이루어진 시트(10)를 장착시키기 위한 프레임(20)은, 상기 등받이(10a)를 체결나사(21a)로 고정시키기 위한 ㄷ자형 벤딩부(22)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ㄷ자형 벤딩부(22)의 양측 전방에는 수직방향으로 향해 S자형 벤딩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S자형 벤딩부(23)의 대략 중앙부근에는, 상기 좌판(10b)을 받쳐 체결나사(21b)로 고정시키기 위한 제1보강틀(24)이 양측 S자형 벤딩부(23)를 연결하도록 용접되어 있으며, 이 제1보강틀(24)은 좌판(10b)의 바닥면 형상에 맞추어 중앙부가 약간 아래로 쳐진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ㄷ자형 벤딩부(22)나 제1보강틀(24)은, 상기 등받이(10a)나 좌판(10b)의 바깥 둘레면 형상, 즉 접촉되는 면의 형상이 직선에 가까울 경우에는 일직선으로 형성하여도 관계없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S자형 벤딩부(23)의 끝단에는 그 후방으로 연이어지는 받침부 (25)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받침부(25)의 끝단부 사이에는 이들을 직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보강틀(26)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제1보강틀(24)은 받침부(25)의 전방에서 후방에 이르는 전체 길이(L)에 대해 대략 1/3의 길이(ℓ)에 해당하는 만큼 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 지점이 상기 좌판(10b)을 가장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위치이기 때문이지만 약간의 위치변동에 대해서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3 및 도 4a,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제2보강틀(26)의 양 끝단부에는 일측에 결합편(27a)을 가지는 연결부재(27)가 조립되어 있고, 이 연결부재(27)의 타측에는 안착홈(27b)이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25)에 착탈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27)를 구성하는 결합편(27a)의 상, 하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걸림홈(27c)들을 형성하여 상기 제2보강틀(26)의 양 끝단부를 압착시키는것에 의해 상기 제2보강틀(26)과 연결부재(27)를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27)의 안착홈(27b)에는 타원형상의 고정돌기(27d)를 형성하여 받침부(25)의 저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장공(25a)으로 끼워맞춰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받침부(25)와 연결부재(27)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받침부(25)의 전방에는 통상의 착지편(28)이 고정돌기(28a) 혹은 고정나사(도시생략)에 의해 조립되어 지면과 접촉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부 (25)의 후방은 상기 연결부재(27)의 바닥면이 지면에 직접 접촉됨으로써 기존에 별도로 제작하여 조립되던 착지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0)을 구성하는 ㄷ자형 벤딩부(22)의 양측 전방에는 합성수지재 등에 의해 별도로 사출성형되는 통상의 팔걸이(29)를 끼워맞춰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도시하지 않은 벤딩머신에 의해 소정 직경의 금속재 파이프를 구부려서 ㄷ자형 벤딩부(22)와 S자형 벤딩부(23) 및 받침부(25)를 순서대로 성형하고, 상기 S자형 벤딩부(23)의 대략 중앙부근에 제1보강틀(24)의 양 끝단부를 용접에 의해 접합하여 프레임(20)을 구성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받침부(25)의 후방 끝단부에는 제2보강틀(26)의 양측에 장착되어 있는 연결부재(27)의 안착홈(27b)을 끼워넣어 고정시키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보강틀(26)의 양 끝단부에는 한쌍의 연결부재(27)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결합편(27a)이 압착되어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히 연결부재(27)에 형성된 안착홈(27b)을 받침부(25)에 끼워넣음으로써 조립이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27)의 안착홈(27a)에 형성되어 있는 타원형상의 고정돌기(27d)가 받침부(25)의 장공(25a)으로 조립되므로, 받침부(25)와 제2보강틀(26)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25)의 전방에는 착지편(28)을 고정돌기(28a)에 의해 장착시키고, ㄷ자형 벤딩부(22)의 양측 전방으로 합성수지재 성형된 팔걸이(29)를 끼워맞춰 고정시킴으로써 프레임(20)에 대한 각종 부자재를 조립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20)의 ㄷ자형 벤딩부(22)의 상측으로 시트 (10)를 안착시킴과 동시에, ㄷ자형 벤딩부(22)와 제1보강틀(24)에 체결나사(21a, 21b)를 나사맞춤시켜 시트(10)의 등받이(10a)와 좌판(10b)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제1보강틀(24)은 받침부(25)의 전체 길이(L)에 대해 대략 1/3의 길이(ℓ)에 해당하는 만큼 후방에 위치하게 되므로, 좌판(10b)을 가장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동시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하여 조립이 완료된 의자를 보관하거나 운반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제2보강틀(26)의 연결부재(27)에 형성된 안착홈(27b)에 끼워져 있던 받침부(25)를 빼낸 상태에서 다른 의자의 ㄷ자형 벤딩부(22) 상에 양측 받침부(25)를 끼워넣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보강틀(26)은 평상시에는 받침대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의자의 보관 및 운반시에는 시트(10) 위로 프레임(20)을 연속하여 겹쳐 쌓을 수 있게 되므로, 좁은 공간에서도 많은 의자를 적층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의자 프레임의 구조에 의하면, 이용자의 착석위치를 제한하는 수직방향의 벤딩부를 S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이용자의 허벅지부분을 규제하지 않게 되므로 보다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프레임의 구조적인 강도를 유지함은 물론 제작을 보다 간단하게 하여 작업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프레임의 바닥 후방에 설치되는 제2보강틀을 연결부재를 개재하여 착탈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받침대 역할은 수행함은 물론 시트 위로 겹쳐서 적층이 가능하게 되어 좁은 공간에서도 많은 물량의 의자를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등받이 및 좌판으로 이루어진 시트와, 이 시트를 지탱하기 위해 금속재의 파이프를 벤딩하여 이루어진 의자 프레임의 구조에 있어서,
    수평방향의 ㄷ자형 벤딩부(22) 및 이 ㄷ자형 벤딩부(22)의 끝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이어지는 S자형 벤딩부(23)를 가지며, 이 S자형 벤딩부(23)의 중앙부근에는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제1보강틀(2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S자형 벤딩부(23)의 끝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이어지는 받침부(25) 및 이들 사이를 직각으로 연결하는 제2보강틀(26)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프레임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틀(24)은 받침부(25)의 전방에서 후방에 이르는 전체 길이(L)에 대해 1/3의 길이(ℓ)에 해당하는 만큼 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프레임의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강틀(26)의 양 끝단부에는 일측에 결합편(27a)을 가지는 연결부재(27)가 장착되어 있고, 이 연결부재(27)에 형성된 안착홈(27b)으로 상기 받침부(25)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프레임의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7)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편(27a)에는 걸림홈(27c)이 형성되어 제2보강틀(26)의 양 끝단부를 압착하는 것에 의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프레임의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7)의 안착홈(27b)에는 고정돌기(27d)가 형성되어 받침부(25)의 저면에 대응하여 형성된 장공(25a)으로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프레임의 구조.
KR20-2003-0031640U 2003-10-08 2003-10-08 의자 프레임의 구조 KR2003368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640U KR200336884Y1 (ko) 2003-10-08 2003-10-08 의자 프레임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640U KR200336884Y1 (ko) 2003-10-08 2003-10-08 의자 프레임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884Y1 true KR200336884Y1 (ko) 2003-12-24

Family

ID=49421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1640U KR200336884Y1 (ko) 2003-10-08 2003-10-08 의자 프레임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8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489B1 (ko) 2013-10-31 2015-03-18 (주)디에스피 의자용 다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489B1 (ko) 2013-10-31 2015-03-18 (주)디에스피 의자용 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7521A (en) Chair having a resiliently interconnected seat and back
EP1300099B1 (en) A chair
US8454093B2 (en) Mesh chair with open-end hoop
US7017985B2 (en) Folding chair with arms
US7513567B2 (en) Foldable chair with pull rods
CN105263367A (zh) 椅子
US20100156155A1 (en) Mesh stacking chair
US3899207A (en) Chairs
US7621600B2 (en) Seat frames having appearance of one-piece construction and seat frames having a back support design derived from the frame
US20220354256A1 (en) Foldable plastic-steel chair
US6174029B1 (en) Chair with leg reinforcement bar
US20110272986A1 (en) Chair construction and method therefore
US6616223B1 (en) Foldable chair
US20030168894A1 (en) Foldable chair
KR200336884Y1 (ko) 의자 프레임의 구조
KR200444250Y1 (ko) 프레임으로 구성된 의자
KR101310154B1 (ko) 복수의 조립지지판으로 조립된 의자
JP4383788B2 (ja) 椅子
KR20140049242A (ko) 등받이 틸팅 기능을 갖는 조립식 의자
CN2899601Y (zh) 一种拆卸式钢管椅
JP2014226329A (ja) 椅子
JP4238083B2 (ja) 椅子の座シェル構造
US20240099467A1 (en) Prefabricated chair
JP6989344B2 (ja) 天板昇降式什器
JPH1146918A (ja) 椅 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