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675Y1 - 내압 방폭형 cctv 하우징 - Google Patents

내압 방폭형 cctv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675Y1
KR200336675Y1 KR20-2003-0031364U KR20030031364U KR200336675Y1 KR 200336675 Y1 KR200336675 Y1 KR 200336675Y1 KR 20030031364 U KR20030031364 U KR 20030031364U KR 200336675 Y1 KR200336675 Y1 KR 2003366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losion
case
proof
detachable
connec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13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봉
Original Assignee
(주)한국시엠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시엠알 filed Critical (주)한국시엠알
Priority to KR20-2003-00313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6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6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6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압 방폭형 CCTV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내부가 중공인 케이스 몸통부와, 상기 케이스 몸통부의 중공부의 일단부와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 1착탈 연결부재와, 상기 제 1착탈 연결부재와 연결되며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 1회전 연결부재와, 일측은 상기 제 1 회전 연결부재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벽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 2 착탈 연결부재와, 상기 케이스 몸통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 3착탈 연결부재와, 상기 제 3 착탈 연결부재와 연결되며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 2 회전연결부재와, 일측면이 상기 제 2 회전 연결부재와 연결되며, 내부가 중공인 케이스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일측 중공부와 연결되어 착탈이 가능하며, 투시창이 있는 케이스 덮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에서 사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 케이스 자체와 투시창을 방폭재질로 함으로써 위험한 장소에 설치되어도 주변의 인화성 물질의 폭발로 인한 카메라 보호뿐만 아니라 카메라 자체의 전기 스파크 등에 인한 주변의 인화성 물질의 폭발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케이스의 일부분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내삽된 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다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투시창 클리너가 구비되어 있어 먼지 등에 인해 더럽혀지더라도 수시로 청소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내압 방폭형 CCTV 하우징{CCTV Housing for preventing explosion of inner pressure}
본 고안은 내압 방폭형 CCTV 하우징(이하, '케이스'이라고도 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 및 인텔리전트 빌딩의 액화가스, 석유 등 인화성 물질을 취급하는 방폭이 요구되는 위험지역 내에 설치하여 폭발 등으로부터 CCTV 카메라를 보호하고, 또한 카메라 자체의 스파크 등에 의한 주변의 인화성물질이 폭발하지 못하도록 안팎을 봉쇄시키는 내압 방폭형 CCTV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는 사진기에서부터 비디오 카메라(감시용 카메라 포함)에 이르기까지 그 종류가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상기 감시용 카메라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전방의 피사체에 해당되는 빛을 CCD(charge coupled device)소자 등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것으로서, 셔터를 개폐시키는 상태에 의해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피사체에 해당하는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감시용 카메라는 외부로부터 AC 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DC 전원으로 변환시켜 내부의 동작 전원으로 공급하고, CCD소자를 동작시키기 위해 구동회로와 전술한 CCD소자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에 따른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면서 외부의 모니터 녹화장치로 출력하는 신호 처리회로들로 구성된다.
상기 감시용 카메라는 일반주택을 포함하여 사무실, 병원, 은행, 백화점 등에 도난방지의 목적으로 설치되거나, 보안이 요구되는 공공 건물 등의 내외에 설치되어 출입 관리 또는 방범용으로 사용되며, 기계의 동작상태나 공정흐름을 용이하게 점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산업용으로 사용되며, 최근에는 범죄가 자주 발생되는 지하 주차장 등에 설치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방범 또는 불법주차 등을 감시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카메라는 선박 및 인텔리전트 빌딩의 액화가스, 석유 등 인화성 물질을 취급하는 방폭이 요구되는 위험지역 내에 설치하였을 때, 카메라 자체의 스파크 등에 의한 상기 인화성 물질이 폭발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이 따른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인화성물질의 폭발로 상기 카메라가 손상되어 촬영된 것을 볼 수 없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된다.
또한, 종래의 CCTV 카메라(이하, '카메라'라고도 함) 하우징은 카메라의 렌즈가 위치하는 부위가 먼지, 비산물질 등의 이물질로부터 쉽게 오염되어 이들을 인위적으로 세척해 주어야 되므로 사후 관리가 불편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카메라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가 구비된 것도 있지만, 이러한 케이스는 하나로 형성되어 있어 카메라 촬영의 각을 다각도로 조절하고자 할 때 매우 불편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제 1의 목적은 폭발 위험이 있는 지역에 설치하여 폭발 등으로부터 카메라를 보호할 수 있으며, 또한 카메라 자체의 전기 스파크 등에 의한 주변의 인화성 물질 등이 폭발하지못하도록 안팎을 봉쇄시키는 내압 방폭형 CCTV 하우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제 2의 목적은, 일부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내삽된 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내압 방폭형 CCTV 하우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제 3의 목적은 카메라 렌즈가 위치할 하우징의 일측에 투시창 클리너를 구비시켜 먼지 등에 의해 더럽혀져도 청소가 가능한 내압 방폭형 CCTV 하우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제 1측면에서 살펴본 본 고안의 내압 방폭형 CCTV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제 2측면에서 살펴본 본 고안의 내압 방폭형 CCTV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제 3측면에서 살펴본 본 고안의 내압 방폭형 CCTV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몸통부 2 : 제 1 착탈 연결부재
3 : 제 1 회전 연결부재 4 : 제 2 착탈 연결부재
5 : 케이블 케이스 6 : 제 3 착탈 연결부재
7 : 제 2 회전 연결부재 8 : 케이스 헤드부
9 : 케이스 덮개부 10 : 투시창 클리너
11 : 투시창 12a ~ 12e : 볼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가 중공인 케이스 몸통부와, 상기 케이스 몸통부의 중공부의 일단부와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 1 착탈 연결부재와, 상기 제 1착탈 연결부재와 연결되며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 1 회전 연결부재와, 일측은 상기 제 1 회전 연결부재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벽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 2 착탈 연결부재와, 상기 케이스 몸통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 3 착탈 연결부재와, 상기 제 3 착탈 연결부재와 연결되며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 2 회전연결부재와, 일측면이 상기 제 2 회전 연결부재와 연결되며, 내부가 중공인 케이스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일측 중공부와 연결되어 착탈이 가능하며, 투시창이 있는 케이스 덮개부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몸통부는 그 형상이 'T'자 또는 'ㄱ'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상기 제 2 착탈 연결부재의 일측면에, 전력 공급용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한 케이블 케이스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케이스 덮개부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투시창을 닦을 수 있는 투시창 클리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케이스는 방폭성 및 내부식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의 재질은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SUS316이다.
상기와 같은 재질로 케이스를 형성시킴으로써 케이스의 안팎을 봉쇄시킬 수 있다. 즉, 케이스 내에 삽입된 CCTV 카메라의 스파크 등에 의한 주변의 인화성 물질의 폭발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인화성 물질의 폭발로부터 상기 카메라를 보호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케이스 내부에 불활성 기체를 주입하여 케이스 내부를 양압으로 유지함과 동시에 케이스 내외의 온도차에 의한 내부유리(이하, 투시창이라고도 함)의 흐려짐을 방지한다.
상기 투시창으로는 피사체의 관찰을 위해 최상의 선명도를 가진 고도의 투명, 투광, 비굴절 유리임과 동시에 내폭발성이 우수한 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제 1측면에서 살펴본 본 고안의 카메라 케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카메라 케이스는 케이스 몸통부(1), 제 1 착탈 연결부재(2), 제 1 회전 연결부재(3), 제 2 착탈 연결부재(4), 제 3 착탈연결부재(6), 제 2 회전연결부재(7), 케이스 헤드부(8), 케이스 덮개부(9), 케이블 케이스(5), 투시창 클리너(1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의 내부는 중공부이면서 카메라(미 도시)가 내삽될 수 있도록 그 형태를 갖는다. 특히, 카메라가 진동에 흔들리지 않도록 케이스의 내부가 소정의 카메라 외형의 형틀 모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 내부의 형틀은 진동흡수 성능이 우수한 방진고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 몸통부(1)는 그 형태가 'T(티)'자 또는 'ㄱ(기역)'자이다.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겠지만 상기와 같이 'T'자 형태로 형성시키는 것은, 다양한 각도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 1 회전 연결부재(3)와 제 2 회전 연결부재(7)에 의해 본 고안의 케이스에 내삽된 카메라는 다양한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여 사물을 촬영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케이스를 크게 보면, 몸통부(1)는 벽, 가로등 등에 직접적으로 착탈되는 제 2 착탈 연결부재(4)와, 카메라 렌즈 부위가 위치할 케이스 헤드부(8)와 연결된다. 그 연결 관계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케이스 몸통부(1)와 제 2 착탈 연결부재(4)의 연결 관계를 살펴보겠다.
상기 케이스 몸통부(1)는 그 일단부가 착탈이 가능한 제 1 착탈 연결부재(2)의 일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 1 착탈연결부재(2)의 타단부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 1회전 연결부재(3)의 일단부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1회전연결부재(3)의 타단부는 제 2 착탈 연결부재(4)의 일단부와 연결되며, 제 2 착탈 연결부재(4)의 타단부는 벽 또는 가로등 등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케이스 몸통부(1) 또는 제 2 착탈 연결부재(4)는 제 1 회전 연결부재(3)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착탈은 볼트(12a~12e)와 너트 등에 의해 가능하다. 물론, 본 고안은 그 이외의 착탈수단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착탈이 이루어지는 곳은 특별히 한정하진 않는다. 즉, 상기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케이스 덮개부(9)와 케이스 헤더부(8) 사이, 제 3착탈 연결부재(6)와 케이스 몸통부(1) 사이, 케이스 몸통부(1)와 제 1 착탈 연결부재(2) 사이, 제 2 착탈 연결부재(4)와 케이블 케이스(5) 사이에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부분 외에도 본 고안은 착탈부재(볼트 등)를 상기 케이스 헤드부(8)와 제 2 회전 연결부재(7) 사이 또는 제 1 회전 연결부재(3)와 제 2 착탈 연결부재(4) 사이에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착탈이 이루어지는 부분을 형성시켜 놓은 것은, 카메라를 용이하게 삽입 또는 꺼낼 수 있도록 위한 것이며, 또한 내부 청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착탈 연결부재(4)의 일측면에, 전력 공급용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한 케이블 케이스(5)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스 몸통부(1)와 케이스 헤드부(8)의 연결관계를 살펴보겠다.
상기 케이스 몸통부(1)는 그 측단부가 착탈이 가능한 제 3 착탈 연결부재(6)의 일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 3 착탈 연결부재(6)의 타단부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 2 회전 연결부재(7)의 일단부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2회전 연결부재(7)의 타단부는 케이스 헤드부(8)의 일측면부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케이스 헤드부(8) 및 케이스 몸통부(1)는 제 2 회전 연결부재(7)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 헤드부(8)의 일측 중공부는 착탈이 가능한 케이스 덮개부(9)와 연결된다.
상기 케이스 덮개부(9)에는 카메라의 렌즈를 통해 밖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투시창(11 ; 도 2에 도시됨)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 덮개부(9)의 상부에는 상기 투시창(11)을 닦을 수 있도록 투시창 클리너(10)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비록 미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투시창 클리너의 작동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당연하다. 즉, 본 고안은 소정의 자동시스템과 연계시켜 사용자에 의해 수시로 투시창을 청소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케이스는 방폭 성능 및 내부식 성능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한다.
상기 케이스의 재질은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stainless)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SUS316이다.
본 고안은 케이스 내부에 불활성 기체를 주입하여 케이스 내부를 양압으로유지함과 동시에 케이스 내외의 온도차에 의한 내부유리(이하, 투시창이라고도 함)의 흐려짐을 방지한다.
상기 불활성 기체로는 질소 등이 있다.
상기 투시창으로는 피사체의 관찰을 위해 최상의 선명도를 가진 고도의 투명,투광, 비굴절 유리임과 동시에 내폭발성이 우수한 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은 제 2 및 제 3측면에서 살펴본 본 고안의 카메라 케이스의 평면도이다.
즉, 도 2에서는 도 1의 제 2 착탈 연결부재(4)를 포함한 케이스 몸통부(1)가 제 2 회전 연결부재(7)에 의해 90도 회전된 것을 보여준다.
또한, 도 3은 도 1의 케이스 덮개부(9)를 포함한 케이스 헤드부(8)가 제 2회전 연결부(7)에 의해 90도 회전되고, 제 2 착탈 연결부재(4)가 제 1회전 연결부재(3)에 의해 90도 회전된 것을 보여준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카메라 케이스는 다각도로 회전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에 내삽된 카메라는 다각도로 촬영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내압 방폭형 CCTV 하우징은 방폭성능 및 내부식성능이 우수하여 선박 및 인텔리전트 빌딩의 액화가스, 석유 등 인화성 물질을 취급하는 방폭이 요구되는 위험지역 내에 설치하여도 폭발 등으로부터 카메라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 자체 내에서의 전기 스파크 등에 의해 주변의 인화성 물질이 폭발하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카메라 하우징의 일부가 회전이 가능하여 내삽된 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다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투시창 클리너가 구비되어 있어 먼지 등에 인해 더럽혀지더라도 수시로 청소가 가능하다.

Claims (9)

  1. 내부가 중공인 케이스 몸통부와, 상기 케이스 몸통부의 중공부의 일단부와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 1착탈 연결부재와, 상기 제 1착탈 연결부재와 연결되며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 1회전 연결부재와, 일측은 상기 제 1 회전 연결부재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벽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 2 착탈 연결부재와, 상기 케이스 몸통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 3착탈 연결부재와, 상기 제 3 착탈 연결부재와 연결되며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 2 회전연결부재와, 일측면이 상기 제 2 회전 연결부재와 연결되며, 내부가 중공인 케이스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일측 중공부와 연결되어 착탈이 가능하며, 투시창이 있는 케이스 덮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압 방폭형 CCTV 하우징.
  2. 제 1항에 있어서, 케이스 몸통부는 그 형상이 'T'자 또는 'ㄱ'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압 방폭형 CCTV 하우징.
  3. 제 1항에 있어서, 제 2착탈 연결부재의 일측면에, 전력 공급용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한 케이블 케이스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압 방폭형 CCTV 하우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덮개부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투시창을 닦을 수 있는 투시창 클리너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압 방폭형 CCTV 하우징.
  5. 제 1항에 있어서, 케이스는 방폭성 및 내부식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압 방폭형 CCTV 하우징.
  6. 제 1항에 있어서, 케이스의 재질이 스테인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압 방폭형 CCTV 하우징.
  7. 제 6항에 있어서, 스테인레스는 SUS3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압 방폭형 CCTV 하우징.
  8. 제 1항에 있어서, 케이스 내부에 불활성 기체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압 방폭형 CCTV 하우징.
  9. 제 1항에 있어서, 투시창은 고선명도를 갖는 투명 투광, 비굴절 유리이면서 내폭발성이 우수한 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압 방폭형 CCTV 하우징.
KR20-2003-0031364U 2003-10-06 2003-10-06 내압 방폭형 cctv 하우징 KR2003366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364U KR200336675Y1 (ko) 2003-10-06 2003-10-06 내압 방폭형 cctv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364U KR200336675Y1 (ko) 2003-10-06 2003-10-06 내압 방폭형 cctv 하우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675Y1 true KR200336675Y1 (ko) 2003-12-18

Family

ID=49421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1364U KR200336675Y1 (ko) 2003-10-06 2003-10-06 내압 방폭형 cctv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67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2475B1 (ko) 2004-04-14 2006-03-27 한신전자 (주) 방폭스피커
KR101678361B1 (ko) * 2015-08-28 2016-11-23 주식회사에프지일렉트릭 방폭구조 cctv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2475B1 (ko) 2004-04-14 2006-03-27 한신전자 (주) 방폭스피커
KR101678361B1 (ko) * 2015-08-28 2016-11-23 주식회사에프지일렉트릭 방폭구조 cctv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7418A (en) Camera viewing unit
US5230556A (en) Lighting and viewing unit
US6354749B1 (en) Housing for surveillance camera
CN210578870U (zh) 一种计算机监控系统用监控摄像头防护装置
US4965601A (en) High Pressure/temperature camera
JPH04340872A (ja) カメラハウジング
KR20100118206A (ko) 해상용 무인감시 카메라의 방폭 하우징
KR200336675Y1 (ko) 내압 방폭형 cctv 하우징
CA2784045A1 (fr) Dispositif de controle thermique
KR100841740B1 (ko) 진공 방수 카메라
KR20150001821U (ko) 양팔형 카메라 하우징 팬틸트 내압,분진 방폭 카메라
CN209250751U (zh) 一种室外球型网络摄像机
CN113973168A (zh) 一种防爆摄像机
HK1027193A1 (en) A scanning and cleaning device for an explosion-proof casing for monitoring apparatus, in particular for a surveillance television camera operating in an explosive environment
CN204249929U (zh) 一种多功能车用探头
CN211505429U (zh) 气体探测器外壳
KR101576569B1 (ko) 내압 방폭 카메라 장치
CN203057303U (zh) 新型监控摄像机
KR101554126B1 (ko) 수중 탐색용 복합 모니터링 장치
KR100703652B1 (ko) 특수차량용 감시 카메라의 렌즈 개폐장치
CN104811668A (zh) 一种电子猫眼系统
KR200439693Y1 (ko) 인쇄회로기판 교체가 용이한 감시카메라 하우징
KR101576568B1 (ko) 폐쇄회로 텔레비전 카메라 장치
CN215010443U (zh) 一种安防报警摄像头
JPH01321428A (ja) 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