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874Y1 - 에어툴 - Google Patents

에어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874Y1
KR200335874Y1 KR20-2003-0028778U KR20030028778U KR200335874Y1 KR 200335874 Y1 KR200335874 Y1 KR 200335874Y1 KR 20030028778 U KR20030028778 U KR 20030028778U KR 200335874 Y1 KR200335874 Y1 KR 2003358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scharge hole
air discharge
auxiliary handle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87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철환
Original Assignee
최철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철환 filed Critical 최철환
Priority to KR20-2003-00287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8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8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8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Abstract

본 고안은 공압을 이용하여 그라인더나 렌치, 드릴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에어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모터를 작동시킨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배출공을 케이싱에 형성된 보조손잡이 결합부에 형성하고 이 공기배출공에는 무수한 미세공을 갖는 흡음편이 구비된 소음기를 부착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케이싱부를 손으로 감아잡고 작업시에 이 작업자의 손이 상기 공기배출공을 덮지 않도록 하여 좁은 공기배출공을 빠르게 배출되어 나오는 배출공기에 의해 작업자의 손이 시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공기 배출시 발생되는 소음을 대폭 감소시켜 작업능률 및 작업정밀도의 저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쾌적한 작업환경의 조성에 기여하는 에어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케이싱에 보조손잡이 결합부와 공기배출공이 형성된 에어툴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공이 상기 보조손잡이 결합부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공에는 무수한 미세공을 갖는 흡음편이 구비된 소음기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툴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에어툴{An air tool}
본 고안은 공압을 이용하여 그라인더나 렌치, 드릴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에어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모터를 작동시킨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배출공을 케이싱에 형성된 보조손잡이 결합부에 형성하고 이 공기배출공에는 무수한 미세공을 갖는 흡음편이 구비된 소음기를 부착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케이싱부를 손으로 감아잡고 작업시에 이 작업자의 손이 상기 공기배출공을 덮지 않도록 하여 좁은 공기배출공을 빠르게 배출되어 나오는 배출공기에 의해 작업자의 손이 시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공기 배출시 발생되는 소음을 대폭 감소시켜 작업능률 및 작업정밀도의 저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쾌적한 작업환경의 조성에 기여하는 에어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툴은 산업현장에 비치된 컴프레서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그 공압으로 이와 결합된 그라인더나 커터, 드릴, 해머, 드라이버 등을 회전시켜 피가공물 가공하거나 나사나 볼트 등을 감거나 푸는 데 사용되는 공구로, 종래의 에어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그 케이싱(1')의 일측에 보조손잡이 결합부가 형성되어 보조손잡이(9')가 결합되고 타측에 공기가 배출되는 다수개의 공기 배출공(3')이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기 공기배출공은 내부의 에어모터를 작동시킨 공기를 이를 통해 즉시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새로운 공기의 유입과 이에 따른 에어모터의 작동이 원활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에어툴은 작업자가 상기 케이싱부를 한손으로 잡거나 또는 상기 보조손잡이 결합부에 보조손잡이를 결합하여 다른 한손으로 상기 보조손잡이를 함께 잡고 작업을 하게 되는데, 종래의 에어툴의 경우 케이싱부를 감싸 잡고 있는 작업자의 한손이 상기 공기배출공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게 되는 경우가 많아 좁은 공기배출공을 통해 빠른 속도로 배출되는 배출공기로 인한 소음은 물론 특히 기온이 낮은 겨울철 등에 작업자의 손을 시리게 하고 배출공기의 진행경로가 피가공물쪽으로 향하므로써 그라인딩 작업시 등의 경우에는 분진이 날려 작업환경이 열악해지고 작업의 정밀도와 작업효율이 떨어지게 하는 문제점이 있는바, 실제 현장 작업자들은 이를 피하기 위해 상기 공기배출공을 테이프 등으로 막고 사용하는 경우도 허다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테이프 등으로 공기배출공을 막게 되면 공기의 배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에어모터가 원활하게 작동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공기배출공을 케이싱에 형성된 보조손잡이 결합부에 형성하고 이 공기배출공에는 무수한 미세공을 갖는 흡음편이 구비된 소음기를 부착함으로써, 배출공기에 의한 작업자의 손시려움을 방지하고 소음을 대폭 감소시키는 에어툴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부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에어툴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케이싱 2 : 보조손잡이 결합부 3, 3' : 공기배출공
4 : 미세공 5 : 흡음편 6 : 소음기
7 : 니플관체 8 : 중공 9, 9' : 보조손잡이
10 : 수나사관체 11 : 여과망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부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부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케이싱(1)에 보조손잡이 결합부(2)와 공기배출공(3)이 형성된 에어툴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공(3)이 상기 보조손잡이 결합부(2)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공(3)에는 무수한 미세공(4)을 갖는 흡음편(5)이 구비된 소음기(6)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배출공(3)은 그 벽면을 따라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소음기(6)는 내부에 상기 흡음편(5)이 삽설되고 양측으로 수나사가 형성된 니플관체(7)로 구성되어, 상기 니플관체(7)의 일측이 상기 공기배출공(3)과 나사결합되고 그 타측이 내부에 중공(8)이 형성되고 일측 내경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관체 형상의 보조손잡이(9)와 나사결합되거나,
상기 공기배출공(3)은 그 벽면을 따라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소음기(6)는 내부에 상기 흡음편(5)이 삽설되고 외경부에 수나사가 형성된 관체 형상의 캡(10)으로 구성되어, 상기 캡(10)이 상기 공기배출공(3)에 나사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은 본 고안의 미작동시 외부로부터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상기 흡음편으로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기 위한 여과망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작동시에 후단으로부터 공급되어 내부의 에어모터를 작동시킨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공(3)이 종래와 같이 케이싱(1')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케이싱(1)의 타측 전단부에 돌설된 보조손잡이 결합부(2)에 형성되므로, 작업자가 상기 케이싱(1)을 손으로 감아잡고 작업을 할 때, 공기배출공(3)을 통해 빠른 속도로 배출되는 배출공기가 케이싱(1)을 잡고 있는 작업자의 손에 직접 닿지 않으므로, 특히 겨울철과 같이 기온이 낮은 때 작업자의 손시림과 이에 따라 작업자 손의 감각이 무뎌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배출공기의 진행경로가 작업자의 손에 의해 피가공물쪽을 향하게 되는 일이 없어 그라인딩 작업시 등의 경우에 분진이 작업자의 눈을 향해 비산되지 않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작업능률 저하 및 작업의 정밀도 저하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종래의 에어툴은 그 사용시 손시림이나 분진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공기배출공(3')이 형성된 부위를 테이프 등으로 막고 작업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이에 따라 공기 배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내부의 에어모터가 원활하게 작동되지 않는 문제도 발생하였으나, 본 고안의 에어툴은 작업자의 손시림을 방지하게 되므로 이와 같은 염려가 없다.
또한, 본 고안의 에어툴은 공기배출공(3)이 형성된 보조손잡이 결합부(2)에 흡음편(5)이 구비된 소음기(6)가 부착되므로, 좁은 공기배출공(3)을 빠르게 빠져나오는 배출공기로 인한 소음을 대폭 감소하여 작업자의 청각장애 방지 및 쾌적한 작업환경 조성에 기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흡음편(5)은 그 소재를 주조성이 좋고 내식성과 내마멸성이 우수한 청동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에 무수한 미세공(4)이 형성되어 이 미세공(4)들이 흡음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보조손잡이를 결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배출공(3)의 벽면을 따라 암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소음기(6)는 내부에 흡음편(5)이 삽설되고 양측으로 수나사가 형성된 니플관체(7)로 구성하여 상기 니플관체(7)의 일측을 상기 공기배출공(3)과 나사결합하고 그 타측은 내부에 중공(8)이 형성되고 일측 내경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관체형상의 보조손잡이(9)와 나사결합하여 사용하면 된다.
반면, 보조손잡이(9)를 결합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니플관체(9)만을 공기배출공(3)에 나사결합하고 보조손잡이(9)를 미결합한 상태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소음기(6)를 내부에 흡음편(5)이 삽설되고 외경부에 수나사가 형성된 관체형상의 캡(10)으로 구성하여, 이 캡(10)을 상기 공기배출공(3)에 나사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작업시 배출공기에 의한 작업자의 손시려움을 막고, 공기 배출시 발생되는 소음을 대폭 감소시킴으로써, 작업능률저하 및 작업의 정밀도 저하방지는 물론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케이싱(1)에 보조손잡이 결합부(2)와 공기배출공(3)이 형성된 에어툴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공(3)이 상기 보조손잡이 결합부(2)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공(3)에는 무수한 미세공(4)을 갖는 흡음편(5)이 구비된 소음기(6)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툴.
  2.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배출공(3)은 그 벽면을 따라 암나사가 형성되고, 소음기(6)는 내부에 상기 흡음편(5)이 삽설되고 양측으로 수나사가 형성된 니플관체(7)로 구성되어, 상기 니플관체(7)의 일측이 상기 공기배출공(3)과 나사결합되고 그 타측이 내부에 중공(8)이 형성되고 일측 내경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관체 형상의 보조손잡이(9)와 나사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툴.
  3.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배출공(3)은 그 내벽을 따라 암나사가 형성되고, 소음기(6)는 내부에 상기 흡음편(5)이 삽설되고 외경부에 수나사가 형성된 관체 형상의 캡(10)으로 구성되어, 상기 캡(10)이 상기 공기배출공(3)에 나사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툴.
KR20-2003-0028778U 2003-09-08 2003-09-08 에어툴 KR2003358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778U KR200335874Y1 (ko) 2003-09-08 2003-09-08 에어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778U KR200335874Y1 (ko) 2003-09-08 2003-09-08 에어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874Y1 true KR200335874Y1 (ko) 2003-12-11

Family

ID=49341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778U KR200335874Y1 (ko) 2003-09-08 2003-09-08 에어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87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2929A (ko) 2014-02-06 2015-08-17 하윤기 에어툴
KR102112933B1 (ko) * 2018-12-07 2020-05-19 전창수 소음기가 설치된 에어 그라인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2929A (ko) 2014-02-06 2015-08-17 하윤기 에어툴
KR101632717B1 (ko) * 2014-02-06 2016-06-23 하윤기 에어툴
KR102112933B1 (ko) * 2018-12-07 2020-05-19 전창수 소음기가 설치된 에어 그라인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38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resultant dust from power tool operation
JP4657157B2 (ja) 排気を調整できる空気式回転駆動手持ち装置
US6854937B1 (en) Dust collector attachment for a spiral power tool
US6561887B2 (en) Protective cover detachably installed on a cutting machine/engraving machine combination
US9302363B2 (en) Dust collecting device and impact tool
US201801253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Dust Created By Power Tool Operation
CN107263406A (zh) 具有可拆卸辅助把手的电动工具
KR200335874Y1 (ko) 에어툴
US7677281B2 (en) Power router tool
US20040112191A1 (en) Hose with optical device
US20050244238A1 (en) Hole resizing arbor for power drills
JP2018043327A (ja) コアドリル
US20130161049A1 (en) Dust collecting device and impact tool
US6093090A (en) Reversible clamping hub
US7399004B2 (en) Universal attachment for capturing and utilizing exhaust gas from pneumatic power tools
US20070056758A1 (en) Rear exhaust type pneumatic tool
JP4992624B2 (ja) 電動工具
JP2006263877A (ja) 圧縮空気工具用のエアプラグ
JP2001105353A (ja) エアツール用の排気消音装置
CN220387331U (zh) 一种用于清洁法兰孔的清洁刀具
JP4089633B2 (ja) 圧縮空気工具のスロットルバルブ
US20040159451A1 (en) Air intake and exhaust device for a pistol type air impact wrench
US8047327B2 (en) Muffler for pneumatic handheld tool
KR101632717B1 (ko) 에어툴
WO2020105291A1 (ja) 拡径孔部削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