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711Y1 - 분수여과장치 - Google Patents

분수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711Y1
KR200335711Y1 KR20-2003-0029059U KR20030029059U KR200335711Y1 KR 200335711 Y1 KR200335711 Y1 KR 200335711Y1 KR 20030029059 U KR20030029059 U KR 20030029059U KR 200335711 Y1 KR200335711 Y1 KR 2003357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inner tube
sludge
outer tub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90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승영
Original Assignee
임승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승영 filed Critical 임승영
Priority to KR20-2003-00290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7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7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7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8Filter cloth, i.e. woven, knitted or interlac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8Founta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수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가지는 분수대 본체와; 분수대 본체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둘러싸며, 일 영역에 복수의 제1고리부가 마련된 내측튜브와; 내측튜브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둘러싸며, 일 영역에 복수의 제2고리부가 마련된 외측튜브와; 내측튜브 및 외측튜브의 각 고리부에 결합되며, 내측튜브와 외측튜브 사이로 유동하는 물을 여과하는 여과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물을 양수하여 물 속에 함유된 이물질 등을 여과하며 물의 오염을 저감할 수 있는 분수여과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분수여과장치{FOUNTAIN FILTRATION APPARATUS}
본 고안은 분수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을 양수하며 물속에 함유된 이물질 등을 여과할 수 있는 분수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호수, 연못 등의 부유물, 녹조, 적조를 포함한 각종조류, 미세물질 등으로 인한 오염은 호수, 연못 주변에서의 레크레이션 활동에 지장을 주고, 용수를 재활용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많은 개선비용을 소요하게 된다.
이러한 호수, 연못 등의 물의 오염을 저감하기 위한 여과 방법으로는 분수에 의한 산소공급, 화학적, 혼합조, 생물학적, 강제 순환, 배관 필터링, 폭기 순환, 전기분해, 침전, 수표면 부상 제거 등 다양한 방법이 동원되고 있다.
한편, 물의 오염을 저감하기 위한 여과방법으로서 채택되는 분수장치는 호수, 연못 등의 장소에 설치되어, 관상용으로 널리 사용될 뿐만 아니라 물이 분수되도록 하여 물에 산소를 공급한다.
즉, 종래의 분수장치는 물속에 함유된 이물질을 펌프로 끌어 올리는 과정에서 이물질을 미세하게 부수는 역할을 하고, 공기와 부딪히는 과정에서 산소를 공급하여 물의 오염을 저감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나 분수의 화려함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분수장치에 있어서는, 분수대의 노즐에서 물 속에 함유된 이물질 등이 물과 함께 분사된 후, 다시 수중에 유입되므로 이물질이 재순환하거나물속에 침전됨으로써, 물의 오염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미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물을 양수하여 물 속에 함유된 이물질 등을 여과하며 물의 오염을 저감할 수 있는 분수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수여과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지대와 지지매트에 공기주입시 분수여과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분수여과장치 5 : 분수대 본체
10 : 내측튜브 13 : 제1고리부
16 : 제1고정부 18 : 제1연결고리부
20 : 외측튜브 23 : 제2고리부
26 : 제2고정부 28 : 제2연결고리부
30 : 여과포 33 : 고정끈
35 : 연결끈 40 : 지지바아
50 : 슬러지 수용부 53 : 슬러지튜브
54 : 수용부 55 : 배출부
56 : 여과통 60 : 지지대
70 : 지지매트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분수여과장치에 있어서,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가지는 분수대 본체와; 상기 분수대 본체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둘러싸며, 일 영역에 복수의 제1고리부가 마련된 내측튜브와; 상기 내측튜브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둘러싸며, 일 영역에 복수의 제2고리부가 마련된 외측튜브와; 상기 내측튜브 및 외측튜브의 각 고리부에 결합되며, 상기 내측튜브와 외측튜브 사이로 유동하는 물을 여과하는 여과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여과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외측튜브로부터 상기 내측튜브로 경사지도록 상기 외측튜브의 직경은 상기 내측튜브의 직경보다 큼으로써, 상기 외측튜브로부터 상기 내측튜브쪽으로 경사가 이루어져 상기 여과포 위에 있는 슬러지가 상기 내측튜브쪽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외측튜브 및 상기 내측튜브는 각각 복수의 튜브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튜브는 연결고리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도우넛형상을 이루므로, 착탈이 가능하여 설치가 용이하며 각각의 튜브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어 신속한 공기주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어느 한 튜브가 터져도 가라앉지 않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내측튜브 및 상기 외측튜브를 상호 연결하며 일단부가 상기 분수대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바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측튜브 및 외측튜브에는 각각 상기 지지바아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분수대 본체와 상기 내측튜브 사이 및 상기 내측튜브와 상기 외측튜브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으며, 물에 젖고 슬러지가 쌓인 상기 여과포가 물 및 슬러지의 무게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분수대 본체와 상기 내측튜브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여과포에 의해 여과된 슬러지를 수령하는 슬러지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슬러지 수용부는, 상기 내측튜브의 내측 둘레를 따라 부분적으로 열융착되어, 상기 여과포를 따라 유동하는 슬러지를 수령하는 슬러지튜브와; 상기 슬러지튜브의 내측 둘레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상기 슬러지튜브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를 여과하며 물을 배출시키는 여과통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여과포로부터 흘러 내려온 슬러지 및 물이 상기 슬러지튜브로 유입되고, 슬러지를 제외한 물은 상기 여과통을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외측튜브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외측튜브를 부상시키는 복수의 지지대와; 상기 복수의 지지대를 수평 연결하는 지지매트를 더 포함함으로써, 세척 및 보수작업시 상기 지지대 및 지지매트에 공기를 주입하여, 물위로 부상시켜 분수대 본체, 여과포 및 각 튜브의 세척 및 보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수여과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지대와 지지매트에 공기주입시 분수여과장치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분수여과장치(1)는, 분수대 본체(5)와, 분수대 본체(5)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둘러싸는 내측튜브(10)와, 내측튜브(10)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둘러싸는 외측튜브(20)와, 내측튜브(10) 및 외측튜브(20)에 결합되는 여과포(30)와, 내측튜브(10) 및 외측튜브(20)를 상호 연결하며 분수대 본체(5) 및 여과포(30)를 지지하는 지지바아(40)와, 여과포(30)에 의해 여과된 슬러지를 수령하는 슬러지 수용부(50)와. 외측튜브를 부상시키는 지지대(60)와, 지지대(60)를 수평 연결하는 지지매트(70)를 가진다.
물을 분사하는 노즐(8)이 마련되어 있는 분수대 본체(5)는 내부에 수중모터펌프(미도시)를 가진다. 수중모터펌프(미도시)는 물을 끌어올려 분수대 본체(5)에 마련된 노즐(8)로 물이 분사되게 한다.
원형단면의 도우넛 형상인 내측튜브(10)는 분수대 본체(5)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둘러싸며, 외주의 내측에 8개의 제1고리부(13)가 상측에는 8개의 제1고정부(16)가 각각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고리부(13) 및 제1고정부(16)에는 각각 후술할 여과포(30)의 고정끈(33) 및 지지바아(40)가 결합된다. 이 내측튜브(10) 및 후술할 외측튜브(20)는 각각 2개의 튜브로 이루어지며, 내측튜브(10)를 이루는 각각의 튜브의 측면에는 제1연결고리부(18)가 마련되고 후술할 외측튜브(20)를 이루는 각각의 튜브의 측면에는 제2연결고리부(28)가 마련되어 각각 연결끈(35)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도우넛형상의 내측튜브(10) 및외측튜브(20)를 이루므로, 착탈이 가능하여 설치가 용이하며 각각의 튜브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어 신속한 공기주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어느 한 튜브가 터져도 가라앉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내측튜브(10)와 동일한 형상인 외측튜브(20)는 내측튜브(10)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둘러싼다. 이 외측튜브(20)의 외주의 외측 및 상측에는 각각 8개의 제2고리부(23) 및 8개의 제2고정부(26)가 일정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제2고리부(23) 및 제2고정부(26)에는 각각 후술할 여과포(30)의 고정끈(33) 및 지지바아(40)가 결합된다. 외측튜브(20)로부터 내측튜브(10)로 경사지도록 외측튜브(20)의 직경은 내측튜브(10)의 직경보다 크므로, 후술할 여과포(30) 상에 여과된 슬러지가 내측튜브(10)쪽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원형의 그물망 형상인 여과포(30)는 착탈 및 휴대가 용이하도록 복수의 등분으로 제작되며, 외측 및 내측에 각각 8쌍의 고정끈(33)이 내측튜브(10) 및 외측튜브(20)의 제1고리부(13) 및 제2고리부(23)에 대향하여 마련되어 있다. 고정끈(33)은 내측튜브(10) 및 외측튜브(20)의 제1고리부(13) 및 제2고리부(23)에 결합되어 여과포(30)를 고정시키며, 노즐(8)을 통해 분사되어 내측튜브(10)와 외측튜브(20) 사이로 유동되는 물을 여과한다.
파이프형상을 가진 지지바아(40)는 내측튜브(10) 및 외측튜브(20)를 상호 연결하며 일단부가 분수대 본체(5)를 지지한다. 이 지지바아(40)는 내측튜브(10)의 제1고정부(16)에 고정되고 외측튜브(20)의 제2고정부(26)에 타단부가 고정됨으로써, 분수대 본체(5)와 내측튜브(10) 사이 및 내측튜브(10)와 외측튜브(20) 사이의간격을 유지할 수 있으며, 물에 젖고 슬러지가 쌓인 여과포(30)가 물 및 슬러지의 무게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바아(40)는 내측튜브(10) 및 외측튜브(20)의 제1고정부(16) 및 제2고정부(26)에 착탈 가능하게 됨으로써,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된다.
분수대 본체(5)와 내측튜브(10) 사이에 마련되는 슬러지 수용부(50)는 슬러지튜브(53)와 여과통(56)을 가진다. 슬러지튜브(53)와 여과통(56)은 여과포(30)를 따라 유동하는 슬러지 및 물이 슬러지튜브(53)로 유입되어 슬러지를 제외한 물은 여과통(56)을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함으로써, 슬러지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게 된다.
슬러지튜브(53)는 내측튜브(10)의 내측 둘레를 따라 부분적으로 열융착되어 여과포(30)를 따라 유동하는 슬러지를 수령하는 수용부(54)와 수령된 슬러지를 배출하는 배출부(55)를 갖는다. 여기서, 외측튜브(20)의 직경이 내측튜브(10)의 직경보다 커서 외측튜브(20)로부터 내측튜브(10)쪽으로 경사가 이루어짐으로써, 여과포(30) 상의 슬러지가 내측튜브(10)를 향해 원활하게 유동하여 슬러지튜브(53)에 수령된다.
원통형상을 가지며 하부에 여과장치가 마련된 여과통(56)은 슬러지튜브(53)의 내측 둘레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슬러지튜브(53)의 배출부(55)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를 여과하며 물을 배출시킨다.
외측튜브(20)를 부상시키는 두 쌍의 지지대(60)는 외측튜브(20) 하단에 마련되며 후술할 지지매트(70)와 연통되며 공기주입시 부상할 수 있는 튜브로 제작된다.
지지대(60)와 수평 연결하는 2개의 지지매트(70)는 각각의 지지매트(70)에 한 쌍의 지지대(60)와 연통되어 있음으로써, 지지대(60)와 지지매트(70)에 공기가 동시에 주입될 수 있게 된다.
지지대(60)와 지지대(60)를 수평 연결하는 지지매트(70)를 포함함으로써, 세척 및 보수작업시 지지대(60) 및 지지매트(70)에 공기를 주입하면, 물위로 부상하여 세척 및 보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세척 및 보수작업시, 지지바아(40)를 해체한 후 지지대(60) 및 지지매트(70)에 공기를 주입하여 세운다. 세척은 현장의 물을 이용하여 현장 세척이 가능하며, 설치된 분수 또는 이동용 고압호스로 밑에서 위로 쏘아 세척한다. 세척한 물은 외측튜브(20)에서 내측튜브(10)로 이루어진 경사를 따라 유동하거나 여과포(30)를 통과한다. 작업이 끝나면 지지대(60) 및 지지매트(70)의 공기를 빼내어 외측튜브(20)에 묶어 놓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분수대 본체(5)를 기준으로 내측튜브(10) 및 외측튜브(20)를 순차적으로 설치한다. 여기서, 외측튜브(20)의 직경이 내측튜브(10)의 직경보다 커서 외측튜브(20)로부터 내측튜브(10)쪽으로 경사가 이루어짐으로써, 여과포(30) 위에 있는 슬러지가 내측튜브(10)쪽으로 유동하여 슬러지튜브(53)에 용이하게 수령될 수 있게 된다.
내측튜브(10)와 외측튜브(20)를 설치한 후, 분수대 본체(5)와 내측튜브(10) 사이 및 내측튜브(10)와 외측튜브(2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며, 물에 젖고 슬러지가 쌓인 여과포(30)가 물 및 슬러지의 무게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바아(40)로 지지한다. 지지바아(40)는 내측튜브(10) 및 외측튜브(20)를 상호 연결하며 일단부가 분수대 본체(5)를 지지하며, 내측튜브(10)의 제1고정부(16)에 고정되고 외측튜브(20)의 제2고정부(26)에 타단부가 고정된다.
또한, 여과된 슬러지가 수중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측튜브(10)에 부분적으로 열융착한 슬러지튜브(53)를 부착하고 슬러지튜브(53) 하부에 배출부(55)를 낸다. 배출부(55)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는 슬러지튜브(53)의 내측 둘레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장착된 여과통(56)에 의해 여과됨으로써, 물은 밑으로 빠지고 슬러지는 여과통(56)에 남게 된다.
외측튜브(20) 하부에는 지지대(60)와 지지매트(70)를 연통되게 설치하여 세척 및 보수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한편, 일정 주기로 여과포(30)와 여과통(56)을 교체하여 여과포(30) 및 여과통(56)에 쌓인 슬러지를 처리함으로써, 물의 오염 및 악취를 감소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분수여과장치는 분수대 본체와, 분수대 본체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둘러싸는 내측튜브와, 내측튜브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둘러싸는 외측튜브와, 내측튜브 및 외측튜브에 결합되는 여과포와, 내측튜브 및 외측튜브를 상호 연결하며 분수대 본체 및 여과포를 지지하는 지지바아와, 여과포에 의해 여과된 슬러지를 수령하는 슬러지 수용부와, 외측튜브를 부상시키는 지지대와, 지지대를 수평 연결하는 지지매트를 가짐으로써, 물을 양수하여 물 속에 함유된 이물질 등을 여과하며 물의 오염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여과포(30)의 고정끈(33)이 내측튜브(10)와 외측튜브(20)의 제1고리부(13) 및 제2고리부(23)에 결합되며, 내측튜브(10)와 외측튜브(20) 사이로 유동하는 물을 여과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분수대 본체(5)에 고리부(미도시)를 마련하여 고리부(미도시)와 외측튜브(20)의 제2고리부(23)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내측튜브(10) 및 외측튜브(20)가 각각 2개의 튜브가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한 개의 튜브로 이루어져 각 튜브 내를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판(미도시)이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튜브의 측면에 연결고리부(18, 28)를 마련하여 연결끈(35)에 의해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후크연결(미도시) 등과 같은 다른 연결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물을 양수하여 물 속에 함유된 이물질 등을 여과하며 물의 오염을 저감할 수 있는 분수여과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7)

  1. 분수여과장치에 있어서,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가지는 분수대 본체와;
    상기 분수대 본체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둘러싸며, 일 영역에 복수의 제1고리부가 마련된 내측튜브와;
    상기 내측튜브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둘러싸며, 일 영역에 복수의 제2고리부가 마련된 외측튜브와;
    상기 내측튜브 및 외측튜브의 각 고리부에 결합되며, 상기 내측튜브와 외측튜브 사이로 유동하는 물을 여과하는 여과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여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튜브로부터 상기 내측튜브로 경사지도록 상기 외측튜브의 직경은 상기 내측튜브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여과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튜브 및 상기 내측튜브는 각각 복수의 튜브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튜브는 연결고리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도우넛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여과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튜브 및 상기 외측튜브를 상호 연결하며 일단부가 상기 분수대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바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측튜브 및 외측튜브에는 각각 상기 지지바아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여과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수대 본체와 상기 내측튜브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여과포에 의해 여과된 슬러지를 수령하는 슬러지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여과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수용부는,
    상기 내측튜브의 내측 둘레를 따라 부분적으로 열융착되어, 상기 여과포를 따라 유동하는 슬러지를 수령하는 슬러지튜브와;
    상기 슬러지튜브의 내측 둘레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상기 슬러지튜브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를 여과하며 물을 배출시키는 여과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여과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튜브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외측튜브를 부상시키는 복수의 지지대와;
    상기 복수의 지지대를 수평 연결하는 지지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여과장치.
KR20-2003-0029059U 2003-09-09 2003-09-09 분수여과장치 KR2003357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059U KR200335711Y1 (ko) 2003-09-09 2003-09-09 분수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059U KR200335711Y1 (ko) 2003-09-09 2003-09-09 분수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711Y1 true KR200335711Y1 (ko) 2003-12-11

Family

ID=49420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059U KR200335711Y1 (ko) 2003-09-09 2003-09-09 분수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7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1382B2 (en) Method and system for filtering sediment-bearing fluids
CN105833578B (zh) 水处理设备和系统
US200701449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filtering sediment-bearing fluids
US7468082B2 (en) Self cleaning gas filtering system and method
US200701873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filtering sediment-bearing fluids
JP6047003B2 (ja) ろ過砂層の洗浄システム
CN104740925B (zh) 泵前浮式自清洗微滤装置
KR200335711Y1 (ko) 분수여과장치
CN106906811B (zh) 泡沫清理装置及水体净化设备
KR101108528B1 (ko) 저수 정화장치 및 그 세정방법
CN101254977B (zh) 一种中空纤维膜组件、膜生物反应器及水处理设备
WO2007135202A1 (es) Dispositivo para acoplar a equipos de tratamiento del agua en general y aguas residuales
KR200449925Y1 (ko) 좌대식 분리형 수조여과장치
JP3082853B2 (ja) 水質浄化装置
CN218280671U (zh) 一种泳池石英砂过滤器
CN218815341U (zh) 一种墙体养护装置
KR100851409B1 (ko) 저수 정화장치
KR101833104B1 (ko) 수족관 시스템
US10435902B2 (en) Portable pool filter system
CN218013670U (zh) 一种景观喷水装置
KR101022339B1 (ko) 수처리용 여과기
KR200164810Y1 (ko) 수조의 포기겸용 상부여과장치(a bubbly filter for use an aquarium)
ES2350213A1 (es) Dispositivo para acoplar a equipos de tratamiento del agua en generaly aguas residuales.
CN208617466U (zh) 一种用于好氧池的直插式曝气装置
JP2004160372A (ja) 水質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