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302Y1 - 코 성형 수술 기구 - Google Patents

코 성형 수술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302Y1
KR200335302Y1 KR20-2003-0025289U KR20030025289U KR200335302Y1 KR 200335302 Y1 KR200335302 Y1 KR 200335302Y1 KR 20030025289 U KR20030025289 U KR 20030025289U KR 200335302 Y1 KR200335302 Y1 KR 2003353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osteum
incision
cartilage
rhinoplast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52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태환
Original Assignee
안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태환 filed Critical 안태환
Priority to KR20-2003-00252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3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3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3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61B17/3211Surgical scalpels, knive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61B17/32093Incision instruments for skin inci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골 위에 증착된 골막에 정확하게 절개선을 가할 수 있는 코 성형 수술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코 성형 수술 기구는 골막에 절개선을 가하는 칼날부와, 상기 칼날부를 고정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코 성형 수술시 골막을 정확하게 절개할 수 있어서 골막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코 성형 수술 기구 {INSTRUMENT OF RHINOPLASTY}
본 고안은 코 성형 수술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골 위에 증착된 골막에 정확하게 절개선을 가할 수 있는 코 성형 수술 기구에 관한 것이다.
코 성형 수술시 비골과 골막 사이에 보형물을 삽입하기 위해서는, 비골 위에 증착되어 있는 골막을 절개하고, 비골과 골막을 박리해야 한다. 종래에는 비골 위에 증착되어 있는 골막을 절개할 경우 가위로 골막에 절개선을 낸 후 비골과 골막의 박리를 시행하였다.
종래의 가위에 의한 골막 절개 수술에 의하면, 상기 골막의 절개 부위를 정확하게 찾기 어려워서 골막을 손상케 할 우려가 많았고, 이로 인해 수술 후에 후유증이 발생되었다. 또한 정확한 절개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인공 보형물이 비골과 골막 사이에 정확히 위치하지 못하고 골막 위에 위치하는 경우도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그리고 수술 후 보형물이 손상된 골막을 통하여 피부 아래층으로 이동하거나 고정이 되지 않아서 보형물의 심한 전위가 발생할 수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비골 위에 증착된 골막에 정확하고 용이하게 절개할 수 있는 코 성형 수술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코 성형 수술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코 성형 수술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외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비골 20 : 상부 연골
30 : 비익 연골 100 : 칼날부
200 : 손잡이부 300 : 연골막 박리기부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코 성형 수술 기구는, 골막에 절개선을 가하는 칼날부와, 상기 칼날부를 고정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 성형 수술기구는, 비중격의 연골과 연골막을 분리하는 연골막 박리기를 더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는, 그 칼날의 형상이 곡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코 성형 수술 기구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코 성형 수술 기구는 칼날부(100)와, 손잡이부(200)와, 연골막 박리기부(3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칼날부(100)는 상기 손잡이부(200)에 의해 지탱되며, 상기 손잡이부(200)와 약 90˚의 각을 이루고 있다. 여기서 상기 칼날부(100)와 손잡이부(200) 사이의 각은 9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얼마든지 조정가능한 것이다. 상기 칼날부(100)의 날은 절개의 정확성과 용이함을 위하여 곡선 모양을 이루고 있다.
상기 손잡이부(200)는 상기 칼날부(100)와 상기 연골막 박리기부(300) 사이에 위치하며, 이들을 지탱하는 부분이다. 상기 손잡이부(200)는 상기 칼날부(100)를 이용하여 상기 골막에 절개선을 가하거나, 상기 연골막 박리기부(300)를 이용하여 연골막을 박리할 경우 정확한 절개나 박리를 시행하도록 지탱해주는 부분이다.
상기 연골막 박리기부(300)는 상기 손잡이부(200)를 중심으로 상기 칼날부(100)와 반대편에 위치한다. 상기 연골막 박리기부(300)는 비중격과 비중격 연골막의 박리를 용이하게 해준다. 상기 연골막 박리기부(300)를 이용하여 연골막 박리를 시행한 후 상기 칼날부(100)를 이용하여 골막에 절개선을 가한다.
도 3은 외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외비 구조는 크게 코뼈인 비골(10)과 상부 연골(20)과 비익 연골(30)로 되어있다. 상기 비골(10) 위에는 골막이 증착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비골(10)과 상기 골막의 박리를 시행하기 전에 상기 골막에 절개선을 가하는 코 성형 수술기구이다.
코 성형 수술시 코구멍 안에 변연 절개(marginal incision)를 통하여 비익 연골(30)위로 박리를 시행한다. 비익 연골(30)의 박리를 시행한 후 상기 칼날부(100)는 상부 연골(20)을 지나서 비골(10)에 도달하여 상기 비골(10) 위에 증착된 골막에 절개선을 가한다. 골막에 절개선을 가한 후 조셉 엘리베이터로 상기 비골(10)과 골막의 박리를 시행한다.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하면, 골막 절개가 용이하고 골막에 정확하게 절개선을 가할 수 있어 수술시 골막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골막에 절개선을 가하는 칼날부와:
    상기 칼날부를 고정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성형 수술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 성형 수술기구는, 비중격의 연골과 연골막을 분리하는 연골막 박리기를 더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성형 수술 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는, 그 칼날의 형상이 곡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성형 수술 기구.
KR20-2003-0025289U 2003-08-06 2003-08-06 코 성형 수술 기구 KR2003353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289U KR200335302Y1 (ko) 2003-08-06 2003-08-06 코 성형 수술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289U KR200335302Y1 (ko) 2003-08-06 2003-08-06 코 성형 수술 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4245A Division KR20050015436A (ko) 2003-08-06 2003-08-06 코 성형 수술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302Y1 true KR200335302Y1 (ko) 2003-12-06

Family

ID=49341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289U KR200335302Y1 (ko) 2003-08-06 2003-08-06 코 성형 수술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30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erbault et al. The role of piezoelectric instrumentation in rhinoplasty surgery
Lempert Improvement of hearing in cases of otosclerosis: a new, one stage surgical technic
US5462549A (en) Femoral sizing apparatus
US20020082704A1 (en) Osteochondral transplant techniques
AU200236413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spinal surgery
DE60018712D1 (de) Chirurgischer bohrer
DE69923727D1 (de) Instrumentensatz zum Entfernen eines Platzhalters von einer Wirbelsäule
WO2007084846A3 (en) Method of preparing an ankle joint for replacement, joint prosthesis, and cutting alignment apparatus for use in performing an arthroplasty procedure
US9943320B2 (en) Femoral explant device
DE50013560D1 (de) Vorrichtung zur gewinnung von knochenspänen
EP2670327A1 (en) Bone defect repair device and method
Zide Nasal anatomy: the muscles and tip sensation
DE50312238D1 (de) Hilfsmittel zur implantation einer hüftgelenkendoprothese
ATE427701T1 (de) System zur reperatur einer gelenkoberflache
EP1356775A3 (en) Apparatus for resecting bone from an ulna
WO2009046121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bone for a prosthetic device
GB2434752A (en) Medical implant comprising a biological substrate and a diamond-like carbon coating
ES2149992T3 (es) Instrumento que sirve para realizar un corte intercondiliano para una protesis femoral posterior estabilizada de rodilla.
KR20050015436A (ko) 코 성형 수술 기구
CN104939951A (zh) 一种人工颞下颌关节置换骨修整导板组件
AU2008212662B2 (en) Canine prosthetic elbow joint
ATE392196T1 (de) Chirurgisches instrument zum entfernen eines zwischenwirbelimplantats
KR200335302Y1 (ko) 코 성형 수술 기구
DE50311016D1 (de) Chirurgische einrichtung zur entnahme von gewebezellen aus einer biologischen struktur insbesondere zur liposuktion
Hontanilla et al. A predictable approach for osteotomy in rhinoplasty: a new concept of open external osteotom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