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246Y1 - 다용도 진동 반지 - Google Patents

다용도 진동 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246Y1
KR200335246Y1 KR20-2003-0028162U KR20030028162U KR200335246Y1 KR 200335246 Y1 KR200335246 Y1 KR 200335246Y1 KR 20030028162 U KR20030028162 U KR 20030028162U KR 200335246 Y1 KR200335246 Y1 KR 2003352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ower supply
vibrator
ring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81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두철
Original Assignee
박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두철 filed Critical 박두철
Priority to KR20-2003-00281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2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2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2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Landscapes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별도의 설치공간을 형성하지 않고 착탈식으로 전원장치를 설치하므로 용량을 높일 수 있고 진동성능을 향상시키며 미감이 양호하도록, 한쪽에 폭방향을 따라 조립공간이 형성되고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본체의 조립공간 내부에 조립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기와, 진동기에 전원을 인가하며 본체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전원장치와, 본체 또는 전원장치에 설치되고 전원장치와 진동기 사이에서 전원의 온/오프를 행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다용도 진동 반지를 제공한다.
본체에는 진동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암커넥터를 설치하고, 전원장치에는 암커넥터와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수커넥터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다용도 진동 반지 {Multiful Use Vibration Ring}
본 고안은 다용도 진동 반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진동성능이 향상되므로 사용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고, 크기조절이 가능하므로 사용이 편리한 다용도 진동 반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세서리의 일종인 반지는 목걸이, 귀걸이, 팔찌 등과 더불어 인기있는 장신구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반지는 특히, 손가락에 간편하게 끼워서 사용하므로 남녀노소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반지는 장신구 이외에 별다른 기능이 없으므로 점차 효용성이 감소되고 있다.
따라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1997-15959호에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능성 반지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실용신안공개공보 1997-15959호의 기능성 반지는 다수의 돌기를 서로 연결하여 돌기부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돌기의 저면에는 요홈을 형성한 링과, 상기 돌기부의 일측돌기에 내장되고 착용시 밀착에 의한 건전지와 연결되도록 구성한 접점스위치와, 상기 돌기부의 다른 돌기내 삽입되는 전자기판부와, 상기 돌기부의 또 다른 돌기내에 내설되고 상기 건전지의 전원을 인가받아 진동하는 진동체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기능성 반지는 돌기에 건전지를 내설하여 진동체에 전원을 인가하는 구조이므로 돌기내에 설치 가능한 건전지의 크기가 비교적작아진다.
따라서 건전지의 용량에 한계가 발생하여 자주 교체하거나 진동체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되고, 용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돌기의 크기를 증가시켜야 하므로 미감을 해치게 된다.
그리고 돌기 내부에 건전지를 삽입하거나 분리하는 등의 교체작업이나 보수작업이 불편하다. 따라서 건전지를 교체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반지 자체를 폐기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기능성 반지는 손가락 등을 통하여 링의 내주면에 밀착력을 가하거나 해제함에 따라 접점스위치가 온/오프(on/off)를 행하는 구조로, 반지를 착용한 상태에서는 항상 진동체가 작동하므로 진동을 사용할 때 이외에는 반지를 착용할 수 없어 그 사용빈도가 매우 적고, 장신구로서의 효용성이 거의 없으며 매우 제한적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설치공간을 형성하지 않고 착탈식으로 전원을 설치하므로 전지의 용량을 용이하게 높일 수 있고 진동성능을 향상시키며 미감이 양호하도록 구성한 다용도 진동 반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착용하는 사람에 따라 각각 다른 크기로 형성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도록 크기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진동 반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진동 반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진동 반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진동 반지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 및 보조본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진동 반지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 및 보조본체를 결합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진동 반지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진동기와 전원장치를 일체로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진동 반지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조립공간에 진동기 대신 보석류를 결합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본 고안이 제안하는 다용도 진동 반지는 한쪽에 폭방향을 따라 조립공간이 형성되고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조립공간 내부에 조립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기와, 상기 진동기에 전원을 인가하며 상기 본체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전원장치와, 상기 본체 또는 전원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장치와 진동기 사이에서 전원의 온/오프를 행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와 전원장치를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본체에는 상기 진동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암커넥터를 설치하고 상기 전원장치에는 상기 암커넥터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커넥터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본체의 내측에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크기가 점차 작아지게 하나이상 형성되는 보조본체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본체와 보조본체 또는 상기 2이상의 보조본체 끼리는 조립부를 통하여 연결하여 손가락이 삽입되는 내경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립부는 상기 본체 및 보조본체의 내주면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걸림홈과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폭방향 한쪽 끝부분을 향하여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나이상의 삽입홈과 상기 조립본체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을 통하여 걸림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진동기는 조립공간으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상기 전원장치에 일체로 설치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전원장치에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고주파나 저주파, 초음파를 발생하는 파장발생장치를 일체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다용도 진동 반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진동 반지의 일실시예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에 폭방향을 따라 조립공간(12)이 형성되고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조립공간(12) 내부에 조립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기(20)와, 상기 진동기(20)에 전원을 인가하며 상기 본체(1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전원장치(30)와, 상기 본체(10) 또는 전원장치(30)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장치(30)와 진동기 사이에서 전원의 온/오프를 행하는 스위치(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다양한 형상으로 외주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10)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반지와 마찬가지로 링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는 다양한 종류의 보석이나 장식품을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본체(10)의 내주면은 상기 조립공간(12)의 반대쪽으로 한쪽으로 치우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본체(10)는 상기 조립공간(12)이 형성되는 부분을 가장 두껍게 형성한다.
상기 조립공간(12)이 형성되는 바깥쪽 표면은 미관을 위하여 보석이나 장식품을 설치할 수 있도록 사각이나 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의 평면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본체(10)의 재질로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반지의 재질과 마찬가지로 금, 은, 옥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조립공간(12)은 본체(1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진동기(20)는 축전지 등의 전원을 인가받음에 따라 진동이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소형 진동기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22)와 상기 모터(22)의 회전축(24) 한쪽 끝부분에 편심으로 결합되는 편심중량체(26)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진동기(20)는 상기 본체(10)의 조립공간(12)에 모터(22)를 밀착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모터(22)가 진동하는 경우에 본체(10)가 모터(22)와 함께 진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모터(22)와 본체(10)가 밀착 고정되지 않고 모터(22)와 본체(10) 사이에 틈새가 발생한 경우에는 모터(22)가 진동함에 따라 모터(22)가 본체(10)와 별도로 흔들리면서 충격이 지속적으로 본체(10)에 가해지고 본체(10) 및/또는 모터(22)가 파손되거나 모터(22)가 본체(10)로부터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진동기(20)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편심중량체(26)를 조립공간(12)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면, 상기 조립공간(12)은 본체(10)의 폭방향 따라 관통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진동기(20)의 모터(22)는 조립공간(12)에 고정 지지시킨 상태로 상기편심중량체(26)를 한쪽 끝부분으로 노출시키며, 상기 노출된 편심중량체(24)의 외부는 상기 본체(10)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덮개 등을 통하여 외부를 감싸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진동기(20)의 편심중량체(26)를 조립공간(12) 외부로 노출시키면 조립공간(12)의 크기를 최소화하거나 보다 큰 진동기(20)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전원장치(30)는 본체(10)와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서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진동기(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암커넥터(14)를 설치하고 상기 전원장치(30)에는 상기 암커넥터(14)와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수커넥터(34)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전원장치(30)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하나이상의 소형 축전지(32)와 상기 축전지(32)를 지지하는 케이스(3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에서 전원장치(30)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고주파나 저주파, 초음파 등을 발생하는 파장발생장치(파장을 발생시키는 반도체 등이 장착된 회로기판 등)를 일체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파장발생장치는 케이스(33)에 일체로 지지시키는 것이 생산이나 사용의 면에서 매우 편리하다.
상기 스위치(40)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스위치와 마찬가지로 버튼(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음)을 반복하여 누름에 따라 온/오프로 작동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진동 반지의 일실시예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손가락에 착용한 상태에서 진동마사지를 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위치(40)를 온시킨다. 상기 스위치(40)를 온시키면, 상기 모터(22)가 회전하게 되고, 모터(22)의 회전에 따라 편심중량체(26)가 회전하게 되어 진동이 발생하며, 이 진동이 모터(22)를 통하여 본체(10)에 전달된다.
상기와 같이 본체(10)에 진동이 전달되면, 본체(10)의 진동이 착용한 손가락으로 전달되어 손가락이 진동하게 된다.
상기에서 진동마사지를 필요로 하는 부위가 손가락일 경우에는 본체(10)를 그 손가락에 착용하는 것에 의하여 마사지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본체(10)를 착용한 손가락을 마사지를 받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하여 진동마사지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진동마사지를 행하게 되면 혈액순환이 촉진되고 뭉쳤던 근육을 풀어주게 되며 생리적인 활성화가 촉진된다. 그리고 이러한 진동마사지는 부부간의 성생활에 있어서도 활용이 가능하며, 불감증을 일부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진동 반지의 다른 실시예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크기가 점차 작아지게 하나이상 형성되는 보조본체(15)를 설치하고, 조립부(16)를 통하여 상기 본체(10)와 보조본체(15)를 연결하거나 상기 2이상의 보조본체(15) 끼리 연결하여 본체(10)의 내경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에서 조립부(16)는 상기 본체(10) 및/또는 보조본체(15)의 내주면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걸림홈(17)과, 상기 걸림홈(17)으로부터 폭방향 한쪽 끝부분을 향하여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나이상의 삽입홈(18)과, 상기 보조본체(15)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8)을 통하여 걸림홈(17)에 삽입되는 삽입돌기(19)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홈(17)은 상기 본체(10) 또는 보조본체(15) 내주면의 폭 중앙부분에 소정의 깊이로 전 둘레에 걸쳐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18)은 한쪽 방향으로 상기 걸림홈(17)과 연통하면서 내주면의 폭을 관통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삽입돌기(19)를 삽입홈(18)을 통하여 걸림홈(17)에 삽입하고 삽입홈(18)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으로 회전시키는 것(도 5에서 화살표로 나타냄)에 의하여 삽입돌기(19)가 걸림홈(17)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므로, 보조본체(15)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진동 반지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립공간(12)으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상기 전원장치(30)에 진동기(20)를 일체로 설치 결합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진동기(20)를 전원장치(30)에 일체로 설치 결합하면, 전원장치(30)로부터 진동기(20)로 전원을 인가시키고 본체(10)에 전원장치(30)를 지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암커넥터(14)와 수커넥터(34)의 구성이 필요없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조립공간(12)을 넓게 확보하고 각종 보석류(2)를 고정지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부를 돌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진동기(20)가 본체(10)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내부가 빈 조립공간(12)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립공간(12)에 삽입되는 삽입부(4)와 상기 삽입부재(4)로부터 보석류(2)를 본체(10)의 윗면으로 위치시키는 연장부(6)로 이루어지는 장식체(3)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장식체(3)는 설치시에 연장부(6)가 상기 본체(10)의 일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연장부(6)가 삽입되는 가이드홈(8)을 본체(10)에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장식체(3)를 구성하면, 일반적인 반지의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본체(10)에 진동기(20) 대신에 장식체(3)를 설치하여 손가락에 착용하고, 진동마사지를 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장식체(3)를 탈거하고 진동기(20) 및 전원장치(30)를 본체(10)에 조립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항상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진동 반지를 착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그 사용빈도가 증대되고 활용도가 높아진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진동 반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및 고안의 상세한 설명, 첨부한 도면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내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진동 반지에 의하면, 전원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본체에 형성하지 않고 본체 외부에 착탈식으로 전원장치를 설치하는 구조이므로 축전지의 크기와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축전지의 사용시간이 연장되고 진동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해당하는 신체부위에 반지를 착용한 손가락을 접촉시켜서 혈액순환을 원할하게 하거나 마사지효과를 얻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해진다.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진동 반지에 의하면, 신체에 진동체가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진동을 전달하는 방식 뿐만 아니라, 손가락을 통한 간접적인 방식으로 진동을 전달하므로, 피부를 진동체가 강하게 때림에 따른 통증 및 피부와 다른 재질이 접촉함에 따른 이질감 등을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축전지를 삽입이나 분리시키는 것이 편리하고 전지의 교체작업 등 취급이 매우 용이하며, 상기 전원장치를 분리하고 손가락에 착용하는 것에 의하여 장신구로서 양호한 미감을 제공한다.
또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진동 반지에 의하면, 상기 전원장치와 더불어 진동기를 조립공간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고 필요시에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장신구로 사용하는 경우 무게가 가벼워지고, 조립공간에 진동기 대신에 각종 보석류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미감이 양호하면서 색다른 느낌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진동 반지에 의하면, 착용상태에 상관없이 원하는 경우에 편리하게 스위치의 온/오프를 행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구조이므로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해제하는 것이 매우 편리하다. 특히, 반지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로 진동을 발생시켜서 신체부위에 접촉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진동 반지에 의하면, 손가락의 크기에 따라 하나 이상의 보조본체를 결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다양한 연령의 사람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남녀가 함께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1개를 이용하여 온 가족이 함께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새끼손가락에서부터 엄지손가락까지 모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5)

  1. 한쪽에 폭방향을 따라 조립공간이 형성되고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조립공간 내부에 조립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기와,
    상기 진동기에 전원을 인가하며 상기 본체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전원장치와,
    상기 본체 또는 전원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장치와 진동기 사이에서 전원의 온/오프를 행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다용도 진동 반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진동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암커넥터를 설치하고,
    상기 전원장치에는 암커넥터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커넥터를 설치하는 다용도 진동 반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기는 상기 조립공간으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상기 전원장치에 일체로 설치 결합되는 다용도 진동 반지.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측에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크기가 점차 작아지게 형성되는 하나이상의 보조본체를 설치하고,
    상기 본체와 보조본체 또는 상기 2이상의 보조본체 끼리는 조립부를 통하여 연결하여 손가락이 삽입되는 내경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조립부는 상기 본체 및 보조본체의 내주면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걸림홈과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폭방향 한쪽 끝부분을 향하여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나이상의 삽입홈과 상기 조립본체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을 통하여 걸림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로 이루어지는 다용도 진동 반지.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장치에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고주파나 저주파, 초음파를 발생하는 파장발생장치를 일체로 설치하는 다용도 진동 방지.
KR20-2003-0028162U 2003-09-02 2003-09-02 다용도 진동 반지 KR2003352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162U KR200335246Y1 (ko) 2003-09-02 2003-09-02 다용도 진동 반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162U KR200335246Y1 (ko) 2003-09-02 2003-09-02 다용도 진동 반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246Y1 true KR200335246Y1 (ko) 2003-12-03

Family

ID=49420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162U KR200335246Y1 (ko) 2003-09-02 2003-09-02 다용도 진동 반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2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886B1 (ko) * 2017-11-20 2018-06-27 김선수 알약수용 구조를 갖는 금연팔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886B1 (ko) * 2017-11-20 2018-06-27 김선수 알약수용 구조를 갖는 금연팔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23481A (en) Gum massage implement and method of finger massaging gums
USD561939S1 (en) Elastic ornamental hair band
US6203509B1 (en) Fingertip massager
WO2004047583A3 (en) Miniature finger ring vibrator
US20030221238A1 (en) Glove massager
JP2013502994A (ja) 柔軟な下部構造を有するマッサージ装置
KR200396216Y1 (ko) 핸드폰 케이스용 거치대
EP2892494B1 (en) Stimulation device
US10940078B1 (en) Vibratory massage apparatus
CA98639S (en) Water timer
KR200335246Y1 (ko) 다용도 진동 반지
US7318811B1 (en) Vibrating body jewelry device
CN208958727U (zh) 穿戴式振动按摩装置
KR101698744B1 (ko) 회전 장신구
JP2004229724A (ja) 健康器具
USD479767S1 (en) Musical walking stick
KR200357399Y1 (ko) 소형 진동 마사지기
JP2004358088A (ja) 電動マッサージ器
USD486401S1 (en) Watch band housing
KR200407485Y1 (ko) 손가락 자극기
KR102064305B1 (ko) 휴대용 종아리 안마기
USD487229S1 (en) Wristwatch
KR200173044Y1 (ko) 지압용손목시계케이스뚜껑
WO2002051348A1 (en) Hand held massage device
KR200197276Y1 (ko) 접촉패드 탈착구조를 갖는 안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