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189Y1 - 뒷굽이 출몰되는 바닥창 - Google Patents

뒷굽이 출몰되는 바닥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189Y1
KR200335189Y1 KR20-2003-0029070U KR20030029070U KR200335189Y1 KR 200335189 Y1 KR200335189 Y1 KR 200335189Y1 KR 20030029070 U KR20030029070 U KR 20030029070U KR 200335189 Y1 KR200335189 Y1 KR 2003351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ole
heel
height
out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90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태 주 하
Original Assignee
태 주 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 주 하 filed Critical 태 주 하
Priority to KR20-2003-00290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1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1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1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36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 A43B21/42Heels with replaceable or adjustable parts, e.g. top lift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귓굽이 출몰되는 바닥창에 관한 것으로, 바닥창에 결합된 뒷굽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출몰되어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수평기어와 수직기어로 구성된 헤리컬 기어를 내입하고, 기어를 유동에 의해 뒷굽이 바닥창 외부로 출몰할 수 있도록 하여, 다리의 길이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짧은 다리에 착용한 신발의 바닥창의 뒷굽을 돌출 시켜, 다리 길이의 균형을 유지하여 보행에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며,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바닥창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신발을 착용한 사람의 신장을 커 보이게 하는 키높이 신발의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Description

뒷굽이 출몰되는 바닥창{a shoe sole}
본 고안은 귓굽이 출몰되는 바닥창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바닥창에 형성되는 뒷굽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바닥창 외부로 출몰시킬 수 있도록 하여, 귓굽의 높이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현재의 신발은 발을 보호하는 단순한 기능에서, 사람의 신체여건에 따라 착용자의 장애를 보완하는 특수한 목적으로 신발이 제작되고 있으며, 그 기능으로 신발을 착용한 사람의 키를 커 보이게 하거나, 또는 사람의 신체에서 양측 다리의 길이가 같지 않을 경우에는, 균형을 맞출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신발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에 신발 내부에 두께가 다른 중창이나 깔창을 내입하거나, 바닥창의 높이를 일반적인 높이 보다 높게하여. 외관으로는 쉽게 알 수 없도록 한 키높이 신발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상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 키높이 신발은 신발에 부착되는 신발 뒷굽의 높이가 고정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높이를 정하지 못하고, 일괄적으로 정해진 높이에 한정되게 바지를 맞추어 입어야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양측 다리의 길이가 다른 경우에는 길이가 짧은 다리에 착용되는 신발에 별도의 깔장이나 중장을 내입하여 다리 길이의 균형을 잡아야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귓굽이 결합되는 신발의 바닥창의 구성에서, 바닥창에 결합된 뒷굽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출몰되어 높낮이가 조절될 수있도록, 수평기어와 수직기어로 구성된 헤리컬 기어를 내입하고, 기어의 유동에 의해 뒷굽이 바닥창 외부로 출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 요부 분리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결합을 설명한 일부 절취 배면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한 요부 단면도서
a는 뒷굽이 돌출되기전 상태
b는 뒷굽이 돌출된 상태
도4는 본 고안의 사용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귓굽 2; 신발 3; 바닥창 4,4'; 기어 내입부
5; 가이드 내입공 6; 수직 기어 7,7'; 나사부
8; 승하강 조절봉 내입구 9; 가이드 10; 승하강 조절봉
11; 요턱 12; 수평 기어 13; 베어링 14; 갑피
귓굽(1)이 형성되는 신발(2)의 바닥창(3) 후면에, 수직과 수평으로 형성된 기어 내입부(4)(4')와 가이드 내입공(5)을 형성하고, 상기의 기어 내입부(4)(4')에서 수평기어 내입부(4)에는 수직 기어(6)에 나사부(7)가 형성된 승하강 조절봉 내입구(8)를 형성하여, 뒷굽(1)에 형성되는 전. 후방 가이드(9)와 나사부(7')가 형성된 승하강 조절봉(10)이, 상기의 가이드 내입공(5)과 승하강 조절봉 내입구(8)에 각각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바닥창(3)에 형성된 수평기어 내입부(4')에는 요턱(11)이 형성된 수평 기어(12)를 수직 기어(6)와 치합될 수 있도록 결합한 것이다.
미설명 부호 "21"은 덮개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바닥창(3)에 형성된 뒷굽(1)이 기어(6)(12)에 의하여 출몰되는 본 고안의 사용은 다음과 같다.
바닥창(3) 후면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기어 내입부(4)에 수직 기어(6)를 내입하고,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 기어 내입부(4')에 수평 기어(12)를 내입하여, 교차되는 기어(6)(12)가 서로 치합되어 수평 기어(12)의 회전으로 수직 기어(6)가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한 상태에서, 수평 기어(12)에 요턱(11)에 도구(13)를 이용하여 수평 기어(12)를 회전하여 주면, 수평 기어(12)가 회전하면서 치합된 수직 기어(6)에 회전을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평 기어(12)와 수직 기어(6)가 회전할 때에, 수평 기어(12)와 수직 기어(6)는 바닥창(3)에 고정된 상태에서 재자리 회전을 하게 되지만, 수직 기어(6)에 형성된 승하강 조절봉 내입구(8)의 나사부(7)에 동일한 나사부(7')로 치합된 승하강 조절봉(10)은, 고정되어 회전하는 승하강 조절봉 내입구(8)와 달리 나사부(7)(7')의 회전에 따라 유동하면서, 바닥창(3) 아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승하강 조절봉(10)의 유동으로 인해, 승하강 조절봉(10)에 일체로 형성된 귓굽(1)이 동일하게 유동하여 바닥창(3)에서 뒷굽(1)이 출몰되는 것이며, 출몰되는 귓굽(1)은 회전되는 수평 기어(12)의 회전량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어, 사용자가 요구하는 높이로 뒷굽(12)을 돌출 시켜 필요한 바닥창(3)의 높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수평 기어(12)와 수직 기어(6)에는 기어(6)(12)의 회전의 원활함을 위하여 각각의 베어링(14)이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 되는 뒷굽(1)이 비틀림 없이 바닥창(3)에서 출몰될 수 있도록, 뒷굽(1)에 형성된 가이드(9)가 전. 후방으로 지지하고 있어서, 바닥창(3)에 형성된 가이드 내입공(5)에서 상. 하 이동하게 되므로, 뒷굽(1)이 정위치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돌출된 뒷굽(1)을 바닥창(3) 내부로 원위치할 때에는, 수평 기어(12)의 회전방향을 처음과 반대방향으로 하여, 돌출된 귓굽(1)이 승하강 조절봉 내입구(8)에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동을 수행하는 바닥창(3) 상부로 갑피(15)를 결합하여신발(2)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기어 내입부(4)(4')와 가이드 내입공(5)은 바닥창(3)을 성형할 때 몰드 성형방법을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 본 고안의 바닥창(3) 적용은 보편적인 운동화 및 구두를 비롯한 일정 높이를 가지는 바닥창이 형성되는 모든 신발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출몰되는 뒷굽(1)에 사용자에 요구에 따라 돌기를 형성하여, 빙판이나 기타 주변 여건에 따라 필요한 특정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바닥창(3)에 형성된 뒷굽(1)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어 출몰되므로, 양측의 다리의 길이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짧은 다리에 착용한 신발(2)의 바닥창(3)의 뒷굽(1)을 돌출 시켜 다리 길이의 균형을 유지하여 보행에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며, 신발(2)을 착용한 상태에서 바닥창(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신발(2)을 착용한 사람의 신장을 커 보이게 하는 키높이 신발의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Claims (1)

  1. 귓굽(1)이 형성되는 신발(2)의 바닥창(3) 후면에, 수직과 수평으로 형성된 기어 내입부(4)(4')와 가이드 내입공(5)을 형성하고, 상기의 기어 내입부(4)(4')에서 수평기어 내입부(4)에는 수직 기어(6)에 나사부(7)가 형성된 승하강 조절봉 내입구(8)를 형성하여, 뒷굽(1)에 형성되는 전. 후방 가이드(9)와 나사부(7')가 형성된 승하강 조절봉(10)이, 상기의 가이드 내입공(5)과 승하강 조절봉 내입구(8)에 각각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바닥창(3)에 형성된 수평기어 내입부(4')에는 요턱(11)이 형성된 수평 기어(12)를 수직 기어(6)와 치합될 수 있도록 결합한, 뒷굽이 출몰되는 바닥창.
KR20-2003-0029070U 2003-09-09 2003-09-09 뒷굽이 출몰되는 바닥창 KR2003351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070U KR200335189Y1 (ko) 2003-09-09 2003-09-09 뒷굽이 출몰되는 바닥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070U KR200335189Y1 (ko) 2003-09-09 2003-09-09 뒷굽이 출몰되는 바닥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189Y1 true KR200335189Y1 (ko) 2003-12-03

Family

ID=49341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070U KR200335189Y1 (ko) 2003-09-09 2003-09-09 뒷굽이 출몰되는 바닥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18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027Y1 (ko) 2015-09-14 2016-12-07 이태현 교환 가능한 구두 뒷굽
KR20230033505A (ko) * 2021-09-01 2023-03-08 여영호 굽 높이 조절이 되는 신발
KR20230145765A (ko) * 2022-04-11 2023-10-18 주식회사 에이디칩스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027Y1 (ko) 2015-09-14 2016-12-07 이태현 교환 가능한 구두 뒷굽
KR20230033505A (ko) * 2021-09-01 2023-03-08 여영호 굽 높이 조절이 되는 신발
KR102651796B1 (ko) 2021-09-01 2024-03-27 여영호 굽 높이 조절이 되는 신발
KR20230145765A (ko) * 2022-04-11 2023-10-18 주식회사 에이디칩스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
KR102645900B1 (ko) 2022-04-11 2024-03-11 주식회사 에이디칩스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9126A (en) Shoe construction having improved backpart fit
RU2422065C2 (ru) Спортивная обувь
US20140123520A1 (en) High-heeled shoe
ATE413823T1 (de) Skischuh
KR101075789B1 (ko) 발 폭의 조절이 가능한 신발창
KR200335189Y1 (ko) 뒷굽이 출몰되는 바닥창
KR200335194Y1 (ko) 뒷굽이 출몰되는 바닥창
US3266073A (en) Method of making form fitting shoe structure
KR100937471B1 (ko) 족궁 지지체를 구비한 인솔
KR200390153Y1 (ko) 발교정용 인솔덧신
CN204378064U (zh) 一种增高透气鞋底
CN203801867U (zh) 一体式塑模鞋垫及鞋面
KR102055057B1 (ko) 높이 조절 구두 굽, 이를 구비한 구두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0308108Y1 (ko) 신발 중간창
US3003501A (en) Shoe soles
CN101849722B (zh) 不对称的鞋面
CN204653919U (zh) 脚围调节器
CN211581750U (zh) 一种内底面曲度可调节的高跟鞋
CN215124885U (zh) 一种可有效防止脱落的保健鞋垫
CN209284393U (zh) 一种高度可调节式两用鞋底
JP5332054B2 (ja) 履物
CN219877585U (zh) 鞋中底及鞋
CN102132973A (zh) 一种舒适pu大底鞋
KR102625853B1 (ko) 높낮이 가변식 스트레칭 슬리퍼
KR200262918Y1 (ko) 키높이 양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