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853B1 - 높낮이 가변식 스트레칭 슬리퍼 - Google Patents

높낮이 가변식 스트레칭 슬리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853B1
KR102625853B1 KR1020220086512A KR20220086512A KR102625853B1 KR 102625853 B1 KR102625853 B1 KR 102625853B1 KR 1020220086512 A KR1020220086512 A KR 1020220086512A KR 20220086512 A KR20220086512 A KR 20220086512A KR 102625853 B1 KR102625853 B1 KR 102625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bed
outsole
slippers
stretch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6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어썸코리아
박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어썸코리아, 박희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어썸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086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58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1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8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characterised by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43B3/246Collapsible or convertible characterised by the sol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낮이 가변식 스트레칭 슬리퍼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슬리퍼의 풋베드를 전후 배치방향이 교체될 수 있도록 가변구조로 개량하여 슬리퍼의 사용기능을 개선코자 한 것으로서, 상기 본 발명은 구체적인 수단으로 상부에 덮개밴드이 형성된 아웃솔이 구비되고, 아웃솔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풋베드가 구성되며, 풋베드의 가장자리에 둘레방향으로 결합턱이 구성되어, 아웃솔에는 상기 결합턱에 대응되도록 결합홈이 구성되어 서로 탄력적으로 결합되며, 풋베드의 상면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풋베드의 전후방은 높낮이가 서로 다르게 각각 상승부과 하강부가 구성되어, 풋베드의 설치방향을 전후로 교환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스트레칭용 슬리퍼로 사용할 경우 경사를 걷는 효과를 내어 스트레칭 등의 운동이 가능하게 되어 발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발명이다.

Description

높낮이 가변식 스트레칭 슬리퍼{Slippers with adjustable height for stretching}
본 발명은 높낮이 가변식 스트레칭 슬리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슬리퍼의 풋베드를 전후 배치방향이 교체될 수 있도록 가변구조로 개량하여 슬리퍼의 사용기능을 개선한 것이다.
근래에는 생활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신발류 상품에 기능성을 부가하여 보행시 스트레칭 기능이 함께 발휘되도록 하는 개량신발이 널리 유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한 기술 중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1998년 제0013058호(1998년 06월 05일자 공고)에 게재된 바와 같이 슬리퍼의 앞창 두께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필요에 따라 지압과 운동효과를 갖게 한 앞창의 두께를 조절되게 한 슬리퍼에 관한 것으로, 슬리퍼의 밑창 앞부분을 두껍게 형성하되, 그 중간부를 절결하여 상하부로 분리되게 하고, 그 절결부에는 두께조절편을 삽입하여, 앞부분에 형성된 결합공을 조임끈으로 결합되게 한 것이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또 다른 기술 중 대한민국 공개특허 2020년 제0140420호(2020년 12월 16일자 공고)에 게재된 바와 같이 덮개 교체가 가능한 슬리퍼는 발바닥이 올려지는 밑창부, 상기 밑창부의 선단부 측에 위치되어 발등의 일부분을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밑창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밑창부의 상부에는 선단부가 상기 결합용 레일부의 입구를 막고 상기 덮개부의 후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덮개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상기 덮개부 내에 위치된 발바닥을 제외한 나머지 발바닥이 상부로 올려지는 보조 밑창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슬리퍼에는 착용방법이 번거롭고 사용상 불편한 단점이 있으며 제작면에 있어서도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원가가 많이 소요되어 실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20-1998-0013058 U (1998.06.05.) KR 10-2020-0140420 A (2020.12.16.)
본 발명은 실내외 겸용의 슬리퍼류에는 기능성 스트레칭 효과를 갖게 한 기능성 제품이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슬리퍼의 풋베드를 높낮이 조절이 자재롭게 가변형 구조로 개선하여 착화시 필요에 따라 건강기능 슬리퍼로서 널리 실용화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종래 구조의 슬리퍼가 갖는 구성상의 불합리성을 개선하여 단일구조의 슬리퍼를 사용하면서도 풋베드를 전후측으로 방향전환시키는 단순한 구조에 의해 발바닥과의 접지 높낮이를 선택적으로 가변조절하는 구성을 채택하므로서 하나의 슬리퍼로서 보행시 발바닥의 경사각도가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변화조절될 수 있어 보행시 양호한 스트레칭 효과를 갖도록 하는 슬리퍼를 제공코자 함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이와 함께 별도로 기술하지는 않았으나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청구범위를 감안하여 유추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또 다른 목적들도 본 발명의 전체 과제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높낮이 가변식 스트레칭 슬리퍼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에 덮개밴드(30)가 형성된 아웃솔(10)이 구비되고, 아웃솔(1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풋베드(40)가 구성되며, 풋베드(40)의 가장자리에 둘레방향으로 삽입경사면(41a)이 하부에 형성된 결합턱(41)이 구성되고, 아웃솔(10)에는 상기 결합턱(41)에 대응되도록 내입유도면(20a)이 상부에 형성된 결합홈(20)이 구성되어 서로 탄력적으로 결합되며, 풋베드(40)의 상면에 경사면(42)이 형성되어 풋베드(40)의 전후방은 높낮이가 서로 다르게 각각 상승부(40a)과 하강부(40b)가 구성되며, 결합홈(20)은 평면상 전후 형상이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결합턱(41)도 전후 대칭되게 형성되어, 한 쌍의 풋베드(40)의 좌우를 서로 교환하여 전후 역방향으로 설치하여 풋베드(40)의 경사방향을 전환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하나의 슬리퍼만으로도 일상적인 용도와 스트레칭과 같은 운동 용도를 선택적으로 택하여 변형시킬 수 있다.
일상적인 용도의 슬리퍼는 당연하거니와, 스트레칭용 슬리퍼로 사용할 경우 경사를 걷는 효과를 내어 스트레칭 등의 운동이 가능하게 되어 발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혈류를 개선시켜 몸 전체가 건강해지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별도의 슬리퍼를 각각 준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구매비용과 유지비용을 감소시킨다.
또한 아웃솔에서 풋베드의 분리는 쉬우면서도, 족답시 아웃솔과 풋베드의 결합력은 견고하도록 끼움 구성하여 신발의 내구력이 증대되어 긴 수명과 낮은 유지비용을 기대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상태 사시도로서,
도 1a는 결합된 상태의 입체도
도 1b는 풋베드를 교체하는 것을 보인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측단면도로서,
도 2a는 일반 슬리퍼로 사용하는 상태도
도 2b는 스트레칭 슬리퍼로 사용하는 상태도
도 2c는 결합턱과 결합홈의 결합을 보인 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 중 평면도
도 4는 본 말명 중 아웃솔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중 풋베드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중 풋베드의 평면도
본 발명은 높낮이 가변식 스트레칭 슬리퍼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이를 하기에서 도면들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토록 하며,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되는 용어들 역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해당 용어에 국한되어 해석해서는 아니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해결과제를 구체적으로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기존 슬리퍼의 구성에서 풋베드 위에 배치되는 중창부를 일정한 경사도를 갖는 분리형 구조로 형성하며 이를 사용시 전후측으로 방향전환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가변형 구조로 구성하므로서 평상시에는 일반형 슬리퍼로 사용할 수 있고, 스트레칭 운동이 필요할 경우에는 상기 가변형 중량부를 전후측으로 방향전환하여 스트레칭 기능 슬리퍼로 겸용사용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은 슬리퍼(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아웃솔(10)의 상방에 발등에 대응되도록 경사상의 덮개밴드(30)를 부착하되, 상기 아웃솔(10)의 가장자리 안쪽으로 결합홈(20)을 형성하여 상기 아웃솔(10) 상부에 결합되는 풋베드(Footbed)(40)를 별도로 형성하여 상기 풋베드(40)의 가장자리 외방으로 돌출 형성시킨 띠상의 결합턱(41)이 상기 아웃솔(10)의 가장자리 안쪽에 형성한 결합홈(20)에 대응하여 견밀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상기 아웃솔(10) 위에서 풋베드(40)가 전후측으로 방향 전환하여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풋베드(40)는 발바닥에 결합되는 경사면(42)을 가지며 경사면의 일측에 상승부(40a)는 일정두께(H)로 높게 형성하고 타측에 하강부(40b)는 일정두께(H)로 낮게 형성하여 상승부(40a)가 발뒷꿈치에 접하게 결합되는 경우에는 발목부가 예각을 이루어 발가락쪽이 더 낮아지는 일반 슬리퍼의 형태를 취하게 되고, 상기 상승부(40a)가 발가락 쪽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하강부(40b)가 발뒷꿈치에 배치되어 발목부가 둔각을 이루어 발가락쪽이 더 높아지는 형태가 됨에 따라 발 전체에 스트레칭 효과가 부여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서 아웃솔(10)과 풋베드(40)는 탄력성 수지로 형성하며 덮개밴드(30)는 동일재질의 탄력성 수지 또는 이에 준하는 합성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소재의 탄력성과 신축력에 의해 아웃솔(10) 위에 결합하는 풋베드(40)는 결합홈(20)과 결합턱(41)에 상호 탄력적으로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사용방법과 적용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슬리퍼(100)의 밑창부를 이루는 아웃솔(10)과 덮개밴드(30)는 통상의 슬리퍼(100) 구조와 같이 일체로 형성되나 중창부를 이루는 풋베드(40)는 상기 아웃솔(10)과 분리상태로 형성되어 양구조가 갖는 신축 탄력성에 의해 아웃솔(10)의 둥근띠상의 결합홈(20)에 풋베드(40)의 둥근띠상의 결합턱(41)이 착탈식으로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턱(41)에는 외측 하부에 둘레방향으로 삽입경사면(41a)이 형성되고, 결함홈(20)에는 내측 상부에 삽입경사면(41a)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내입유도면(20a)이 더 형성되어,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2a와 같이 풋베드(40)의 두께가 상승부(40a) 부분이 발뒷꿈치에 오도록 하고, 두께가 하강부(40b) 부분이 발가락 쪽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아웃솔(10)의 결합홈(20)에 풋베드(40)의 결합턱(41)을 상호 결합시켜 조립하면 이들 구성의 탄력성 재질에 의해 풋베드(40) 전체는 아웃솔(10) 위에 견고하고 견밀하게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슬리퍼(100) 전체를 발에 착용하면 후방의 발뒷꿈치 부분이 높고 발 전방의 발가락 부분이 낮게 배치되어 발목은 둔각(θ1)을 이루어 일반 슬리퍼(100) 용도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풋베드(40)를 아웃솔(10)로부터 분리하여 도 2b와 같이 상승부(40a)가 전방측 발가락 부위쪽으로 배치되고 하강부(40b)가 후방측 발뒷꿈치 쪽으로 배치되도록 방향을 전환시키면 슬리퍼(100)를 착용하였을 때 발목부가 예각(θ2)을 이루어 보행시에 후방의 발뒷꿈치에 비해 전방의 발가락 부분이 위로 들리게 되므로 발바닥, 발등, 발목 등 발 전체적으로 양호한 스트레칭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풋베드(40)를 전후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방향을 바꾸어도 아웃솔에(10) 삽입될 수 있도록 아웃솔(10)의 내측인 결합홈(20)은 전후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풋베드(40)도 이에 대응되도록 결합턱(41)이 전후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리퍼의 몸체가 되는 아웃솔(10)과 덮개밴드(30)에 방향전환 방식의 풋베드(40)를 착탈결합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편리한 조립사용 구조로 변화시키므로서 하나의 슬리퍼(100)를 이용하여 일반 슬리퍼(100) 용도와 스트레칭 운동신발의 용도를 겸할 수 있어서 국민건강 신발(슬리퍼(100))로서 널리 실용화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00: 슬리퍼
10: 아웃솔
20: 결합홈
20a: 내입유도면
30: 덮개밴드
40: 풋베드
40a: 상승부
40b: 하강부
41: 결합턱
41a: 삽입경사면
42: 경사면
θ1: 둔각
θ2: 예각

Claims (1)

  1. 상부에 덮개밴드(30)가 형성된 아웃솔(10)이 구비되고,
    아웃솔(1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풋베드(40)가 구성되며,
    풋베드(40)의 가장자리에 둘레방향으로 삽입경사면(41a)이 하부에 형성된 결합턱(41)이 구성되고, 아웃솔(10)에는 상기 결합턱(41)에 대응되도록 내입유도면(20a)이 상부에 형성된 결합홈(20)이 구성되어 서로 탄력적으로 결합되며,
    풋베드(40)의 상면에 경사면(42)이 형성되어 풋베드(40)의 전후방은 높낮이가 서로 다르게 각각 상승부(40a)과 하강부(40b)가 구성되며,
    결합홈(20)은 평면상 전후 형상이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결합턱(41)도 전후 대칭되게 형성되어, 한 쌍의 풋베드(40)의 좌우를 서로 교환하여 전후 역방향으로 설치하여 풋베드(40)의 경사방향을 전환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가변식 스트레칭 슬리퍼.
KR1020220086512A 2022-07-13 2022-07-13 높낮이 가변식 스트레칭 슬리퍼 KR102625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512A KR102625853B1 (ko) 2022-07-13 2022-07-13 높낮이 가변식 스트레칭 슬리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512A KR102625853B1 (ko) 2022-07-13 2022-07-13 높낮이 가변식 스트레칭 슬리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5853B1 true KR102625853B1 (ko) 2024-01-18

Family

ID=89716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6512A KR102625853B1 (ko) 2022-07-13 2022-07-13 높낮이 가변식 스트레칭 슬리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585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3058U (ko) 1996-08-30 1998-06-05 안정오 앞창의 두께를 조절되게 한 슬리퍼
JP3085706U (ja) * 2001-10-30 2002-05-17 薫 坂本 中敷交換履物
KR101184110B1 (ko) * 2011-12-20 2012-09-18 강봉석 기능성 건강 신발
KR200468794Y1 (ko) * 2013-05-02 2013-09-04 주식회사 풍년 슬리퍼
KR20200140420A (ko) 2019-06-05 2020-12-16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덮개 교체가 가능한 슬리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3058U (ko) 1996-08-30 1998-06-05 안정오 앞창의 두께를 조절되게 한 슬리퍼
JP3085706U (ja) * 2001-10-30 2002-05-17 薫 坂本 中敷交換履物
KR101184110B1 (ko) * 2011-12-20 2012-09-18 강봉석 기능성 건강 신발
KR200468794Y1 (ko) * 2013-05-02 2013-09-04 주식회사 풍년 슬리퍼
KR20200140420A (ko) 2019-06-05 2020-12-16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덮개 교체가 가능한 슬리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04732A (ko) 도핑 레지를 갖는 풋웨어 물품
KR100924301B1 (ko) 신발용 토우캡 및 그 토우캡이 일체화된 아웃솔
CN101203150A (zh) 适合度可调节的鞋具
US11576460B2 (en) Shoe sole
US11064759B2 (en) Shoe constructions
CN101188957B (zh) 鞋的鞋底结构
KR102625853B1 (ko) 높낮이 가변식 스트레칭 슬리퍼
KR101995532B1 (ko) 조립형 인솔
KR100693282B1 (ko) 탈착 가능한 뒷굽이 구비된 신발
CN2667922Y (zh) 一种高度可调节的多功能鞋
CN212185406U (zh) 一种减震运动鞋
KR20080090758A (ko) 아치 지지체가 형성된 신발
KR100926815B1 (ko) 신발의 솔 구조
KR200240638Y1 (ko) 샌들 겸용 운동화
KR200362908Y1 (ko) 고도의 등산자세를 재현할 수 있는 신발
KR20120108527A (ko) 다기능 조립식 신발
CN220326946U (zh) 一种高回弹运动鞋底及运动鞋
CN219877583U (zh) 一种耐磨鞋底
WO2005077218A1 (en) Shoe with removable insole
KR200388747Y1 (ko) 건강 신발
KR200401208Y1 (ko) 다용도 신발의 솔 구조
JP7454299B1 (ja) 履物
KR200491702Y1 (ko) 기능성 실내화
KR102376597B1 (ko) 지압 슬리퍼
CN218999656U (zh) 一种便于更换鞋垫的皮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