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175Y1 - 자동차의 원격 시동을 위한 안테나 모듈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원격 시동을 위한 안테나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175Y1
KR200335175Y1 KR20-2003-0028150U KR20030028150U KR200335175Y1 KR 200335175 Y1 KR200335175 Y1 KR 200335175Y1 KR 20030028150 U KR20030028150 U KR 20030028150U KR 200335175 Y1 KR200335175 Y1 KR 2003351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nit
main unit
user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81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신이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신이엘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신이엘씨
Priority to KR20-2003-00281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1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1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1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1Alarm systems associated with another car fitting or mechanism, e.g. door lock or knob, ped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13Means for detecting collision, impending collision or roll-over
    • B60R2021/01027Safing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9Remote starting of eng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격 제어기로부터 차량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메인 유니트로부터 수신되는 동작 결과 정보를 원격 제어기로 전송하는 RF 송수신부와,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차량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 명령에 상응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차량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 명령에 상응하도록 차량 상태 설정 정보를 변경하는 제어부와, 메인 유니트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결합되도록 하고, 메인 유니트로 변경된 차량 상태 설정 정보를 전송하고, 메인 유니트로부터 동작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메인 유니트 결합부와, 차량의 차체의 충격 또는 문 열림을 감지하는 카콜 감지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원격 시동을 위한 안테나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메인 유니트의 기능 설정 변경 기능 및 차량 정보 등의 표시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원격 시동을 위한 안테나 모듈{ANTENNA MODULE FOR REMOTE ENGINE STARTING OF VEHICLE}
본 고안은 자동차의 원격 시동을 위한 안테나 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원격 시동 및 경보 시스템의 안테나 모듈을 통해 차량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쉽고 편리한 기능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의 원격 시동을 위한 안테나 모듈 및 안테나 모듈을 이용한 차량 정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원격 시동 및 경보 시스템은 운전자가 차량 외부에서 송신기를 작동시키면 차량이 구비된 엔진이 구동되어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한 직후 출발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종래의 차량의 원격 시동 및 경보 시스템은 사용자(예를 들어, 운전자)가 휴대하는 원격 제어기(Remote controller)와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을 제어하는 메인 유니트(Main unit)가 상호간에 양방향 또는 단방향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이때, 원격 제어기와 메인 유니트의 중간에 안테나가 구비되어 일방의 신호를 상대방에게 전달한다.
만일, 사용자가 원격 제어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동작(예를 들어, 원격 시동등)을 제어하는 경우 메인 유니트는 원격 제어기의 원격 제어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원격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가 원격 제어기의 버튼을 미리 지정된 방법(예를 들어, 길게, 짧게, 단수로 또는 복수로) 누르면 리모콘에 장착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원격 제어를 위한 미리 지정된 신호가 발생된다. 발생된 신호는 RF 회로를 거쳐 무선 송신 신호로 송출되고,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다. 안테나는 수신된 신호 파형을 메인 유니트로 전달하면, 메인 유니트가 수신된 신호 파형에 상응하는 차량 제어를 수행한다. 필요한 경우 메인 유니트는 동작 결과 정보를 안테나를 통해 원격 제어기로 전송한다.
또한, 종래의 원격 시동 및 경보 시스템의 메인 유니트는 차량에 도난 등의 우려가 발생한 경우 경고음을 발생함과 동시에 해당 정보를 원격 제어기로 전송하여 차량의 도난 등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차량의 원격 시동 및 경보 시스템에서 안테나는 원격 제어기와 메인 유니트간의 신호 송수신을 중계할 뿐 차량의 상태나 경보기의 현재 설정 상태 등에 대한 정보는 전혀 제공하지 못한다. 또한, 원격 제어기를 분실한 사용자는 메인 유니트의 기능 설정 변경이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원격 제어기를 이용하여 메인 유니트의 기능 설정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송수신 거리의 제약과 통신상의 오류 등에 의해 송수신 데이터의 인식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차량의 원격 시동 및 경보 시스템에서 안테나는 그 기능의 단순함으로 인해 차주 호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메인 유니트에 카콜 기능센서(즉, 도난 방지 센서)를 별도로 연결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메인 유니트의 기능 설정 변경 기능 및 차량 정보 등의 표시 기능을 부가한 자동차의 원격 시동을 위한 안테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메인 유니트에 추가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모듈 장비(예를 들어, 카콜 수행 장치 등)를 차량 안테나와 결합함으로써 원가 절감 및 구매 효과의 최대화를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의 원격 시동을 위한 안테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 안테나에 다양한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쉽고 편리한 기능 조작이 가능하게 하는 자동차의 원격 시동을 위한 안테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원격 시동 및 경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테나의 블록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테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테나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테나의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테나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 : 원격 제어기 130 : 차량 안테나
140 : 메인 유니트 210 : 전원 공급부
220 : 입력부 230 : 카콜 감지부
240 : 메인 유니트 결합부 250 : 발진 회로부
260 : 표시부 270 : RF 송수신부
280 : 제어부 510 : 사용자 인식부
610 : 지문 입력부 620 : 키 버튼 커버부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원격 시동 및 경보 시스템의 차량 안테나에 있어서-여기서, 상기 원격 시동 및 경보 시스템은 원격 제어기, 상기 차량 안테나 및 메인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안테나 및 상기 메인 유니트는 차량에 구비됨-, 상기 원격 제어기로부터 차량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메인 유니트로부터 수신되는 동작 결과 정보를 상기 원격 제어기로 전송하는 RF 송수신부와,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여기서, 상기 사용자 명령은 차량 상태 정보 표시 명령 또는 차량 상태 설정 정보 변경 명령임-와, 상기 차량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사용자 명령에 상응하는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 상태 설정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차량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사용자 명령에 상응하도록 차량 상태 설정 정보를 변경하는 제어부와, 상기 메인 유니트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메인 유니트로 상기 변경된 차량 상태 설정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메인 유니트로부터 상기 동작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메인 유니트 결합부와, 상기 차량의 차체의 충격 또는 문 열림을 감지하고, 상기 충격이 미리 지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 미리 지정된 도난 방지 동작을 요청하는 카콜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테나가 제공된다.
상기 카콜 감지부는 상기 차량의 차체의 충격 또는 문 열림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민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카콜 감도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콜 감지부는 상기 차체의 충격이 미리 지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센서부가 상기 제어부로 차주 호출, 경고음 발생, 경고등 점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도난 방지 동작을 요청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메인 유니트로 상기 도난 방지 동작을 지시할 수 있다.
상기 카콜 감지부는 카콜 기능 수행 중임을 표시하는 카콜 LED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안테나는 상기 차량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사용자 명령에 상응하는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 상태 설정 정보를 효과음 또는 음성 신호로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와 상기 변환된 효과음 또는 상기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안테나는 상기 카콜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어 생성된 감지 데이터, 차량 상태 정보, 차량 상태 설정 정보, 차량 운행 기록, 사용자 지문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안테나는 상기 입력부를 개폐하는 키 버튼 커버부와, 사용자의 지문을 입력받는 지문 입력부와, 상기 지문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지문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지문 데이터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지문 인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문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지문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지문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키 버튼 커버부를 개방한다.
그리고, 상기 차량 상태 설정 정보 변경 명령은 상기 메인 유니트의 설정 정보 변경을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 시동 및 경보 시스템의 차량 안테나에 있어서-여기서, 상기 원격 시동 및 경보 시스템은 원격 제어기, 상기 차량 안테나 및 메인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안테나 및 상기 메인 유니트는 차량에 구비됨-, 상기 원격 제어기로부터 차량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메인 유니트로부터 수신되는 동작 결과 정보를 상기 원격 제어기로 전송하는 RF 송수신부와,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여기서, 상기 사용자 명령은 차량 상태 정보 표시 명령 또는 차량 상태 설정 정보 변경 명령임-와, 상기 차량 제어 신호또는 상기 사용자 명령에 상응하는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 상태 설정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차량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사용자 명령에 상응하도록 차량 상태 설정 정보를 변경하고, 상기 카콜 감지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감지 데이터에 포함된 충격량 정보가 미리 지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메인 유니트로 미리 지정된 도난 방지 동작을 요청하는 제어부와, 상기 메인 유니트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메인 유니트로 상기 변경된 차량 상태 설정 정보 또는 상기 도난 방지 동작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메인 유니트로부터 상기 동작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메인 유니트 결합부와, 상기 차량의 차체의 충격 또는 문 열림을 감지하고, 감지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카콜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테나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안테나는 상기 카콜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어 생성된 감지 데이터, 차량 상태 정보, 차량 상태 설정 정보, 차량 운행 기록, 사용자 지문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안테나는 상기 입력부를 개폐하는 키 버튼 커버부와, 사용자의 지문을 입력받는 지문 입력부와, 상기 지문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지문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지문 데이터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지문 인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문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지문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지문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키 버튼 커버부를 개방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원격 시동 및 경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원격 시동 및 경보 시스템은 원격 제어기(120), 차량 안테나(130) 및 메인 유니트(140)를 포함한다.
원격 제어기(120)는 사용자(예를 들어, 운전자)가 차량 외부에서 차량(110)의 원격 시동, 차문 개폐, 경보 기능 설정 등을 제어하기 위한 휴대 장치이다. 원격 제어기(120)는 차량 내부의 메인 유니트(140)와 양방향 통신에 의해 수신된 차량(110)의 설정 상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안테나(130)는 원격 제어기(120)와 메인 유니트(140)간의 양방향 통신을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차량 안테나(130)는 원격 제어기(120)로부터 RF 송수신 방법을 이용하여 수신된 차량 제어 신호를 케이블을 통해 메인 유니트(140)로 전달하고, 메인 유니트(140)로부터 전달받은 동작 결과 정보를 RF 송수신 방법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기(12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차량 안테나(130)는 차량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차량 상태(예를 들어, 도난 방지 설정, 경보 설정, 창문 잠금, 트렁크 열기 등)를 조정하기 위한 키 버튼을 포함한다. 차량 안테나(130)의 상세 구성 및 동작 과정은 이후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메인 유니트(140)는 원격 제어기(120)로부터 차량 안테나(130)를 통해 수신되는 차량 제어 신호 또는 차량 안테나에 구비된 키 버튼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차량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차량(110)의 상태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인 유니트(140)는 차량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차량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문 잠금/열림 장치, 시동 온/오프 스위치 등과 연결되어진다. 다만, 메인 유니트(140)와 원격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차량(110)의 구성 요소간의 연결은 주지의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테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안테나(130)는 전원 공급부(210), 입력부(220), 카콜 감지부(230), 메인 유니트 결합부(240), 발진 회로부(250), 표시부(260), RF 송수신부(270) 및 제어부(280)를 포함한다.
전원 공급부(210)는 차량 안테나(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원 공급부(210)는 차량(110) 내의 전원(예를 들어, 배터리 등) 또는 자체 전원(예를 들어, 건전지, 충전지 등)으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차량(110)이 주행 중인 경우와 주차 중인 경우를 구분하여 선택적으로 전원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입력부(220)는 사용자가 원하는 차량 상태 정보(예를 들어, 차량 온도, 자체 전원의 잔존량 등)를 표시하도록 하거나 차량 상태 설정 정보(예를 들어, 카콜 센서의 감도, 현재 시각 설정, 온도 표시 방법 등)를 변경하도록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한다. 입력부(220)에 포함된 버튼의 용도에 대해서는 이후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카콜 감지부(230)는 카콜 LED부, 카콜 감도 조절부, 센서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안테나(130)에서 수행할 수 있는 카콜 기능은 차량(110)에 미리 지정된 크기 이상의 충격이 발생한 경우 차량 정보를 메인 유니트(14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함과 동시에 차량(110)의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기능(즉, 도난 방지 기능)이다. 카콜 LED부는 점멸 상태에서 문 열림(도난) 또는 충격 감지 상태임을 표시한다. 또한 카콜 LED부는 미리 지정된 크기 이상의 충격이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경우 점멸에 의해 경고를 수행한다. 물론 카콜 LED부는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표시부(260)에 포함될 수 있다. 카콜 감도 조절부는 카콜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사용자가 민감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예를 들어 카콜 감도 조절부는 "LOW"와 "HIGH"의 두 가지 선택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는 차량(110)에 전달되는 충격 또는 문 열림을 감지하는 수단이다. 센서부는 미리 지정된 크기 이상의 충격 또는 문 열림이 감지된 경우 감지 신호를 제어부(280)로 전달하여 원격 제어기(120)로 해당 정보가 전송되도록 함과 동시에 카콜 LED부 또는 표시부(260)를 통해 알람이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메인 유니트(140)에 결합된 스피커 등을 통해 경고음이 출력될 수도 있다. 물론, 센서부는 충격 또는 문 열림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280)로 해당 정보를 전송하면, 제어부(280)가 해당 충격의 크기가 미리 지정된 크기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도난 방지 기능(예를 들어, 경고음 출력, 차주 호출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인 유니트 결합부(240)는 차량 안테나(130)가 차량(110)에 구비된 메인 유니트(140)와 유선(또는 무선)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수단이다. 즉, 원격 제어기(12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메인 유니트(140)로 전달하고, 메인 유니트(140)로부터 동작 결과 정보를 전달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발진 회로부(250)는 제어부(280)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교류 전류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즉, 발진 회로부(250)는 특정한 주파수의 전류만이 회로에 흐르도록 한다.
표시부(260)는 사용자가 차량(110)의 상태를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차량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표시부(260)에 표시될 수 있는 차량 상태 정보에는 차량 내부의 온도, 차량의 건전지 전압, 엔진 동작 여부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기(120)로부터 수신된 차량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선택 데이터(예를 들어, 원격 시동, 에어컨 시동, 헤드라이트 온 등) 및 동작 결과 정보 등도 제어부(280)의 제어에 의해 표시부(260)에 표시된다.
RF 송수신부(270)는 원격 제어기(120)로부터 차량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280)로 당해 차량 제어 신호를 전달하고, 제어부(280)의 제어에 의해 동작 결과 정보를 원격 제어기(12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280)는 차량 제어 신호 및 동작 결과 정보의 송수신, 입력부(220)를 통한 사용자 명령에 따른 차량 상태 정보 표시 등을 위해 차량 안테나(13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280)는 차량 상태 정보를 표시부(260)에 표시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메인 유니트(140) 또는 메인 유니트(140)와 결합된 센서로부터메인 유니트 결합부(240)를 통해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0)는 차량 제어 신호 또는 입력부(220)를 통해 차량 상태 설정 정보의 변경 요청이 입력된 경우 당해 변경 요청에 상응하도록 차량 상태 설정 정보를 변경하고 변경된 차량 상태 설정 정보를 메인 유니트(14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차량 안테나(130)는 변경된 차량 상태 설정 정보, 차량(110)의 긴급 사항, 차량 운행 기록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10)이 원격 제어기(120)에 차량의 긴급 사항을 전달하기 어려운 위치에 있는 경우 해당 정보가 추후 원격 제어기(120)나 표시부(26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차량 안테나(130)의 저장부에 저장된 차량 운행 기록을 이용하여 전자식 차계부로도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안테나는 원격 제어기(120)로부터 수신된 차량 제어 신호, 입력부(22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상응하는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 상태 설정 정보를 효과음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변환부와 스피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테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테나의 정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단계 310에서 차량 안테나(130)는 동작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안테나(130)는 차량의 전원 또는 자체 전원으로부터 전원이 유입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미리 지정된 동작(예를 들어, 안테나 기능, 차량 상태 표시 기능, 카콜 기능 등)을 수행한다.
단계 315에서 차량 안테나(13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220)를 통해 차량 상태 설정 또는 표시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차량 상태 설정 또는 표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단계 320으로 진행하여 차량 상태 설정 또는 표시 동작을 수행하고 단계 315로 진행한다.
사용자가 입력부(220)를 이용하여 차량 상태 설정 또는 표시 명령을 입력한 경우 표시부(260)에 관련 정보가 표시되는 상태를 도 4를 이용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물론 하기의 설명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안테나(130)의 기능을 예시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도 4에 도시된 차량 안테나(130)의 정면도를 참조하면, 차량 안테나(130)는 입력부(220), 카콜 감지부(230)의 카콜 감도 조절부, 표시부(260)를 포함한다.
표시부(260)는 복수의 아이콘, 숫자 및 이미지 등을 이용하여 차량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수단이다. 표시부(260)에는 카콜 기능 수행 아이콘(410), 차체 충격 감지 아이콘(415), 차주 호출 아이콘(420), 차량 제어 신호 수신에 따른 동작시 소리 출력 아이콘(425), 기능 정지 표시 아이콘(430), 엔진 시동 상태 유지 아이콘(435), 자동 문 잠금 아이콘(440), 자동 문 열림/잠금 아이콘(445), 숫자 정보 표시 영역(450), 엔진 시동 상태 표시 영역(455), 배터리 잔량 표시 영역(460), 차량 설정 변경 영역(465)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260)에 표시되는 아이콘, 이미지 등을 통해 자신이 선택한 기능을 확인할수 있다.
숫자 정보 표시 영역(450)에는 차량(110)의 엔진 시동 후 경과 시간, 시동 차단후의 경과 시간, 차량 내부의 온도(즉, 섭씨 온도 또는 화씨 온도) 등이 표시된다.
엔진 시동 상태 표시 영역(455)에는 도로 이미지의 움직임을 통해 엔진 동작 상태가 표시된다.
배터리 잔량 표시 영역(460)에는 메인 유니트(140)와 결합되어 있는 전압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차량(110)의 배터리 전압이 표시된다.
입력부(220)는 복수의 키 버튼을 포함하며, 각각의 키 버튼마다 독립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사용자는 입력부(220)에 포함된 키 버튼을 이용하여 옵션 설정 모드(즉, 메인 유니트(140)의 설정 변경 모드)로의 전환, 차량 상태 확인, 차량의 주행 시간 확인 등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제1 버튼을 누른 경우 메인 유니트(140)와 결합된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차량 온도가 숫자 정보 표시 영역(450)에 표시된다. 당해 차량 온도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섭씨 또는 화씨 단위로 표시된다.
사용자가 제2 버튼을 누른 경우 표시부(260)의 백 라이트가 켜지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미리 지정된 시간 경과후 백 라이트는 자동으로 꺼진다.
사용자가 제3 버튼을 누른 경우 차량 상태 설정이 가능한 상태(즉, 옵션 모드)로 전환된다. 이때 사용자가 제1 버튼, 제2 버튼을 이용하여 설정을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여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상태 설정이 완료된 후 제4 버튼을 누르면 갱신된 차량 상태 정보가 메인 유니트(140)로 전달되며, 차량 안테나(130)는 수신 기능 상태로 전환된다.
다시 도 3a를 참조하면, 단계 325에서 차량 안테나(130)는 원격 제어기(120) 또는 메인 유니트(140)로부터 데이터(예를 들어, 차량 제어 신호, 동작 결과 정보 등)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데이터가 수신되면 단계 330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360(도 3b 참조)으로 진행한다.
단계 330에서 차량 안테나(130)는 수신된 데이터가 원격 제어 신호(즉, 원격 제어기(120)로부터 수신된 차량 제어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원격 제어 신호인 경우 단계 335에서 차량 안테나(130)는 원격 제어 신호와 함께 수신된 원격 제어기(120)의 코드 번호가 유효한지 여부를 검사한다. 코드 번호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단계 315로 진행한다. 코드 번호가 유효한 경우 단계 340에서 차량 안테나(130)는 수신된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제어 신호에 상응하도록 차량 상태 설정 정보를 갱신하여 표시부(260)에 표시한다. 차량 안테나(130)는 원격 제어기(12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 상태 설정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은 입력부(22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차량 상태 설정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345에서 차량 안테나(130)는 원격 제어기(12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갱신된 차량 상태 설정 정보를 메인 유니트(140)로 전달한다. 이후 차량 안테나(130)는 단계 315로 다시 진행하거나 단계를 종료한다.
다시 단계 330을 참조하면, 단계 325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가 원격 제어 신호가 아닌 경우(즉, 메인 유니트(140)로부터 수신되는 동작 결과 정보, 차주 호출 신호 등인 경우) 단계 340으로 진행한다.
차량 안테나(130)는 단계 340에서 수신 데이터 분석 및 표시 작업을 수행한다. 단계 345에서 차량 안테나(130)는 단계 325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가 원격 제어기(120)로 전송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원격 제어기(120)로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 단계 355로 진행하여 해당 정보를 전송한다. 이후 차량 안테나는 단계 315로 다시 진행하거나 단계를 종료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단계 360에서 차량 안테나(130)는 카콜 기능의 수행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차량의 주차 완료 및 시동 정지된 경우 차량 안테나(130)는 안테나 기능과 동시에 카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카콜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 차량 안테나(130)(즉, 차량 안테나(130)의 카콜 감지부(230))는 차량 표면에 이상 징후(예를 들어, 충격, 진동 등)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상 징후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360(또는 단계 315)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카콜 기능(예를 들어, 경보음 발생, 차주 호출 등)을 수행한다. 이후 차량 안테나(130)는 단계 360(또는 단계 315)으로 다시 진행하거나 단계를 종료한다.
반면에, 카콜 기능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라면 차량 안테나(130)는 기타 기능(예를 들어, 백 라이트 동작, 주행시간 초기화 등)의 수행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기타 기능의 수행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단계 380으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이후 차량 안테나(130)는 단계 315로 다시 진행하거나단계를 종료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테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테나의 정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안테나(130)는 차량 내부의 미리 지정된 지점(예를 들어, 대시보드 상단)에 부착되거나 차량 외부의 미리 지정된 지점(예를 들어, A필러)에 부착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안테나(130)의 부착 위치는 외부에서 사용자가 차량 안테나(130)의 표시부(260)에 표시되는 차량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위치이면 아무런 제한이 없다.
그러나, 차량 안테나(130) 차량 외부에 부착되는 경우 제3자가 입력부(220)의 키 버튼을 마구 누르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지정된 사용자만이 입력부(220)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입력부(220)의 키 버튼을 감추어둘 필요가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안테나(130)는 전원 공급부(210), 입력부(220), 카콜 감지부(230), 메인 유니트 결합부(240), 발진 회로부(250), 표시부(260), RF 송수신부(270), 제어부(280) 및 사용자 인식부(51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식부(510)는 지문 입력부(610), 지문 인식부(도시되지 않음), 키 버튼 커버부(620)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220)의 키 버튼들과 카콜 감지부(230)의 카콜 감도 조절부는 키 버튼 커버부(620)에 의해 임시로 가려진다.
사용자가 지문 입력부(610)에 자신의 손가락을 대면 사용자의 지문이 입력되어 지문 인식부로 전달된다. 지문 입력부(220)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이 입력되는 방법은 공지의 방법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지문 인식부는 지문 입력부(22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지문과 저장부(도시되지 않음)에 이미 지정되어 있는 사용자의 지문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양 지문이 일치한다면 제어부(280)로 해당 정보를 전송하고, 제어부(280)는 키 버튼 커버부(620)를 오픈시켜 입력부(220)의 키 버튼이 노출되도록 한다.
물론, 당해 차량 안테나(130)가 차량 외부에 부착되는 경우라면 당해 차량 안테나(130)에 방수 처리가 되어져야 함은 당연하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고안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원격 시동을 위한 안테나 모듈은 메인 유니트의 기능 설정 변경 기능 및 차량 정보 등의 표시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원격 시동을 위한 안테나 모듈은 메인 유니트에 추가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모듈 장비(예를 들어, 카콜 수행 장치 등)를 차량 안테나와 결합함으로써 원가 절감 및 구매 효과의 최대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0)

  1. 원격 시동 및 경보 시스템의 차량 안테나에 있어서-여기서, 상기 원격 시동 및 경보 시스템은 원격 제어기, 상기 차량 안테나 및 메인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안테나 및 상기 메인 유니트는 차량에 구비됨-,
    상기 원격 제어기로부터 차량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메인 유니트로부터 수신되는 동작 결과 정보를 상기 원격 제어기로 전송하는 RF 송수신부;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여기서, 상기 사용자 명령은 차량 상태 정보 표시 명령 또는 차량 상태 설정 정보 변경 명령임-;
    상기 차량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사용자 명령에 상응하는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 상태 설정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차량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사용자 명령에 상응하도록 차량 상태 설정 정보를 변경하는 제어부;
    상기 메인 유니트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메인 유니트로 상기 변경된 차량 상태 설정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메인 유니트로부터 상기 동작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RF 송수신부로 전달하는 메인 유니트 결합부;
    상기 차량의 차체의 충격 또는 문 열림을 감지하고, 상기 충격이 미리 지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 미리 지정된 도난 방지 동작을 요청하는 카콜 감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콜 감지부는,
    상기 차량의 차체의 충격 또는 문 열림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민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카콜 감도 조절부
    를 포함하되,
    상기 차체의 충격이 미리 지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센서부가 상기 제어부로 차주 호출, 경고음 발생, 경고등 점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도난 방지 동작을 요청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메인 유니트로 상기 도난 방지 동작을 지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테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콜 감지부는,
    카콜 기능 수행 중임을 표시하는 카콜 LED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테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사용자 명령에 상응하는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 상태 설정 정보를 효과음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상기 변환된 효과음 또는 상기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테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콜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어 생성된 감지 데이터, 차량 상태 정보, 차량 상태 설정 정보, 차량 운행 기록, 사용자 지문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테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개폐하는 키 버튼 커버부;
    사용자의 지문을 입력받는 지문 입력부;
    상기 지문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지문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지문 데이터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지문 인식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문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지문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지문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키 버튼 커버부를 개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테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상태 설정 정보 변경 명령은 상기 메인 유니트의 설정 정보 변경을 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테나.
  8. 원격 시동 및 경보 시스템의 차량 안테나에 있어서-여기서, 상기 원격 시동 및 경보 시스템은 원격 제어기, 상기 차량 안테나 및 메인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안테나 및 상기 메인 유니트는 차량에 구비됨-,
    상기 원격 제어기로부터 차량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메인 유니트로부터 수신되는 동작 결과 정보를 상기 원격 제어기로 전송하는 RF 송수신부;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여기서, 상기 사용자 명령은 차량 상태 정보 표시 명령 또는 차량 상태 설정 정보 변경 명령임-;
    상기 차량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사용자 명령에 상응하는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 상태 설정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차량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사용자 명령에 상응하도록 차량 상태 설정정보를 변경하고, 상기 카콜 감지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감지 데이터에 포함된 충격량 정보가 미리 지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메인 유니트로 미리 지정된 도난 방지 동작을 요청하는 제어부;
    상기 메인 유니트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메인 유니트로 상기 변경된 차량 상태 설정 정보 또는 상기 도난 방지 동작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메인 유니트로부터 상기 동작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RF 송수신부로 전달하는 메인 유니트 결합부;
    상기 차량의 차체의 충격 또는 문 열림을 감지하고, 감지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카콜 감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테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콜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어 생성된 감지 데이터, 차량 상태 정보, 차량 상태 설정 정보, 차량 운행 기록, 사용자 지문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테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개폐하는 키 버튼 커버부;
    사용자의 지문을 입력받는 지문 입력부;
    상기 지문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지문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지문 데이터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지문 인식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문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지문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지문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키 버튼 커버부를 개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테나.
KR20-2003-0028150U 2003-09-02 2003-09-02 자동차의 원격 시동을 위한 안테나 모듈 KR2003351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150U KR200335175Y1 (ko) 2003-09-02 2003-09-02 자동차의 원격 시동을 위한 안테나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150U KR200335175Y1 (ko) 2003-09-02 2003-09-02 자동차의 원격 시동을 위한 안테나 모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7806A Division KR100544332B1 (ko) 2003-08-21 2003-08-21 자동차의 원격 시동을 위한 안테나 모듈 및 안테나 모듈을이용한 차량 정보 표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175Y1 true KR200335175Y1 (ko) 2003-12-03

Family

ID=49420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150U KR200335175Y1 (ko) 2003-09-02 2003-09-02 자동차의 원격 시동을 위한 안테나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17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68546B1 (en) Wireless trainable transceiver device with integrated interface and gps modules
US7504931B2 (en) Remote feedback for vehicle key fob functions
US7429922B2 (en) Portable unit locating system and method
US8209093B2 (en) Adaptive instruction system for a vehicle
US11580802B2 (en) Scheme for setting/using electronic device as keyless device of vehicle and adjusting devices in the vehicle
EP333094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enhanced garage door opener remote control
KR20060050682A (ko) 전자 키이 시스템을 위한 휴대 장치 및 사용자에게 휴대장치를 소지할 것을 상기시키기 위한 시스템
JP6533903B2 (ja) 車載機器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及びシステム
WO2017019760A1 (en) Vehicle access assembly having piezoelectric transducer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and audio generation
KR20190050002A (ko) 원격 조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0544332B1 (ko) 자동차의 원격 시동을 위한 안테나 모듈 및 안테나 모듈을이용한 차량 정보 표시 방법
KR200335175Y1 (ko) 자동차의 원격 시동을 위한 안테나 모듈
JP2015187343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KR200225966Y1 (ko) 차량용 양방향 원격시동 및 도난경보장치
KR10054840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제어 시스템
JP2019151326A (ja) 車載機器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及びシステム
JP7065534B2 (ja) 車載機器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及びシステム
KR200233679Y1 (ko) 지피에스 및 씨디엠에이를 내장한 차량 원격시동 및도난경보 추적장치
JP3755620B2 (ja) 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JP2011137306A (ja) 車載装置
KR20070074523A (ko) 위치추적기능을 갖는 차량의 문 개폐용 리모트컨트롤
CN116118924A (zh) 一种电动车仪表控制系统
KR20100020236A (ko)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무선통신장치 및 차량 제어시스템
KR20090004457U (ko) 차량용 도어 비상개방을 겸한 운전자 호출 장치
KR20070000809U (ko) 위치추적기능을 갖는 차량의 문 개폐용 리모트컨트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21

Year of fee payment: 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