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105Y1 - 가구용 도어개폐구조 - Google Patents

가구용 도어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105Y1
KR200335105Y1 KR20-2003-0029765U KR20030029765U KR200335105Y1 KR 200335105 Y1 KR200335105 Y1 KR 200335105Y1 KR 20030029765 U KR20030029765 U KR 20030029765U KR 200335105 Y1 KR200335105 Y1 KR 2003351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fixing frame
fixing bracket
furni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97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길
Original Assignee
신현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길 filed Critical 신현길
Priority to KR20-2003-00297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1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1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1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E05D15/4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with two pairs of pivoted arms
    • E05D15/463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with two pairs of pivoted arms specially adapted for overhea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2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pneumatic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반의 개구부에 고정틀이 고정되어 이 고정틀에 도어가 링크유동판들에 의하여 한정된 전방 이동과 또한 연이어서 상향이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면서, 또한 상기 도어의 이동이 쇽업소버에 의하여 완충력있게 작동하도록 함으로서, 도어가 선반으로부터 최소의 전방이동으로 도어의 개폐작동 면적의 최소화를 꾀하여, 주방 및 거실에 기타의 가구 등의 사용면적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고, 또한 도어가 쇽업소버에 의하여 완충력있게 작동하여 도어를 중량감있는 스므스한 개폐로 가구의 도어를 고급화할 수 있는 가구용 도어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윗쪽에 나란히 간격을 두고 고정틀측고정브라켓(120)이 형성된 개구부(110)를 가지는 고정틀(100)과; 상기 고정틀(100)의 개구부(110)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안쪽에 도어측고정브라켓(220)이 형성되고 바깥쪽의 아래부분에 손잡이(210)가 형성된 도어(200)와; 상기 고정틀(100)의 고정틀측고정브라켓(120)에 한쪽 끝단들이 표고차를 두고 윗쪽힌지(310,410)들에 유동가능하게 형성되고, 다른 한쪽 끝단들은 상기 도어(200)의 도어측고정브라켓(220)에 표고차를 두고 아래쪽힌지(320,420)에 유동가능하게 장착된 제 1, 2 링크유동판(300,400)들과; 상기 제 1 링크유동판(300)의 윗쪽힌지(310,410) 주위에 형성한 소버힌지(330)와, 상기 고정틀(100)의 고정틀측고정브라켓(120)에 형성한 소버힌지(130)와에 끝단들이 고정되는 쇽업소버(500);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도어(200)는, 내외판(230,240)으로 형성되어 내외판(230,240) 사이에 질량이 나가는 중량부재(250)가 충전되어 있다.

Description

가구용 도어개폐구조{Opening and shutting structure of Door for furiture}
본 고안은 실내의 주방 또는 거실에 장착되는 선반 등의 가구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반의 개구부에 고정틀이 고정되어 이 고정틀에 도어가 링크유동판들에 의하여 한정된 전방 이동과 또한 연이어서 상향이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면서, 또한 상기 도어의 이동이 쇽업소버에 의하여 완충력있게 작동하도록 함으로서, 도어가 선반으로부터 최소의 전방이동으로 도어의 개폐작동 면적의 최소화를 꾀하여, 주방 및 거실에 기타의 가구 등의 사용면적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고, 또한 도어가 쇽업소버에 의하여 완충력있게 작동하여 도어를 중량감있는 스므스한 개폐로 가구의 도어를 고급화할 수 있는 가구용 도어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반 등의 가구에 도어의 형성은 힌지를 중심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고 있고, 또한 도어가 측면에 설치된 힌지에 의하여 좌우방향으로 개폐되고, 또한 힌지가 선반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어를 위쪽으로 개폐할 수 있게끔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어의 힌지에 도어클로져 등을 설치하여 도어가 단계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여 도어의 개폐를 고급화하고 있으나, 도어를 힌지를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개폐되는 도어에만 설치가 가능하다는 설비의 제약이 있고, 또한 도어클로져의 설비비용이 고가이어서 가구의 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도어를 윗쪽으로 열고 닫고 하는 선반에 쇽업소버를 설치하여 도어가스므스하게 열고 닫히게 하는 도어개폐구조가 있으나, 이 경우에는 도어가 선반에 힌지를 중심으로 개폐가능하도록 하면서 쇽업소버에 의하여 완충력있게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도어의 개폐를 스므스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도어가 힌지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가 힌지를 중심으로 작동하는 작동면적을 확보하여야 하는 관계로 가구의 배치에 제약이 있고, 또한 도어가 힌지를 중심으로 윗쪽으로 개방되어 선반의 눈높이 보다 높게 열리어서, 선반의 눈높이 보다 작은 사람은 도어의 개폐가 용이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선반 등의 가구의 개구부에 도어를 형성함에 있어서의 선반과 도어의 사이에 2개 링크유동편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하며, 또한 상기 링크유동편들은 한쪽이 선반의 고정틀에 각각의 힌지에 의하여 유동가능하게 설치하고, 또한 다른 한쪽은 도어에 각각의 힌지에 의하여 유동가능하게 설치하여 도어가 선반에 대하여 상기 링크유동편의 길이에 따라서 한정된 선반의 전방으로 이동과 또한 도어를 윗쪽으로 개방토록 함으로서, 도어의 개폐작동 면적을 최소화하여, 주방 및 거실에 기타의 가구 등의 사용면적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 도어가 선반의 수직으로 개방되어 선반의 눈높이에 달아는 사람이면 도어의 개폐가 가능한 것이며, 또한 도어가 쇽업소버에 의하여 완충력있게 작동하여 도어를 중량감있는 스므스한 개폐로 가구의 도어를 고급화할 수 있는 가구용 도어개폐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윗쪽에 나란히 간격을 두고 고정틀측고정브라켓이 형성된 개구부를 가지는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의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안쪽에 도어측고정브라켓이 형성되고 바깥쪽의 아래부분에 손잡이가 형성된 도어와; 상기 고정틀의 고정틀측고정브라켓에 한쪽 끝단들이 표고차를 두고 윗쪽힌지들에 유동가능하게 형성되고, 다른 한쪽 끝단들은 상기 도어의 도어측고정브라켓에 표고차를 두고 아래쪽힌지에 유동가능하게 장착된 제 1, 2 링크유동판들과; 상기 제 1 링크유동판의 윗쪽힌지 주위에 형성한 소버힌지와, 상기 고정틀의 고정틀측고정브라켓에 형성한 소버힌지와에 끝단들이 고정되는 쇽업소버;가 장착됨을 기본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의 상기 도어는, 내외판으로 형성되어 내외판 사이에 질량이 나가는 중량부재가 충전되어 중량감있게 도어가 개폐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가구용 도어개폐구조가 장착되는 가구의 예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가구용 도어개폐구조의 분리 사시도,
도 3a,b,c 는 본 고안의 가구용 도어개폐구조에서 도어의 개폐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가구용 도어개폐구조에서 도어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고정틀 110 : 개구부
120 : 고정틀측고정브라켓 130 : 소버힌지
200 : 도어 210 : 손잡이
220 : 도어측고정브라켓 230,240 : 내외판
250 : 중량부재 300,400 : 제 1, 2 링크유동판
310,410 : 윗쪽힌지 320,420 : 아래쪽힌지
330 : 소버힌지 500 : 쇽업소버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가구용 도어개폐구조는 벽체(10) 등에 고정된 선반(20)에 장착되며, 상기 선반(20)의 개구부에 고정되는 고정틀(100)과, 상기 고정틀(100)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200)와, 상기 고정틀(100)과 상기 도어(200) 사이에 설치되는 제 1, 2 링크유동판(300,400) 및 쇽업소버(50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틀(10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110)를 가지는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선반(20)의 개구부에 장착 고정된는 칫수로 되어 있다. 또한 윗쪽에는 나란히 간격을 두고 대략 "ㄱ"자 형상의 고정틀측고정브라켓(120)들이 고정되어 있으며, 고정틀측고정브라켓(120)들은 기초부가 고정틀측고정브라켓(120)의 위틀 측면에 나사 등의 체결수단에 의하여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틀(100)의 개구부(110)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200)는 상기 제 1, 2 링크유동판(300,400)들과 연결되는 도어측고정브라켓(220)이 안쪽에 고정되어 있으며, 또한 바깥쪽에는 손잡이(210)가 아래쪽에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0)는, 내외판(230,240)으로 형성되어 내외판(230,240) 사이에 질량이 나가는 중량부재(250) 예를들면 우레탄 판재, 고무재 및 알루미늄판 등이 충전 및 장착되어, 도어(200)의 전체 중량이 나가도록 함으로서, 도어(200)를 열고 닫을 때에 도어(200)의 자중에 의한 반작용의 작동을 일으켜, 후술하는 쇽업소버(500)의 완충있는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정틀(100)과 도어(200)의 사이에 제 1, 2 링크유동판(300,400)들이 장착되는데, 상기 제 1, 2 링크유동판(300,400)들은 도 2와 같이 판형상체 사방의 양끝단에 힌지(310,410,320,420)들이 장착되어 유동가능하게 장착하게 된다. 상기 고정틀(100)의 고정틀측고정브라켓(120)에 한쪽 끝단들이 표고차를 두고 윗쪽힌지(310,410)들에 유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2 링크유동판(300,400)들의 다른 한쪽 끝단들은 상기 도어(200)의 도어측고정브라켓(220)에 표고차를 두고 아래쪽힌지(320,420)에 유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 1, 2 링크유동판(300,400)들의 사방은 윗쪽힌지(310,410)들과 아래쪽힌지(320,420)들에 나사 등의 체결부재(번호생략)들에 의하여 유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제 1, 2 링크유동판(300,400)들이 도 3a,b,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란히 움직이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링크유동판(300)의 윗쪽힌지(310,410) 주위에 튀어나오게 형성한 소버힌지(330)와, 또한 상기 고정틀(100)의 고정틀측고정브라켓(120) 후방에 형성한 소버힌지(130)와에 쇽업소버(500)의 끝단들이 고정되어, 쇽업소버(500)의 본체로부터 피스턴로드(510)의 구동에 의하여 제 1 링크유동판(300)이 완충력있게 움직이게 되며, 결국 도어(200)가 중량감있고 스므스한 개폐가 이루어지게 한다.
따라서, 도 3a,b,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200)를 열면 상기 제 1, 2 링크유동판(300,400)들이 고정틀(100)의 고정틀측고정브라켓(120)들의 윗쪽힌지(310,410)들을 중심으로 도어(200)를 전방으로 개방시키게 되며, 또한 계속하여 도어(200)를 여는 방향으로 열면, 상기 윗쪽힌지(310,410)와 함께 도어(200)의 도어측고정브라켓(220)과 연결되는 아래쪽힌지(320,420)들을 중심으로 도어(200)가 유동되어 도어(200)를 선반(20)의 윗쪽으로 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링크유동판(300)의 소버힌지(330)와 고정틀측고정브라켓(120)의 소버힌지(130)에 연결된 쇽업소버(500)가 구동하여 피스턴로드(510)의 이동으로 도어(200)를 안정적으로 개폐시키게 된다.
상기 도어(200)는 중량부재(250)가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중량감있게 개폐되어 상기 쇽업소버(500)의 구동 상하점에서 자중에 의한 개폐를 유도하여 스므스하게 도어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선반 등의 가구의 개구부에 도어를 형성함에 있어서의 선반과 도어의 사이에 2개 링크유동편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하며, 또한 상기 링크유동편들은 한쪽이 선반의 고정틀에 각각의 힌지에 의하여 유동가능하게 설치하고, 또한 다른 한쪽은 도어에 각각의 힌지에 의하여 유동가능하게 설치하여 도어가 선반에 대하여 상기 링크유동편의 길이에 따라서 한정된 선반의 전방으로 이동과 또한 도어를 윗쪽으로 개방토록 함으로서, 도어의 개폐작동 면적을 최소화하여, 주방 및 거실에 기타의 가구 등의 사용면적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 도어가 선반의 수직으로 개방되어 선반의 눈높이에 달아는 사람이면 도어의 개폐가 가능한 것이며, 또한 도어가 쇽업소버에 의하여 완충력있게 작동하여 도어를 중량감있는 스므스한 개폐로 가구의 도어를 고급화할 수 있다.

Claims (2)

  1. 윗쪽에 나란히 간격을 두고 고정틀측고정브라켓(120)이 형성된 개구부(110)를 가지는 고정틀(100)과; 상기 고정틀(100)의 개구부(110)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안쪽에 도어측고정브라켓(220)이 형성되고 바깥쪽의 아래부분에 손잡이(210)가 형성된 도어(200)와; 상기 고정틀(100)의 고정틀측고정브라켓(120)에 한쪽 끝단들이 표고차를 두고 윗쪽힌지(310,410)들에 유동가능하게 형성되고, 다른 한쪽 끝단들은 상기 도어(200)의 도어측고정브라켓(220)에 표고차를 두고 아래쪽힌지(320,420)에 유동가능하게 장착된 제 1, 2 링크유동판(300,400)들과; 상기 제 1 링크유동판(300)의 윗쪽힌지(310,410) 주위에 형성한 소버힌지(330)와, 상기 고정틀(100)의 고정틀측고정브라켓(120)에 형성한 소버힌지(130)와에 끝단들이 고정되는 쇽업소버(500);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개폐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200)는, 내외판(230,240)으로 형성되어 내외판(230,240) 사이에 질량이 나가는 중량부재(250)가 충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개폐구조.
KR20-2003-0029765U 2003-09-19 2003-09-19 가구용 도어개폐구조 KR2003351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765U KR200335105Y1 (ko) 2003-09-19 2003-09-19 가구용 도어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765U KR200335105Y1 (ko) 2003-09-19 2003-09-19 가구용 도어개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105Y1 true KR200335105Y1 (ko) 2003-12-03

Family

ID=49341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765U KR200335105Y1 (ko) 2003-09-19 2003-09-19 가구용 도어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10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405Y1 (ko) * 2010-01-04 2012-07-12 주식회사 한화건설 주방용 수납가구에 사용되는 메모 가능한 리프트도어
KR200475825Y1 (ko) * 2013-06-26 2015-01-09 (주)리베첸 주방 가구용 리프트 도어
JP2021016543A (ja) * 2019-07-19 2021-02-15 Toto株式会社 キャビネッ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405Y1 (ko) * 2010-01-04 2012-07-12 주식회사 한화건설 주방용 수납가구에 사용되는 메모 가능한 리프트도어
KR200475825Y1 (ko) * 2013-06-26 2015-01-09 (주)리베첸 주방 가구용 리프트 도어
JP2021016543A (ja) * 2019-07-19 2021-02-15 Toto株式会社 キャビネット
JP7352817B2 (ja) 2019-07-19 2023-09-29 Toto株式会社 キャビネッ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69282B1 (en) Shower door
CA2387413C (en) Hinge for an over-head storage compartment having non-centered pivoting motion
RU2500870C2 (ru) Предмет мебели с выталкивающим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подвижных деталей мебели
KR101430754B1 (ko) 미닫이문의 속도조절댐퍼
CA2098439A1 (en) Door closure apparatus
KR20130097774A (ko) 도어 클로저, 특히 유리 도어용 도어 클로저
JP2006299533A (ja) 収納家具
RU2005109266A (ru) Конструкция защитной двери и рамы
AU2012261676A1 (en) Improved damped door assembly and damping arrangment therefor
KR200335105Y1 (ko) 가구용 도어개폐구조
JP6932308B2 (ja) ダンパ装置
KR20100120035A (ko) 미닫이 도어 조립체
US20070119549A1 (en) Sliding panel interlock
EP4343097A1 (en) New damper for sliding door and window
KR200380524Y1 (ko) 안전문틀
AU2016392764B2 (en) Shower door
KR101447728B1 (ko) 미닫이문의 개폐방법
RU2019137105A (ru) Привод распашной двери
JP4195464B2 (ja) 折戸システム
KR200401653Y1 (ko) 주방용 선반도어개폐의 링크 유동판구조
TWM579202U (zh) Horizontal sliding door damping device and sliding door assembly having the same
JPH09235938A (ja) 吊り懸け式引き戸装置
EP3517718A1 (en) Sliding door system with silent trolleys
KR20120000004U (ko) 자동으로 닫혀지는 현수식 교실출입문
KR200412805Y1 (ko) 레인지 후드의 전면 도어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