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4556Y1 - 음이온 발생과 대기정화 기능을 갖는 삼파장 램프 - Google Patents

음이온 발생과 대기정화 기능을 갖는 삼파장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4556Y1
KR200334556Y1 KR20-2003-0028330U KR20030028330U KR200334556Y1 KR 200334556 Y1 KR200334556 Y1 KR 200334556Y1 KR 20030028330 U KR20030028330 U KR 20030028330U KR 200334556 Y1 KR200334556 Y1 KR 2003345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anion
generated
negative ion
wave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83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도노반동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온라이트
(주) 디오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온라이트, (주) 디오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온라이트
Priority to KR20-2003-00283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45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45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4556Y1/ko
Priority to PCT/KR2004/002206 priority patent/WO2005022034A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 F24F8/26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using ozo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2Special longitudinal shape, e.g. for advertising purposes
    • H01J61/327"Compact"-lamps, i.e. lamps having a folded discharge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이온을 발생 시키는 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기 오염물질인 오존의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음이온 발생과 대기정화 기능을 갖는 램프에 관한 것이다.
몸체(10) 상부 중앙에 살균 및 탈취등 대기정화기능을 갖도록 음이온 발생부(20) 외부표면에 광촉매인 산화티탄(22)을 코팅하되, 그 내부에는 무오존 음이온을 발생시키도록 각각의 외부표면이 끝이 뾰족한 무수히 많은 돌기가 형성된 MF3(메탈파이브) 브러쉬(21)를 구성될 수 있음으로서 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음이온 발생과 대기정화 기능을 갖는 삼파장 램프는 발생된 음이온이 램프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에 의해 음이온이 소멸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음이온 발생부(20)의 외면에 광촉매를 코팅하여, UV램프 없이 램프에서 발생한 삼파장 빛으로 대기정화 기능이 발생하며, MF3(메탈파이브) 브러쉬(21)에 의해 대기 오염물질인 오존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이온 발생과 대기정화 기능을 갖는 삼파장 램프{lamp that have anion occurrence and air purification}
본 고안은 음이온을 발생 시키는 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기 오염물질인 오존의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음이온 발생과 대기정화 기능을 갖는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늘날 대기중에는 곰팡이, 각종 세균 및 자동차 배기가스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이 포함된 대기량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사람들은 실내 대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곰팡이, 각종 세균 및 오염물질을 정화하기 위하여 음이온 발생장치나 대기청정기와 같은 제품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와 같이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대기청정기는 실내대기를 대류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송풍장치를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송풍장치는 모터 등과 같은 관련 구동부품에 의해 실내대기를 정화시키는 것으로 대기청정기의 크기가 커져 설치 및 사용공간을 많이 차지하며, 개별적으로 설치 관리하여야 함으로 제품의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특허등록출원 2001-0018937과 2001-0071131 등에 기재된 것과 같이 음이온을 발생시키거나 대기청정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를 살펴보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전극부가 장착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등들이 구비된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고압을 발생시키는 증폭기와, 상기 조명등들의 중앙에 개재되고, 상기 증폭기로부터 고압을 공급받아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발생기로 구성되어, 상기 대기청정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는 몸체 중앙에 설치되며, 조명등의 중앙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음이온 발생기에서 음이온이 발생되어 실내의 대기를 정화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에는 음이온을 발생시키기 위한 고전적인 불꽃 방전을 이용한 음이온 발생장치를 램프에 장착한 것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들 음이온 발생장치는 음이온 발생이 기대에 못미쳤고, 미량의 오존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몸체의 하부에는 소켓을 구비하고 상부에는 램프을 구비한 삼파장 램프에 있어서,
상기 몸체 상부 중앙에 살균 및 탈취등 대기정화기능을 갖도록 음이온 발생부 외부표면에 광촉매인 산화티탄을 코팅하되, 그 내부에는 무오존 음이온을 발생시키도록 각각의 외부표면이 끝이 뾰족한 무수히 많은 돌기가 형성된 MF3(메탈파이브) 브러쉬를 구성하여, 발생된 음이온이 램프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에 의해 음이온이 소멸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음이온 발생부의 외면에 광촉매를 코팅하여, UV램프 없이 램프에서 발생한 삼파장 빛으로 대기정화 기능이 발생하며, MF3(메탈파이브) 브러쉬에 의해 대기 오염물질인 오존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가지는 음이온 발생과 대기정화 기능을 갖는 삼파장 램프를 제공하는데 상기한 목적이 있다.
도 1a는 종래의 음이온 발생 기능을 갖는 삼파장램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b는 종래의 음이온 발생 기능을 갖는 삼파장램프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음이온 발생과 대기정화 기능을 갖는 삼파장 램프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음이온 발생과 대기정화 기능을 갖는 삼파장 램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c는 본 고안에 따른 음이온 발생과 대기정화 기능을 갖는 삼파장 램프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d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음이온 발생과 대기정화 기능을 갖는 삼파장 램프의 요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음이온 발생과 대기정화 기능을 갖는 삼파장 램프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면 각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자총 2:전자판
10:몸체 20: 음이온 발생부
21: MF3(메탈파이브) 브러쉬 22: 산화티탄
30: 램프 40: 소켓
50: 음이온 전원부 60: 램프 전원부
110: 간섭방지부 120: 전압유기부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종래의 음이온 발생 기능을 갖는 삼파장램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음이온 발생 기능을 갖는 삼파장램프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음이온 발생과 대기정화 기능을 갖는 삼파장 램프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음이온 발생과 대기정화 기능을 갖는 삼파장 램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c는 본 고안에 따른 음이온 발생과 대기정화 기능을 갖는 삼파장 램프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d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음이온 발생과 대기정화 기능을 갖는 삼파장 램프의 요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음이온 발생과 대기정화 기능을 갖는 삼파장 램프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음이온 발생 기능을 갖는 삼파장램프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몸체(1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에는 복수개의 램프(30)가 장착되고, 하부에는 통상의 소켓(40)이 결합되어 전원을 증폭기로 인가 시키는 전원부가 장착되며, 상기 증폭기는 몸체(10)의 내벽에 형성된 고정편에 의해 안정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상부 중앙에는 음이온을 방출시키고 시각적 미려를 줄수 있는 음이온발생부(20)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증폭기는 전원부로 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받아 고압으로 증폭시키며, 그 구성은 인쇄회로기판상에 장착되는 트랜스포머 및 관련 구동부푼들로 이루어지고, 몸체 내벽에 형성된 고정편에 의해 안정적으로 설치되고, 램프에 전원을 인가하는 인버터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상부 중앙에는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발생부(20)가 설치된다.
상기 음이온 발생부(20)는 음이온 발생판, 다수개의 전차총(1),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전자판(2) 및 음이온 집진 패널(3)로 구성된다.
상기 음이온 발생부(20)는 증폭기로부터 고압을 인가받아 상기 음이온 발생부(20)의 내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전자총(1)으로 전자를 방출시키다.
이때, 상기 전자총(1)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는 전자판(2)에 충돌하여 음이온이 발생되며, 상기 발생된 음이온은 전자판(2)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하도록 하였다.
도 2a에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체적인 외형은 통상적인 몸체(1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에는 복수개의 램프(30)가 장착되고, 하부에 통상의 소켓(40)에 결합되어 음이온 발생부(20)에 전원을 증폭하여 인가 시키는 음이온 전원부(50)가 장착되며, 상기 음이온 전원부(50)는 몸체(10)의 하단 내부에 안정적으로 설치되고, 음이온 전원부(50)에서 발생하는 전자기가 램프에 전원을 인가 램프 전원부(60)에 영향을 주지 못하도록 케이스 몰딩 처리를 한다.
상기 램프 전원부(60)는 소켓(40)으로 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받아 고압으로 증폭시키며, 그 구성은 인쇄회로기판상에 장착되는 트랜스포머 및 관련 구동부푼들로 이루어지고, 몸체 내벽에 형성된 고정편에 의해 안정적으로 설치한다.
또한, 상기 몸체(10) 상부 중앙에 살균 및 탈취등 대기정화기능을 갖도록 표면에 광촉매인 산화티탄(22)을 코팅한 음이온 발생부(20)를 구비되, 무오존 음이온을 발생시키도록 그 내부에는 8가지 금속을 합성시킨 도전합금을 도전성수지 및 반 도전성수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각각의 외부표면이 끝이 뾰족한 무수히 많은 돌기가 형성된 무오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MF3(메탈파이브) 브러쉬(21)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산화티탄(22)은 광촉매제로써, 부유하는 유기물 및 오염물질이 음이온 발생부(20)의 표면에 흡착되면 램프에서 발생하는 빛으로 산화티탄(22)을활성화 시켜 흡착된 오염물질이 화학분해되도록 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통상적으로 몸체(10)의 상부에는 램프(30)를 구성하고 하부에는 소켓(40)을 구성하되, 음이온 발생부(20)를 전자판(2), 다수개의 전차총(1), 다수개의 통공으로 구성되어 높은 전압을 이용한 전자총(1)에 의해 음이온을 방출 하였는데, 이때 상기 전자총(1)을 이용한 음이온 발생부(20)는 음이온만 발생 시키는 것이 아니고, 인체에 유해한 오존등도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총에서 발생한 방전불꽃에 의해 화재등과 같은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기 몸체(10)의 상부 중앙에 살균 및 탈취등 대기정화기능을 갖도록 표면에 광촉매인 산화티탄(22)을 코팅한 음이온 발생부(20)를 구비하며, 그 내부에는 무오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탄소섬유 브러쉬(21)를 구성하여, 오존등과 같은 대기 오염물질을 발생하지 않고, 산화티탄(22)에 의한 부유 유기물을 정화하므로, 더욱 쾌적한 공기정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체적인 회로 구성은 교류 전원을 인가 받아 직류전원으로 정류후 안정기로 인가하여, 전압증폭 및 정전압을 유지되어 삼파장 램프를 점등한다.
그리고, 상기 교류전원을 인가 받아 안정기와 이온발생부의 상호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간섭방지부(110)와, 상기 간섭방지부에서 인가된 교류전원을 변압기에 의해 -5KV로된 직류전원으로 변환하고 다이오드 콘덴서 체배회로에 의해 주파수를정배수로 펄스를 발생시키는 이온발생 전압 유기부(120)와, 상기 이온발생 전압 유기부에서 인가 받은 전류를 MF3(메탈파이브) 브러쉬(21)로 인가 하도록 구성한다.
이상과 같이 몸체 상부 중앙에 음이온발생 및 대기청정 기능을 갖는 음이온 발생부를 구비하여, 발생된 음이온이 램프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에 의해 음이온이 소멸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음이온 발생부의 외면에 광촉매를 코팅하여, UV램프 없이 램프에서 발생한 삼파장 빛으로 대기정화 기능이 발생하며, MF3(메탈파이브) 브러쉬에 의해 대기 오염물질인 오존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몸체의 하부에는 소켓을 구비하고 상부에는 램프을 구비한 삼파장 램프에 있어서,
    상기 몸체(10) 상부 중앙에 살균 및 탈취등 대기정화기능을 갖도록 표면에 광촉매인 산화티탄(22)을 코팅한 음이온 발생부(20)를 구비하며, 그 내부에는 무오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MF3(메탈파이브) 브러쉬(21)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과 대기정화 기능을 갖는 삼파장 램프.
  2. 교류 전원을 인가 받아서 음이온 발생과 대기정화 기능을 갖는 삼파장 램프회로(100)에 있어서,
    상기, 교류전원을 인가 받아 안정기와 이온발생부의 상호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간섭방지부(110)와:
    상기, 간섭방지부에서 인가된 교류전원을 변압기에 의해 -5KV로된 직류전원으로 변환하고 다이오드 콘덴서 체배회로에 의해 주파수를 정배수로 펄스를 발생시키는 이온발생 전압 유기부(120)와:
    상기, 이온발생 전압 유기부에서 인가 받은 전류를 MF3(메탈파이브) 브러쉬(21)로 인가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음이온 발생과 대기정화 기능을 갖는 삼파장 램프.
KR20-2003-0028330U 2003-09-03 2003-09-03 음이온 발생과 대기정화 기능을 갖는 삼파장 램프 KR2003345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330U KR200334556Y1 (ko) 2003-09-03 2003-09-03 음이온 발생과 대기정화 기능을 갖는 삼파장 램프
PCT/KR2004/002206 WO2005022034A1 (en) 2003-09-03 2004-09-02 Light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nions and purifying 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330U KR200334556Y1 (ko) 2003-09-03 2003-09-03 음이온 발생과 대기정화 기능을 갖는 삼파장 램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398A Division KR100560851B1 (ko) 2003-09-03 2003-09-03 음이온 발생과 대기정화 기능을 갖는 삼파장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4556Y1 true KR200334556Y1 (ko) 2003-11-28

Family

ID=34270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330U KR200334556Y1 (ko) 2003-09-03 2003-09-03 음이온 발생과 대기정화 기능을 갖는 삼파장 램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34556Y1 (ko)
WO (1) WO20050220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46002A4 (en) * 2005-10-21 2008-12-10 Cixi Eudemon Electrical Ltd LIGHTING DEVICE
GB2440973B (en) * 2006-08-15 2011-08-10 Roland Terry Kenyon A lighting device
GB2467587A (en) * 2009-02-09 2010-08-11 Zhiwei Wang Lamp having ionizer and wireless remote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792A (ko) * 2001-04-10 2002-10-19 주식회사 이온라이트 음이온 조절센서가 부착된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조명장치
KR100432154B1 (ko) * 2001-11-15 2004-05-24 주식회사 이온라이트 음이온 장치가 내장된 조명기구
KR200297872Y1 (ko) * 2002-09-12 2002-12-13 장석숭 공기정화기능을 가지는 램프 구조물
KR200308262Y1 (ko) * 2002-12-18 2003-03-26 한미숙 무 오존 클러스터 음이온 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22034B1 (en) 2005-06-16
WO2005022034A1 (en) 200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0851B1 (ko) 음이온 발생과 대기정화 기능을 갖는 삼파장 램프
US7767169B2 (en) Electro-kinetic air transporter-conditioner system and method to oxidize volatile organic compounds
EP0000738B1 (en) An air purifier of the regenerating type.
JP3625800B2 (ja) 陰イオン発生装置が内蔵された照明器具
KR100945599B1 (ko) 하이브리드 광반도체 살균 촉매 램프 및 이를 이용한 광촉매 정화 장치
US20060078460A1 (en) Anion generator for incorporation into lighting apparatuses and other appliances
US6462947B1 (en) Device case with air purifying function
US20040081596A1 (en) Device case and air purifier arrangement
US20080305015A1 (en) Negative ion generator for incorporation into lighting apparatuses
KR20120079629A (ko) 엘이디 램프 기능을 겸하는 공기 청정기
US7179425B2 (en) Cylindrical optoelectronic air cleaner
KR200334556Y1 (ko) 음이온 발생과 대기정화 기능을 갖는 삼파장 램프
KR970006047B1 (ko)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TW570818B (en) Air purifier
KR100518469B1 (ko) 직류용 음이온 및 은이온 발생기
KR102285193B1 (ko) 빌트인 타입 스마트 공기정화기
KR101600076B1 (ko) 플라즈마 음이온 공기정화기
US20080018220A1 (en) High-performance negative ion generating module
KR200265693Y1 (ko) 음이온 장치가 내장된 조명기구
KR200418654Y1 (ko) 플라즈마 방전소자
KR20190002295U (ko) 공기청정기능을 갖춘 정사각형 무소음 실내용 엘이디조명 등기구
JP2004121811A (ja) 消臭殺菌健康空調装置
KR20130005541A (ko) 공기 정화 및 제균부를 구비한 전기 스위치
CN218120100U (zh) 用于空调器的空气调节装置
JP3006864U (ja) 空気清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