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4485Y1 - 베란다등의 바닥면 단층부 시공을 위한 마감재 - Google Patents

베란다등의 바닥면 단층부 시공을 위한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4485Y1
KR200334485Y1 KR20-2003-0028988U KR20030028988U KR200334485Y1 KR 200334485 Y1 KR200334485 Y1 KR 200334485Y1 KR 20030028988 U KR20030028988 U KR 20030028988U KR 200334485 Y1 KR200334485 Y1 KR 2003344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ishing material
floor
construction
tile
vertic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89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아름
Original Assignee
김아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아름 filed Critical 김아름
Priority to KR20-2003-00289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44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44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44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타일등의 장식물이 시공되는 건물 바닥면의 단층부의 미적인 아름다움을 제고시키고, 시공 공정이 단축되어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구조의 베란다등의 바닥면 단층부 시공을 위한 마감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베란다등의 바닥면의 단층부의 장식을 위해 시공되는 마감재에 있어서,단층부의 표면을 덮도록 수직으로 위치하는 수직부재와, 그 수직부재로부터 높은 측의 바닥면을 향해 ㄱ자를 이루도록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부로 시공되는 타일이 얹혀지며, 대략 0.6mm∼1.5mm의 얇은 두께를 가지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직부재로부터 상부로 더 연장되어 상기 수평부재 위에 시공된 타일의 선단을 가려주도록 돌출하는 타일측면 보호부재 및 상기 수직부재 내측면으로 콘크리트나 본딩재에 의하여 상기 단층부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요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각 부재들은 플라스틱재로서 단일 몸체로 압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베란다등의 바닥면 단층부 시공을 위한 마감재{Closing materials}
본 고안은 타일이 시공되는 건물 바닥면, 특히 바닥면이 단층을 형성하고 있는 베란다등의 단층부 시공을 위한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바닥면중 예를 들어 베란다등의 경우 길이가 길 경우 물빠짐이 원활하도록 도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바닥면(30),31)간에 단층(34)을 두어 시공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들 단층부(34)는 베란다 이외에도 실내의 현관과 거실을 구획하는 부분등 다양한 곳에 형성되고 있다.
그런데 통상 베란다등의 경우 미관을 위해 콘크리트를 노출시키지 않도록 바닥면(30)(31)에 타일(32)(33)시공을 하게 되는데, 단층(34)이 있는 부분의 경우 타일 처리를 하더라도 미관을 해치게 되는 일이 있어, 미관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도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인조대리석으로 된 대략 ㄱ자 형상의 마감재(35)를 단층부(34)에 시공한 후 그의 양측으로부터 바닥면(30)(31)에 타일(32)(33)을 시공해 나가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마감재(35)의 경우 통상 시멘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인조대리석을 많이 사용하여 제작하게 되는데, 마감재(35)를 단층부(34)에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앵커볼트(36)를 마감재(35)의 제작시 돌출되도록 매설 작업을 하여야 하며,또 이 앵커보울트(36)가 단층부(34)에 매설되기 위해서는 바닥면(30(31)의 콘크리트 타설 시공과 함께 마감재(35)를 동시 시공하여야 하고, 타일(32)(33)부착 작업은 바닥면(30(31)의 콘크리트가 완전히 굳은 다음에 실시하게 되므로서 시공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지적되어 오고 있다.또 인조대리석 마감재가 무겁고 취급이 불편하며, 충격에 약해 보관중 쉽게 파손되는 단점도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타일등의 장식물이 시공되는 건물 바닥면의 단층부의 미적인 아름다움을 제고시키고, 시공 공정이 단축되어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구조의 베란다등의 바닥면 단층부 시공을 위한 마감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란다등의 바닥면의 단층부의 장식을 위해 시공되는 마감재에 있어서,단층부의 표면을 덮도록 수직으로 위치하는 수직부재와, 그 수직부재로부터 높은 측의 바닥면을 향해 ㄱ자를 이루도록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부로 시공되는 타일이 얹혀지며, 대략 0.6mm∼1.5mm의 얇은 두께를 가지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직부재로부터 상부로 더 연장되어 상기 수평부재 위에 시공된 타일의 선단을 가려주도록 돌출하는 타일측면 보호부재 및 상기 수직부재 내측면으로 콘크리트나 본딩재에 의하여 상기 단층부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요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각 부재들은 플라스틱재로서 단일 몸체로 압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종속 청구항 기재에 의하면 상기 타일측면 보호부재는 ㅁ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종속 청구항 기재에 의하면 상기 플라스틱재는 PVC 나 ABS 수지를 주성분하고 이보다 용융점이 상대적으로 높고 색상이 상이한 안료로 처리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분쇄하여 얻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칩을 혼합하여 압출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고안의 또 다른 종속항 기재에 의하면 상기 수평부재에는 시멘트나 본딩재가 침투하기 위한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을 한다.
또 본 고안의 또 다른 종속항 기재에 의하면 상기 요철부는 화살표 형상의 돌기물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고안에 의한 베란다등의 바닥면 단층부시공을 위한 마감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동상 마감재의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베란다등의 바닥면 단층부 시공을 위한 마감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동상 마감재의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종래기술.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감재 2 : 수직부재
3 : 수평부재 4 : 타일측면보호부재
5 : 요철부 6,7 : 바닥면
8 : 단층부 9 : 시멘트(본드)
10 : 구멍 11,12 : 타일
13 : 타일측면 20 : 마감재
21 : 수직부재 22 : 수평부재
23 : 타일측면보호부재 24 : 중공부
25 : 폴리에스테르 수지칩
이하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베란다등의 바닥면 단층부 시공을 위한 마감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동상 마감재의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베란다등의 바닥면 단층부 시공을 위한 마감재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동상 마감재의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마감재는 부호 1로 나타내었다.
상기 마감재(1)는 수직부재(2)와 수평부재(3),타일측면보호부재(4)및 요철부(5)로 구성되며, 플라스틱재, 예를 들면 PVC 나 ABS 수지등을 사용하여 압출 성형에 의해 단일 몸체로 성형된다.
수직부재(2)는 베란다등의 바닥면(6)과 바닥면(7)사이에 단층부(8)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그 단층부(8)의 콘크리트 질감이 외부로 드러나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단층부(8)에 장착되어 단층부(8)의 노출을 방지하게 되는데, 이때 수직부재(2)로부터 ㄱ자 형상을 이루도록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부재(3)는 높은 측의 바닥면(6)위에 밀착하게 된다.
상기한 마감재(1)의 수직부재(2)가 단층부(8)에 고정되기 위해서는 그의 내측면에 화살표 형상의 돌기로 된 요철부(5)에 콘크리트시멘트(9)나 본드를 발라 단층부(8)에 견고하게 부착하게 되며, 그의 상부의 수평부재(3) 역시 시멘트나 본드를 바닥면(6)에 바르고 밀착시키게 되면 시멘트나 본드등의 결속재가 구멍(10)을 메워 견고함을 유지하게 된다.
본고안의 마감재(1)는 바닥면(6)(7)의 콘크리트 양생 작업시 시공하지 아니하고, 양생작업이 끝난후 타일(11)(12) 시공작업시 마감재(1)설치작업을 하게 되는데, 앞서와 같은 방법으로 단층부(8)에 마감재(1)가 고정되도록 장착되면, 타일(11)(12)을 장착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그런데 수평부재(3)의 경우 수직부재(2)처럼 두께가 두껍게 되면 바닥면(6)의 층계가 형성되는 단부에 장착되는 타일(11)이 수평부재(3)의 두께로 인해 경사져 들뜨게 되므로 이를 방지코자 수평부재(3)는 가능한한 얇게 0.6mm 내지 1.5mm, 바람직하기로는 0.8mm 내지 1.2mm 의 얇은 두께로 형성하여야 한다.
수평부재(3)의 두께는 너무 얇게 되면 강도가 약하고 압출성형시 뒤틀림등이 일어나 성형이 곤란하고, 반대로 너무 두꺼우면 타일(11)의 설치가 곤란하므로 상기한 정도의 두께를 가지도록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하여 타일(11)(12)의 설치가 끝나면, 끝단의 타일(11)의 측면(13)은 타일측면 보호부재(4)에 접해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게 되며, 수직부재(2)등을 포함한 마감재(1)가 타일의 색상에 맞추어 다양한 질감과 색상을 가지는 플라스틱 성형물로 압출되므로 종래의 인조대리석에 비해 여러가지 잇점을 가지게 된다.
도3은 마감재(20)의 다른 실시예로서 수직부재(21)와 수평부재(22)는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반면, 타일측면보호부재(23)는 ㅁ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타일측면보호부재(23)는 재료 및 무게를 절감하고, 강도를 증진하기 위하여 중공부(24)에 의해 속이 빈 ㅁ자 형상을 취하고 있으며, 그 폭(B)은 10∼30mm, 높이는 타일(11)의 높이에 대응해서 5∼10mm 정도를 가진다.
요철부(25)는 도1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화살표 형상의 돌기물들로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도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산과 골이 연속하는 파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본 고안의 요철부(25)는 평평하고 매끄러운 표면이 아니고 시멘트등의 접착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울퉁불퉁한 표면을 가지는 것으로 충분하다.
상기한 마감재(1)(20)는 PVC 나 ABS 수지등의 플라스틱재를 사용하여 압출하게 되는데 인조대리석과 같은 질감을 주기 위하여, PVC 나 ABS 수지보다 상대적으로 용융점이 높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칩(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잘게 분쇄하여 얻은 분쇄물)을 주재료인 PVC 나 ABS의 용융 수지에 넣어 고르게 혼합하여 압출기에 넣고 압출하면, 용융되지 아니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칩(25)이 알갱이 형태로 점점이 박혀 있는 형상으로 제품이 제조된다.
이때 폴리에스테르 수지칩(25)은 PVC 나 ABS 수지와는 상이한 색상의 것이어서 마치 인조대리석(특정 색상의 돌가루들이 무늬를 형성)과 같은 질감의 제품을 얻을 수 있어 다양한 타일 디자인에 조화를 이루도록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칩(25)을 섞는 또 다른 이유는 인조대리석과 비슷한 질감을 얻기 위한 목적도 있지만, PVC 등의 단일 색상으로 마감재(1)(20)가 제작되는 경우 표면이 너무 매끈해져 스크래치(흠집)가 쉽게 생기고 또 그 흠집이 두드러지게 드러나서 미관을 해치게 되기 때문에 흠집이 잘 드러나지 않도록 폴리에스테르칩(25)을 섞어 제작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플라스틱재로 압출 성형된 마감재로서 베란다등의 바닥면이 층이 질 경우, 그 단층부를 장식하게 되므로서 바닥면의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된 후 타일 부착 작업시 병행해서 작업(후시공)하는 것이 가능해져, 종래 인조대리석 제품에 의한 선시공에 비해 설치 작업 비용이 크게 절감되며, 무게가 가볍고 취급이 쉬울 뿐 아니라 설치된 후 바닥면 단층부의 미관을 크게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베란다등의 바닥면의 단층부의 장식을 위해 시공되는 마감재에 있어서,단층부의 표면을 덮도록 수직으로 위치하는 수직부재와, 그 수직부재로부터 높은 측의 바닥면을 향해 ㄱ자를 이루도록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부로 시공되는 타일이 얹혀지며, 대략 0.6mm∼1.5mm의 얇은 두께를 가지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직부재로부터 상부로 더 연장되어 상기 수평부재 위에 시공된 타일의 선단을 가려주도록 돌출하는 타일측면 보호부재 및 상기 수직부재 내측면으로 콘크리트나 본딩재에 의하여 상기 단층부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요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각 부재들은 플라스틱재로서 단일 몸체로 압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등의 건물 바닥면의 단층부 시공을 위한 마감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측면 보호 부재는 ㅁ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등의 건물 바닥면의 단층부 시공을 위한 마감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재는 PVC 나 ABS 수지를 주성분하고, 이보다 용융점이 상대적으로 높고 색상이 상이한 안료로 처리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칩을 혼합하여 압출성형하므로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칩이 알갱이 형태로 표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등의 건물 바닥면의 단층부 시공을 위한 마감재.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에는 시멘트나 본딩재가 침투하기 위한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등의 건물 바닥면의 단층부 시공을 위한 마감재.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화살표 형상의 돌기물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등의 건물 바닥면의 단층부 시공을 위한 마감재.
KR20-2003-0028988U 2003-09-09 2003-09-09 베란다등의 바닥면 단층부 시공을 위한 마감재 KR2003344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988U KR200334485Y1 (ko) 2003-09-09 2003-09-09 베란다등의 바닥면 단층부 시공을 위한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988U KR200334485Y1 (ko) 2003-09-09 2003-09-09 베란다등의 바닥면 단층부 시공을 위한 마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4485Y1 true KR200334485Y1 (ko) 2003-11-28

Family

ID=49340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988U KR200334485Y1 (ko) 2003-09-09 2003-09-09 베란다등의 바닥면 단층부 시공을 위한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448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67029A (zh) 机械固定的面砖
KR100752399B1 (ko) 조형물 및 그 조형물을 구비하는 구조물
CN202064582U (zh) 多色彩条拼接组合马赛克
CN2531941Y (zh) 一种复合板材
KR200334485Y1 (ko) 베란다등의 바닥면 단층부 시공을 위한 마감재
CN101463642A (zh) 可钉装的装饰砖
US20150136311A1 (en) Fillable Stencil Pattern
KR200285302Y1 (ko) 계단의 조립식 테라조
IT201800006907A1 (it) Elemento di copertura per pavimentazioni
KR200344661Y1 (ko) 폴리머 콘크리트를 이용한 기능성 마감 패널
CN220014289U (zh) 一种防潮高强度瓷砖
US20070000196A1 (en) Decorative corner guard
KR20180002563U (ko) 안전사고방지 가능한 테이프 형태의 방수용 마감재
KR100864240B1 (ko) 조형물
KR200416319Y1 (ko) 베란다 등의 바닥면 단층부 시공을 위한 마감재
KR200340238Y1 (ko) 건축물 계단 마감재의 구조
KR200219369Y1 (ko) 황토층을 가진 인조석
US20230366212A1 (en) Tile with imitation grout line
GB2350378A (en) Headstone comprising of plastic layers
KR200427787Y1 (ko) 복합목재 우드타일
KR200219918Y1 (ko) 마루 경계재
KR200300604Y1 (ko) 장식면이 형성된 장식타일
KR200189691Y1 (ko) 계단 난간용 핸드바
KR200285277Y1 (ko) 계단용 마감패널
KR200238471Y1 (ko) 다용도 장식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