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4380Y1 - 조립식 화환 - Google Patents

조립식 화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4380Y1
KR200334380Y1 KR20-2003-0027778U KR20030027778U KR200334380Y1 KR 200334380 Y1 KR200334380 Y1 KR 200334380Y1 KR 20030027778 U KR20030027778 U KR 20030027778U KR 200334380 Y1 KR200334380 Y1 KR 2003343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connecting rod
cradle
wreath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77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욱
Original Assignee
박종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욱 filed Critical 박종욱
Priority to KR20-2003-00277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43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43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43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1/00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 A41G1/04Garlands; Assembly of garla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01G5/04Mountings for wreaths, or the like; Racks or holders for flow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화환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조화를 전면에 환형으로 배치시키고, 배면에는 거치구가 구성된 화환; 상기 화환의 거치구에 고정구로 거치할 수 있도록 된 거치대; 상기 거치대를 고정하고 지지하는 제1 받침대; 상기 제1 받침대와 결합되어 거치대를 지지하는 제2 받침대, 및 상기 제1 받침대 및 제2 받침대의 사이에 구성되어 인쇄물을 삽입하는 명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인바,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고 이동성 및 보관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화환{Prefabricated Wreath}
본 고안은 조립식 화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조사(慶弔事)에 사용되는 화환으로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고 이동성 및 보관성을 향상시킨 조립식화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화환은 결혼식장이나 상가 등에 축하나 조의를 표하기 위하여 개인이나 단체가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화환은 화환의 크기나 화환의 설치 단수 등에 따라 비용이 달라진다. 화환은 꽃을 스티로폴 등에 꽂아 환형으로 제작하고, 제작된 화환은 설치대에 설치하게 된다. 설치대는 통상적으로 대나무나 각목 등을 이용하여 화환을 지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화환의 전면이나 하단 또는 중앙에 각종 문구가 새겨진 리본이나 명판 등을 부착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화환은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대부분이고, 특히 그 부피가 커 화환 제작업자들이 취급하는 도중에 꽃이 상하거나 설치대를 망실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물론 화환을 조화로 제작한다 하더라도 설치대의 크기 및 부피는 여전히 취급상의 문제로 존재하고 있었다.
더욱이 생화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비용부담이 클 뿐만 아니라, 화환의 재활용도가 거의 없다. 비록 조화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설치대를 여러 번 사용하게 되면 망실되어 다시 제작해서 사용해야 하는 단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화환 및 화환을 거치하는 설치대를 조립식으로 제작하여 설치대의 부피를 최소화하고, 설치대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며, 설치대 및 화환을 보관 및 이동할 수 있는 휴대용 가방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화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화환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설치대를 계단 위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설치대의 이음구조를 나타낸 상세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화환이 조립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화환 20: 제1 받침대
40: 제2 받침대 60: 거치대
70: 보조 거치대 80: 명판
100: 설치대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위하여, 복수의 조화를 전면에 환형으로 배치시키고, 배면에는 거치구가 구성된 화환; 상기 화환의 거치구에 고정구로 거치할 수 있도록 된 거치대; 상기 거치대를 고정하고 지지하는 제1 받침대; 상기 제1 받침대와 결합되어 거치대를 지지하는 제2 받침대, 및 상기 제1 받침대 및 제2 받침대의 사이에 구성되어 인쇄물을 삽입하는 명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립식 화환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조립식 화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화환의 측면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화환(10)은 여러 가지 꽃 모양의 조화를 고정수단(11)으로 배면의 가지부분을 묶은 후에 전면에 환형으로 배치시키고, 배면에는 화환(10)을 거치할 수 있도록 거치구(12)가 구성된 것이다. 화환(10)의 조화는 한 단, 예를 들어 묶음의 정도로서 15∼20송이를 여러 단으로 결합하여 꽃 봉우리가 전면을 향하도록 하면서 화환의 모양으로 제작한다. 조화는 꽃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잎사귀 모양도 함께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환(10)으로서 조화는 먼지나 이물질 또는 때가 끼었을 때에 세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사용자의 요구에 의하여 조화를 대신하여 생화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화환(10)은 별도의 고정틀을 이용하여 조화를 꽂거나 분리시킬수 있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화환(10)을 거치할 수 있는 설치대(100)를 설명한다.
거치대(60)는 4각 봉의 형상으로, 하나 이상의 고정구(61)가 구성되어 있어 상기 화환(10)의 거치구(12)에 고정구(12)로 거치할 수 있도록 된 구조를 갖는다. 거치대(60)의 상단에 동일한 형상의 보조 거치대(70)가 하나 이상으로 결합되되, 거치대(60)의 4각 봉 상단에 구성된 고정수단(63)에 보조 거치대(70)의 하단에 구성된 복수의 고정공(72)이 연결 및 분리되도록 결합되고, 보조 거치대(70)의 상단에는 리본(86, 87)의 걸이공(88, 89)에 걸 수 있는 걸이쇠(73)가 구성된다. 상기 보조 거치대(70)에도 하나 이상의 고정구(71)를 구성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요구에 의하여 많은 화환(10)을 거치할 수 있도록 거치대(6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거치대를 거치대(60)의 상단 및 보조 거치대(70) 사이에 더 연결시킬 수도 있다.
제1 받침대(20)는 상기 거치대(60)를 고정하고 지지하는 것으로, 제1 받침대(20)는 좌우측이 동일한 각도 및 길이로 하방으로 절곡되고, 종단에 각각 고정수단(22, 23)이 구성된 받침봉(21)과, 상기 받침봉(21)의 고정수단(22, 23)을 통하여 상단이 연결 및 분리되는 고정공(26, 27)이 하나 이상 구성되고, 하단에는 고무 패킹(28, 29)이 결합되는 지지봉(24, 25)이 구비된다. 고정공(26, 27)은 지지봉(24, 25)이 받침봉(21)으로부터 신축이 가능한 높이로 조절할 수 있는 개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봉(21)과 각 지지봉(24, 25)의 이음 구조는 도 4의 상세도를 참조하면,고정공(26)은 고정수단(22)의 고정볼(92)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고정공(26)은 고정볼(92)이 스프링(91)의 인장력에 의하여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가 손이나 도구를 이용하여 고정볼(92)을 밀어 넣은 상태에서 받침봉(21)을 상하로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의 고정공(26)에 고정볼(92)이 고정되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 1받침대(20)는 상기 받침봉(21)의 중앙으로부터 좌우측의 소정 부위에 후방으로 구성되어 제2 받침대(40)와 연결 및 분리되고, 종단에 각각 고정수단(32, 33)이 구성된 제1 연결봉(30) 및 제2 연결봉(31)과, 상기 제1 연결봉(30)의 상단에 상방으로 거치되는 거치대(60)의 하단이 연결 및 분리되는 고정공(36)이 하나 이상 구성된 제3 연결봉(34)이 구성된다.
제1 연결봉(30)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3 연결봉(34)은 제1 연결봉(30)의 후방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진 상태이다. 이는 화환(10)이 거치되는 거치대(60)가 기울어져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거치대(60)가 연결되는 단수에 따라서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받침대(40)는 상기 제1 받침대(20)를 우측으로부터 지지하는 것으로, 제2 받침대(40)는 좌우측이 동일한 각도 및 길이로 하방으로 절곡되고, 종단에 각각 고정수단(42, 43)이 구성된 받침봉(41)과, 상기 받침봉(41)의 고정수단(42, 43)을 통하여 상단이 연결 및 분리되는 고정공(46, 47)이 하나 이상 구성되고, 하단에는 고무 패킹(48, 49)이 결합되는 지지봉(44, 45)과, 상기 받침봉(41)의 중앙으로부터 소정 부위에 좌측으로 구성되어 제1 받침대(20)의 제1 연결봉(30) 및 제2연결봉(31)과 연결 및 분리되는 고정공(52, 53)이 하나 이상 구성된 제4 연결봉(50) 및 제5 연결봉(51)이 구성된다. 그리고 제2 받침대(40)의 하단에 연결되는 지지봉(44, 45)은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조립식 화환이 설치되는 지형의 뒷 부분이 경사진 경우나 계단인 경우가 있을 것이다. 이때에는 받침봉(41)의 하단에 직접 고무 패킹(48, 49)을 결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지형의 경사도가 얕은 경우에는 지지봉(44, 45)의 고정공(46, 47)을 따라 받침봉(41)의 고정수단(42, 43)을 상하로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명판(80)은 상기 제1 받침대(20)의 제1 연결봉(30)과 제2 받침대(40)의 제 3연결봉(50)에 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인쇄물(85)을 삽입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명판(80)은 상기 제1 연결봉(30)과 제 3연결봉(50)의 상단에 걸 수 있도록 구성된 걸이쇠(82)와, 뒷면이 일체로 된 액자 형상으로, 상기 걸이쇠(82)가 상단에 고정되고, 좌측 또는 우측 일단이 절개된 형상이며, 상단 및 하단 내측에 슬라이더(84)가 형성된 본체(81)와, 상기 본체(81)의 슬라이더(84)를 통하여 삽입되는 투명한 재질의 아크릴판(또는 유리판)(83)을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판(83)의 배면에 인쇄물(85)을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인쇄물(85)은 필요한 문자나 양식 또는 글씨 등이 인쇄 또는 쓰여진 것으로 교체가 가능한 것이다.
한편, 조립식 화환은 조립하기 전에 휴대용 가방이나 상자(도시하지 않음) 등에 적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식 화환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하나 이상의 화환(10) 및 화환의 설치에 필요한 분리된 상태의설치대(100)를 휴대용 가방이나 상자로부터 끄집어 낸 후에 제1 받침대(20)와 제2 받침대(40)를 조립한다. 즉 제1 받침대(20)의 제1 연결봉(30) 및 제2 연결봉(31)과 제2 받침대(40)의 제4 연결봉(50) 및 제5 연결봉(51)을 조립하는 것이다. 이때, 제1 받침대(20)의 제1 연결봉(30) 및 제2 연결봉(31)의 직경이 제2 받침대(40)의 제4 연결봉(50) 및 제5 연결봉(51)의 직경보다 작다. 따라서 제1 받침대(20)의 제1 연결봉(30) 및 제2 연결봉(31)을 제2 받침대(40)의 제4 연결봉(50) 및 제5 연결봉(51) 내로 삽입함으로서, 제1 연결봉(30) 및 제2 연결봉(31)의 고정수단(32, 33)이 제2 받침대(40)의 제4 연결봉(50) 및 제5 연결봉(51)의 어느 한 고정공(52, 53)에 각각 고정이 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를 도 5의 상세도를 참조하면, 제1 받침대(20)의 제1 연결봉(30)에 구성된 고정수단(32)과 제2 받침대(40)의 제4 연결봉(50)의 고정공(52)의 이음구조는 고정수단(32)에 고정볼(96)이 내장되고, 고정볼(96)을 지지하는 스프링(95)이 내장되어 있다. 고정볼(96)은 제1 연결봉(30)의 관통공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받침대(20)의 지지봉(24, 25)과 제2 받침대(40)의 지지봉(44, 45)을 각각의 받침봉(21, 41)에 끼운다. 이때 경사도에 따라 제1 받침대(20) 및 제2 받침대(40)의 지지봉(24, 25, 44, 45)을 모두 끼우지 않고 선택적으로 끼울 수도 있다. 지지봉(24, 25, 44, 45)을 끼우지 않을 경우에는 제1 받침대(20) 및 제2 받침대(40)의 하단에 고무 패킹(28, 29, 48, 49)을 각각 바로 끼울 수도 있다. 그리고 지지봉(24, 25, 44, 45)을 끼울 때에는 각 지지봉(24, 25, 44, 45)의 상단 측면에 형성된 고정공(26, 27, 46, 47)을 통하여 제1 받침대(20) 및 제2 받침대(40)의 고정수단(22, 23, 42, 43)의 고정볼(92)이 끼워지는 방향으로 조립한다(도 4참조).
그리고 설치대(100)의 조립시에 바닥면의 경사도 및 평탄도를 감안하여 해당하는 지지봉(24, 25, 44, 45)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설치대(100)의 계단 또는 후방이 경사진 상태일 경우에 적용한 실시예로, 제1 받침대(20) 또는 제2 받침대(40)의 높이를 각각 조절하여 수평을 맞춘 것이다.
본 고안의 고정수단으로 구성된 고정볼은 설치되는 거치대(60), 보조 거치대(70) 및 화환(10) 등의 무게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의 스프링 탄성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수단을 고정공에 삽입하거나 분리할 경우에는 고정수단의 고정볼을 손이나 별도의 가압수단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바닥면의 평탄 정도를 판단하여 제1 받침대(20) 및 제2 받침대(40)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한다.
상기 제1 받침대(20) 및 제2 받침대(40)의 연결구조와, 제1 받침대(20) 및 제2 받침대(40)에 삽입 및 분리되는 각 지지봉(24, 25, 44, 45)의 연결구조는 동일하다.
제1 받침대(20) 및 제2 받침대(40)의 연결과 수평상태가 조절되면, 제1 받침대(20)의 제3 연결봉(34)에 거치대(60)를 삽입하여 높이를 조절한다. 이는 도 4에서, 제3 연결봉(34)에 거치대(60)를 끼우고, 제3 연결봉(34)의 고정공(36)으로 거치대(60)의 고정수단(62)이 삽입되도록 하면서 적절한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한다.즉 고정공(36)은 고정수단(62)의 고정볼(94)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고정공(36)은 고정볼(94)이 스프링(93)의 인장력에 의하여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가 손이나 도구를 이용하여 고정볼(94)을 밀어 넣은 상태에서 거치대(60)를 상하로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의 고정공(36)에 고정볼(94)이 고정되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받침대(20)에 거치대(60)가 연결되면, 거치대(60)의 상단에 보조 거치대(70)를 연결한다. 이때, 거치대(60)의 봉이 보조 거치대(70)의 봉 내로 삽입되고, 고정수단(63)이 고정공(72)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제1 받침대(20)의 제3 연결봉(34)에 거치대(60)가 연결되고, 거치대(60)의 상단에 보조 거치대(70)가 연결되며, 제1 받침대(20)의 제3 연결봉(34)과 거치대(60), 그리고 보조 거치대(70)로 각각의 위치 및 높이를 조절한다.
이와 같이 화환(10)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대(100)의 설치가 완료되면, 거치대(60)의 고정구(61) 및 보조 거치대(70)의 고정구(71)에 화환(10)의 배면에 구성된 거치구(12)를 끼워 고정시킨다. 각 고정구(61, 71)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고, 화환(10)의 단수를 조절하게 된다.
화환(10)의 고정이 완료되면, 보조 거치대(70)에 구성된 걸이쇠(73)에 글씨가 쓰여진 리본(86, 87)을 각각 고정한다. 이때, 리본(86, 87)의 상단에는 걸이쇠(73)에 걸 수 있도록 걸이공(88, 89)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본(86, 87)은 화환(10)이 고정된 전면으로 배치하여 글씨가 잘 보이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제1 받침대(20)와 제2 받침대(40) 사이의 전면에는 명판(80)을 건다. 명판(80)의 상단에 구성된 복수의 걸이쇠(82)를 제1 받침대(20)의 제1 연결봉(30)과 제2 받침대(40)의 제4 연결봉(50) 상단에 각각 걸어 위치시킨다. 명판(80)의 본체(81)와 투명재질의 아크릴판(83) 사이에 인쇄물(85)을 삽입하여 전면에서 잘 보이도록 한다.
상기 보조 거치대(70)에 연결되는 리본(86, 87)과 명판(80)에 삽입되는 인쇄물(85)은 화환의 사용자가 원하는 문구나 글귀를 인쇄 또는 써넣는 것이므로, 화환의 설치 때마다 별도로 준비하는 것이 좋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화환이 조립되어 설치된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와 같이 조립식 화환은 간편하고 짧은 시간동안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설치의 편의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조립식이므로 재활용성이 뛰어나다.
한편, 설치된 화환을 분리하는 경우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역순으로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분리되는 구성요소는 휴대용 가방이나 상자 등에 적재하여 이동 및 보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립식 화환은 화환을 설치하는 설치대를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이음구조를 갖는 제1 받침대, 제2 받침대, 거치대 및 보조 거치대 등을 이용하여 설치장소의 평탄도에 따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거치대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화환의 단수나 크기 등을 조절할 수있으며, 조립식이므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각 설치대는 파이프와 같은 경량의 봉으로 제작하여 중량도 적어 휴대용 가방 등에 적재하여 용이하게 이동 및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립식 화환은 일회성이 아닌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저가의 화환을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 또는 치환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복수의 조화를 전면에 환형으로 배치시키고, 배면에는 거치구가 구성된 화환;
    상기 화환의 거치구에 고정구로 거치할 수 있도록 된 거치대;
    상기 거치대를 고정하고 지지하는 제1 받침대;
    상기 제1 받침대와 결합되어 거치대를 지지하는 제2 받침대, 및
    상기 제1 받침대 및 제2 받침대의 사이에 구성되어 인쇄물을 삽입하는 명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의 상단에 보조 거치대가 결합되되, 거치대의 지지봉 상단에 구성된 고정수단에 보조 거치대의 지지봉 하단에 구성된 복수의 고정공이 연결 및 분리되도록 결합되고, 보조 거치대의 상단에는 복수의 리본을 걸 수 있는 걸이쇠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받침대는
    전후가 동일한 각도 및 길이로 하방으로 절곡되고, 종단에 각각 고정수단이 구성된 받침봉과,
    상기 받침봉의 고정수단을 통하여 상단이 연결 및 분리되는 고정공이 하나 이상 구성되고, 하단에는 고무 패킹이 결합되는 지지봉과,
    상기 받침봉의 상단 우측으로 제2 받침대와 연결 및 분리되고, 종단에 각각 고정수단이 구성된 제1 연결봉 및 제2 연결봉과,
    상기 제1 연결봉의 상단에 상방으로 거치되는 거치대의 하단이 연결 및 분리되는 고정공이 하나 이상 구성된 제3 연결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받침대는
    전후가 동일한 각도 및 길이로 하방으로 절곡되고, 종단에 각각 고정수단이 구성된 받침봉과,
    상기 받침봉의 고정수단을 통하여 상단이 연결 및 분리되는 고정공이 하나 이상 구성되고, 하단에는 고무 패킹이 결합되는 지지봉과,
    상기 받침봉의 상단 좌측으로 제1 받침대의 제1 연결봉 및 제2 연결봉과 각각 연결 및 분리되는 고정공이 하나 이상 구성된 제4 연결봉 및 제5 연결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판은
    상기 제1 연결봉과 제4 연결봉의 각 전방에 구성된 연결봉의 상단에 걸 수 있도록 구성된 걸이쇠와,
    뒷면이 일체로 된 액자 형상으로, 상기 걸이쇠가 상단에 고정되고, 좌측 또는 우측 일단이 절개된 형상이며, 상단 및 하단 내측에 슬라이더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슬라이더를 통하여 삽입되는 투명한 재질의 아크릴판을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판의 배면에 인쇄물을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화환을 보관 및 이동할 수 있는 휴대용 가방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환.
KR20-2003-0027778U 2003-08-29 2003-08-29 조립식 화환 KR2003343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778U KR200334380Y1 (ko) 2003-08-29 2003-08-29 조립식 화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778U KR200334380Y1 (ko) 2003-08-29 2003-08-29 조립식 화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4380Y1 true KR200334380Y1 (ko) 2003-11-21

Family

ID=49340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778U KR200334380Y1 (ko) 2003-08-29 2003-08-29 조립식 화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438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1026A (en) Picture frame stand
CA2608778C (en) Floral easel
US3091106A (en) Candelabra
KR20190001208U (ko) 화분겸용 무게중심체를 갖춘 현수막 거치대
US20030178381A1 (en) Collapsible article holder
KR200484219Y1 (ko) 화환 받침대
US7322139B2 (en) Picture frame holder
KR200334380Y1 (ko) 조립식 화환
US6561464B2 (en) Stand for supporting bouquet holder
US5607130A (en) Support apparatus for arts and crafts project
US5878982A (en) Stand for supporting floral device
KR20130014098A (ko) 화환의 골격구조
CN203735719U (zh) 画架套装
KR101114882B1 (ko) 조립식 화환
JP3542466B2 (ja) 供物スタンド
KR200474763Y1 (ko) 높이 가변형 화환 받침대
KR200453336Y1 (ko) 경조용 쌀 화환대
US6029936A (en) Decorative fishbowl stand
KR101107480B1 (ko) 조립식 화환 거치대
CN213216304U (zh) 组合式展示结构
CN209300636U (zh) 一种稳定性高的多媒体展示装置
KR101070688B1 (ko) 경조사용 조립식 화환 받침대
KR200430096Y1 (ko) 입식 광고판용 프레임
KR20130010610A (ko) 쌀화환 받침대
CN2448227Y (zh) 圣诞装饰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