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4086Y1 - Automatic Transfer Device for Rangehood Drawer - Google Patents

Automatic Transfer Device for Rangehood Draw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4086Y1
KR200334086Y1 KR20-2003-0028592U KR20030028592U KR200334086Y1 KR 200334086 Y1 KR200334086 Y1 KR 200334086Y1 KR 20030028592 U KR20030028592 U KR 20030028592U KR 200334086 Y1 KR200334086 Y1 KR 2003340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bracket
motor
automatic transfer
drawer
transf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859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만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츠
Priority to KR20-2003-00285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408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40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4086Y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F24C15/2092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extendable or pivo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레인지후드 인출판의 자동이송장치로서, 전동기, 상기 전동기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전동기에 연결되어 구동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구동하는 하부링크브라켓, 상기 하부링크브라켓에 고정되어 함께 구동하는 인출판, 레인지후드의 몸체에 고정되는 상부링크브라켓, 및 상기 하부링크브라켓 및 상기 상부링크브라켓을 연결하며 회동하는 X형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인출판과 일체로 구동하는 상기 하부링크브라켓과 레인지후드의 몸체에 고정되는 상기 상부링크브라켓이 상기 X형링크에 의하여 연결되어 인출판의 이송시 편심 현상을 방지하여 이송작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atic transfer device of the range hood drawer, an electric motor,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motor, a power transmission unit for driving connected to the motor, a lower link bracket for driving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the lower It consists of a drawer plate fixed to the link bracket and driven together, an upper link bracket fixed to the body of the range hood, and an X-type link connecting and connecting the lower link bracket and the upper link bracket, and integrated with the drawer plate. The upper link bracket fixed to the lower link bracket and the range hood body driven by the X-link is connected by the X-shaped link to prevent the eccentricity during the transfer of the extraction plate is carried out smoothly the transfer operation.

Description

레인지후드 인출판의 자동이송장치{Automatic Transfer Device for Rangehood Drawer}Automatic Transfer Device for Rangehood Drawer

본 고안은 레인지후드의 인출판을 자동으로 인출 및 삽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레인지후드 인출판의 자동이송장치에 관한 고안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related to the automatic transfer device of the range hood take-out plate to enable automatic withdrawal and insertion of the range hood take-out plate.

일반적으로 레인지후드는 주방의 상부 수납장과 함께 조리대 위의 벽면이나 수납장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동일한 흡입량을 가지는 레인지후드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으로 냄새 및 유해가스를 흡입하여 배출하기 위해서는 포집면적을 확대할 필요가 있으나 레인지후드의 가로 크기는 주방의 상부 수납장에 의하여 그 크기가 제한되고 있어 레인지후드의 세로 크기를 확장하여야 하나, 레인지후드는 통상적으로조리대 위에 사용자의 눈높이 정도에 설치되므로 조리대의 세로 크기보다 커지게 되면 조리에 불편을 초래하고 레인지후드가 필요 이상으로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In general, the range hood is fixedly installed on the wall or cabinet above the kitchen counter together with the upper cabinet of the kitchen. In the range hood having the same suction volume, it is necessary to enlarge the collection area in order to inhale and discharge odor and harmful gas more effectively, but the width of the range hood is limited by the upper cabinet of the kitchen. Although the size of the range hood is usually installed at the level of the user's eyes on the kitchen counter, when the size of the range hood becomes larger than the vertical size of the countertop, it causes inconvenience to cooking and the range hood takes up more space than necessary.

이와 같은 불편을 제거하기 위하여 필요시에만 레인지후드의 인출판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인출시켜 포집면적을 넓히는 방안이 강구되었으나, 종래의 인출판 이송장치의 경우 레인지후드의 몸체에 인출판이 슬라이드(Slide) 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방식을 살펴보면 인출판의 양측 단부에 슬라이드 레일(Slide Rail) 한 쌍만이 결합되어 인출판의 이송운동을 안내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In order to eliminate such inconveniences, a method of increasing the collecting area by manually or automatically drawing out the drawing board of the range hood has been devis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drawing board conveying device, the drawing plate is slide on the body of the range hood. Looking at the way the movement is coupled, only a pair of slide rails (Slide Rail)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drawer is in the form of guiding the transport movement of the drawer.

따라서 레인지후드 및 인출판의 가로 크기가 소정의 수치 이상으로 확장될 경우 인출판의 어느 한 부분을 손으로 잡아 당기거나 별도의 동력전달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인출시키면 인출력이 어느 한 쪽 단부에 과도하게 집중되어 인출이 부드럽게 이루어지지 않거나 과도한 부하로 인하여 자동인출장치가 작동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if the horizontal width of the range hood and the drawer plate extends beyond the predetermined value, the pull-out can be pulled out by hand or automatically drawn out using a separate power transmission devic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automatic withdrawal device does not operate due to excessive concentration or withdrawal is not made smoothly or excessive load.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as follows.

첫째, 레인지후드의 포집면적을 확대하기 위하여 인출판을 자동으로 인출하는 수단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Firs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ns for automatically withdrawing the drawing board in order to increase the collection area of the range hood.

둘째, 레인지후드의 인출판을 자동으로 삽입하는 수단을 제공하여 실내오염원의 효과적 배출과 함께 주방의 공간 활용도를 제고하는 수단을 제공하여 쾌적한주거 환경을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Second, by providing a means for automatically inserting the drawboard of the range hood to provide a means for improving the effective use of the indoor pollution source and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kitchen to provide a comfortable residential environment.

셋째, 레인지후드 인출판의 자동 이송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X형링크가 포함된 레인지후드의 인출판 자동이송장치를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Third,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feed device for a range hood including an X-type link in order to facilitate the automatic transfer operation of the range hood draw plate.

넷째, 작은 힘으로도 부드럽게 작동하는 레인지후드 인출판의 자동이송장치를 제공하여 제품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킴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Fourth,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dur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product by providing an automatic transfer device of a range hood drawer that operates smoothly even with a small force.

도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레인지후드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인출판이 닫혀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range hoo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shows a state in which a drawer plate is closed.

도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레인지후드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인출판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열려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Figur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range hoo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awer plate protrudes forward and is open.

도3은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의 주요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main components of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체적 실시예의 주요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mponents of another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체적 실시예의 주요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mponents of another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는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의 주요 구성요소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구성도이다.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major components of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전동기:10 제어부:20Electric motor: 10 control unit: 20

동력전달부:30 제1구동풀리:31Power train: 30 First drive pulley: 31

구동벨트:32 제1연동풀리:33Driving belt: 32 First interlocking pulley: 33

제2구동풀리:34 와이어:35Second drive pulley: 34 wire: 35

제2연동풀리:36 피니언기어:372nd pulley: 36 Pinion gear: 37

랙기어:38 하부링크브라켓:40Rack Gears: 38 Lower Link Bracket: 40

하부가이드레일:41 인출판:50Lower guide rails: 41 Drawer version: 50

상부링크브라켓:60 상부가이드레일:61Upper link bracket: 60 Upper guide rail: 61

X형링크:70 가이드플레이트:71X link: 70 Guide plate: 71

리미트스위치:80 접촉센서:90Limit switch: 80 Contact sensor: 90

홀센서(Hall sensor):95Hall sensor: 95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레인지후드 인출판의 자동이송장치로서, 전동기, 상기 전동기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전동기에 연결되어 구동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구동하는 하부링크브라켓, 상기 하부링크브라켓에 고정되어 함께 구동하는 인출판, 레인지후드의 몸체에 고정되는 상부링크브라켓, 및 상기 하부링크브라켓 및 상기 상부링크브라켓을 연결하며 회동하는 X형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인출판과 일체로 구동하는 상기 하부링크브라켓과 레인지후드의 몸체에 고정되는 상기 상부링크브라켓이 상기 X형링크에 의하여 연결되어 인출판의 이송시 편심 현상을 방지하여 이송작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atic transfer device of the range hood draw plate drawn out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lectric motor,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motor, a power transmission unit connected to the motor to drive,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 lower link bracket to be driven, a drawer plate fixed to the lower link bracket to drive together, an upper link bracket fixed to the body of the range hood, and an X-type link connecting and connecting the lower link bracket and the upper link bracket. The upper link bracket fixed to the lower link bracket and the body of the range hood which are integrally driven with the drawing plate is connected by the X-type link to prevent the eccentricity during the conveying of the drawing plate. Make it smooth.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 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기(10)는 본 고안의 인출판(50)의 이송에 필요한 동력원이 된다. 인출판(50)은 인출 및 삽입 작동이 이루어져야 하는 바, 제어부(20)에 의하여 정방향 회전 및 역방향 회전이 가능한 전동기(10)가 사용되며 레인지후드의 몸체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As shown in Figure 3 or 4, the electric motor 10 is a power source for the transfer of the withdrawal plate 50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drawal plate 50 is to be drawn out and inserted operation bar, the electric motor 10 that is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by the control unit 20 is used to be fixed to the body of the range hood.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는 외부에서 입력된 작동신호에 따라 전동기(10)의 정방향 회전, 역방향 회전, 및 정지 등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작동신호의 입력 방법에는 별도의 제한이 없으며 직접 작동스위치를 접촉하는 경우, 리모트콘트롤러에 의하여 소정의 작동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또는 별도의 센서가 장착되어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신호를 입력 받는 경우 등이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control unit 20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forward rotation, reverse rotation, and stop of the electric motor 10 according to an externally input operation signal.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method of inputting the operation signal, and in case of directly contacting the operation switch, inputt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signal by a remote controller, or receiving a signal detected by the sensor with a separate sensor, etc. This can be chosen freely.

동력전달부(30)는 전동기(10)와 연동하여 전동기의 회전력을 하부링크브라켓(40)으로 전달한다. 동력전달부는 첨부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감속기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3에 도시된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에 의하면, 동력전달부(30)는 전동기(10)의 출력축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1구동풀리(31), 제1구동풀리(31)에 장착되어 연동하는 구동벨트(32), 및 구동벨트(32)에 의하여 제1구동풀리(31)와 연동하는 제1연동풀리(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전동기에 의하여 제1구동풀리(31)가 회전되고, 제1구동풀리(31)의 회전에 따라 제1구동풀리(31)와 제1연동풀리(33)를 연결하는 구동벨트(32)가 연동하게 된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30 transfer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to the lower link bracket 40 in conjunction with the electric motor 10. Although no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ower transmission unit may include a reduction gear unit.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3, the power transmission unit 30 is interlocked with the first drive pulley 31, the first drive pulley 31 to rotate in engagement with the output shaft of the electric motor (10). The drive belt 32 and the drive belt 32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interlocking pulley 33 to interlock with the first drive pulley 31.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driving pulley 31 is rotated by the electric motor, and the driving belt 32 connects the first driving pulley 31 and the first interlocking pulley 33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driving pulley 31. Will work together.

하부링크브라켓(40)은 동력전달부(30)에 연결되어 연동한다. 도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하부링크브라켓(40)의 일측 단부가 구동벨트(32)에 고정되어 구동벨트(32)와 함께 연동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전동기(10)의 정방향 회전 및 역방향 회전에 따라 구동벨트(32)가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고, 구동벨트(32)의 전진 또는 후진에 의하여 구동벨트(32)에 일측 단부가 고정된 하부링크브라켓(40)이 구동벨트(32)와 함께 전진 또는 후진 이동을 하게 된다. 또한 하부링크브라켓(40)에는 하부가이드레일(41)이 설치되어 후술하는 가이드플레이트(71)의 슬라이딩 운동을 안내한다.The lower link bracket 40 is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30 to interlock. As shown in FIG. 3, one end of the lower link bracket 40 is fixed to the driving belt 32 to interlock with the driving belt 32. Therefore, the drive belt 32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in accordance with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10, the lower link bracket is fixed to one end of the drive belt 32 by the forward or backward of the drive belt (32). 40 moves forward or backward with the drive belt 32. In addition, the lower link bracket 40 is provided with a lower guide rail 41 to guid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guide plate 71 to be described later.

인출판(50)은 하부링크브라켓(40)에 고정되어 함께 구동하게 된다. 따라서 전동기(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인출판(50)의 인출 또는 삽입이 이루어진다.The extraction plate 50 is fixed to the lower link bracket 40 to be driven together. Therefore, withdrawal or insertion of the drawing plate 50 is made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electric motor 10.

상부링크브라켓(60)은 하부링크브라켓(40)과는 달리 레인지후드의 몸체에 일체로 조립되어 하부링크브라켓(40)의 이동과 상관 없이 고정되어 있다. 즉, 상부링크브라켓(60)은 전동기(10)의 회전에 무관하게 레인지후드의 몸체에 일체로 조립되어 고정된 상태가 된다. 또한 상부링크브라켓(60)에는 상부가이드레일(61)이 설치되어 후술하는 가이드플레이트(71)의 슬라이딩 운동을 안내한다.Unlike the lower link bracket 40, the upper link bracket 60 is integrally assembled to the body of the range hood and is fixed regardless of the movement of the lower link bracket 40. That is, the upper link bracket 60 is integrally assembled and fixed to the body of the range hood regardless of the rotation of the motor 10. In addition, the upper link bracket 60 is provided with an upper guide rail 61 to guid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guide plate 71 to be described later.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부(30)의 또 다른 구체적 실시예에 의하면, 동력전달부(30)는 전동기(10)의 출력축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37), 및 피니언기어(37)와 맞물리는 랙기어(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에는 하부링크브라켓(40)의 일측 단부가 랙기어(38)에 고정되어 랙기어(38)와 함께 연동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전동기(10)의 정방향 회전 및 역방향 회전에 따라 랙기어(38)가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고, 랙기어(38)의 전진 또는 후진에 의하여 랙기어(38)에 일측 단부가 고정된 하부링크브라켓(40)이 랙기어(38)와 함께 전진 또는 후진 이동을 하게 된다.According to another specific embodiment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30 as shown in FIG. 4, the power transmission unit 30 includes a pinion gear 37 that meshes with an output shaft of the electric motor 10, and a pinion gear 37. And a rack gear 38 that meshes with the gear. In this case, one end of the lower link bracket 40 is fixed to the rack gear 38 so as to interlock with the rack gear 38. Accordingly, the rack gear 38 moves forward or backward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electric motor 10, and the lower link bracket having one end fixed to the rack gear 38 by the forward or backward of the rack gear 38. The 40 moves forward or backward with the rack gear 38.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부(30)의 또 다른 구체적 실시예에 의하면, 동력전달부(30)는 전동기(10)의 출력축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2구동풀리(34), 제2구동풀리(34)에 장착되어 연동하는 와이어(35), 및 와이어(35)에 의하여 제2구동풀리(34)와 연동하는 제2연동풀리(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전동기에 의하여 제2구동풀리(34)가 회전되고, 제2구동풀리(34)의 회전에 따라 제2구동풀리(34)와 제2연동풀리(36)를 연결하는 와이어(35)가 연동하게 된다. 따라서 전동기(10)의 정방향 회전 및 역방향 회전에 따라 와이어(35)가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고, 구동벨트(32)의 전진 또는 후진에 의하여 와이어(35)에 일측 단부가 고정된 하부링크브라켓(40)이 와이어(35)와 함께 전진 또는 후진 이동을 하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specific embodiment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30 as shown in Figure 5, the power transmission unit 30 is engaged with the output shaft of the electric motor 10, the second drive pulley 34, the second A wire 35 mounted on the drive pulley 34 and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nd a second interlocking pulley 36 interlocked with the second drive pulley 34 by the wire 35 ar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driving pulley 34 is rotated by the electric motor, and the wire 35 connecting the second driving pulley 34 and the second interlocking pulley 36 is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driving pulley 34. It will work. Accordingly, the wire 35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10, and the lower link bracket 40 having one end fixed to the wire 35 by moving forward or backward of the driving belt 32. ) Will move forward or backward with the wire 35.

X형링크(70)는 도3 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하는 두 개의 편체로 구성된다. X형링크(70)는 하부링크브라켓(40) 및 상부링크브라켓(60)을 연결하며 회동하게 된다. X형링크(70)를 구성하며 회동하는 두 개의 편체 각각의 양 단부에는 가이드플레이트(71)가 회동가능하도록 부착된다. 가이드플레이트(71)는 하부링크브라켓(40)에 설치되는 하부가이드레일(41) 및 상부링크브라켓(60)에 설치되는 상부가이드레일(61)에 각각 2개 씩 결합되어 하부가이드레일(41) 및 상부가이드레일(61)의 안내를 받으며 슬라이딩 운동을 하게 된다.X-shaped link 70 is composed of two pieces of rotating body as shown in FIG. The X-type link 70 rotates by connecting the lower link bracket 40 and the upper link bracket 60. Guide plates 71 are rotatably attached to both ends of each of the two pieces of the rotating body constituting the X-shaped link 70. Two guide plates 71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lower guide rails 41 installed on the lower link bracket 40 and the upper guide rails 61 installed on the upper link bracket 60, respectively, to lower guide rails 41. And the upper guide rail 61 is guided by the sliding movement.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판(50)의 위치를 감지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전동기(10)의 회전을 멈추게 하여 인출판(50)을 소정의 위치에 정지시키는 리미트스위치(80)가 더 포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a limit switch 80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rawing plate 50 to stop the rotation of the motor 1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o stop the drawing plate 5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s further included. Can be.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미트스위치(80)를 대신하여홀센서(95)가 부착되어 전동기(10)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전동기의 회전을 멈추게 할 수도 있다. 홀센서(95)란 홀소자의 원리를 이용하여 전류를 측정하거나 서보모터의 경우 회전자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사용하는 반도체 소자를 말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instead of the limit switch 80, a hall sensor 95 may be attached to detect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10 to stop the rotation of the moto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Hall sensor 95 refers to a semiconductor device used to measure the current by using the principle of the Hall device or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rotor in the case of a servo motor.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판(50)의 접촉압력을 감지하여 소정의 압력이상으로 접촉시 제어부(20)를 통하여 상기 전동기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인출판(50)을 인출시키고, 인출판(50)의 인출과정에서 소정의 압력 이상으로 인출판(50)을 접촉할 경우 제어부(20)를 통하여 전동기(10)를 정지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접촉센서(90)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when the contact pressure of the drawing plate 50 is sensed and the contact pressure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the motor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rough the control unit 20 to draw out the drawing plate 50. The contact sensor 90 may be further included to rotate the electric motor 10 in a stop or reverse direction through the control unit 20 when the drawing plate 50 is contacted with a predetermined pressure or more during the drawing process of the plate 50.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invention of the above structur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aimed at.

첫째, 레인지후드의 포집면적을 확대하기 위하여 인출판을 자동으로 인출하여 실내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단시간 내에 실외로 배출할 수 있다.First, in order to increase the collection area of the range hood, the withdrawal plate can be automatically taken out to effectively discharge the indoor pollutants within a short time.

둘째, 레인지후드의 인출판을 자동으로 삽입하는 수단을 제공하여 실내오염물질의 효과적 배출과 함께 주방의 공간 활용도를 제고하여 쾌적한 주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Second, by providing a means of automatically inserting the withdrawal board of the range hood to improve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indoor pollutants and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kitchen can provide a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셋째, X형링크가 포함된 레인지후드의 인출판 자동이송장치를 제공하여 레인지후드 인출판의 자동 이송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다.Thirdly, the automatic transfer operation of the range hood take-out plate is smoothly provided by providing an automatic transfer device of the range hood including the X-type link.

넷째, 작은 힘으로도 부드럽게 작동하는 레인지후드 인출판의 자동이송장치를 제공하여 제품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ourth,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ur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product by providing an automatic transfer device of the range hood drawer plate that operates smoothly even with a small force.

Claims (8)

전동기;Electric motors; 상기 전동기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electric motor; 상기 전동기에 연결되어 구동하는 동력전달부;A power transmission unit connected to and driven by the electric motor;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구동하는 하부링크브라켓;A lower link bracket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nd driven; 상기 하부링크브라켓에 고정되어 함께 구동하는 인출판;A drawing plate which is fixed to the lower link bracket and drives together; 레인지후드의 몸체에 고정되는 상부링크브라켓;및,Upper link bracket fixed to the body of the range hood; And, 상기 하부링크브라켓 및 상기 상부링크브라켓을 연결하며 회동하는 X형링크;An X-type link connecting the lower link bracket and the upper link bracket to rotate;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후드 인출판의 자동이송장치.Range feeder automatic transf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서,In claim 1, 상기 하부링크브라켓에 설치되는 하부가이드레일;A lower guide rail installed on the lower link bracket; 상기 상부링크브라켓에 설치되는 상부가이드레일;및,An upper guide rail installed on the upper link bracket; and 상기 X형링크를 구성하며 회동하는 두 개의 편체 각각의 양 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상기 하부가이드레일 및 상기 상부가이드레일에 각각 결합되어 슬라이딩 운동을 하는 가이드플레이트;A guide plate constituting the X-link and rotatably attached to both ends of each of the two pieces of the rotating body, the guide plate being coupled to the lower guide rail and the upper guide rail to perform sliding motion;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후드 인출판의 자동이송장치.Range feeder automatic transf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제1항에서, 상기 동력전달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상기 전동기의 출력축에 맞물리는 제1구동풀리;A first driving pulley engaged with the output shaft of the motor; 구동벨트;및,Driving belt; and, 상기 구동벨트에 의하여 상기 제1구동풀리와 연동하는 제1연동풀리;A first interlocking pulley cooperating with the first driving pulley by the driving belt;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링크브라켓의 일측단부가 상기 구동벨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후드 인출판의 자동이송장치.It is configured to include, one side end of the lower link bracket automatic transfer device of the range hood drawer,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drive belt. 제1항에서, 상기 동력전달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상기 전동기의 출력축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및,A pinion gear meshing with the output shaft of the motor; and,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A rack gear meshing with the pinion gear;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링크브라켓의 일측단부가 상기 랙기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후드 인출판의 자동이송장치.It is configured to include, wherein the one end of the lower link bracket automatic transfer device of the range hood drawer,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rack gear. 제1항에서, 상기 동력전달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상기 전동기의 출력축에 맞물리는 제2구동풀리;A second driving pulley engaged with the output shaft of the motor; 와이어;및,Wire; and, 상기 와이어에 의하여 상기 제2구동풀리와 연동하는 제2연동풀리;A second interlocking pulley cooperating with the second driving pulley by the wire;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링크브라켓의 일측단부가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후드 인출판의 자동이송장치.It is configured to include, one side end of the lower link bracket automatic transfer apparatus of the range hood drawer,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wire. 제1항에서,In claim 1, 상기 전동기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전동기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홀센서;A hall sensor which sens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and stops the rotation of the moto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후드 인출판의 자동이송장치.Range feeder automatic transf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제1항에서,In claim 1, 상기 인출판의 위치를 감지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전동기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리미트스위치;A limit switch which senses a position of the drawing plate and stops the rotation of the moto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후드 인출판의 자동이송장치.Range feeder automatic transf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서,In any one of claims 1 to 6, 상기 인출판의 접촉압력을 감지하여 소정의 압력이상으로 접촉시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전동기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인출판을 인출시키고, 상기 인출판의 인출과정에서 소정의 압력 이상으로 상기 인출판을 접촉할 경우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전동기를 정지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접촉센서;When the contact pressure of the drawer plate is sensed and the contact pressur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pressure, the motor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rough the control unit to draw out the drawer plate, and the drawer plate is drawn above a predetermined pressure in the process of drawing out the drawer plate. A contact sensor which rotates the motor in a reverse or reverse direction through the control unit when contacting;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후드 인출판의 자동이송장치.Range feeder automatic transf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KR20-2003-0028592U 2003-09-05 2003-09-05 Automatic Transfer Device for Rangehood Drawer KR20033408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592U KR200334086Y1 (en) 2003-09-05 2003-09-05 Automatic Transfer Device for Rangehood Dra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592U KR200334086Y1 (en) 2003-09-05 2003-09-05 Automatic Transfer Device for Rangehood Draw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4086Y1 true KR200334086Y1 (en) 2003-11-19

Family

ID=49419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592U KR200334086Y1 (en) 2003-09-05 2003-09-05 Automatic Transfer Device for Rangehood Draw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4086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059B1 (en) 2006-08-22 2007-12-07 김봉의 Range hood structure of automatic handling type using rack gear and pinion gea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059B1 (en) 2006-08-22 2007-12-07 김봉의 Range hood structure of automatic handling type using rack gear and pinion ge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13093A1 (en) Automatic switching device and refrigeration device
KR20060025806A (en) Refrigerator
CN103017470A (en) Electric drawer assembly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with same
CN103292550A (en) Automatic opening device of drawer door of refrigerator
EP4023966A1 (en) Refrigerator having height-adjustable shelf
KR101160197B1 (en) Method for opening and closing multistage drawers automatically of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multistage drawers
KR101098361B1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drawer and chest of drawers having the same
KR20240006386A (en) Electric moving wall that can change kitchen space
JP2001037023A5 (en)
KR200334086Y1 (en) Automatic Transfer Device for Rangehood Drawer
KR100818910B1 (en) Apparatus for drawing
KR200301747Y1 (en) Auto guide equipment for drawer
JPH06215469A (en) Disk-changer driving device of multidisk player
KR100773887B1 (en) Desk for computer ascending and descending monitor
KR101130135B1 (en) Method for opening and closing drawer automatically of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drawer
CN111425099A (en)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and door opening household appliance
CN216822350U (en) Cabinet body
CN207084992U (en) Disinfection cabinet with automatic sliding door function
CN111023685A (en) Portable automatic telescopic mechanism for household appliances
JP4026137B2 (en) Dishwasher
CN211695588U (en) Automatic telescopic mechanism for household appliances
JP2018132260A (en) Drawer sealing mechanism for refrigerator
CN217610110U (en) Automatic change rail device
CN211673251U (en) Cabinet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N205531913U (en)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