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700Y1 - 휴즈를 포함하는 콘센트 - Google Patents

휴즈를 포함하는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700Y1
KR200333700Y1 KR20-2003-0028142U KR20030028142U KR200333700Y1 KR 200333700 Y1 KR200333700 Y1 KR 200333700Y1 KR 20030028142 U KR20030028142 U KR 20030028142U KR 200333700 Y1 KR200333700 Y1 KR 2003337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cylindrical
electrode
outlet
externa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81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화
Original Assignee
김근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화 filed Critical 김근화
Priority to KR20-2003-00281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7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7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7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 H01R13/684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the fuse being remov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 H01R13/69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the fuse being integral with the terminal, e.g. pin or socket

Landscapes

  • Fus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즈를 포함하는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일조로 구성되어 있는 플러그 삽입공과 휴즈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하우징; 일조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에 고정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외부 전원 인입부; 일조로 구성되며, 별도의 플러그를 내삽시켜 전원을 공급하는 원통형 단자; 상기 외부 전원 인입부 중 일단과 상기 원통형 단자 사이에서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 전원을 차단하는 휴즈부; 및 상기 외부 전원 인입부 중 일단과 상기 휴즈부, 상기 휴즈부와 상기 원통형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체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즈를 포함하는 콘센트{socket including a fuse}
본 고안은 휴즈를 포함하는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매립형 콘센트 및 비매립형 콘센트에 휴즈를 내장시킴으로써 콘센트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전기제품에 과부하가 걸리거나, 합선 기타 전기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휴즈가 단선되어 전기 사고를 발생시키는 전기제품에 대한 전원공급만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휴즈를 포함하는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전기 배선은 외부 전원공급 도선이 누전차단기에 연결되어 있고, 각각의 콘센트는 상기 누전차단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다수의 전기제품이 각각의 콘센트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전기 제품에 과부하가 걸리거나 합선 등이 발생하는 경우 누전차단기가 작동하게 되고, 상기 누전차단기로부터 분기된 전기 배선 전체에 전원이 차단되게 되는 바,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다른 전기제품도 그 작동을 멈추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콘센트 자체에 휴즈를 내장시켜 당해 콘센트에 소정 용량 이상의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 휴즈가 단선 되도록 하여 당해 콘센트에 공급되는 전원만을 차단함으로써 다른 콘센트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전기제품은 작동을 계속하도록 하기 위한, 휴즈를 포함하는 콘센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누전차단기 이외에 각각의 콘센트에 휴즈를 내장시킴으로써 전기 과열 등으로 인한 사고발생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휴즈를 포함하는 콘센트를 제공함에도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즈를 포함하는 콘센트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부 하우징 11: 플러그 삽입공
12: 휴즈 삽입공 20: 하부 하우징
30a, 30b: 외부 전원 인입부 40: 휴즈부
41: 원통형 휴즈 42: 수납공간
43: 제 1 전극 44: 제 2 전극
45: 마개 45a: 체결부분
45b: 손잡이 46: 용수철
50: 도체부 51: 제 1 도체
52: 제 2 도체 60a, 60b; 원통형 단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휴즈를 포함하는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일조로 구성되어 있는 플러그 삽입공과 휴즈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하우징; 일조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에 고정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외부 전원 인입부; 일조로 구성되며, 별도의 플러그를 내삽시켜 전원을 공급하는 원통형 단자; 상기 외부 전원 인입부 중 일단과 상기 원통형 단자 사이에서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 전원을 차단하는 휴즈부; 및 상기 외부 전원 인입부 중 일단과 상기 휴즈부, 상기 휴즈부와 상기 원통형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체부;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즈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소정 위치에 소정 깊이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원통형 휴즈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 상기 수납공간의 바닥면에 위치한 제 1 전극; 상기 수납공간의 상단 개구외주에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 형성되고 그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전극; 원통형의 도전성 재질로서 그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 2 전극과 나사체결이 될 수 있는 체결부분 및 상기 체결부분의 외주에 절연성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로 구성되는 마개; 및 도전성 재료로서 일측단이 상기 제 1 전극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원통형 휴즈를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한 후 상기 제 2 전극과 상기 마개를 체결할 때 상기 원통형 휴즈가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체결부분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용수철;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체부는, 상기 외부 전원 인입부 중 일단과 제 1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 1 도체; 및 상기 제 2 전극과 상기 원통형 단자의 일측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2 도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도 1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즈를 포함하는 콘센트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즈를 포함하는 콘센트는 상부 하우징(10), 하부 하우징(20), 외부 전원 인입부(30a, 30b), 휴즈부(40), 도체부(50) 및 원통형 단자(60a, 60b)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10)은 일조로 구성되어 있고 다수개의 플러그 삽입공(11)과 휴즈 삽입공(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전원 인입부(30a, 30b)는 일조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20)에 고정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휴즈부(40)는 상기 하부 하우징(20)의 소정 위치에 소정 깊이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원통형 휴즈(41)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42)과, 상기 수납공간(42)의 바닥면에 위치한 제 1 전극(43)과, 상기 수납공간(42)의 상단 개구외주에 상기 하부 하우징(20)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 형성되고 그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전극(44)과, 원통형의 도전성 재질로서 그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 2 전극(44)과 나사체결이 될 수 있는 체결부분(45a) 및 상기 체결부분(45a)의 외주에 절연성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45b)로 구성되는 마개(45)와, 도전성 재료로서 일측단이 상기 제 1 전극(43)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원통형 휴즈(41)를 상기 수납공간(42)에 삽입한 후 상기 제 2 전극(44)과 상기 마개(45)를 체결할 때 상기 원통형 휴즈(41)가 상기 제 1 전극(43) 및 상기 체결부분(45a)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용수철(46)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원통형 단자(60a, 60b)는 일조로 구성되며, 별도의 플러그를 내삽시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원통형 단자는 2개의 플러그를 동시에 내삽시킬 수 있는 것으로 설정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도체부(50)는 상기 외부 전원 인입부 중 일단(30a)과 제 1 전극(43)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 1 도체(51) 및 상기 제 2 전극(44)과 상기 원통형 단자의 일측(60a)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2 도체(5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콘센트는 비매립형 콘센트로 설정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바 매립형 콘센트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즈를 포함하는 콘센트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정상적인 부하가 걸리는 경우, 외부 전원 인입부(30a, 30b)를 통해 공급된 전원은 일단(30b) 및 원통형 단자(60b)를 통해 별도의 플러그 일단에 전원이 공급되고, 타단(30a)은 제 1 도체(51), 제 1 전극(43), 용수철(46), 원통형 휴즈(41), 체결부분(45a), 제 2 전극(44) 및 제 2 도체(52)를 차례로 경유하여 원통형 단자(60a)를 통해 별도의 플러그 타단에 전원이 공급된다.
그러나,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 상기 일단(30b) 및 원통형 단자(60b)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은 정상적으로 인가되지만, 과부하가 걸리는 순간 원통형 휴즈(41)는 단절되는 바, 상기 타단(30a)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은 상기 원통형 단자(60a)에 인가되지 않게 되어 전체적으로는 외부 전기제품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상기 원통형 휴즈(41)는 교체 가능하므로, 과부하의 원인을 제거하고 상기 원통형 휴즈(41)를 교체하게 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를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콘센트에 소정 용량 이상의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 콘센트에 내장되어 있는 휴즈가 단선되어 누전차단기가 작동되지 않고도 과부하, 합선 등으로 인한 전기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휴즈를 포함하는 콘센트에 있어서,
    일조로 구성되어 있는 플러그 삽입공(11)과 휴즈 삽입공(12)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하우징(10);
    일조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20)에 고정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외부 전원 인입부(30a, 30b);
    일조로 구성되며, 별도의 플러그를 내삽시켜 전원을 공급하는 원통형 단자(60a, 60b);
    상기 외부 전원 인입부 중 일단(30a)과 상기 원통형 단자(60a) 사이에서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 전원을 차단하는 휴즈부(40); 및
    상기 외부 전원 인입부 중 일단(30a)과 상기 휴즈부(40), 상기 휴즈부(40)와 상기 원통형 단자(60a)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체부(50); 를 포함하는 휴즈를 포함하는 콘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즈부(40)는,
    상기 하부 하우징(20)의 소정 위치에 소정 깊이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원통형 휴즈(41)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42);
    상기 수납공간(42)의 바닥면에 위치한 제 1 전극(43);
    상기 수납공간(42)의 상단 개구외주에 상기 하부 하우징(20)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 형성되고 그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전극(44);
    원통형의 도전성 재질로서 그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 2 전극(44)과 나사체결이 될 수 있는 체결부분(45a) 및 상기 체결부분(45a)의 외주에 절연성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45b)로 구성되는 마개(45); 및
    도전성 재료로서 일측단이 상기 제 1 전극(43)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원통형 휴즈(41)를 상기 수납공간(42)에 삽입한 후 상기 제 2 전극(44)과 상기 마개(45)를 체결할 때 상기 원통형 휴즈(41)가 상기 제 1 전극(43) 및 상기 체결부분(45a)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용수철(4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즈를 포함하는 콘센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부(50)는,
    상기 외부 전원 인입부 중 일단(30a)과 제 1 전극(43)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 1 도체(51); 및
    상기 제 2 전극(44)과 상기 원통형 단자의 일측(60a)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2 도체(5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즈를 포함하는 콘센트.
KR20-2003-0028142U 2003-09-02 2003-09-02 휴즈를 포함하는 콘센트 KR2003337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142U KR200333700Y1 (ko) 2003-09-02 2003-09-02 휴즈를 포함하는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142U KR200333700Y1 (ko) 2003-09-02 2003-09-02 휴즈를 포함하는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700Y1 true KR200333700Y1 (ko) 2003-11-17

Family

ID=49340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142U KR200333700Y1 (ko) 2003-09-02 2003-09-02 휴즈를 포함하는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70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5704A (en) Electrical adaptor
US4897049A (en) Electrical tap with permanent mount
US6220880B1 (en) Electric outlets
US6132257A (en) Electrical socket device with overheating and overcurrent protection
US6592406B2 (en) Adapter with fuse and indicator and capable of being used as plug
US4500862A (en) Power source isolator
EP1103998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a fuse link and external terminals
US7001194B2 (en) Electric power connector and electric power connector assembly
US4420214A (en) Electrical plug and socket having replaceable overcurrent-protection device provided with safety latch means
US7955134B2 (en) Photovoltaic inverter
WO2011015923A1 (en) Plug
KR200333700Y1 (ko) 휴즈를 포함하는 콘센트
US4613192A (en) Power cord strain relief
JP5330948B2 (ja) 差込プラグ
US5002506A (en) Electrical plug with replaceable fuse
JP2002101526A (ja) 電気接続箱の電源接続構造
EP1887660A2 (en) Seal for electrical connector block
US5176539A (en) Safety plug
EP0952638A1 (en) Bipolar electric plug equipped with switch
KR102191418B1 (ko) 다중 연결이 가능한 전기 플러그
EP0378057B1 (en) Terminal block assembly including an electrical cable clamp member in particular for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s
EP1054482A2 (en) Electrical socket strip
US20020132515A1 (en) Electrical plug with circuit-breaking capability
KR940004435Y1 (ko) 전압전환 커넥터
JP5330949B2 (ja) 差込プラ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