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427Y1 - 구강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구강 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427Y1
KR200333427Y1 KR20-2003-0025635U KR20030025635U KR200333427Y1 KR 200333427 Y1 KR200333427 Y1 KR 200333427Y1 KR 20030025635 U KR20030025635 U KR 20030025635U KR 200333427 Y1 KR200333427 Y1 KR 2003334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cleaning device
oral cleaning
pipe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56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태
Original Assignee
김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태 filed Critical 김우태
Priority to KR20-2003-00256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4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4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4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0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using ultrason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강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초음파를 이용한 진동자 방식으로 구강내의 청결을 유지하여 충치를 예방하고, 잇몸질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구강세정장치에 있어서, 일정크기를 가지면서 내부에 발진부(11)를 가지는 케이싱(10)과; 이 케이싱(10)의 일측에 연결관(20)을 통해 연결되면서 상기 발진부(11)에서 발생된 초음파에 의해 진동하면서 치아를 세정하는 세정부(30);를 포함한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진동자에 의한 미세진동으로 구강세정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고, 간편하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구강 세정장치{Oral Cleaner}
본 고안은 구강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초음파를 이용한 진동자 방식으로 구강내의 청결을 유지하여 충치를 예방하고, 잇몸질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구강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생활이 변화하면서 각종 인스턴트식품을 섭취하는 빈도가 많아져서 치아의 건강을 해치는 경우가 발생하여 이를 개선하고자 통상의 칫솔보다 간편하면서도 효과적인 치아세정장치들이 등장하였다.
그중에서 전동칫솔은 스위치를 눌러 칫솔모의 회전을 유발시켜 치아를 세정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러한 전동칫솔은 치아의 구석구석까지 정밀하게 세정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몸체에 부착된 모터에 의해 강제로 펌핑한 물을 발생된 수압에 의해 팁을 통해 분사하므로써 구강 내부 특히 치아를 세정하는 일명 "워터픽(water pik)"이라는 장치가 개발되었는바, 이 장치는 분사에 이용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수조를 별도로 구비하고 있으므로, 대형화되어 파지가 불편하고, 비용이 상승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워터픽이 스트로와 같이 출구 노즐을 통해 물을 분사하기 때문에 치아 전체를 구석구석 닦아내지 못하므로, 세정효과가 떨어질뿐 아니라 세정효과를 만회하기 위해 물 분사압을 높이는 경우, 치아나 잇몸 특히, 조직이 연약한 구강내 점막 부분을 손상시킬 수 있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으며, 물이 구강 밖으로 튀어나와 옷이나 얼굴이 젖는 등 사용상의 불편이 뒤따르는 폐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 초음파를 이용하여 진동자를 통해 진동시키므로써 효과적인 구강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구강세정장치를 제공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 1실시예의 구강세정장치를 나타낸 전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평단면도
도 4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구강세정장치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의 개략적인 연결상태를 나타낸 블럭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 2실시예의 구강세정장치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평단면도
도 8은 도 6의 종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제 2실시예의 세정부의 지지상태를 나타낸 일부 횡단면도
도 10a는 도 9의 A-A선 단면도
도 10b는 도 9의 B-B선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제 3실시예를 나타낸 전체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제 3실시예에서 세정부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제 3실시예의 세정부를 분리한 사시도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제 3실시예의 일부 종단면도
도 15a는 본 고안에 따른 제 3실시예의 세정부의 회전동작전 상태를 나타낸도면
도 15b는 본 고안에 따른 제 3실시예의 세정부의 회전동작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케이싱
10a : 장공
11 : 발진부
20 : 연결관
21,22,23 : 리드선
24 : 제 1연결관
25 : 제 2연결관
24a : 돌기
24b : 배출공
25a : 결합홈
25b,25c : 버튼부재
25d,25e : 팩킹
30 : 세정부
31 : 바디
32,32a : 삽입홈
33,34,35,33a,34a,35a : 진동자
40 : 공급탱크
41 : 물공급관
41a,51a : 이음매관
42,52 : 뚜껑
43,53 : 공기흡입관
50 : 배출탱크
51 : 물배출관
60 : 손잡이부
62 : 배터리
100,101 : 진동자
200 : 세정부
201,202 : 보호부재
202a,202b,204b,204c : 구멍
203,204 : 제 1브러쉬부재
203a,204a : 구멍
205a,205b : 홈
205 : 제 2브러쉬부재
210,220,230 : 지지대
221,231 : 제 1지지대
222,232 : 제 2지지대
300 : 연결관
310,320 ; 연결대
311,321 : 연결고리
330,340 : 연결핀
400 : 세정부
410 : 보호부재
411,412 : 걸고리
411a,412a : 결합공
413 : 관통공
420,421 : 제 1브러쉬부재
430 : 제 2브러쉬부재
431 : 결합홈
440 : 연결부재
441 : 결합돌기
450,460 : 지지대
450a,460a : 끼움홈
451,461 : 연결부재
451a,461a : 결합공
451b,461b : 끼움돌기
452,462 : 연결편
452a,462a : 축
452b,462b,462c : 결합돌기
452c : 결합홈
470 : 회전저지핀
480 : 작동부재
481 : 지지부재
482 : 작동간
482a,482b : 수직부
482c : 수평부
483 : 작동손잡이
490 : 고정대
500 : 스프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정크기를 가지면서 내부에 발진부를 가지는 케이싱과, 이 케이싱의 일측에 연결관을 통해 연결되면서 상기 발진부에서 발생된 초음파에 의해 진동하면서 치아를 세정하는 세정부를 포함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갖추어지는 구강세정용 물을 공급하는 공급탱크와, 상기 세정부를 통해 구강세정이 이루어진후 상기 공급탱크에 의해 공급되어 사용된 물을 흡입하는 배출탱크가 갖추어져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케이싱의 일단 하부에 갖추어지면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부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세정부는 단면상 H형을 이루는 바디와, 상하로 각각 형성된 삽입홈과, 이 삽입홈의 각 면에 갖추어진 진동자를 포함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케이싱과 세정부사이에 구비된 연결관의 내부에는 발진부로부터 발생된 진동이 전달되도록 하는 리드선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관의 내부에는 상기 물을 공급하는 공급탱크와 배출되는 물을 흡입하는 배출탱크로부터 연장된 물공급관 및 물배출관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관은 세정부의 바디와 일체로 부착고정된 제 1연결관과, 케이싱으로부터 일체로 부착고정된 제 2연결관이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제 1연결관의 세정부 바디측에는 공급탱크로부터 공급받는 물이 배출되어 사용자의 구강내부에 잔류하도록 하는 배출공이 상하로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제 2연결관에는 2개의 버튼부재가 구비되어 물공급관 및 물배출관을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일정크기를 가지는 케이싱과, 이 케이싱에 연장설치되는 연결관과, 상기 케이싱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된 공급탱크와 배출탱크가 포함되어 있는 구강세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안에는 발진부와 진동자가 갖추어져 서로 접속되어있고, 상기 연결관의 선단에는 분할된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진동자로부터 진동신호를 받아 진동하도록하는 세정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다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할된 세정부는 외면 양측으로 구비된 보호부재와, 이 보호부재의 안쪽으로 간격을 두고 밀접되게 구비된 종방향으로 진동하는 제 1브러쉬부재와, 이 제 1브러쉬부재의 사이에 구비되면서 횡방향으로 진동하는 제 2브러쉬부재로 이루어져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연결관은 착탈가능하도록 제 1연결관 및 제 2연결관이 끼워져 결합되어 있다.
상기 연결관의 내부에는 공급탱크 및 배출탱크가 각각 연통되게 연결되는 물공급관과 물배출관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물공급관과 물배출관에는 물의 흐름을 개폐하는 버튼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세정부의 가장 외곽에 위치하는 보호부재는 제 1브러쉬부재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관통삽입되고, 제 2브러쉬부재에 형성된 홈은 통과만 하도록 되는 지지대가 갖추어져 있다.
상기 지지대의 끝단부면은 각각 보호부재면과 고정되어 일체화 되어있다.
상기 제 1브러쉬부재는 전면에 구비된 보호부재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고, 제 1브러쉬부재에 형성된 구멍도 관통하며, 제 2브러쉬부재에 형성된 홈을 지나서 제 1브러쉬부재면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대가 설치되어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된 진동자와 접속되도록 된 구조이다.
상기 제 2브러쉬부재는 전면에 구비된 보호부재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고, 이어서 제 1브러쉬부재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제 2브러쉬부재의 면에 밀착고정되어 일체화되도록 하는 지지대가 설치되어 케이싱안에 설치된 진동자와 접속되도록 되어있다.
상기 지지대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 1지지대와 제 2지지대로 분할되어 서로 끼워져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케이싱과; 이 케이싱안에 설치되어 있는 발진부 및 이와 접속된 진동자와; 상기 케이싱의 일측으로 연장형성된 연결관과; 이 연결관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세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또 다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싱의 상부 및 하부면에는 공급탱크 및 배출탱크가 구비되어 있고, 이 공급탱크와 배출탱크의 각각에는 케이싱의 내부를 거쳐 연결관안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물공급관 및 물배출관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세정부는 세정부의 가장 바깥쪽에 갖추어진 보호부재와; 이 보호부재의 안쪽으로 분할조립된 제 1브러쉬부재와; 이 제 1브러쉬부재의 사이에 구비된 제 2브러쉬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제 1,2브러쉬부재가 보호부재로부터 교체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브러쉬부재의 저면 일측으로는 제 1브러쉬부재들간을 연결해주는 연결부재가 고정설치되어있고, 상기 연결부재의 중앙에는 결합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호부재의 저면에는 복수개의 걸고리가 마련되어 있고, 이 걸고리에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고리들 사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연결관 선단의 양단에는 상기 보호부재를 지지해주는 연결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연결대의 단부에는 각각 연결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보호부재의 저면에 형성된 한쌍의 걸고리사이에 끼워져 연결핀을 통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연결관의 내부에는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된 진동자와 접속되는 지지대가 구비되어 있고, 이 지지대의 선단에는 연결부재가 끼워져 있으며, 이 연결부재의 양단으로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후면으로는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선단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워져 있는 구조이다.
상기 연결부재에는 연결편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편은 상부에원기둥형태의 축이 형성되고, 이 축의 양단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양단에 형성된 결합공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 연결편의 하부에는 결합홈 및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보호부재의 관통공내에서 제 1브러쉬부재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재의 결합돌기와 제 2브러쉬부재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각각 끼워져 결합된 구조이다.
상기 지지대의 사이에는 회전가능한 세정부의 위치를 잡아주도록 하는 회전저지핀이 설치되어 있고, 이 회전저지핀은 연결관의 내부를 지나서 케이싱안에 자리잡고 있으며, 상기 케이싱안에 위치하고 있는 회전저지핀의 단부는 이 회전저지핀이 수평이동가능하게 되도록 케이싱의 장공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작동버튼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 작동버튼부는 케이싱의 내부 상면으로부터 하부로 고정된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와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도록 되는 작동간과, 이 작동간의 상단에 구비되어 케이싱의 외부로 노출되는 작동손잡이로 이루어져 있는 구조이다.
상기 작동간은 수직부 및 수평부로 이루어져 일체로 회동되도록 되어있고, 상기 수직부의 단부는 상기 회전저지핀과 연결되어 있으며, 케이싱의 내부 상면으로부터 하부로 일정길이로 연장 구비된 고정대를 통해 일단이 고정되면서 타단이 상기 수직부에 고정되어 탄지되도록 하는 스프링이 갖추어져 있는 구조이다.또한, 상기 회전식으로 이루어지는 세정부의 브러쉬부재는 제 2브러쉬부재만으로 구성되어 보호부재로부터 교체가능하게 조립된 구조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 1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크기를 가지면서 내부에 발진부(11)를 가지는 케이싱(10)과, 이 케이싱(10)의 일측에 연결관(20)을 통해 연결되면서 상기 발진부(11)에서 발생된 초음파에 의해 진동하면서 치아를 세정하는 세정부(30)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
상기 케이싱(10)의 상부에 갖추어지는 구강세정용 물을 공급하는 공급탱크(40)와, 상기 세정부(30)를 통해 구강세정이 이루어진 후 상기 공급탱크(40)에 의해 공급되어 사용된 물을 흡입하는 배출탱크(50)가 갖추어져 있는 구조이다.
이 공급탱크(40)와 배출탱크(50)는 케이싱(10)으로부터 착탈식으로 결합되는데, 나사식으로 결합한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끼움식으로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케이싱(10)의 일단 하부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부(6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세정부(30)는 단면상 H형을 이루는 바디(31)와, 상하로 각각 형성된 삽입홈(32)(32a)과, 이 삽입홈(32)(32a)의 각 면에 갖추어진 진동자(33)(34)(35)(33a)(34a)(35a)가 설치된 구조이다.
상기 진동자(33)(34)(35)(33a)(34a)(35a)에는 압전세라믹소자이고, 이 소자에 금속재의 진동판을 씌운 구조이다. 그리고, 이 금속재의 진동판에는 옥가루를 그물모양으로 부착하여 원적외선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10)과 세정부(30)의 사이에 구비된 연결관(20)의 내부에는 발진부(11)로부터 발생된 진동신호가 진동자(33)(34)(35)(33a)(34a)(35a)까지 전달되도록 하는 리드선(21)(22)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 리드선(21)(22)은 별도의 커넥터(23)를 통해 접속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관(20)의 내부에는 상기 물을 공급하는 공급탱크(40)와 배출되는 물을 흡입하는 배출탱크(50)로부터 연장된 물공급관(41) 및 물배출관(5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관(20)은 세정부(30)의 바디(31)와 일체로 부착고정된 제 1연결관(24)과, 케이싱(10)으로부터 일체로 부착,고정된 제 2연결관(25)이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제 1연결관(24)과 제 2연결관(25)이 착탈식으로 결합된 구조로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연결관(24)의 측면둘레를 따라서 복수개의 돌기(24a)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제 2연결관(25)의 내부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결합홈(25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써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1연결관(24)의 세정부(30) 바디측에는 공급탱크로부터 공급받는 물이 배출되어 사용자의 구강내부에 잔류하도록 하는 배출공(24b)이 상,하로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제 2연결관(25)에는 2개의 버튼부재(25b)(25c)가 구비되어 물공급관 (41)및 물배출관(51)을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버튼부재(25b)(25c)의 구조를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버튼부재의 하단부에는 팩킹(25d)(25e)이 갖추어져서 물공급관(41) 및 물배출관(51)의 통로를 개폐시킨다.
이 통로는 단차를 두고 절곡형성된 이음매관(41a)(51a)으로 형성되어 버튼의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있다.
또한, 상기 공급탱크(40)와 배출탱크(50)의 상면 및 하면에는 각각 물을 공급하고나 배출할때 개방하기위한 뚜껑(42)(52)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급탱크(40) 및 배출탱크(50)에는 입안을 세정하기 위해 공급되는 물이 물공급관(41) 및 물배출관(51)을 통해 원활하게 흐르도록 하기위한 절곡된 형태의 공기흡입관(43)(53)이 형성되어 있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는 각종 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70), 세정시간을 셋팅할 수 있는 타이머(72)와, 충전을 위한 A/D(Analog/Digital)변환기(74), 충전기(76)가 갖추어져 있는데, 이러한 구성 및 그에따른 작동원리는 공지의 기술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손잡이부(60)의 내부에는 배터리(62)가 갖추어져 있다.
또한, 상기 충전기(76)는 충전을 위해 별도의 플러그가 케이싱(10)에 설치되어 일반 가정등에서 전원을 충전시킬 수 있다. 상기 배터리(62)는 옵션으로 끼워서 사용할 수 도 있고, 배터리(62)가 없는 상태로도 사용가능하다. 이러한 기능은 일반적인 널리 공지된 기술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공급탱크(40)와 배출탱크(50)도 반드시 부착되어야 하는 필수요소가 아니라, 탱크를 구비하지 않고도 충분히 사용가능하다. 즉, 필요에 따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제 1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원스위치(미도시)를 온 상태로 하면, 배터리(62)또는 충전된 충전기(76)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발진부(11)에서 진동신호가 발생되어 리드선(21)(22)을 통해 세정부(30)에 구비된 진동자(33)(34)(35)(33a)(34a)(35a)에서 진동이 발생하기 시작한다.
이 진동자로부터 진동(미세진동)이 발생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관(20)에 마련된 버튼부재(25b)를 상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재(25b)의 말단부에 구비된 팩킹(25d)이 상승하여 이음매관(41a)을 개방하게되므로써, 케이싱(10)의 상부에 자리잡고 있는 공급탱크(40)안의 물이 물공급관(41)을 통해 세정부(30)로 공급된다. 이 물공급관(41)의 선단부에서 흘러나오는 물은 제 1연결관(24)의 배출공(24b)를 통해 흘러나오게되는데, 이 상태는 세정부(30)를 이미 사용자의 입속에 넣은 상태에서 약간 흡입하면, 입안에 물이 공급되는 것이다. 이렇게 세정용 물과 함께 진동자의 진동으로 치아를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는 것이다.
구강세정이 완료되면, 입안에 있던 물을 약간 불어내면, 입안에 있던 세정부(30)로부터 물배출관(51)을 통해 물이 배출된다. 이때 물공급관(41)은 버튼부재(25b)를 다시 눌러 물의 역류를 차단되도록 한다. 상기 물배출관(51)은 케이싱(10)의 하부에 구비된 배출탱크(50)안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물을 공급하는 공급탱크(40)와 배출하는 배출탱크(50)가 구비되면, 양치질을 하는 일반 화장실인 경우에는 굳이 이러한 탱크가 없어도 무방하지만, 일반 화장실이 아닌 임의의 장소에서 쉽게 구강세척을 할 수 있고, 입안에 양치질과 함께 혼합된 물을 입안으로부터 밖으로 버리기 마땅치 않은 곳에서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제 2실시예]
한편,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일정크기를 가지는 케이싱(10)과, 이 케이싱(10)에 연장설치되는 연결관(20)과, 케이싱(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된 공급탱크(40)와 배출탱크(50)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10)안에는 발진부(11)와 진동자(100)(101)가 모두 갖추어져 서로 접속되어있다.
또한, 상기 연결관(20)의 선단에는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세정부(200)가 설치되는데, 이 세정부(200)는 각각 3개로 분할되어 있는 것으로, 이 분할된 세정부(200)의 구성을 보면, 외면 양측으로 구비된 보호부재(201)(202)와, 이 보호부재(201)(202)의 안쪽으로 간격을 두고 밀접되게 구비된 종방향으로 진동하는 2개의 제 1브러쉬부재(203)(204)와, 이 제 1브러쉬부재(203)(204)의 사이에 구비되면서 횡방향으로 진동하는 제 2브러쉬부재(20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부재(201)의 외면으로부터 케이싱(10)까지 연결관(20)이 연결되어 있는데, 이 연결관(20)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제 1연결관(24)과 제 2연결관(25)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 연결관(20)의 내부에는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공급탱크(40) 및 배출탱크(50)에 각각 연통되게 연결되는 물공급관(41)과 물배출관(51)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물공급관(41)과 물배출관(51)에는 물의 흐름을 개폐하는 버튼부재(25b)(25c)가 구비되어 있다. 물론, 제 1연결관(24)과 제 2연결관(25)의 착탈가능하게 해주는 구조도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보호부재(201)(202)는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어 사용자의 입안 손상을 방지해준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제 2실시예의 세정부(200)를 이루는 브러쉬부재들은 각각 분할되어 있기때문에, 이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강구되는바, 본 고안에서는 도 9,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부(200)의 가장 외곽에 위치하는 보호부재(201)(202)는 제 1브러쉬부재(203)(204)에 형성된 구멍(203a)(204a)을 통해 관통삽입되고, 제 2브러쉬부재(205)에 형성된 홈(205a)은 통과만 하도록 되는 지지대(210)가 갖추어져 있다. 이 지지대(210)의 끝단부면은 각각 보호부재(201)(202)면과 일체화 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 1브러쉬부재(203)(204)를 지지해주는 수단은 케이싱(10)의 내부에 설치된 진동자와 접속되는 것으로서, 전면에 구비된 보호부재(202)에 형성된 구멍(202a)을 관통하고, 제 1브러쉬부재(204)에 형성된 구멍(204b)도 관통하며, 제 2브러쉬부재(205)에 형성된 홈(205b)을 지나서 제 1브러쉬부재(203)면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대(220)가 설치된다.
이 지지대(220)는 보호부재(201)(202)를 지지해주는 지지대(210)의 일측에 배치된다.
또한, 제 2브러쉬부재(205)를 지지해주는 수단도 케이싱(10)안에 설치된 진동자와 접속되는 것으로서, 전면에 구비된 보호부재(202)에 형성된 구멍(202b)을 관통하고, 이어서 제 1브러쉬부재(204)에 형성된 구멍(204c)을 관통하여 제 2브러쉬부재(205)의 면에 밀착고정되어 일체화되도록 하는 지지대(230)가 설치된다. 이 지지대(230)도 상기 지지대(220)의 일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지지대(220)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지지대(221)와 제 2지지대(222)로 분할되어 서로 끼워져 있는 구조이다. 물론, 지지대(230)도 지지대(220)와 마찬가지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서, 제 1지지대(231)와 제 2지지대(232)로 나뉘어서 서로 끼워져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제 2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원스위치로를 작동시켜 온 상태가 되면, 배터리(62) 또는 충전기(76)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어 발진부(11)가 작동하여 진동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신호를 받은 진동자(100)(101)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면, 이 진동자(100)(101)와 접속된 지지대(220)(230)로 전달되면서 선단에 구비된 세정부(200)의 각 브러쉬부재들이 진동하기 시작한다. 전원공급부터 진동자가 작동되도록 하는 구성은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서 도 5를 참조하면 된다.
이때 공급탱크(40)로부터 물이 물공급관(41)을 통해 세정부(200)로 공급된다. 즉, 연결관(20)을 이루는 제 1연결관(24)에 형성된 배출공(24b)을 통해 물이 흘러나오게되고, 이미 세정부(200)는 사용자의 입안에 들어있으므로, 사용자가 약간 흡입하면, 물이 입안으로 자연스럽게 공급되면서 구강세정이 이루어진다.
물론, 물공급관(41)에는 물의 흐름을 개폐시키는 버튼부재(25b)가 구비되어 물의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보호부재(201)(202)가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고, 이 보호부재(201)(202)는 직접적으로 진동을 받지 않고 있으므로, 구강세정시 진동자에 의한 진동을 직접적으로 받는 브러쉬부재들이 잇몸에 바로 접촉하지 않게되어 잇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구강세정이 완료되면, 진동자(100)(101)의 진동을 정지시키고, 이 입안의 압력을 이용해서 물배출관(51)을 통해 배출탱크(50)안으로 구강한 후의 세정액을 배출시킨다.
본 고안에 따른 제 2실시예에서는 브러쉬 타입으로 되어 있으므로, 진동에 의해 브러쉬가 입안의 치아 구석구석까지 미세진동으로 세정할 수 있어 세정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세정부(200)를 장시간 사용하여 교체해야할 경우에는 간단하게 제 1연결관(24)과 제 2연결관(25)을 분리하고 새로운 구강세정용 세정부를 끼워서 사용하면 된다. 즉, 제 1연결관(24) 및 제 2연결관(25)은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돌기(24a)와 결합홈(25a)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약간의 힘을 주어 잡아당기면 분리 가능하고, 이때 연결관(20)내부에 있는 물공급관(41) 및 물배출관(51)은 제 2연결관(25)내에서 그대로 있게되면서 제 1연결관(24)을 분리하면, 물공급관(41) 및 물배출관(51)의 단부는 노출되고, 진동자(100)(101)와 접속된 지지대(220)(230)도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세정부(200)의 분리시, 지지대(220)(230)도 분리되어 제 1지지대(221)(231)와 제 2지지대(222)(232)가 분리되는 것이다. 그에 따라서, 세정부(200)를 쉽게 교체할 수 있게된다.
또한, 진동자(100)(101)는 서로 진동방향이 다르게 발생하게 되어 있어 종방향으로 설치된 세정부(200)의 제 1브러쉬부재(203)(204)는 종방향으로 진동하게 되고, 제 2브러쉬부재(205)는 횡방향으로 진동하면서 구강을 세정한다. 즉, 제 1브러쉬부재(203)(204)와 제 2브러쉬부재(205)는 서로 분할되어 보호부재(201)(202)안에서 지지대(220)(23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있으므로, 진동방향을 달리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제 2실시예서는 제 1실시예와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 3실시예]
또 한편, 첨부된 예시도면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제 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도 12는 제 3실시예의 세정부가 회전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제 3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새로운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새로운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면상 우측에 도시된 케이싱(10)안에는 발진부(11) 및 이와 접속된 진동자(100)(101)가 설치되어 있고, 케이싱(10)의 좌측으로는 연결관(300)이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이 연결관(300)의 선단에는 세정부(40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10)의 상부 및 하부면에는 위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공급탱크(40) 및 배출탱크(50)가 구비되어 있고, 이 공급탱크(40)와 배출탱크(50) 각각에는 케이싱(10)의 내부를 거쳐 연결관(300)안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물공급관(41) 및 물배출관(5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 구비된 진동자(100)(101)와 접속되면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세정부(400)의 구조를 살펴보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바깥쪽에는 "ㄷ"자형을 이루는 보호부재(410)가 갖추어지고, 이 보호부재(410)의 안쪽으로 분할조립된 제 1브러쉬부재(420)(421)와, 이 제 1브러쉬부재(420)(421)의 사이에 구비된 제 2브러쉬부재(430)가 구비되며, 상기 제 1브러쉬부재(420)(421)의 저면 일측으로는 연결부재(440)가 고정설치되어 제 1브러쉬부재(420)(421)들간을 연결해준다.상기 제 1브러쉬부재(420)(421)없이 제 2브러쉬부재(430)만으로 세정부를 구성하여 보호부재(410)로부터 교체가능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440)의 중앙에는 결합돌기(441)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410)의 저면에는 한쌍을 이루면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개, 바람직하게는 2개의 걸고리(411)(412)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걸고리(411)(412)에는 결합공(411a)(412a)이 형성되어 있고, 이 걸고리(411)(412)들 사이에는 관통공(4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관(300) 선단의 양단에는 상기 보호부재(410)를 지지해주는 연결대(310)(320)가 형성되어 있고, 이 연결대(310)(320)의 단부에 각각 연결고리(311)(321)가 형성되어 상기 보호부재(410)의 저면에 형성된 한쌍의 걸고리(411)(412)사이에 끼워져 연결핀(330)(340)을 통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연결관(300)의 내부에는 케이싱(10)의 내부에 구비된 진동자(100)(101)와 접속되는 지지대(450)(460)가 구비되어 있고, 이 지지대(450)(460)의 선단에는 연결부재(451)(461)가 끼워져 있다. 이 연결부재(451)(461)는 "ㄷ"자형을 이루면서 양단으로 결합공(451a)(461a)이 형성되고, 후면으로는 끼움돌기(451b)(461b)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450)(460)의 선단에 형성된 끼움홈(450a)(460a)에 끼워진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451)(461)에는 별도의 연결편(452)(462)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연결편(452)(462)은 상부에 원기둥형태의 축(452a)(462a)이 형성되고, 이 축(452a)(462a)의 양단에는 상기 연결부재(451)(461)의 양단에 형성된 결합공(451a)(461a)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결합돌기(452b)(462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편(452)(462)의 하부에는 결합홈(452c) 및 결합돌기(462c)가 형성되어 보호부재(410)의 관통공(413)내에서 제 1브러쉬부재(420)(421)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재(440)의 결합돌기(441)와 제 2브러쉬부재(430)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홈(431)에 각각 끼워져 결합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지지대(450)(460)의 사이에는 회전가능한 세정부(400)의 위치를잡아주도록 하는 회전저지핀(470)이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저지핀(470)은 연결관(300)의 내부를 지나서 케이싱(10)안에 자리잡고 있는데, 케이싱(10)안에 위치하고 있는 회전저지핀(470)의 단부는 이 회전저지핀(470)이 수평이동가능하게 되도록 케이싱(10)의 장공(10a)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작동버튼부(48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버튼부(480)는 케이싱(10)의 내부 상면으로부터 하부로 고정된 지지부재(481)와, 이 지지부재(481)와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도록 되는 작동간(482)과, 이 작동간(482)의 상단에 구비되어 케이싱(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작동손잡이(483)가 갖추어져 있다.
상기 지지부재(481)와 작동간(482)의 힌지결합구조는 케이싱(10)의 폭방향을 가로질러 축역할을 하는 힌지핀이 고정설치되어 작동간(482)이 회전가능하도록 된 구조이다.
상기 작동간(482)은 수직부(482a)(482b) 및 수평부(482c)로 이루어져 일체로 회동되도록 되어있고, 상기 수직부(482b)의 단부는 상기 회전저지핀(470)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10)의 내부 상면으로부터 하부로 일정길이로 연장 구비된 고정대(490)를 통해 일단이 고정되면서 타단이 상기 수직부(482b)에 고정되어 탄지되도록 하는 스프링(500)이 갖추어져 있다.
만일, 상기 작동손잡이(483)를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르면, 장공(10a)으로 형성되어 있어 장공(10a)의 길이범위내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작동손잡이(483)와 연결된 회전저지핀(470)이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게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작동손잡이(483)를 누르면, 작동손잡이(483)의 아래에 구비된 작동간(482)이 회동하는바, 이 작동간(482)은 지지부재(481)의 단부에 힌지결합되어 수직부(482b)가 우측으로 이동하게되며, 그에따라 스프링(500)은 신장되고,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482b)의 단부에 결합된 회전저지핀(470)이 동시에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에따라 세정부(400)의 가장 바깥쪽에 배치된 보호부재(410)의 저면에 위치하고 있던 회전저지핀(470)이 빠지게되므로써 세정부(400)가 회전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세정부(400)의 회전동작은 보호부재(410)가 연결관(300)의 전방 양측에 구비된 연결대(310)(320)와 연결핀(330)(340)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이 연결대(310)(320)의 사이에 구비된 지지대(450)(460) 단부에 결합된 연결부재(451)(461)안에서 연결편(452)(462)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부(400)가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회전이 완료되면, 다시 잡고있던 작동손잡이(483)를 놓으면, 스프링(500)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그에따라 회전저지핀(470)도 원위치되어 회전된 상태의 세정부(400)의 위쪽에 위치하게된다.
이렇게 세정부(400)가 회전되므로써 사용자의 윗니 및 아랫니를 각각 세정할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410)는 제 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강세정시 진동자(100)(101)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는 브러쉬부재들에 의해 잇몸이 손상받는것을 막아준다, 즉, 브러쉬부재들의 외면에 구비된 보호부재(410)는 연질 플라스틱재로 제조되어 있고, 진동자(100)(101)에 의한 직접적인 진동을 받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잇몸과 진동하는 브러쉬부재들이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게하여 잇몸의 손상을 막아주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제 3실시예에 의한 세정부(400)를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 보호부재(410)로부터 우선, 보호부재(410)의 관통공(413)을 통해 브러쉬부재(420)(421)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재(440)의 결합돌기(441)와 연결편(452)결합홈(452c)간의 결합상태가 해제되도록 분리함과 동시에, 제 2브러쉬부재(430)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홈(431)과 연결편(462)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돌기(462c)간의 결합상태를 해제하여 분리하면, 브러쉬부재들만 보호부재(410)로부터 분리된다. 이 렇게 분리된 다음에는 새로운 세정부용 브러쉬부재를 다시 조립하여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제 3실시예에 적용된 공급탱크 및 배출탱크는 제 1,2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발휘하며, 전원이 공급되어 진동자가 작동하는 원리는 상기 설명한 제 1실시예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구성되어 작동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진동자에 의한 미세진동으로 선단에 구비된 세정부를 통해 구강세정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으며, 공급되는 물과 함께 구강을 세정하므로 더욱더 세정효과를 높일 수 있고, 간편하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편의상 몇가지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통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

Claims (40)

  1. 구강세정장치에 있어서,
    일정크기를 가지면서 내부에 발진부(11)를 가지는 케이싱(10)과;
    이 케이싱(10)의 일측에 연결관(20)을 통해 연결되면서 상기 발진부(11)에서 발생된 초음파에 의해 진동하면서 치아를 세정하는 세정부(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의 상부에는 구강세정용 물을 공급하는 공급탱크(40)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10)의 하부에는 세정부(30)를 통해 구강세정이 이루어진후 상기 공급탱크(40)에 의해 공급되어 사용된 물을 흡입하는 배출탱크(5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의 일단 하부에 갖추어지면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부(60)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30)는 바디(31)와, 상하로 각각 형성된 삽입홈(32)(32a)과, 이삽입홈(32)(32a)의 각 면에 갖추어진 진동자(33)(34)(35)(33a)(34a)(35a)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33)(34)(35)(33a)(34a)(35a)는 압전세라믹소자이고, 이 소자에 금속재의 진동판을 씌운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재의 진동판에는 옥가루를 그물모양으로 부착하여 원적외선이 발생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과 세정부(30)의 사이에 구비된 연결관(20)의 내부에는 발진부(11)로부터 발생된 진동신호가 진동자(33)(34)(35)(33a)(34a)(35a)까지 전달되도록 하는 리드선(21)(22)이 각각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21)(22)은 별도의 커넥터(23)를 통해 접속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장치.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20)의 내부에는, 상기 물을 공급하는 공급탱크(40)와 배출되는 물을 받는 배출탱크(50)로부터 연장된 물공급관(41) 및 물배출관(51)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20)은 세정부(30)의 바디(31)와 일체로 부착고정된 제 1연결관(24)과, 케이싱(10)으로부터 일체로 부착,고정된 제 2연결관(25)으로 이루어져 이 제 1연결관(24)과 제 2연결관(25)이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연결관(24)과 제 2연결관(25)은 제 1연결관(24)의 측면둘레를 따라서 복수개의 돌기(24a)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제 2연결관(25)의 내부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결합홈(25a)이 형성되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장치.
  12. 제 1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연결관(24)의 세정부(30) 바디측에는 공급탱크(40)로부터 공급받는 물이 배출되어 사용자의 구강내부에 잔류하도록 하는 배출공(24b)이 형성된 것을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연결관(25)에는 2개의 버튼부재(25b)(25c)가 구비되어 물공급관 (41)및 물배출관(51)을 개폐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재(25b)(25c)의 하단부에는 팩킹(25d)(25e)이 갖추어져서 물공급관(41) 및 물배출관(51)의 통로를 개폐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관(41) 및 물배출관(51)의 통로는 단차를 두고 절곡형성된 이음매관(41a)(51a)으로 형성되어 버튼의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장치.
  1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탱크(40)와 배출탱크(50)의 상면 및 하면에는 각각 물을 공급하고나 배출할때 개방하기위한 뚜껑(42)(52)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장치.
  1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탱크(40) 및 배출탱크(50)에는 입안을 세정하기 위해 공급되는 물이 물공급관(41) 및 물배출관(51)을 통해 원활하게 흐르도록 하기위한 절곡된 형태의 공기흡입관(43)(5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장치.
  18. 일정크기를 가지는 케이싱(10)과,
    이 케이싱(10)에 연장설치되는 연결관(20)과,
    상기 케이싱(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된 공급탱크(40)와 배출탱크(50)가 포함되어 있는 구강세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안에는 발진부(11)와 진동자(100)(101)가 갖추어져 서로 접속되어있고,
    상기 연결관(20)의 선단에는 분할된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진동자(100)(101)로부터 진동신호를 받아 진동하도록하는 세정부(20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된 세정부(200)는 외면 양측으로 구비된 보호부재(201)(202)와, 이 보호부재(201)(202)의 안쪽으로 간격을 두고 밀접되게 구비된 종방향으로 진동하는 2개의 제 1브러쉬부재(203)(204)와,
    이 제 1브러쉬부재(203)(204)의 사이에 구비되면서 횡방향으로 진동하는 제 2브러쉬부재(205)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20)은 착탈가능하도록 제 1연결관(24) 및 제 2연결관(25)이 끼워져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20)의 내부에는 공급탱크(40) 및 배출탱크(50)가 각각 연통되게 연결되는 물공급관(41)과 물배출관(51)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관(41)과 물배출관(51)에는 물의 흐름을 개폐하는 버튼부재(25b)(25c)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장치.
  23.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200)의 가장 외곽에 위치하는 보호부재(201)(202)는 제 1브러쉬부재(203)(204)에 형성된 구멍(203a)(204a)을 통해 관통삽입되고, 제 2브러쉬부재(205)에 형성된 홈(205a)은 통과만 하도록 되는 지지대(210)가 갖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10)의 끝단부면은 각각 보호부재(201)(202)면과 고정되어 일체화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장치.
  25.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브러쉬부재(203)(204)는 전면에 구비된 보호부재(202)에 형성된 구멍(202a)을 관통하고, 제 1브러쉬부재(204)에 형성된 구멍(204b)도 관통하며, 제 2브러쉬부재(205)에 형성된 홈(205b)을 지나서 제 1브러쉬부재(203)면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대(220)가 설치되어 케이싱(10)의 내부에 설치된 진동자(100)(101)와 접속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장치.
  26.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브러쉬부재(205)는 전면에 구비된 보호부재(202)에 형성된 구멍(202b)을 관통하고, 이어서 제 1브러쉬부재(204)에 형성된 구멍(204c)을 관통하여 제 2브러쉬부재(205)의 면에 밀착고정되어 일체화되도록 하는 지지대(230)가 설치되어 케이싱(10)안에 설치된 진동자와 접속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장치.
  27. 제 25항 또는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20)(230)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 1지지대(221)(231)와 제 2지지대(222)(232)로 분할되어 서로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장치.
  28. 케이싱(10)과;
    이 케이싱(10)안에 설치되어 있는 발진부(11) 및 이와 접속된 진동자(100)(101)와;
    상기 케이싱(10)의 일측으로 연장형성된 연결관(300)과;
    이 연결관(300)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세정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장치.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의 상부 및 하부면에는 공급탱크(40) 및 배출탱크(50)가 구비되어 있고, 이 공급탱크(40)와 배출탱크(50)의 각각에는 케이싱(10)의 내부를 거쳐 연결관(300)안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물공급관(41) 및 물배출관(51)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장치.
  30.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400)는 세정부(400)의 가장 바깥쪽에 갖추어진 보호부재(410)와; 이 보호부재(410)의 안쪽으로 분할조립된 제 1브러쉬부재(420)(421)와; 이 제 1브러쉬부재(420)(421)의 사이에 구비된 제 2브러쉬부재(430)로 구성되어 상기 제 1,2브러쉬부재(420)(421)(430)가 보호부재(410)로부터 교체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장치.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브러쉬부재(420)(421)의 저면 일측으로는 제 1브러쉬부재(420)(421)들간을 연결해주는 연결부재(440)가 고정설치되어있고, 상기 연결부재(440)의 중앙에는 결합돌기(441)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장치.
  32.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410)의 저면에는 한쌍을 이루면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고리(411)(412)가 마련되어 있고, 이 걸고리(411)(412)에는 결합공(411a)(41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고리(411)(412)들 사이에는 관통공(41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장치.
  33. 제 28항, 제 30항 및 제 3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300) 선단의 양단에는 상기 보호부재(410)를 지지해주는 연결대(310)(320)가 형성되어 있고, 이 연결대(310)(320)의 단부에는 각각연결고리(311)(321)가 형성되어 상기 보호부재(410)의 저면에 형성된 한쌍의 걸고리(411)(412)사이에 끼워져 연결핀(330)(340)을 통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장치.
  34.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300)의 내부에는 케이싱(10)의 내부에 구비된 진동자(100)(101)와 접속되는 지지대(450)(460)가 구비되어 있고, 이 지지대(450)(460)의 선단에는 연결부재(451)(461)가 끼워져 있으며, 이 연결부재(451)(461)의 양단으로는 결합공(451a)(461a)이 형성되고, 후면으로는 끼움돌기(451b)(461b)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450)(460)의 선단에 형성된 끼움홈(450a)(460a)에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장치.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51)(461)에는 연결편(452)(462)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편(452)(462)은 상부에 원기둥형태의 축(452a)(462a)이 형성되고, 이 축(452a)(462a)의 양단에는 상기 연결부재(451)(461)의 양단에 형성된 결합공(451a)(461a)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결합돌기(452b)(462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장치.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452)(462)의 하부에는 결합홈(452c) 및 결합돌기(462c)가 형성되어 보호부재(410)의 관통공(413)내에서 제 1브러쉬부재(420)(421)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재(440)의 결합돌기(441)와 제 2브러쉬부재(430)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홈(431)에 각각 끼워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장치.
  37.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450)(460)의 사이에는 회전가능한 세정부(400)의 위치를 잡아주도록 하는 회전저지핀(470)이 설치되어 있고, 이 회전저지핀(470)은 연결관(300)의 내부를 지나서 케이싱(10)안에 자리잡고 있으며, 상기 케이싱(10)안에 위치하고 있는 회전저지핀(470)의 단부는 이 회전저지핀(470)이 수평이동가능하게 되도록 케이싱(10)의 장공(10a)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작동버튼부(48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장치.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버튼부(480)는 케이싱(10)의 내부 상면으로부터 하부로 고정된 지지부재(481)와, 이 지지부재(481)와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도록 되는 작동간(482)과, 이 작동간(482)의 상단에 구비되어 케이싱(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작동손잡이(483)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장치.
  39.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간(482)은 수직부(482a)(482b) 및 수평부(482c)로 이루어져 일체로 회동되도록 되어있고, 상기 수직부(482b)의 단부는 상기 회전저지핀(470)과 연결되어 있으며, 케이싱(10)의 내부 상면으로부터 하부로 일정길이로 연장 구비된 고정대(490)를 통해 일단이 고정되면서 타단이 상기 수직부(482b)에 고정되어 탄지되도록 하는 스프링(500)이 갖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장치.
  40.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400)는 제 2브러쉬부재(430)만으로 구성되어 보호부재(410)로부터 교체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장치.
KR20-2003-0025635U 2003-08-08 2003-08-08 구강 세정장치 KR2003334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635U KR200333427Y1 (ko) 2003-08-08 2003-08-08 구강 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635U KR200333427Y1 (ko) 2003-08-08 2003-08-08 구강 세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427Y1 true KR200333427Y1 (ko) 2003-11-17

Family

ID=49419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635U KR200333427Y1 (ko) 2003-08-08 2003-08-08 구강 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42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4484B1 (ko) * 2005-09-23 2006-07-25 주식회사 넵스 압전 세라믹을 이용한 비접촉식 초음파 구강 세정기
KR200474791Y1 (ko) 2014-07-30 2014-10-14 강인혁 구강 세정기
KR20160081476A (ko) * 2014-12-31 2016-07-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초음파진동을 이용한 스케일링 장치
WO2018056734A1 (ko) * 2016-09-22 2018-03-29 고석호 휴대용 초음파 구강 세정기
CN117442373A (zh) * 2023-12-25 2024-01-26 德州正瑞健康科技有限公司 用于牙齿种植的口腔清理设备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4484B1 (ko) * 2005-09-23 2006-07-25 주식회사 넵스 압전 세라믹을 이용한 비접촉식 초음파 구강 세정기
KR200474791Y1 (ko) 2014-07-30 2014-10-14 강인혁 구강 세정기
KR20160081476A (ko) * 2014-12-31 2016-07-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초음파진동을 이용한 스케일링 장치
KR101659672B1 (ko) * 2014-12-31 2016-09-2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초음파진동을 이용한 스케일링 장치
WO2018056734A1 (ko) * 2016-09-22 2018-03-29 고석호 휴대용 초음파 구강 세정기
CN117442373A (zh) * 2023-12-25 2024-01-26 德州正瑞健康科技有限公司 用于牙齿种植的口腔清理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41410B1 (en) Power toothbrush using acoustic wave action for cleansing of teeth
JP2019022717A (ja) 制御された吸引と洗浄機能を備えた電動歯ブラシ
RU262074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KR20130102643A (ko) 구강관리기구
KR101822645B1 (ko) 구강 세정기
CN105796201A (zh) 一种牙套式超声波牙刷
US20050066456A1 (en) Dentition cleaning device and system
EP0570501A1 (en) Ultrasonic toothbrush
KR20040104602A (ko) 전동 칫솔
KR101788694B1 (ko) 음파 진동 칫솔
KR102157473B1 (ko) 구강형 전동칫솔
US20190282348A1 (en) Device for cleaning teeth
JP2007144118A (ja) 介護用洗浄装置
KR101822646B1 (ko) 구강 세정기
KR200333427Y1 (ko) 구강 세정장치
KR20160111706A (ko) 구강 청결 기구
WO2024104332A1 (zh) 自动喷液电动牙刷、无铜植毛方法及控制方法
JPWO2004058002A1 (ja) 超音波口腔清掃具
KR20190060457A (ko) 구강 세정기
CN208582525U (zh) 一种可更换刷头的电动牙刷
KR20020071834A (ko) 치아 자동 세척장치
CN208582526U (zh) 一种洁齿护龈用的电动牙刷
TWI769086B (zh) 口腔清潔裝置
JPH11178844A (ja) 口腔洗浄器
CN215458854U (zh) 超声波洁牙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