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389Y1 - Rainwater drainage - Google Patents

Rainwater drain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389Y1
KR200333389Y1 KR20-2003-0022641U KR20030022641U KR200333389Y1 KR 200333389 Y1 KR200333389 Y1 KR 200333389Y1 KR 20030022641 U KR20030022641 U KR 20030022641U KR 200333389 Y1 KR200333389 Y1 KR 2003333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rainage
lid
seated
seating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264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지운용
Original Assignee
지운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운용 filed Critical 지운용
Priority to KR20-2003-00226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38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3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389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덮개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잠금기능과 더불어 덮개의 상면에 작은 바퀴를 갖는 인라인스케이트나 롤러스케이트 또는 유모차 등이 안전하게 지나 갈 수 있도록 하는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age device that allows the in-line skates, roller skates, or baby carriages having a small wheel to pass safely along with a locking function to prevent the cover from being separated by an external impact.

상기 본 고안은, 다수의 배수구멍을 갖는 덮개와, 상기 덮개가 안착되는 안착턱을 구비한 덮개받침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상면에 일정폭의 안전면이 중앙부를 가로지르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덮개가 안착되는 안착턱의 양측 측면부에 동일방향의 경사홈을 복수개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덮개의 양측면에는 상기 경사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복수개 형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ver having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and a lid support having a seating jaw on which the cover is seated,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has a structure in which a safety surface of a predetermined width is formed across the center portion. . In addition, a plurality of inclined grooves in the same direction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seating jaw on which the cover is seated,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inserted into the inclined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cover.

이러한 구조에 의해 덮개가 덮개받침에 결합할 때 잠금홈의 경사에 안내되어 안착되기 때문에 역방향의 동일한 힘을 가하지 않는 이상 큰 충격을 받더라도 분리되지 않는 양호한 잠금효과와, 충격이 가해져도 충격음이 발생하지 않는장점이 있다. 또한 덮개 상면의 제1,제2안전면에 의해 작은 바퀴를 갖는 인라인스케이트와 롤러스케이트 또는 유모차 등이 지나가더라도 배수구에 빠지않고 안전하게 지나갈 수 있다.Because of this structure, the cover is guided and seated on the inclination of the locking groove when it is coupled to the cover support, so that a good locking effect that does not separate even if a large shock is applied unless the same force in the reverse direction is applied, and the impact sound does not occur even if the impact is applied. Does have advantages. In addition, even if the in-line skate having a small wheel and a roller skate or a baby stroller pass by the first and second safety surfaces of the cover, it can pass safely without falling into a drain.

Description

배수장치{Rainwater drainage}Rainwater drainage

본 고안은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덮개받침에 안착된 덮개가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받더라도 그 충격에 의해 덮개받침을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잠금기능과 더불어 덮개의 상면에 작은 바퀴를 갖는 인라인스케이트나 롤러스케이트 또는 유모차 등이 안전하게 지나 갈 수 있도록 하는 빗물통과 덮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ag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 small whee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together with a locking function that prevents the cover from being detached by the impact even if the cover seated on the cover support receives an impact from the outside. It relates to a rainwater bucket and a cover for allowing the inline skates, roller skates, or baby carriages to pass safely.

일반적으로 배수장치는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도로 구배에 의해 흐르는 빗물을 모아 배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상부에 안착되는 덮개는 다수개의 빗물구멍이 형성되어 빗물의 유입은 유도하면서 협잡물들은 걸러내어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게 한다.In general, the drainage device is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road to collect and drain the rainwater flowing by the road slope. In particular, the cover seated on the upper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rainwater holes to induce the inflow of rainwater while filtering the contaminants to achieve a smooth drainage.

그런데,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이 덮개를 밟고 지나가게 되면 덮개에 큰 충격이 가해지게 되는데, 그 충격에 의해 큰 충격음이 발생하거나 덮개가 덮개받침으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에 의해 배수장치가 개방되는 현상이 발생됨에 따라 분리된 덮개나 개방된 배수장치에 의해 후속 차량이 사고를 당하게 될 위험이 있었고, 또 큰 충격이 가해지면서 덮개받침으로부터 들떠있는 덮개가 2차로 충격하여 큰 소음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when a vehicle driving on a road passes under a cover, a large shock is applied to the cover, and a large shock sound is generated by the impact or the cover is separated from the cover. As a result of the opening of the drainage system by this phenomenon, there was a risk that the next vehicle would be injured by a separate cover or an open drainage system.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a large noise is generated by the impact.

또한 인라인스케이트와 롤러스케이트 또는 유모차와 같이 작은 바퀴를 갖는 기구들이 지나가다보면 빗물의 유입을 위해 형성한 배수구멍에 빠지게 되어 안전사고를 당하게 되는 일이 종종 발생하는 폐단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small wheels such as inline skates, roller skates, or strollers pass by, they fall into drainage holes formed for the inflow of rainwater, which often leads to safety accidents.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배수장치의 구성을 이루는 덮개에 잠금기능을 부여하여 자동차의 진행에 의해 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충격음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그 충격에 의해 개방되는 현상 없이 안전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빗물통과 덮개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disadvantages, the purpose of which is to provide a locking function to the cover constituting the drainage device while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impact sound even if a large impact is applied by the progress of the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ainwater container and a cover for maintaining a securely coupled state without being opened by the impact.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덮개의 상면에 인라인스케이트와 롤러스케이트 또는 유모차와 같이 작은 바퀴를 갖는 기구들이 지나가더라도 배수구에 빠지는 현상 없이 안전하게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even if the mechanism having a small wheel, such as inline skates and roller skates or stroller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asses safely without falling into the drai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수의 배수구멍을 갖는 덮개와, 상기 덮개가 안착되는 안착턱을 구비한 덮개받침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cover configured with a lid having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and a seating jaw to which the cover is seated,

상기 덮개의 상면에 일정 넓이의 안전면이 중앙부를 가로지르게 형성되어 달성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is achieved by forming a safety surface of a certain width across the central portion.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덮개가 안착되는 안착턱의 양측 측면부에 동일방향의 경사를 갖는 잠금홈을 복수개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덮개의 양측면에는 상기 경사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복수개 형성되어 달성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forming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having the same inclination in both sides of the seating jaw on which the cover is seated,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inserted into the inclined grooves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cover.

도 1a,1b는 본 고안의 배수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1a, 1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rain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 배수장치의 덮개받침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cover structure of the subject innovation drainage device.

도 3a,3b는 본 고안 배수장치의 단면도.Figure 3a, 3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ain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 배수장치의 결합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5b,5c는 본 고안 배수장치의 다른 실시예도.Figure 5a, 5b, 5c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ainage.

도 6은 본 고안 배수장치 덮개받침의 다른 실시예도.Figure 6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ain cover.

도 7은 도 6의 덮개받침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d support of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 덮개 11 - 배수구멍10-cover 11-drain hole

12,13 - 제1,제2안전면 14 - 배수구멍12,13-1st and 2nd safety face 14-Drainage hole

15 - 돌기 17 - 미끄럼방지돌기15-protrusion 17-non-slip protrusion

19 - 경사면 20 - 덮개받침19-Slope 20-Shroud

21 - 안착턱 22a - 잠금홈21-Seating Jaw 22a-Locking Groove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1b는 본 고안의 배수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배수장치의 덮개받침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a,3b는 본 고안 배수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 배수장치의 결합단면도이다.Figure 1a, 1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rain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ver structure of the drain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a, 3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ain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Combined cross section of the design drainage system.

상기 도면들에 의하면, 본 고안의 배수장치는 다수의 배수구멍을 갖는덮개(10)와, 상기 덮개(10)가 안착되는 안착턱(21)을 구비한 덮개받침(20)으로 구성된다. 이때 덮개(10)의 배수구멍(11)은 도 1a와 같이 배수장치가 설치되는 도로의 직각방향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도 1b와 같이 도로와 같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b에 도시한 덮개(10)는 주로 횡단보도와 같이 사람이 지나가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유모차나 인라인, 롤러스케이트 등의 바퀴가 빠지지 않도록 배수구멍(11)의 방향을 사람들이 지나는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형성되어야만 한다. 한편, 덮개받침(20)은 콘크리트로 시공된 집수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는 사각 프레임이나 또는 하부에 배수구를 갖는 집수통의 상측 안착부를 통칭한다.According to the drawings, the drain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cover 10 having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and a cover 20 having a seating jaw 21 on which the cover 10 is seated. In this case, the drainage hole 11 of the cover 10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ad where the drainage device is installed as shown in FIG. 1A or may b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ad as shown in FIG. 1B. The cover 10 shown in FIG. 1B is mainly installed at a location where a person passes, such as a crosswalk, and is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ain hole 11 is passed so that wheels such as a stroller, an inline, and a roller skate do not fall out. It should be formed in the direction of forming. On the other hand, the cover 20 is referred to collectively the upper seating portion of the sump frame having a rectangular fram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collecting structure constructed of concrete or a drain hole in the lower portion.

상기 덮개(10)의 상면에는 배수구멍(11)이 없는 일정 넓이의 제1안전면(21)이 중앙부를 가로지르게 형성되고, 또 이와 십자로 교차되는 제2안전면(22)이 형성된다. 이때 제2안전면(22)은 대략 제1안전면(21)의 높이보다 3mm정도 낮게 형성되어 물흐름을 유도하므로써 물빠짐 효율이 양호하록 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 제1,제2안전면(21)(22) 중 어느 한 안전면만 존재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제1,제2안전면(21)(22)은 인라인스케이트나 롤러스케이트 또는 유모차와 같이 작은 바퀴를 갖는 기구들이 지나갈 때 배수구에 빠지지 않도록 길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물론 다른 배수구멍(11)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완벽한 안전을 제공할 수는 없지만 높은 안전성을 보장하게 된다. 또 실제로 제1,제2안전면(21)(22)은 작은 바퀴의 기구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덮개(10)의 상부를 지나갈 때 안전면을 이용하도록 유도하는 심리적 효과도 수반하게된다. 즉, 덮개(10)의 상부로 지나가게 될 경우 안전면(21)(22)의 존재가 인식되면 되도록 그리로 지나가려는 마음이 생기기 때문에 대부분은 안전면(21)(22)을 통과하게 되므로 안전성이 매우 향상되게 된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10, a first safety surface 21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without the drainage hole 11 is formed to cross the center portion, and a second safety surface 22 intersecting the cross is formed. At this time, the second safety surface 22 is formed to be approximately 3mm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safety surface 21 to induce water flow, so that the water drainage efficiency is good. If necessary, onl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afety surfaces 21 and 22 may exist. The first and second safety surfaces 21 and 22 serve to provide a way to prevent falling into the drain hole when devices having small wheels such as inline skates, roller skates, or baby carriages pass by. Of course, since there are other drainage holes 11, it is not possible to provide perfect safety, but it ensures high safety.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safety surfaces 21 and 22 also have a psychological effect of inducing people who use the mechanism of the small wheels to use the safety surface when pas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10. In other words, when pass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10, since the presence of the safety surface (21, 22) is perceived to pass through so that the existence of the safety surface (21, 22) because most of the pass through the safety surface This will be very improved.

또한 제1,제2안전면(21)(22)의 상부에 작은 바퀴를 가진 기구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의 작은 배수구멍(14)들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작은 배수구멍(14)들은 안전을 해치지 않는 상태에서도 물빠짐의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리고 덮개(10)의 배수구(11) 둘레면에는 미끄럼방지돌기(17)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orm small drainage holes 14 to the extent that they do not affect the mechanism having the small wheels on the first and second safety surfaces 21 and 22. These small drainage holes 14 improve the efficiency of drainage even without compromising safety. In addition, a plurality of anti-slip protrusions 17 are formed on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drain port 11 of the cover 10 at regular intervals.

한편, 덮개(10)가 안착되는 덮개받침(20)의 안착턱(21)에는 잠금홈(22a)이 형성된다. 이 잠금홈(22a)은 안착턱(21)의 양측면 전후부에 경사지게 형성되며 그 경사방향은 동일한 방향을 이룬다. 이와 대응되는 덮개(10)의 양측면에는 덮개받침(20)의 잠금홈(22a)에 삽입되는 돌기(15)가 복수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 locking groove 22a is formed in the seating jaw 21 of the lid support 20 on which the lid 10 is seated. The locking groove 22a is formed to be inclined at both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eating jaw 21, and the inclined direction forms the same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cover 10 corresponding thereto, a plurality of protrusions 15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s 22a of the lid support 20 are formed.

이 구조에 의해 돌기(15)와 잠금홈(22a)을 일치시켜 덮개(10)를 덮개받침(20)에 안착시키게 되면 덮개(10)는 잠금홈(22a)의 경사에 의해 그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자동으로 그 위치를 찾아 안착한다. 또한 덮개(10)가 덮개받침(20)에 결합 완료된 후에는 덮개(10)가 잠금홈(22a)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중앙부나 양측을 동일한 힘으로 경사의 역방향으로 덮개(10)를 분리시키지 않는 한 어떠한 충격이 가해져도 덮개(10)는 덮개받침(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며, 특히 유동이 방지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덮개(10)와 받침틀간의 충격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다.When the cover 15 is seated on the cover 20 by matching the protrusion 15 with the locking groove 22a by this structure, the cover 10 is slid in the direction by the inclination of the locking groove 22a. It automatically finds the location and seats. In addition, since the lid 10 is firmly fixed by the locking groove 22a after the lid 10 has been completely coupled to the lid support 20, the lid 10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inclination to the center or both sides with the same force. Unless separated, no impact is applied to the lid 10 so that it does not escape from the lid 20, in particular the flow is prevented. Therefore, even if an impact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noise due to the impact between the cover 10 and the support frame is not generated.

상기 덮개(10)를 덮개받침(20)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결합된 덮개(10)의 후측 중앙 또는 양쪽을 잠금홈(22a)의 역방향으로 잡아 당기게 되면 돌기(15)가 잠금홈(22a)으로부터 슬라이딩되면서 승강되어 개방되게 된다.When the cover 10 is to be separated from the cover 20, the rear center or both sides of the combined cover 10 is pull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locking groove 22a, and the protrusion 15 is removed from the locking groove 22a. It is lifted and opened while sliding.

또한 덮개(10)를 덮개받침(20)에 안착시키면 잠금홈(22a)의 영역 길이 만큼의 덮개의 후측과 덮개받침(20-1)의 사이에는 공간이 발생할 수 있다. 즉 덮개(10)가 수직으로 안착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덮개(10)의 후측 하단에 경사면(19)을 주었다. 이때 경사면(19)의 각도는 덮개(20)의 후단이 덮개받침(20)와 이루는 틈새가 최소화될 수 있는 간격으로 해야하는데, 대략 잠금홈(22a)의 경사와 동일한 각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잠금홈(22a)과 돌기(15)의 위치는 덮개(20)가 덮개받침(20)에 안착 완료되었을 때 덮개(10)의 후단부와 덮개받침(20)간의 틈새가 최소화될정도의 간격을 이루는 위치에 형성한다.In addition, when the cover 10 is seated on the cover 20, a space may occur between the rear side of the cover as much as the length of the region of the locking groove 22a and the cover 20-1. That is because the cover 10 is not mounted vertically.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inclined surface 19 was provided at the lower rear side of the cover 10. At this time, the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19 should be at an interval in which the gap between the rear end of the cover 20 and the lid support 20 can be minimized. Preferably, the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19 is approximately equal to the inclination of the locking groove 22a.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locking groove 22a and the protrusion 15 is such that the gap between the rear end of the lid 10 and the lid 20 is minimized when the lid 20 is completely seated on the lid 20. It forms in a position to form.

이와 같이 하면 덮개(10)를 덮개받침(20)에 안착시킬 때 마치 경사홈(19)이 없는 일반적인 덮개를 안착시키는 것과 같이 그 후단이 덮개받침(20)과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cover 10 is seated on the cover 20, the rear end of the cover 10 can be seated so that a gap does not occur with the cover 20, as if the general cover without the inclined groove 19 is seated. do.

도 5a,5b,5c는 본 고안 배수장치의 다른 실시예도로서, 도 5a와 같이 상기 덮개(10)가 복수개 안착되는 타입의 배수장치의 경우에는 각각의 덮개(10)에도 돌기(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대응되는 덮개받침(20-1)의 안착턱(21)의 측면에도 결합되는 덮개(10)의 돌기(15) 갯수 만큼의 잠금홈(22b)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양측 덮개(10)의 잠금홈(22b) 방향을 달리할 수가 있는데, 도 5a와 같이 잠금홈(22b)의 방향을 덮개받침(20-1)의 센터부를 향하도록 형성할 수가 있다.5A, 5B, and 5C illustrate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drain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drainage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the cover 10 seated as shown in FIG. 5A, protrusions 15 are formed on each cover 10. The locking grooves 22b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protrusions 15 of the cover 10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eating jaw 21 of the cover support 20-1 are formed. At this time, the direction of the locking groove 22b of the both side cover 10 may be different, and as shown in FIG. 5A, the direction of the locking groove 22b may be formed to face the center portion of the lid support 20-1.

이와 같이 잠금홈(22a)의 방향을 중앙부를 향하게 되면 양측 덮개(10)의 슬라이딩 방향이 서로 마주치는 방향으로 안착되므로 그 대면부가 서로 밀착되게 된다. 이때에도 도 4와 같이 덮개(10)의 후측 하단에 경사면(19)을 갖는다.As such, when the direction of the locking groove 22a faces the center portion, the sliding directions of the cover 10 are se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y face each other, so that the facing portion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10 has an inclined surface 19.

한편, 상기 도 5a와는 달리 도 5b와 같이 덮개받침(20-2)의 잠금홈(22c) 방향을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경사의 반대측에 위치한 덮개(10)는 그 앞측에 위치한 덮개(10)의 후측을 밀고 있기 때문에 덮개받침(20)으로부터 덮개(10)를 분리할 때에는 결합시의 반대 순으로 덮개(10)를 분리하지 않는 이상 덮개(10)는 덮개받침(20-2)으로부터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후순으로 결합되는 덮개(10)가 잠금기능을 하게되는 것이다. 특히 경사홈 방향의 덮개(10) 선단 하부에 잠금돌기(23)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덮개받침(20-2)부에는 잠금돌기홈(24)을 형성하면 이또한 잠금효과를 배가시키게 되므로 잠금기능의 신뢰성이 향상되게 된다. 물론 이때에도, 도 5a와 같이 후순으로 안착되는 덮개(20)의 후측 하단에 경사면(19)을 형성한다. 그 효과는 상술한 바와 같다.Meanwhile, unlike FIG. 5A, the locking groove 22c of the lid 20-2 may be directed in the same direction as in FIG. 5B. In this case, since the cover 10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clined side pushes the rear side of the cover 10 located on the front side thereof, when the cover 10 is removed from the cover support 20, the cover 10 is disposed in the reverse order when the cover 10 is removed. The cover 10 will remain firmly coupled from the lid support 20-2 unless the cover 10 is removed. That is, the cover 10 is coupled to the rear end to the locking function. Particularly, if the locking protrusion 23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over 10 in the direction of the inclined groove, and the locking protrusion groove 24 is formed in the cover support 20-2 corresponding thereto, this also doubles the locking effect. The reliability of the locking function is improved. Of course, also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5a to form a slope 19 in the rear lower end of the lid 20 is seated in the rear. The effect is as described above.

또한 도 5c와 같이 덮개받침(20-3)의 양측 잠금홈(22a)(22c)의 방향을 도 5a의 잠금홈(22a)(22b)과 반대로 바깥쪽을 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C, the directions of both locking grooves 22a and 22c of the lid support 20-3 may be formed to face outwards as opposed to the locking grooves 22a and 22b of FIG. 5A.

이와 같이 하면 덮개(20)를 안착시키게 되면 각 덮개(20)는 잠금홈(22a)(22c)의 경사를 따라 양측 반대방향으로 향하여 슬라이딩 삽입된다. 이때에도 덮개(20)의 후측 하단부에 경사면(19)을 형성한다. 그 효과는 상기한 바와 같다.In this case, when the cover 20 is seated, each cover 20 is slidably inserted in both opposite directions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locking grooves 22a and 22c. At this time, the inclined surface 19 is formed at the rear lower end of the cover 20. The effect is as described above.

도 도 6은 본 고안 배수장치의 덮개받침 다른 실시예도이고, 도 7은 도 6의 덮개받침 단면도이다.Figure 6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cover of the drain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ver of FIG.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받침(30)의 하부를 안착턱(31)과 평행하게 외측으로 연장한 연장부(32)를 형성하고, 그 연장단부(33)를 하향 절곡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덮개받침(30)의 시공시 외부 요인으로 인한 위치변위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지반의 침하나 융기 또는 지면이 이동하는 불안정한 현상이 발생하여도 절곡된 연장단부(33)에 의해 그 위치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가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lower portion of the lid 30 may be formed to extend an extension portion 32 extending outward in parallel with the seating jaw 31, and the extension end portion 33 may be bent downward. Such a structure can prevent positional displacement due to external factors during construction of the lid support 30. That is, even if the ground is settled, raised or unstable phenomenon of moving the ground can be maintained continuously by the bent extended end 33.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배수장치의 구성을 이루는 덮개에 돌기를 갖고 이와 대응되는 덮개받침의 측면에 경사진 잠금홈을 형성하여 결합시 잠금홈의 경사에 안내되어 안착되기 때문에 분리할 때에도 역으로 동일한 힘을 가하지 않는 이상 큰 충격을 받더라도 덮개가 이탈하지 않는 양호한 잠금효과와, 충격이 가해져도 유동이 없어 충격음이 발생하지 않는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otrusion on the cover constituting the drainage device and forms an inclined lock groove on the side of the cover support corresponding thereto, so that when the separator is guided and seated on the inclination of the lock groove, On the contrary, unless the same force is applied, there is a good locking effect that the cover is not detached even when subjected to a large impact, and the impact noise does not occur because there is no flow even when the impact is applied.

또한 본 고안은 덮개의 상면에 제1,제2안전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라인스케이트와 롤러스케이트 또는 유모차와 같이 작은 바퀴를 갖는 기구들이 지나가더라도 배수구에 빠지는 현상 없이 안전하게 지나갈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safety surface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pass safely even without passing through the drain hole even when devices having small wheels such as inline skates and roller skates or strollers pass by.

Claims (11)

다수의 배수구멍을 갖는 덮개와, 상기 덮개가 안착되는 안착턱을 구비한 덮개받침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In the cover consisting of a lid having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and a seating jaw in which the lid is seated, 상기 덮개의 상면에 배수구멍이 없는 일정 넓이의 안전면이 중앙부를 가로지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Drain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afety surface of a predetermined width without the drain hol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is formed to cross the central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면에 십자로 교차되는 또다른 안전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The drainage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other safety surface is formed crosswise to the safety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면에 소형 배수구멍이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The drainag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small drainage holes are formed in the safety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가 안착되는 안착턱의 양측 측면부에 동일방향의 경사홈을 복수개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덮개의 양측면에는 상기 경사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The drainag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inclined grooves in the same direction are formed in both side surfaces of the seating jaw on which the cover is seated,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inserted in the inclined grooves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cover. . 다수의 배수구멍을 갖는 덮개와, 상기 덮개가 안착되는 안착턱을 구비한 덮개받침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In the cover consisting of a lid having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and a seating jaw in which the lid is seated, 상기 덮개가 안착되는 안착턱의 양측 측면부에 동일방향의 경사홈을 복수개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덮개의 양측면에는 상기 경사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And a plurality of inclined grooves in the same direction are formed at both side surfaces of the seating jaw in which the cover is seated,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inserted into the inclined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cov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후측 하단에 경사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을 하는 배수장치.The drain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at a rear lower end of the lid.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가 복수개 구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덮개받침도 상기 덮개의 갯수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각각의 덮개에 형성된 돌기와 대응되는 안착턱의 측면에는 경사홈을 형성함과 동시에 경사홈의 방향은 중앙부를 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cover comprises a plurality, and the cover support corresponding thereto also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cover, the seating jaw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s formed in each cover Forming the inclined groove on the side at the same time drain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rection of the inclined groove toward the center.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는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가 복수개 구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덮개받침도 상기 덮개의 갯수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각각의 덮개에 형성된 돌기와 대응되는 안착턱의 측면에는 경사홈을 형성함과 동시에 양측 경사홈의 방향은 동일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the cover comprises a plurality, and the corresponding lid support also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cover, the seating jaw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s formed on each cover Forming the inclined groove on the side and at the same time the direction of the two inclined groove drain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directio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으로 향하게 하면서 상기 경사홈 방향의 덮개 선단 하부에 잠금돌기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덮개받침부에는 잠금돌기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The drain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ver tip in the inclined groove direction while facing in one direction, and a locking protrusion groove is formed in the corresponding lid support. 제 4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를 복수개 구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덮개받침 또한 상기 덮개의 갯수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각각의 덮개에 형성된 돌기와 대응되는 안착턱의 측면에는 경사홈을 형성함과 동시에 경사홈의 방향은 양측 바깥쪽을 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The seating jaw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6, wherein a plurality of the lids is formed, and the lid support corresponding thereto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lids, and a seating jaw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s formed on the lids. Forming the inclined groove on the side of the drain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rection of the inclined groove to face both sides outward.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받침의 하부를 안착턱과 평행하게 외측으로 연장한 연장부를 형성하고, 그 연장단부를 하향 절곡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7. The drainage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outwardly in parallel with the seating jaw is formed and the extension end portion is bent downward.
KR20-2003-0022641U 2003-07-14 2003-07-14 Rainwater drainage KR20033338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641U KR200333389Y1 (en) 2003-07-14 2003-07-14 Rainwater drain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641U KR200333389Y1 (en) 2003-07-14 2003-07-14 Rainwater drain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389Y1 true KR200333389Y1 (en) 2003-11-15

Family

ID=49419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2641U KR200333389Y1 (en) 2003-07-14 2003-07-14 Rainwater drain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389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927B1 (en) * 2013-06-24 2015-03-03 (주) 뉴티브 Grating
KR101525072B1 (en) * 2014-06-13 2015-06-02 하성민 Openable grating
KR101887087B1 (en) * 2017-10-19 2018-09-10 남궁은 Apparatus for draining wastewater of bridge to improve clogg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927B1 (en) * 2013-06-24 2015-03-03 (주) 뉴티브 Grating
KR101525072B1 (en) * 2014-06-13 2015-06-02 하성민 Openable grating
KR101887087B1 (en) * 2017-10-19 2018-09-10 남궁은 Apparatus for draining wastewater of bridge to improve clogg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2360B1 (en) Structure and method for mounting grating safety cover having the same
KR100553177B1 (en) Grating
KR101766367B1 (en) Grating Cover Assembly
AU2012300192B2 (en) A skimmer lid assembly
KR200333389Y1 (en) Rainwater drainage
KR102064201B1 (en) Architectural grating
KR200446850Y1 (en) Drainage catch
KR102301318B1 (en) Drainage grating structure
WO2005071174A1 (en) Collecting structure and drainage structure using the collecting structure
KR101271603B1 (en) Building drainage cover structure
KR101834080B1 (en) Grating With Safety Cover
KR101270362B1 (en) Steel Grating Having Footpath Block Set
KR200322645Y1 (en) Rolled steel grating
JP4473759B2 (en) Groove cover
JP3218559U (en) Concrete gutter with drain lid
KR100922877B1 (en) Grating for Waterway
EP0489676B1 (en) Gulley-grid and connecting means therefor
KR200284861Y1 (en) skid-proof grating
KR101271495B1 (en) A trench structure with foldable functional cover
KR102582393B1 (en) Rain gutter cover for public roads
JP3163026B2 (en) Drain filter for gutter
JP3744923B2 (en) Gutter
JP2004308115A (en) Ditch cover
GB2116611A (en) Manhole frame and cover assembly
JP3185853U (en) Gr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