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104Y1 - 건축물에 사용되는 조립형 벽체 - Google Patents

건축물에 사용되는 조립형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104Y1
KR200333104Y1 KR20-2003-0028067U KR20030028067U KR200333104Y1 KR 200333104 Y1 KR200333104 Y1 KR 200333104Y1 KR 20030028067 U KR20030028067 U KR 20030028067U KR 200333104 Y1 KR200333104 Y1 KR 2003331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uilding
concrete
present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80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태현
Original Assignee
엄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태현 filed Critical 엄태현
Priority to KR20-2003-00280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1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1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1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04C2/0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reinforc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8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4C2/288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 being completely surrounded by, or embedded in, a stone-like material, e.g. the insulating material being discontinuou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04C2/3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with a metal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설현장에서 바로 조립하여 다양한 형태의 건축물의 외벽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크기를 분활하여 현장에서 용이하게 결합이 가능하므로 보관과 운반이 용이하며, 운반시 벽체의 모서리 부분을 비롯하여 전체적인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시공시 각각의 조립형 벽체를 용이하게 결합하여 인건비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그 내부에 단열재나 방음재와 같은 다양한 기능성 내장재를 용이하게 내장시킬 수 있는 건축물에 사용되는 조립형 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에 사용되는 조립형 벽체{A fold-up wall of using a structure}
본 고안은 건설현장에서 바로 조립하여 건축물의 외벽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조립형 벽체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보관이나 운반하는 단계에서 벽체의 모서리 부분을 비롯하여 전체적인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시공시 각각의 조립형 벽체를 용이하게 결합하여 인건비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건축물에 사용되는 조립형 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연립주택, 병원, 호텔 등과 같은 건축물에 대한 외벽의 시공은 거푸집 내부에 철근을 배근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콘크리트가 철근과 결합된 상태에서 경화되어 벽체가 형성되면 거푸집을 해체하는 작업을 시행함으로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건축물의 벽을 단열처리하기 위하여 건축물 벽체가 형성된 외벽에 단열재를 설치한 후 다시 도장처리하고 벽돌을 쌓거나 PC(precast concrete)벽이나 PC슬라브을 사용하여 외벽을 마감처리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 건축물의 벽체를 형성하는 방법은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경화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시공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철근이 내부에 매설된 콘크리트 벽체를 건설현장으로 운반하여 그 크기와 모양에 맞춰 조립함으로서 건축물의 외벽을 이룰수 할 수 있도록 한 조립형 벽체가 크게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립형 벽체는 건설현장에서 바로 조립만 하면 외벽이 형성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나 노동력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으나, 일반적으로 조립형 벽체는 건축물의 외벽에 해당하는 크기로 제조되기 때문에 운반과 보관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조립형 벽체는 그 크기가 크고 무게가 무거워 시공자가 다루기가 어려우며, 보관 또는 운반하는 단계에서 벽체의 모서리 부분을 비롯하여 전체적인 부분이 파손되어 현장에서 보수를 해야하거나 심하게 파손된 경우에는 폐기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조립형 벽체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외벽을 시공시 각각의 조립형 벽체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미장과 조족공 등의 숙련된 인력이 필요하며, 이러한 결합작업 역시 대부분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오래 걸릴뿐만 아니라 인건비를 상승시키게 되는 요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으로, 건설현장에서 바로 조립하여 건축물의 외벽을 형성하는 조립형 벽체에 있어서, 그 크기를 분할하여 사용함으로서 시공이 편리하고, 보관 또는 운반하는 단계에서 벽체의 모서리 부분을 비롯하여 전체적인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공시 각각의 조립형 벽체를 용이하게 결합하여 인건비를 절감시킬 수 있고,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건축물에 사용되는 조립형 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조립형 벽체의 일 실시예를 부분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2a 내지 2d는 도 1의 조립형 벽체의 제조공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형 벽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부분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조립형 벽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립형 벽체
10 ; 외부틀
11 ; 'C'형강 12 ; 개구부
20 ; 콘크리트부
30 ; 철근
40 ; 기능성 내장제
2 ; 받침대
3 ; 창문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건축물의 외벽을 형성하기 위한 조립형 벽체에 있어서,
개구부가 내측면을 향하도록 배열된 'C'형강들을 서로 결합하여 형성된 외부틀이 있고, 상기 외부틀 내부에는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고 경화시켜 형성된 콘크리트부가 충진되어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 내부에는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철근이 배근된 것을 특정으로 하는 건축물에 사용되는 조립형 벽체를 제공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기는 하나, 이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조립형 벽체의 일 실시예를 부분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립형 벽체(1)는 다수개의 'C'형강(11)을 각 말단끼리 전기용접 등을 통하여 결합하여 소정의 크기와 모양을 갖도록 한 외부틀(10)과, 상기 외부틀(10) 내부에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고 경화시켜 형성된 콘크리트부(20)와, 상기 콘크리트(20) 내부에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근된 철근(30)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외부틀(10)은 사용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외벽의 크기에 맞춰 'C'형강(11)들을 결합하여 형성되되, 다만 'C'형강(11)의 개구부(12)가 외부틀(10)의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하게 된다. 이는 콘크리트부(20)가 개구부(12)를 통하여'C'형강(11)의 내부까지 충진되어 타설됨에 따라 외부틀(10)과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외부틀(10)의 모양은 사용되는 건축물의 외벽의 용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일반적인 외벽의 경우에는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의 모양으로 형성되지만, 창문틀이나 출입문틀이 삽입되는 외벽의 경우에는 'C'형강이 내측으로 만입된 부분을 갖도록 하여 상기 창문틀과 출입문틀이 장착될 수 있도록 제조하게 된다.
또한, 콘크리트부(20)는 외부틀(10)에 형성된 내부 공간부에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고 경화시킴으로서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부(20) 내부에는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철근(30)이 배근되어 있다.
상기한 콘크리트부(20)와 철근(30)은 일반적인 조립식 벽체에도 동일하게 작용되는 것이므로, 그 외 상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2d는 도 1의 조립형 벽체의 제조공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a 내지 2d를 통하여 본 고안의 조립형 벽체의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a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먼저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C'형강(11)을 사용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외벽의 크기에 맞춰 결합하되, 'C'형강(11)의 개구부(12)가 내측을 향하도록 배열하고 전기용접을 등을 이용하여 결합하여 외부틀(10)을 형성하게 된다.
미설명 부호인 (2)는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나타낸 받침대(2)로서, 추후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고 경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그 바닥면은 경화된 콘크리트가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는 재질로 되어있는 것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외부틀(10)이 형성되면 도 2b와 같이, 외부틀(10)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부에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철근(30)을 배근하게 되며, 이 때 철근(30)은 외부틀(10)의 개구부(12)나 내부면과 전기용접을 통하여 고정시켜 배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외부틀(10)에 철근(30)이 배근되면, 도 2c와 같이 콘크리트 몰탈을 철근(30)이 배근되어 있는 외형틀(10) 내부에 타설하고 소정의 시간동안 경화시킨 다음, 도 2d와 같이 받침대(2)로 부터 콘크리트부(20)가 완전 경화된 조립형 벽체(1)를 박리시킴으로서 완성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조립형 벽체는 건설현장에서 바로 조립만 하면 외벽이 형성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나 노동력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 뿐만 아니라 운반이나 보관하는 단계에서 벽체의 모서리 부분을 비롯하여 전체적인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종래 파손된 벽체를 현장에서 보수를 해야하거나 심하게 파손된 경우에는 폐기해야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조립형 벽체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외벽을 시공시 각각의 조립형 벽체를 전기용접을 통하여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목수나 미장 및 조족공 등과 같은 숙련된 인력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인건비를 절감시킬 수 있고,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형 벽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부분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립형 벽체(1)는 필요에 따라 그 내부에 단열재나 방음재와 같은 기능성 내장재(40)가 용이하게 내장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외형틀(10) 내부의 철근(30)의 상면에 단열재 또는 방음재와 같은 기능성 내장재(40)가 삽입되어 있으며, 그 상면과 철근(30)을 포함한 하면에는 콘크리트부(20)가 형성됨에 따라 조립식 벽체(1)의 내부에 기능성 내장재(40)가 내장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조립식 벽체 내부에 기능성 내장제를 삽입하는 방법은 철근이 배근된 외형틀에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시켜 콘크리트부를 형성시, 철근이 위치하는 부분까지 먼저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한 다음 철근 위에 기능성 내장재를 안착시킨 후 다시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함으로서 용이하게 내장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형 벽체 내부에 단열재나 방음재와 같은 기능성 내장재를 내장시킴으로서 건설현장에서 단열처리하는 과정을 생략하여 시공기간을 줄일 수 있고, 외벽이 불필요하게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조립형 벽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 4에서는 본 고안의 조립형 벽체를 이용하여 창문틀이 장착되는 외벽을 형성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하단에 만입된 부분을 갖는 조립식 상부 벽체(1')와, 상기 조립식 벽체와 상반되게 만입된 부분을 갖는 조립식 하부 벽체(1")를 전기용접 등을 통하여 서로 결합한 다음, 두 조립식 벽체(1',1")를 결합함에 따라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소정의 창문틀(3)을 장착하게 된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창문틀 뿐만 아니라 출입문틀이 장착되는 외벽의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외부틀의 모양을 변경시키는 방법을 적용시키게 되면 용이하게 장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조립식 벽체는 둘 이상으로 분활하여 제작한 다음 현장에서 용이하게 결합이 가능하므로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아울러 보관과 운반이 용이하며, 운반시 벽체의 모서리 부분을 비롯하여 전체적인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시 각각의 조립형 벽체를 전기용접을 통하여 용이하게 결합하여 인건비와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그 내부에 단열재나 방음재와 같은 다양한 기능성 내장재를 용이하게 내장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건축물에 사용되는 조립식 벽체는 건설현장에서 바로 조립만 하면 다양한 형태의 외벽을 형성할 수 있어 작업시간이나 노동력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 뿐만 아니라 조립형 벽체를 둘 이상으로 분활하여 제작이 가능하므로 그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어 보관 또는 운반이 용이하며, 운반이나 시공중에 벽체의 모서리 부분을 비롯하여 전체적인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조립형 벽체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외벽을 시공시 각각의 조립형 벽체를 전기용접을 통하여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목수나 미장 및조족공 등과 같은 숙련된 인력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인건비를 절감시킬 수 있고,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용 벽체 내부에 단열재나 방음재와 같은 기능성 내장재를 용이하게 내장시킴으로서 건설현장에서 단열처리하는 과정을 생략하여 시공기간을 줄일 수 있고, 외벽이 불필요하게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Claims (2)

  1. 건축물의 외벽을 형성하기 위한 조립형 벽체에 있어서,
    개구부(12)가 내측면을 향하도록 배열된 'C'형강(11)을 서로 결합하여 형성된 외부틀(10)이 있고, 상기 외부틀(10) 내부에는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고 경화시켜 형성된 콘크리트부(20)가 충진되어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부(20) 내부에는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철근(30)이 배근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에 사용되는 조립형 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부(20)의 내부에 단열재 또는 방음재와 같은 기능성 내장재(40)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에 사용되는 조립형 벽체
KR20-2003-0028067U 2003-09-01 2003-09-01 건축물에 사용되는 조립형 벽체 KR2003331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067U KR200333104Y1 (ko) 2003-09-01 2003-09-01 건축물에 사용되는 조립형 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067U KR200333104Y1 (ko) 2003-09-01 2003-09-01 건축물에 사용되는 조립형 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104Y1 true KR200333104Y1 (ko) 2003-11-12

Family

ID=49340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067U KR200333104Y1 (ko) 2003-09-01 2003-09-01 건축물에 사용되는 조립형 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10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396B1 (ko) * 2009-07-03 2012-04-03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리모델링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리모델링 공법
KR101596201B1 (ko) 2015-05-29 2016-02-22 조영일 조립식 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396B1 (ko) * 2009-07-03 2012-04-03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리모델링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리모델링 공법
KR101596201B1 (ko) 2015-05-29 2016-02-22 조영일 조립식 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4702A (en) Building construction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US6907704B2 (en) Interlocking mortarless load bearing building block system
US9487943B2 (en) Component building system
US6338231B1 (en) Prefabricated concrete wall panel system and method
US20080216445A1 (en) Monolithic Buildings and Construction Technology
US20150211245A1 (en) Free-standing form for building a pre-insulated wall and method of building a structure therewith
KR100304861B1 (ko) 건축용단열프리캐스트콘크리트판넬
KR100396583B1 (ko) 개량된 프리캐스트 벽체 부재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370163B1 (ko) 콘크리트주택 시공방법
KR101542717B1 (ko) 단위체 콘크리트 구조물 주택 시공방법
KR200333104Y1 (ko) 건축물에 사용되는 조립형 벽체
KR102149662B1 (ko) 피씨 슬래브를 이용한 건축물의 전이층 시공방법
EP2241690A2 (en) Insulated foundation element for mounting on precast base foundation
US20180030718A1 (en) Concrete modular element for use in building applications
KR102174760B1 (ko) 암거주택용 지붕 구조체
US5894704A (en) Wall construction process
RU2704396C1 (ru) Многопустотная железобетонная плита перекрытия со средствами усиления опорной зоны
KR20220157159A (ko) 조립식 무근 슈퍼콘크리트 주택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방법
US20060185283A1 (en) Interlocking construction panel showing fabrication thereof and the building system
AU2016282066A1 (en) A structural building panel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building
RU2343251C1 (ru) Стена
WO2013020228A1 (en) Prefabricated wall module and method of fabrication
JP2509395B2 (ja) 建物基礎部の構造
JP2620078B2 (ja) 地下室空間構築方法
RU67133U1 (ru) Сте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