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029Y1 - 식기세척기용 식기 가이드핑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용 식기 가이드핑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029Y1
KR200333029Y1 KR20-2003-0026233U KR20030026233U KR200333029Y1 KR 200333029 Y1 KR200333029 Y1 KR 200333029Y1 KR 20030026233 U KR20030026233 U KR 20030026233U KR 200333029 Y1 KR200333029 Y1 KR 2003330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ware
guide
guide finger
sides
dish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62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순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소닉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소닉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소닉테크
Priority to KR20-2003-00262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0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0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0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 A47L15/247Details specific to conveyor-type machines, e.g. curtains
    • A47L15/248Details specific to conveyor-type machines, e.g. curtains relating to the conveyor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에 따라서 식기를 양방향으로 각각 꽂아 이송시킬 수 있으며, 세척 시 식기와의 접촉면적을 최대한 줄여 세척부위를 확대시키고, 필요에 따라서는 랙(rack)을 사용하여 주방용품도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한 식기세척기용 식기 가이드핑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수평가이드부(11)의 양측 상부로 수직가이드부(12)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수평가이드부(11)와 양측 수직가이드부(12)를 연결시켜주는 연결부(13)의 내측 상부에 제1지지턱(14a)이 구비된 제1안착홈(14)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수평가이드부(11)의 상부 양측에는 제2지지턱(15a)이 구비된 제2안착홈(15)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양측 수직가이드부(12)의 상부에 링크부(16)를 각각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용 식기 가이드핑거{tableware guide finger for tableware washer}
본 고안은 식기를 이송시키는 식기세척기용 가이드핑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에 따라서 컵,접시,국그릇,공기,뚝배기,식판 등의 다양한 식기를 직접 양방향으로 각각 꽂아 이송시킬 수 있으며, 세척 시 식기와의 접촉면적을 최대한 줄여 세척부위를 확대시키고, 필요에 따라서는 랙(rack)을 사용하여 숟가락,국자,뒤짐기 등의 다양한 주방용품도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한 식기세척기용 식기 가이드핑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그라스,컵,접시,국그릇,식판 등의 식기를 자동으로 세척시켜주는 것으로, 이러한 식기세척기는 호텔,병원,학교,공장,군대 등과 같이 주로 단체 급식하는 대형식당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대량의 식기를 자동으로 세척시켜주는 식기세척기에는 식기를 경사지게 세워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가 설치되고, 식기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는 다수개의 가이드핑거들로 이루어지고, 이때 가이드핑거는 다수개가 배열되어 무한궤도로 연결된다.
그러나,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식기세척기용 식기 가이드핑거(1)는 구조적으로 식기(2)를 한쪽 방향으로만 꽂을 수 있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A)를 좌→우로 이송시킬 경우에는 가이드핑거(1)에 식기(2)를 직접 꽂아서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컨베이어(A)를 상기 반대방향인 좌←우로 이송시킬 경우에는 가이드핑거(1)에 식기(2)를 직접 꽂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때 식기(2)를 좌←우로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다수개의 가이드핑거(1)로 이루어진 컨베이어(A)를 분리한 상태에서 컨베이어(A)를 다시 반대방향으로 전환시켜 조립해야 하는 작업상의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식기세척기용 가이드핑거(1)는 구조적으로 식기(2)와 면접촉되어 세척 시 가이드핑거(1)와 식기(2)의 접촉면적이 크고 또한 세척용수의 흐름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세척부위가 작아 식기(2)를 보다 완벽하게 세척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가이드핑거(1)는 랙(rack)을 이송시킬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종래의 가이드핑거(1)는 구조적으로 숟가락,국자,뒤짐기 등의 다양한 주방용품을 랙에 담아 세척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좌→우 또는 좌←우)에 따라서 컵,접시,국그릇,공기,뚝배기,식판 등의 다양한 식기를 직접 양방향으로 각각 꽂아 편리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세척 시 식기와의 접촉면적을 최대한 줄여 식기를 완벽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부위를 넓게 확대시키고, 필요에 따라서는 랙(rack)을 사용하여 숟가락,국자,뒤짐기 등의 다양한 주방용품도 세척할 수 있도록 한 식기세척기용 식기 가이드핑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수평가이드부의 양측 상부에 수직가이드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식기세척기용 식기 가이드핑거를 구성하되, 상기 가이드핑거의 내부 양측에 서로 대응하는 제1안착홈 및 제2안착홈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핑거의 양측 상부에 링크부를 각각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수평가이드부와 양측 수직가이드부의 단면은 식기에 점접촉하도록 유선형으로 각각 형성하고, 상기 링크부에는 식기에 점접촉하도록 환턱을 일체로 돌출시킨 것이다.
도 1은 종래 가이드핑거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종래 가이드핑거의 연결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 - B선 단면도.
도 6a,6b는 본 고안에 식기가 끼워진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식기가 양방향으로 끼워진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랙의 이송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연결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0a,10b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가이드핑거 11 : 수평가이드부
12 : 수직가이드부 13 : 연결부
14 : 제1안착홈 14a : 제1지지턱
15 : 제2안착홈 15a : 제2지지턱
16 : 링크부 16a : 환턱
20 : 식기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식기세척기용 식기 가이드핑거(10)는 도 3 내지 도 10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평가이드부(11)의 양측 상부로 수직가이드부(12)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수평가이드부(11)와 양측 수직가이드부(12)를 연결시켜주는 연결부(13)의 내측 상부에 제1지지턱(14a)이 구비된 제1안착홈(14)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수평가이드부(11)의 상부 양측에는 제2지지턱(15a)이 구비된 제2안착홈(15)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양측 수직가이드부(12)의 상부에 링크부(16)를 각각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핑거(10)는 도 9와 도 10a,10b에서와 같이 다수개가 무한궤도로 연결되어 식기세척기용 컨베이어(C)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와 같이 다수개의 가이드핑거(10)로 이루어진 컨베이어(C)는 도 10a,10b에서와 같이 식기세척기(100)에 설치되어 세척 시 식기(20)들을 경사지게 세워서 이송시키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도 8에서와 같이 랙(R)을 이송시킨다.
상기 수평가이드(11)의 단면은 도 4에서와 같이 세척 시 식기(20)에 점접촉하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양측 수직가이드(12)의 단면도 도 5에서와 같이 세척 시 식기(20)에 점접촉하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13)는 수평가이드(11)와 양측 수직가이드(12)를 일체형으로 연결시켜주는 것으로, 이러한 양측 연결부(13)는 도 3에서와 같이 대각선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1안착홈(14)은 양측 연결부(13)의 내측 상부에 각각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식기(20)를 각각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양측 제1안착홈(14)에는 제1지지턱(14a)이 구비된다. 이때, 양측 제1안착홈(14)으로는 컨베이어(C)의 이송방향(좌→우 또는 좌←우)에 따라서 식기(2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각각 경사지게 끼워지게 되며, 또한 이러한 양측 제1안착홈(14)에는 도 6b에서와 같이 그 깊이(L1)가 대략 25㎜ 이상의 큰 식기(20)들을 끼워서 이송시키는데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안착홈(15)은 수평가이드부(11)의 양측 상부에 각각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식기(20)를 각각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양측 제2안착홈(15)에는 제2지지턱(15a)이 구비된다. 이때, 양측 제2안착홈(15)으로는 도 7에서와 같이컨베이어(C)의 이송방향(좌→우 또는 좌←우)에 따라서 식기(2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각각 경사지게 끼워지게 되며, 또한 이러한 양측 제2안착홈(15)에는 도 6a에서와 같이 그 깊이(L2)가 대략 25㎜ 이하의 작은 식기(20)들을 끼워서 이송시키는데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크부(16)는 수직가이드부(12)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양측 링크부(16)는 도 9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가이드핑거(10)들을 서로 연결할 때 사용되고, 한편 링크부(16)의 외경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식기(20)에 점접촉하도록 환턱(16a)이 일체로 돌출된다. 이때, 양측 링크부(16)의 중앙부에는 가이드핑거(10)들의 연결 시 축핀이 끼워지는 축공(16b)이 형성된다.
한편, 도면에서 도 10a는 세척 시 컨베이어(C)가 좌→우로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b는 세척 시 컨베이어(C)가 좌←우로 이송되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으로, 도 10a,10b에서 도면중 미설명부호 200은 식기세척기(1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컨베이어(C)를 이송시키는 스프로킷을 나타낸 것이고, 300은 스프로킷(200)을 구동시키는 모터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식기세척기용 가이드핑거(10)도 도 10a,10b에서와 같이 다수개가 무한궤도로 연결되어 식기(20)를 경사지게 세워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C)로 사용되는 것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가이드핑거(10)의 양측으로 각각 형성된 제1안착홈(14)과 제2안착홈(15)에 식기(20)를 양방향으로 각각 꽂을 수 있으므로, 도 10a,10b에서와 같이 컨베이어(C)의 이송방향(좌→우 또는 좌←우)에 따라서 식기(20)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각각 경사지게 편리하게 직접 끼워서 이송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가이드핑거(10)의 수평,수직가이드부(11)(12)가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링크부(16)의 외경에 환턱(16a)이 형성되므로, 특히 세척 시 구조적으로 가이드핑거(10)와 식기(20)가 점접촉되어 접촉면적이 작은 동시에 세척용수의 흐름성이 매우 좋고, 이로 인해 식기(20)의 세척부위가 보다 넓게 확대되기 때문에 식기(20)를 한층 더 완벽하게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가이드핑거(10)는 양측 수직가이드부(12)의 상부에 형성된 링크부(16)가 평행하게 연결되어 도 8에서와 같이 랙(R)을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숟가락,국자,뒤짐기 등의 다양한 주방용품을 랙(R)에 담아서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식기세척기용 식기 가이드핑거는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에 따라서 컵,접시,국그릇,공기,뚝배기,식판 등의 다양한 식기를 직접 양방향으로 각각 꽂아 편리하게 이송시킬 수 있으며, 세척 시 식기와의 접촉면적을 최대한 줄일 수 있으므로 세척부위를 확대시켜 한층 더 완벽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랙(rack)을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숟가락,국자,뒤짐기 등의 다양한 주방용품을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수평가이드부(11)의 양측 상부로 수직가이드부(12)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수평가이드부(11)와 양측 수직가이드부(12)를 연결시켜주는 연결부(13)의 내측 상부에 제1지지턱(14a)이 구비된 제1안착홈(14)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수평가이드부(11)의 상부 양측에는 제2지지턱(15a)이 구비된 제2안착홈(15)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양측 수직가이드부(12)의 상부에 링크부(16)를 각각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식기 가이드핑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가이드부(11)와 수직가이드부(12)의 단면은 식기(20)에 점접촉하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링크부(16)의 외경에는 식기(20)에 점접촉하도록 환턱(16a)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식기 가이드핑거.
KR20-2003-0026233U 2003-08-14 2003-08-14 식기세척기용 식기 가이드핑거 KR2003330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233U KR200333029Y1 (ko) 2003-08-14 2003-08-14 식기세척기용 식기 가이드핑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233U KR200333029Y1 (ko) 2003-08-14 2003-08-14 식기세척기용 식기 가이드핑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029Y1 true KR200333029Y1 (ko) 2003-11-12

Family

ID=49340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6233U KR200333029Y1 (ko) 2003-08-14 2003-08-14 식기세척기용 식기 가이드핑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02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000B1 (ko) 2014-01-29 2015-10-08 (주)신진마스타 식판 자동 투입 가이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000B1 (ko) 2014-01-29 2015-10-08 (주)신진마스타 식판 자동 투입 가이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8361B1 (ko) 식기세척기
CA2537541C (en) Conveyor-type dishwasher and method for it
US20060157430A1 (en) Dish carrier for dish washers
US20060289038A1 (en) Molded plastic dishwasher rack tine members including elastomeric bumpers
US20080156358A1 (en) Dishwasher and rack assembly therefor
MXPA03004625A (es) Limpiador para lavado de trastes y procedimiento para la limpieza de trastes usando el limpiador.
AU3579700A (en) Dishwashing machine basket with foldable dish holder racks
CA2278434C (en) Compact kitchenware washing station
KR200333029Y1 (ko) 식기세척기용 식기 가이드핑거
KR20080062620A (ko) 식기세척기
KR101558998B1 (ko) 애벌용 식판 세척장비
KR200147299Y1 (ko) 식판가이드용 핑거
US11969130B2 (en) Rack assembly and dish washer comprising the same
CN111820846B (zh) 一种洗碗机搁架及应用其的洗碗机
CN220369971U (zh) 用于洗碗机的搁架组件及洗碗机
KR101408558B1 (ko) 식기세척기용 식기 가이드핑거
KR200281699Y1 (ko) 업소용 식기 세척기
EP1931582A1 (en) Endless conveyor roller for flight-type warewashers, an endless conveyor and a flight-type warewasher
KR102290730B1 (ko) 식기건조대
CN203539288U (zh) 洗碗机用履带l形齿
KR200217913Y1 (ko) 식기세척용 식기 가이드핑거
KR20140002175U (ko) 다용도 식기 세척기
ES1042700Y (es) Soporte de vidrio para cestos de vajillas de un lavavajillas domestico.
CN213640777U (zh) 一种洗碗机
KR20140016078A (ko) 세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