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936Y1 - A mirror to be able to read an itself wherever - Google Patents

A mirror to be able to read an itself where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936Y1
KR200331936Y1 KR20-2003-0000003U KR20030000003U KR200331936Y1 KR 200331936 Y1 KR200331936 Y1 KR 200331936Y1 KR 20030000003 U KR20030000003 U KR 20030000003U KR 200331936 Y1 KR200331936 Y1 KR 2003319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mirrors
right angle
rectangular
s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000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병섭
Original Assignee
권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병섭 filed Critical 권병섭
Priority to KR20-2003-00000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93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9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936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A47G1/04Multi-part mirror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동일한 크기의 사각거울 두 개를 직각으로 배치하여 90도 범위 내의 어느 위치에서든지 관측자가 자신을 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각거울의 구성방법을 제시하고 나아가 직각거울을 조합하여 거울을 중심으로 360도 범위내의 어디에서나 관측자가 자신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의 구성방법과 직각거울을 분산 배치하여 관측자의 전후좌우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거울 구성방법을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configuration method of a right angle mirror, characterized in that the observer can see itself at any position within the 90 degree range by placing two square mirrors of the same size at a right angle, and furthermore, by combining the right angle mirrors, the center of the mirror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constructing a structure that allows an observer to see itself in a 360 degree range,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mirror so that the viewer can see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by distributing a right angle mirror.

이 방법의 장점으로는 작은 공간을 이용한 거울 설치로도 다수의 인원이 동시에 거울에 비친 자신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 간에도 자신에 대한 관측이 연속적으로 가능하므로 시계탑, 광고물, 실내조형, 인테리어 등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실내 소품에도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다.The advantage of this method is that the installation of a mirror using a small space not only allows a large number of people to see themselves in the mirror at the same time, but also enables them to observe themselves continuously between movements. It can be effectively used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indoor props.

Description

어디서나 자신을 볼 수 있는 거울{A mirror to be able to read an itself wherever}A mirror to be able to read an itself wherever}

본 고안은 어디에서나 자신을 볼 수 있는 직각거울의 구성과 활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경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figuration and a method of using a right-angle mirror that can be seen anywhere, the conventional cas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직각거울의 활용 방법으로는 일본에서 최초 공개실용신안 등록(直角二面鏡, 昭58-68166, 1983년) 이후 미국의 실용신안 등록(True Image Mirror, 5430578, 1995년) 등에 이르기까지 피사체(13)를 직각거울(11)에 비추었을 때 거울에 나타난 피사체(16)의 좌우가 바뀌어 나타나는 특징 또는 관측자가 직접 볼 수 없는 물체 이면의 글씨를 쉽게 읽어내는 방법 등 직각거울의 특성 중 거울에 비친 형상의 좌우가 바뀌어 나타나는 점에 한정하여 활용하는 방법으로 수차례 고안되었다.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utility model is registered in Japan as a method of utilizing a rectangular mirror (角 58-68166, 1983) after the first registration of a utility model in the United States (True Image Mirror, 5430578, 1995). When the subject 13 is reflected on the right angle mirror 11, the right and left mirrors of the subject 16 appearing in the mirror are changed, or the right angle mirror such as how to easily read the text on the back of the object that the viewer cannot see directly. It has been devised several times as a method to utilize only the point that the left and right of the shape reflected on the mirror is changed.

한편, 관측자가 어느 위치에서든지 자신을 볼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관측자의 전면에 해당하는 모든 부분에 거울을 부착해야 했으며 더우기 관측자의 전후좌우를 볼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관측자를 중심으로 한 전후좌우의 모든 영역에 거울을 부착해야만 하는 등 어디서나 자신을 볼 수 있는 효과적인 거울 활용방안은 고안되지 않았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be able to see the viewer at any position, it was necessary to attach a mirror to all parts of the front of the observer. There is no effective way to use mirrors to see yourself anywhere, such as having to attach a mirror.

본 고안은 상술한 종전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서 거울은 하나의 관점(X)에서 피사체(13)가 이중반사에 의하여 좌우가 전환된 형상(16)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측자가 이동하는 경우(Y)에도 거울의 내각 어디에서든지 자신을 볼 수 있는 거울의 구성방법을 제시하고 나아가 상기의 직각거울을 통합 배치하여 거울을 중심으로 어디에서나 관측자가 자신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의 구성방법과 직각거울을 분산 배치하여 관측자의 전후좌우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 구성방법을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com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mirror in FIG. 1 can see the shape 16 in which the subject 13 is switched left and right by double reflection from one viewpoint (X) as well as the observer In the case of moving (Y), it suggests a method of constructing a mirror that can see itself anywhere in the cabinet of the mirror, and furthermore, the structure of the structure that allows the observer to see itself from anywhere around the mirror by integrating the above right angle mirror. We propose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tructure that allows the viewer to see front, rear, left, and right by distributing the method and orthogonal mirror.

도 1은 직각거울에서 피사체가 반사되어 보이는 원리1 is a principle of reflecting a subject in a rectangular mirror

도 2는 직각거울에서 관측자의 위치에 따라 거울에 비친 형상2 is a shape reflected on the mirro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observer in a rectangular mirror

도 3은 어디서나 자신을 볼 수 있는 구조물의 입체도3 is a three-dimensional view of a structure that can see itself anywhere

도 4는 어디서나 자신을 볼 수 있는 구조물의 활용도Figure 4 is the utilization of the structure to see themselves anywhere

도 5는 어디서나 자신의 전후좌우를 볼 수 있는 구조물의 활용도5 is a utilization of the structure that can see their front, rear, left and right anywher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 직각거울11: right angle mirror

12 : 직각거울의 한 면에 반사되는 다른 면의 거울12: mirror of the other side reflected on one side of the right angle mirror

13 : 피사체13: subject

14 : 피사체가 거울에 반사되기 위해 필요한 가상영역14: virtual area required for the subject to reflect the mirror

15 : 피사체가 직각거울에 의해 이중 반사되는 가상영역15: Virtual region where the subject is reflected by the mirror at right angles

16 : 직각거울에 의해 좌우가 전환되어 반사되는 피사체16: The subject is reflected by the right and left mirror by the right angle mirror

21 : 직각 거울21: right angle mirror

22, 24 : 평면거울의 정면지역22, 24: frontal area of flat mirror

23 : 평면거울의 사각지역23: blind area of the flat mirror

31-1, 31-2, 31-3, 31-4 : 직각거울31-5 : 직각거울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31-6 : 직각거울간의 접합부분에 부착되어 연속적인 상이 보이도록 보완하는 거울31-1, 31-2, 31-3, 31-4: right angle mirror 31-5: structure for supporting right angle mirror 31-6: mirror attached to the junction between right angle mirrors to complement continuous image

31 : 직각거울 네 개의 십자형 조합31: four crosshairs with right angle mirror

32, 33, 35 : 평면거울의 정면32, 33, 35: front of the mirror mirror

34, 36 : 직각거울의 이중반사 영역34, 36: double reflecting area of a rectangular mirror

37, 38 : 33, 35지역을 기준으로 한 평면거울의 반사가능 영역 연장선37, 38: Reflective area extension of flat mirror based on 33, 35 area

41, 42, 43, 44 : 직각거울41, 42, 43, 44: right angle mirror

45, 46, 47, 48 : 직각거울의 사용영역45, 46, 47, 48: area of use of right angle mirrors

49 : 피사체49: subject

50 : 피사체의 이동경로51 : 41번 직각거울로 볼 수 없는 지역 경계선52 : 42번 직각거울로 볼 수 없는 지역 경계선53 : 41번 직각거울로 볼 수 없는 지역54 : 42번 직각거울로 볼 수 없는 지역50: Movement path of the subject 51: Area boundary not visible with the 41 right angle mirror 52: Area boundary not visible with the 42 right angle mirror 53: Area not visible with the right angle mirror 54: 42 right angle mirror No area

A, B, C, D : 피사체A, B, C, D: Subject

A', B', C', D' : 거울에 반사된 피사체A ', B', C ', D': Subject reflected off the mirror

L, L' : 피사체가 비춰지는 좌측면과 이를 다시 반사하는 우측 반사면L, L ': The left side where the subject is reflected and the right side reflecting it back

M, M' : 피사체가 비춰지는 우측면과 이를 다시 반사하는 좌측 반사면M, M ': The right side on which the subject is shining and the left side reflecting back

X, X' : 최초 관측자와 직각거울의 중심선X, X ': Centerline of the orthogonal mirror with the original observer

Y, Y' : X, X'에서 이동한 관측자와 직각거울의 중심선Y, Y ': Centerline of right angle mirror with observer moved from X, X'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동일한 크기의 사각거울 두 개를 이용하여 반사체간의 내각이 직각이 되도록 구성하고 거울간의 접합선이 지표면에 수직이 되도록 설치하는 직각거울의 활용방법을 도 2, 도 3 및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s a method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wo rectangular mirrors of the same size to configure the inner angle between the reflector is a right angle and the use of a right angle mirror installed so that the junction line between the mirror 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surface 2, 3 and 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직각거울(21)을 구성하였을 때 각 거울의 정면(22, 24)의 범위에서는 관측자(A, D)가 일반적인 거울을 보는 것과 동일하게 한번의 반사만이 이루어지므로 직접 반사된 형상(A', D')을 볼 수 있으며 평면거울의 정면을 벗어나는 사각지역(23) 에서는 직각거울의 이중반사에 의하여 좌우가 전환되어 보인다는 점은 이미 알려진 바와 같으나 직각거울의 이중반사에 의하여 사각지역(23)에서는 항상 관측자(B, C) 중심의 상을 보여주므로 결과적으로 직각거울의 내각에 해당하는 90도 범위내의 어디에서든지 자신(B' C')을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FIG. 2 shows the direct reflection of the reflection mirror since only one reflection is made in the range of the front surfaces 22 and 24 of each mirror when the observers A and D see the general mirror when the mirror 21 is configured. A ', D') can be seen, and in the blind spot (23) outside the front of the flat mirror, it is known that the left and right are switched by the double reflection of the rectangular mirror, but the blind spot is caused by the double reflection of the rectangular mirror. In (23), the image of the center of the observer (B, C) is always shown, and as a result, one can see himself (B 'C') anywhere within the 90 degree range corresponding to the cabinet of the rectangular mirror.

도 3은 이러한 직각거울 네 개(31-1, 31-2, 31-3, 31-4)를 각 직각거울의 이면이 다른 직각거울의 이면과 일치되도록 접합시킴으로써 십자형으로 배치하여 거울을 중심으로 수평이 되는 360도 범위내의 어느 위치에서든지 자신을 볼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디서나 자신을 볼 수 있는 거울의 사시도를 제시한 것으로 이의 구체적인 활용방법을 도 4에서 제시하기로 한다.FIG. 3 shows four square mirrors 31-1, 31-2, 31-3, and 31-4 in a cross shape by joining them so that the back surface of each right mirror is aligned with the back surface of another right mirror.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irror capable of viewing oneself, which is characterized by allowing one to see himself at any position within a 360 degree range that is horizontal.

도 4는 직각거울 네 개를 십자형으로 조합(31)하는 경우에 대한 활용방법으로 거울의 정면(32, 33, 35)에서는 기존의 평면거울과 동일한 방법으로 볼 수 있으며 평면거울의 정면범위 밖(37의 상측, 38의 좌측)인 거울의 사각지역(34) 에서는 일반적인 평면거울로는 자신을 볼 수 없는 위치에 해당하나 직각거울에서는 거울의 이중 반사에 의하여 관측자에게 항상 자신의 모습을 볼 수 있게 하며 이는 다른 평면거울 범위 밖에서도 동일하므로 거울을 중심으로 한 수평영역 어느 지점에서든지 자신을 볼 수 있다. 한편, 십자형 직각거울 결합체의 규모에 따라 직각거울 외에도 결합체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31-5)과 구조물의 돌출된 접합부분에 평면거울(31-6) 등을 추가로 구성함으로써 반사되는 형상의 연속성을 보완한다. 또한 직각거울은 십자형으로 결합된 상기의 예 뿐만 아니라 직각거울 두개를 조합한 180도 범위, 직각거울 세 개를 조합한 270도 범위 등의 부분적인 영역에 한정하여 활용할 수도 있다.4 is a method of using a combination of four rectangular mirrors in a cross shape (31) in the front (32, 33, 35) of the mirror can be seen in the same way as the existing flat mirror and outside the front range of the flat mirror ( In the rectangular area 34 of the mirror, the upper side of 37 and the left side of 38, this corresponds to the position where a normal flat mirror cannot see itself, but in a right-angle mirror it is always possible to see yourself by the double reflection of the mirror. It is the same outside the mirror plane, so you can see yourself at any point in the horizontal area around the mirror.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ross-shaped right angle mirror assembly, in addition to the right angle mirror, the continuity of the shape reflected by additionally constructing a structure 31-5 for supporting the assembly and a planar mirror 31-6 at the protruding joint portion of the structure, etc. To complement. In addition, the right angle mirror can be used not only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combined with a cross shape, but also limited to a partial region such as a 180 degree range combining two right angle mirrors and a 270 degree range combining three right angle mirrors.

한편, 도 5는 직각거울 사용의 또 다른 사용 예로써 직각거울 두 개를 관측자의 좌우 측면 전방에 배치하여 거울의 전방영역(45의 우측영역) 중 사각지역인 A, B영역을 제외한 어디에서나 자신을 볼 수 있으며 직각거울 네 개(41, 42, 43, 44)를 관측자의 전후좌우에 배치하면 각 직각거울의 내각에 해당하는 영역(45, 46, 47, 48) 내에서 직각거울과 수평인 위치 어디서나 관측자의 전후좌우를 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5 is another example of the use of a right angle mirror to place two right angle mirrors in front of the left and right side of the observer anywhere except the A, B area of the blind area of the front region (45 right region) of the mirror If four right angle mirrors (41, 42, 43, 44) are placed in front, back, left, and right of the observer, they are parallel to the right angle mirror within the area (45, 46, 47, 48) corresponding to the inside angle of each right angle mirror. You can see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of the observer from anywhere.

상술한 바와 같이 거울을 직각으로 구성하면 거울의 전면뿐만 아니라 직각거울의 내각인 90도 범위내의 어느 지점에서나 자신을 볼 수 있으므로 거울설치를 위한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각종 광고물 부착을 위한 지지용 구조물이나 알림판, 시계탑 등에 활용할 경우 시선을 집중시키면서도 거울활용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특히, 기존에 고안된 직각거울은 상의 좌우가 전환되는 유용한 특성에도 불구하고 평면거울을 대체할만한 획기적인 장점이 부각되지 않아 일상생활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았으나 어느 위치에서나 거울을 볼 수 있다는 특징을 이용하면 직각거울에 의한 시선 집중효과가 강조되므로 거울의 활용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공간의 제약에 따라서는 벽면의 모서리 부분등에 설치할 수 있는 270도형, 평면의 벽면에 설치하는 180도형, 벽면의 코너에 설치하는 90도형 등 일부의 범위만을 대상으로 하여 직각거울을 활용할 수도 있으므로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형태로 응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mirror is configured at a right angle, the mirror can be viewed at any point within the range of 90 degrees, which is the inside angle of the mirror as well as the front of the mirror, thereby minimizing the space for installing the mirror and supporting various advertisements. When used in structures, notice boards, clock towers, etc. can be an effective way to focus on the eye while using a mirror. In particular, the right angle mirror, which has been designed in the past, despite the useful characteristics of switch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mage, has not been used as a groundbreaking mirror to replace the flat mirror. Since the eye focusing effect is emphasized, the utility of the mirror can be greatly improved.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space constraints, a right angle mirror may be used for a certain range, such as 270 degrees that can be installed at the corner of the wall, 180 degrees that are installed on the flat wall, and 90 degrees that are installed at the corner of the wall. It can be applied in various forms in life.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범위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y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subject innova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may be variously modified.

Claims (4)

어떤 지점을 중심으로 수평영역 어디에서든지 자신을 볼 수 있는 구조물의 구성에 있어서In the construction of a structure that can see itself in any horizontal area around a point a)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여덟 개의 사각거울a) eight square mirrors of equal size b) 상기 사각거울을 각각 두 개의 반사면 내각이 직각이 되도록 접합하여 네 개(31-1, 31-2, 31-3, 31-4)의 직각거울로 구성b) Four squares (31-1, 31-2, 31-3, 31-4) are formed by joining the rectangular mirrors so that the two inner reflection surfaces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c) 상기 직각거울 네 개의 이면이 다른 직각거울의 이면과 일치되도록 접합시킴으로써 십자형 직각거울 결합체로 조합c) combining the four sides of the right angle mirror with the back of the other right angle mirror to form a cross right angle mirror assembly. d) 상기의 십자형으로 조합된 직각거울 결합체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31-5)d) a structure (31-5) for supporting a rectangular mirror assembly combined in the cross shape; e) 상기 십자형으로 조합된 직각거울 결합체의 돌출된 접합부분에 평면거울(31-6)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디서나 자신을 볼 수 있는 거울e) a mirror that can be seen anywhere, characterized in that to attach a flat mirror (31-6) to the protruding joint portion of the rectangular mirror assembly combined in the cross-shaped 어떤 지점을 중심으로 한 수평영역 270도 범위 내의 어느 지점에서든지 자신을 볼 수 있는 구조물의 구성에 있어서In the structure of the structure that can see itself at any point within the 270 degree of the horizontal area around any point a)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여섯 개의 사각거울a) six square mirrors of equal size b) 상기 사각거울을 각각 두 개의 반사면 내각이 직각이 되도록 접합하여 세 개(31-1, 31-2, 31-4)의 직각거울로 구성b) The rectangular mirrors are joined to each other so that the two inner reflection mirrors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reby forming three rectangular mirrors (31-1, 31-2, 31-4). c) 상기 직각거울 세 개의 이면이 다른 직각거울의 이면과 일치되도록 접합시킴으로써 십자형에서 90도 영역이 제외된 직각거울 결합체로 조합c) the three mirror mirrors are joined together to match the other mirror mirrors to form a mirror mirror assembly that excludes the 90 degree region from the cross. d) 상기의 십자형에서 90도 영역이 제외된 직각거울 결합체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31-5)d) a structure (31-5) for supporting a right-angle mirror assembly in which the 90-degree region is excluded from the cross; e) 상기의 십자형에서 90도 영역이 제외된 직각거울 결합체의 돌출된 접합부분에 평면거울(31-6)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70도 범위내의 어디서나 자신을 볼 수 있는 거울e) a mirror that can see itself anywhere within the range of 270 degree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t mirror (31-6) is attached to the protruding joint portion of the rectangular mirror assembly excluding the 90 degree region in the cross 어떤 지점을 중심으로 한 수평영역 180도 범위 내의 어느 지점에서든지 자신을 볼 수 있는 구조물의 구성에 있어서In the construction of a structure that can see itself at any point within the 180-degree range of the horizontal area around any point a)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네 개의 사각거울a) four square mirrors of equal size b) 상기 사각거울을 각각 두 개의 반사면 내각이 직각이 되도록 접합하여 두 개(31-1, 31-4)의 직각거울로 구성b) the rectangular mirrors are joined to each other so that the two inner reflection mirrors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reby forming two rectangular mirrors 31-1 and 31-4. c) 상기 직각거울 두 개의 이면이 다른 직각거울의 이면과 일치되도록 접합시킴으로써 십자형에서 180도 영역이 제외된 직각거울 결합체로 조합c) the two mirror mirrors are joined together to match the other mirror mirrors to form a mirror mirror assembly excluding 180 degrees from the cross. d) 상기의 십자형에서 180도 영역이 제외된 직각거울 결합체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31-5)d) a structure (31-5) for supporting a right-angle mirror assembly in which the 180-degree region is excluded from the cross e) 상기의 십자형에서 180도 영역이 제외된 직각거울 결합체의 돌출된 접합부분에 평면거울(31-6)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80도 범위내의 어디서나 자신을 볼 수 있는 거울e) a mirror that can see itself anywhere within the 180 degree range,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t mirror (31-6) is attached to the protruding joint portion of the rectangular mirror assembly except the 180 degree region in the cross shape. 관측자의 전후좌우의 모든 면에 거울을 부착하지 않고서도 어디서나 자신의 전후좌우를 볼 수 있는 거울의 구성에 있어서In the construction of a mirror that can see one's front, rear, left and right without attaching the mirror to all sides of the observer a)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여덟 개의 사각거울a) eight square mirrors of equal size b) 상기 사각거울을 각각 두 개의 반사면 내각이 직각이 되도록 접합하여 네 개의 직각거울로 구성b) Four square mirrors are formed by joining the square mirrors so that the two inner sides of the reflective surface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c) 상기 직각거울 네 개를 관측자가 내부에 있는 가상의 사각형을 구성하였을 때 바닥면의 각 코너 내각과 일치하도록 설치(41, 42, 43, 44)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디서나 자신의 전후좌우를 볼 수 있는 거울c) The four right angle mirrors are installed so as to coincide with each corner cabinet of the floor when the observer constructs an imaginary quadrangle therein (41, 42, 43, 44). Viewable mirror
KR20-2003-0000003U 2003-01-02 2003-01-02 A mirror to be able to read an itself wherever KR20033193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003U KR200331936Y1 (en) 2003-01-02 2003-01-02 A mirror to be able to read an itself where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003U KR200331936Y1 (en) 2003-01-02 2003-01-02 A mirror to be able to read an itself wherev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936Y1 true KR200331936Y1 (en) 2003-11-01

Family

ID=49418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003U KR200331936Y1 (en) 2003-01-02 2003-01-02 A mirror to be able to read an itself where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936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111426A1 (en) Multiple-viewing-point aerial video display element
CN101765798B (en) Multi-viewpoint aerial image display
JP2022016267A (en) Magnetic attraction type assembly structure
JPH07502838A (en) picture frame
US9910409B2 (en) Exhibition device and video picture exhibition method
KR200331936Y1 (en) A mirror to be able to read an itself wherever
KR200168537Y1 (en) Connecting structure of partition
JP2559432Y2 (en) Large display device
US2297844A (en) Optical device
JP4623362B2 (en) wall
JP3217699U (en) An easy to appreciate sword
US6144490A (en) Video display system having multiple panel screen assembly
KR101369063B1 (en) Frame structure assembly
JP7095365B2 (en) Assembled structure
CN213814447U (en) Fillet frame structure and intelligent mirror of intelligence mirror
JP6793100B2 (en) Projection device
JP2007313151A (en) Combination mirror type tool for appreciating bottom surface of exhibit
JP3224295U (en) Showcase
KR20230127492A (en) Structure for exhibit based on augmented reality
KR200411598Y1 (en) The structure of a mirror to show the front side and back side in the fitting room
USD947981S1 (en) Rangefinder display screen
JP6904032B2 (en) Partition plate connection structure in partition, joint material
JP2984553B2 (en) Video display device
JP2010084469A (en) Lighting glass
JP2709903B2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