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374Y1 - 공기정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정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374Y1
KR200331374Y1 KR2019980012075U KR19980012075U KR200331374Y1 KR 200331374 Y1 KR200331374 Y1 KR 200331374Y1 KR 2019980012075 U KR2019980012075 U KR 2019980012075U KR 19980012075 U KR19980012075 U KR 19980012075U KR 200331374 Y1 KR200331374 Y1 KR 2003313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suction
fa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20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2311U (ko
Inventor
이성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20199800120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374Y1/ko
Publication of KR200000023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3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3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3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4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5/00 and B01D4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01D45/1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generated by rotating vanes, discs, drums or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30Means for generating a circulation of a fluid in a filtration system, e.g. using a pump or a fa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정화기의 정화능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유지에 필요한 단가를 절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구동되며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공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과 모터, 상기 팬과 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 통로를 이루는 제 1 흡입구와, 상기 제 1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중의 오물을 1차적으로 걸러주기 위해 케이스의 하부에 채워져 있는 물과, 상기 물에 의해 1차적으로 걸러진 공기가 상기 팬과 모터의 지속적인 회전에 의해 부유하는 기액상태의 액체방울을 유입시켜 신선한 공기와 오염물질이 함유된 액체로 각각 분리시키는 수공원심 분리기와, 상기 수공원심 분리기에 관통되며 액체방울이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 2 흡입구와, 상기 수공원심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오염물질이 함유된 액체가 그 내측 벽면을 따라 유수되어 다시 모이는 저장조와, 상기 수공원심 분리기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수공원심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공기가 토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토출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정화기
본 고안은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정화기의 정화능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유지에 필요한 단가를 절감하기 위한 공기정화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공기정화기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가 구동되며 발생되는 회전에 의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2)과, 상기 팬(2)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인 흡입그릴(3)과 흡입된 공기가 외부로 다시 토출되는 통로인 토출그릴(4)과, 상기 흡입그릴(3)측과 상기 토출그릴(4)측에 배치되며 흡입 및 토출되는 공기 중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걸러주는 제 1,2 필터(5)(6)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전원이 공급되면 모터(1)가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도면표현을 생략한 모터의 축에 연결된 팬(2)이 상기 모터(1)와 같이 회전하면서 공기정화기에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흡입력에 의해 외부 공기가 흡입그릴(3)을 통해 공기정화기 내부로 유입되고, 제 1 필터(5)를 통과하면서 흡입공기 중의 오염물질이 거의 대부분 걸러지게 되며, 그와 같이 걸러진 공기는 팬(2)을 경유한 후 상기 토출그릴(4)측으로 유동하면서 제 2 필터(6)를 지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 2 필터(6)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에 함유된 걸러지지 않은 나머지 오염물질은 제 2 필터(6)에 의해 걸려진 신선한 상태의 공기가 되고, 이 신선한 공기가 토출그릴(4)을 통해 공기 정화기의 외부로 토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공기정화기는 미세한 먼지입자를 걸러 내려면필터내의 공기통과구멍이 필터링 하려는 먼지입자보다 작아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저항이 커지게 되고, 필터가 먼지입자로 인해 막히게 되면 시스템 저항이 더욱 커져 흡입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필터링 성능이 시간에 따라 점점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주기적으로 필터를 교체해야 되며, 이에 따라 유지비용이 증가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공기정화기의 정화능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유지비용을 절감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공기정화기로서,
(가)는 사시도.
(나)는 내부 구성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공기정화기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모터 102 : 팬
103 : 제 1 흡입구 104 : 물
105 : 수공원심분리기 106 : 제 2 흡입구
107 : 저장조 108 : 토출구
109 : 케이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구동되며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공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과 모터, 상기 팬과 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 통로를 이루는 제 1 흡입구와, 상기 제 1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 중의 오물을 1차적으로 걸러주기 위해 케이스의 하부에 채워져 있는 물과, 상기 물에 의해 1차적으로 걸러진 공기가 상기 팬과 모터의 지속적인 회전에 의해 부유하는 기액상태의 액체방울을 유입시켜 신선한 공기와 오염물질이 함유된 액체로 각각 분리시키는 수공원심 분리기와, 상기 수공원심 분리기에 관통되며 액체방울이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 2 흡입구와, 상기 수공원심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오염물질이 함유된 액체가 그 내측 벽면을 따라 유수되어 다시 모이는 저장조와, 상기 수공원심 분리기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수공원심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공기가 토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토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흡입구는 출구측 끝단부가 물의 내부에 잠겨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장조는 상기 케이스에 담겨진 물과 상기 수공원심분리기로부터 유수된 물이 혼합될 수 있도록 관통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공기정화기의 대략적인 구성도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정화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09)의 상방에는 회전력에 의해 공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102)과 모터(101)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09)의 일측에는 상기 팬(102)과 모터(101)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 통로를 형성하는 제 1 흡입구(103)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09)의 내부에는 물(104)이 담겨지고 이 물은 상기 제 1 흡입구(106)를 통해 흡입된 공기 중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공기 거름수단의 기능을 한다.
상기 케이스(109)의 내측에는 케이스(109)에 담겨진 물(104)에 의해 1차적으로 걸러진 공기가 상기 팬(102)과 모터(101)의 지속적인 회전에 의해 부유하고, 기체와 액체상태, 즉 기액상태의 액체방울을 유입시켜 신선한 공기와 오염물질이 함유된 액체로 각각 분리시키는 수공원심 분리기(105)가 장착된다.
상기 수공원심 분리기(105)에는 액체방울이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 2 흡입구(106)가 관통된다.
상기 수공원심 분리기(105)는 상기 케이스(109)의 내측과 구분되는 별도의 공간으로 격리되지 않고, 수공원심 분리기(105)에 의해 분리된 오염물질이 함유된액체가 그 내측 벽면을 따라 유수되어 다시 모이는 저장조와, 상기 수공원심 분리기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케이스(109)의 내측에 담겨진 물(104)과 혼합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된다.
한편, 상기 수공원심 분리기(105)의 상측에는 수공원심 분리기(105)에 의해 분리된 공기가 토출되는 기능을 하는 토출구(108)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흡입구(103)는 출구측 끝단부가 물의 내부에 잠겨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장조(107)는 상기 케이스(109)에 담겨진 물과 상기 수공원심 분리기(105)로부터 유수된 물이 혼합될 수 있도록 관통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되어 모터(101)가 회전하게 되면 모터(101)의 축에 연결된 팬(102)이 모터(101)와 같이 회전하면서 공기정화기에 흡입력을 발생시켜 외부 공기가 제 1 흡입구(103)를 통해 공기정화기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 1 흡입구(103)의 출구측 끝단부가 물(104)의 내부에 담겨져 있으므로 외부 공기가 전량 물(104)과 접촉되어 흡입 공기 중의 오물이 대부분 물(104)에 의해 걸러지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팬(102)의 계속된 회전에 의해 케이스(109)의 하부에 소용돌이 현상이 발생되어 흡입공기가 이 소용돌이 현상에 의해 물(104)과 혼합, 물방울로 변한 상태로 물(104)의 상방향으로 부유하게 된다.
이 물방울은 팬(102)의 계속된 회전에 의해 팬(102)측으로 유동하다가 제 2 흡입구(106)를 통해 수공원심분리기(105)로 유입되며, 상기 수공원심분리기(105)로유입된 물방울은 수공원심분리기의 내부 측벽면을 따라 선회 하강하면서 신선한 공기와 오염물질이 내재된 물(104)로 분리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수공원심분리기(105)에 의해 분리된 신선한 공기는 토출구(108)와 팬(102)을 지나 공기정화기의 외부로 토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며, 오염물질을 내재한 물은 수공원심분리기(105)의 측벽에 점착된 후 이를 타고 내려와 저장조(107)에 모이게 된다.
이때, 상기 저장조(107)는 물이 채워져 있는 케이스(109)의 하부와 통해 있으므로 저장조(107)에 모인 물(104)은 케이스(109) 하부에 채워져 있는 물(104)과 혼합되어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필터로 물과 수공원심분리기를 이용함으로써 공기정화 성능이 크게 향상됨은 물론 장시간 사용시에도 필터의 성능이 저하되지 않게 되며, 필터를 교환할 때에도 물만 갈아주면 되므로 유지비용이 현저히 절감된다. 또한, 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만 있으면 되므로 필터의 설치공간에 대한 제약을 받지 않게 되어 공기정화기의 소형화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구동되며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공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과 모터,
    상기 팬과 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 통로를 이루는 제 1 흡입구와,
    상기 제 1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 중의 오물을 1차적으로 걸러주기 위해 케이스의 하부에 채워져 있는 물과,
    상기 물에 의해 1차적으로 걸러진 공기가 상기 팬과 모터의 지속적인 회전에 의해 부유하는 기액상태의 액체방울을 유입시켜 신선한 공기와 오염물질이 함유된 액체로 각각 분리시키는 수공원심 분리기와,
    상기 수공원심 분리기에 관통되며 액체방울이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 2 흡입구와,
    상기 수공원심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오염물질이 함유된 액체가 그 내측 벽면을 따라 유수되어 다시 모이는 저장조와,
    상기 수공원심 분리기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수공원심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공기가 토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토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흡입구는 출구측 끝단부가 물의 내부에 잠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는 상기 케이스에 담겨진 물과 상기 수공원심 분리기로부터 유수된 물이 혼합될 수 있도록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KR2019980012075U 1998-07-02 1998-07-02 공기정화기 KR2003313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075U KR200331374Y1 (ko) 1998-07-02 1998-07-02 공기정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075U KR200331374Y1 (ko) 1998-07-02 1998-07-02 공기정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311U KR20000002311U (ko) 2000-02-07
KR200331374Y1 true KR200331374Y1 (ko) 2004-02-11

Family

ID=49418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075U KR200331374Y1 (ko) 1998-07-02 1998-07-02 공기정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37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53563B (zh) * 2022-08-31 2023-09-26 宋福臣 一种供电站内部粉尘处理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311U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05825A1 (en) Method & apparatus for cleaning a gas
US20060102000A1 (en) Wet type air cleaner
CA1336268C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and liquids from an effluent stream
WO2006054849A2 (en) Wet type air cleaner
US20060102001A1 (en) Wet type air cleaner
KR102191152B1 (ko) 먼지 저감 장치
EP1819418A2 (en) Wet type air cleaner
KR20060055006A (ko) 습식 공기청정기의 수조
KR102143207B1 (ko) 습식 공기 청정기
KR20200001819U (ko) 습식 공기정화장치
KR200309268Y1 (ko) 물세척 공기정화기
KR200331374Y1 (ko) 공기정화기
CN2631615Y (zh) 空气过滤器
CN215517026U (zh) 餐饮除臭油水分离器
CN213266045U (zh) 一种连续式一体化净水设备
KR101542876B1 (ko) 습식형 가습 공기청정기
KR0144749B1 (ko) 물 분사식 공기 청정기
KR890004043Y1 (ko) 분진제거 및 탈취장치
JP3755099B2 (ja) ろ過装置
KR100640724B1 (ko) 흡입형 습식 공기 청정기
CN214528361U (zh) 一种油水分离器
KR100643888B1 (ko) 습식 음이온 발생장치가 구비된 공기청정기
KR100274536B1 (ko) 역세척 기능이 구비된 자흡식 여과장치 및 여과방법
KR100640729B1 (ko) 습식 공기청정기용 정화장치
JPH09267014A (ja) 空気清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