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192Y1 - 진공청소기의 필터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필터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192Y1
KR200331192Y1 KR20-2003-0023848U KR20030023848U KR200331192Y1 KR 200331192 Y1 KR200331192 Y1 KR 200331192Y1 KR 20030023848 U KR20030023848 U KR 20030023848U KR 200331192 Y1 KR200331192 Y1 KR 2003311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vacuum cleaner
assembly
support
pro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38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병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남
Priority to KR20-2003-00238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1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1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1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7Dry filters tube- or sleeve-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물을 걸러내는 필터를 보호하는 필터보호체가 구비된 진공청소기의 필터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필터어셈블리는, 청소기 내부로 흡입되는 이물을 필터링하여 걸러내는 필터(432)와, 상기 필터(432)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434)과, 상기 필터(432)의 외측에 형성되어 필터(432)로 유입되는 이물을 일차적으로 걸러내는 필터보호체(43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필터보호체(436)는 오물이 집진되는 집진케이싱(410)의 상면을 차폐하는 케이싱커버(420)에 장착된다. 한편, 상기 필터보호체(436)의 상단테두리(436b)에는 장착홀(438)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커버(420)의 저면에는 상기 장착홀(438)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장착돌기(424)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홀(438)은 상기 장착돌기(424)의 머리부(424")가 관통하는 관통부(438')와, 상기 관통부(438')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고정부(438")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필터어셈블리에 의하면, 필터가 보호되고 청소기의 흡인력이 지속적으로 유지 가능하므로 진공청소기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필터어셈블리 { A filter assembly of vacuum cleaner }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물을 걸러내는 필터를 보호하는 필터보호체가 구비된 진공청소기의 필터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진공청소기는 일반 가정에 많이 보급되어 있고, 특히 양탄자나 쇼파 청소의 필요성으로 그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며, 크게 흡입구인 노즐부가 본체와는 별도로 구비되어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는 캐니스터 방식(Canister type)과, 노즐부가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업라이트 방식(Upright type)으로 대별할 수 있다.
진공청소기의 필터어셈블리는 모든 청소기에 장착되는 것이지만,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에 구비되는 필터어셈블리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에는 종래의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일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종래의 필터어셈블리가 채용된 집진케이싱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크게 외부로부터 먼지등의 오물을 흡입하는 노즐부(10)와, 상기 노즐부(10)의 상단에 연결설치되는 바디어셈블리(20)와, 상기 바디어셈블리(2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디어셈블리(50)로 구성된다.
상기 노즐부(10)의 하면과 내부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내부로 먼지등의 이물이 흡입되는 흡입구와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유체 및 이물질을 집중시킬 수 있는 흡입노즐, 그리고, 노즐부(1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다수개의 바퀴 등이 설치된다.
상기 노즐부(10)의 상부에 힌지결합되는 바디어셈블리(20)는 아래에서 설명할 핸디어셈블리(50)가 장착되는 몸체부(22)와, 상기 몸체부(22)의 상단에 상방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스틱부(26)로 구성되며, 이러한 스틱부(26)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파이프(27)와, 상기 파이프(27)의 상단에 형성되는 손잡이(28)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어셈블리(20)의 몸체부(22)에는 핸디어셈블리(50)가 안착된다. 상기 핸디어셈블리(50)는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먼지등의 이물이 쌓이는 집진케이싱(60)과, 상기 집진케이싱(60)이 안착되는 핸디본체(80)로 구성된다.
상기 노즐부(10) 하면의 흡입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의 먼지등의 오물은 상기 집진케이싱(60)의 내부로 흡입된 다음, 상기 바디어셈블리(20)의 몸체부(22)에 내장되어 있는 흡입펌프(도시되지 않음)의 흡인력에 의해 상방으로 유동된 후 측면으로 배기된다.
한편, 상기 집진케이싱(60)의 상면은 커버(62)에 의해 차폐되며, 이러한 커버(62)의 중앙부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홀(62')이 형성되고, 이러한 관통홀(62')의 하부에 필터조립체(70)가 장착된다.
상기 필터조립체(70)는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이물이 상기 핸디본체(80)의 흡입펌프(도시되지 않음)로 흡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촘촘한 매쉬망으로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필터(72)와 상기 필터(72)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74)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72)의 측방으로부터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방으로 빠져나가 상기 커버(62)의 관통홀(62')을 통해 상기 핸디본체(80)의 내부로 유입된 다음, 핸디본체(80)의 측면에 형성된 배기구(82)로 토출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내부에는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을 필터링하는 필터어셈블리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필터어셈블리는 매쉬망 형태의 필터(72)와 이러한 필터(72)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74)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이물이 상기 필터(72)에 바로 닿게 되므로, 크기가 큰 이물이 상기 필터(72)에 부착되면, 필터(72)의 매쉬망이 막혀 흡인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진공청소기는 흡인력이 급격히 저하되면, 상기 몸체부(22)에 내장되는 흡입펌프가 과열되어 파손되기도 하며, 소비자의 진공청소기에 대한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도 야기된다.
뿐만 아니라, 금속재 등의 견고한 이물이 청소기 내부로 흡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필터(72)가 찢어져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큰 이물을 걸러내어 필터의 막힘을 방지하는 필터보호체가 구비된 진공청소기의 필터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견고한 이물에 의해 필터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는 진공청소기의 필터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필터어셈블리가 도시된 집진통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진공청소기 필터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진공청소기 필터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집진케이싱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진공청소기 필터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케이싱커버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필터어셈블리가 케이싱커버의 저면으로부터 탈거되는 상태를 보인 저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필터어셈블리가 케이싱커버의 저면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저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0. 노즐부 312. 바퀴
350. 바디어셈블리 360. 몸체부
362. 핸디안착부 364. 핸디고정턱
366. 핸디고정후크 366'. 누름버튼
366". 고정돌기 370. 스틱부
372. 파이프 374. 손잡이
400. 핸디어셈블리 410. 집진케이싱
420. 케이싱커버 422. 관통홀
424.장착돌기 430. 필터어셈블리
432. 필터 434. 지지프레임
436. 필터보호체 438. 장착홀
440. 집진케이싱손잡이 442. 체결레바
442'. 돌출리브 442". 안내리브
450. 핸디본체 452. 집진케이싱안착부
454. 흡입통로부 454'. 흡입공
456. 공기관통홀 458. 배기구
460. 핸디손잡이 462. 작동버튼
464. 멜빵걸이부 466. 리브홈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필터어셈블리는, 청소기 내부로 흡입되는 이물을 필터링하여 걸러내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필터의 외측에 형성되어 필터로 유입되는 이물을 일차적으로 걸러내는 필터보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원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필터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단지지부와, 상기 필터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단지지부와, 상기 하단지지부와 상단지지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보호체는, 상기 필터의 측면과 하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오물이 집진되는 집진케이싱의 상면을 차폐하는 케이싱커버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보호체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에 구비되는 원판 형상의 하단면과, 상기 케이싱커버에 결합되는 상단테두리와, 상기 하단면과 상단테두리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필터보호체의 상단테두리에는 장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커버의 저면에는 상기 장착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장착돌기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장착돌기는, 상기 케이싱커버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형성되고, 지지부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머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홀은, 상기 장착돌기의 머리부가 관통하는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장착돌기의 지지부는 관통되고 머리부는 관통되지 않는 직경을 가지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관통부와 고정부는연통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머리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단 일측면에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필터어셈블리에 의하면, 필터가 보호되고 청소기의 흡인력이 지속적으로 유지 가능하므로 진공청소기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일예를 구성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고안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필터어셈블리가 채용된 집진케이싱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는 케이싱커버의 저면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6과 도 7에는 본 고안에 의한 진공청소기 필터어셈블리의 요부구성인 필터보호체가 케이싱커버의 저면에 착탈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크게 외부로부터 먼지등의 오물을 흡입하는 노즐부(310)와, 상기 노즐부(310)의 상단에 연결설치되는 바디어셈블리(350)와, 상기 바디어셈블리(35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디어셈블리(400)로 구성되는데, 상기 노즐부(310)의 하단부가 상기 스팀본체(200)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이다.
상기 노즐부(310)의 하면과 내부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내부로 먼지등의이물이 흡입되는 흡입구와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유체 및 이물질을 집중시킬 수 있는 흡입노즐, 그리고, 노즐부(31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다수개의 바퀴(312) 등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노즐부(310)의 후단은 상기 바디어셈블리(350)의 하단과 힌지결합되는데, 이처럼 힌지결합되는 연결부(도시되지 않음)가 선택적으로 고정되게 하는 고정레바(314)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레바(314)를 상측으로 올리면 상기 연결부가 고정되어 상기 바디어셈블리(350)는 상기 노즐부(310)의 상부에 직립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고정레바(314)를 하측으로 내리면 상기 연결부가 회동하여 상기 바디어셈블리(350)가 후방으로 기울어지므로 청소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노즐부(310)의 상부에 힌지결합되는 바디어셈블리(350)는 아래에서 설명할 핸디어셈블리(400)가 장착되는 몸체부(360)와, 상기 몸체부(360)의 상단에 상방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스틱부(37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360)의 전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핸디어셈블리(400)의 후단이 안착되는 핸디안착부(362)가 후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핸디안착부(362)의 하단에는 상기 노즐부(310)의 흡입구와 연통되는 먼지흡입홀(도시되지 않음)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먼지흡입홀의 상단 테두리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핸디고정턱(364)이 형성된다.
상기 핸디고정턱(364)은 원통형으로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핸디어셈블리(400)의 하단이 상기 몸체부(360)에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몸체부(360)의 상단부에는 핸디어셈블리(400)의 상단이 상기몸체부(360)에 고정되게 하는 핸디고정후크(366)가 구비된다.
상기 핸디고정후크(366)의 누름버튼(366')은 상기 몸체부(360)의 상단면에 구비되고, 상기 핸디고정후크(366)의 고정돌기(366")는 상기 핸디안착부(362)의 상단면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핸디고정후크(366)의 누름버튼(366')을 하방으로 누르면 상기 고정돌기(366")가 상방으로 올라가게 되어 핸디어셈블리(400)의 상단이 상기 몸체부(360)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몸체부(360)의 상측에 구비되는 스틱부(37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파이프(372)와, 상기 파이프(372)의 상단에 형성되는 손잡이(374)로 구성된다. 상기 파이프(372)는 작업자가 청소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적절한 길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파이프(372)의 일단에는 길이조절부(372')가 구비된다. 즉, 상기 파이프(372)는 다단식으로 구성되는 텔레스코픽 파이프(telescopic pipe)로 구성되어, 상기 길이조절부(372')를 한손으로 잡고 다른 손으로 상기 파이프(372)의 상단을 잡은 채 당기거나 밀면 상기 파이프(372)가 상기 길이조절부(372')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밀려나와 상기 파이프(372)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 바디어셈블리(350)의 몸체부(360)에 형성되는 핸디안착부(362)에는 핸디어셈블리(400)가 안착된다. 상기 핸디어셈블리(400)는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먼지등의 이물이 쌓이는 집진케이싱(410)과, 상기 집진케이싱(410)이 안착되는 핸디본체(450)로 구성된다.
상기 집진케이싱(410)의 후면에는 핸디본체(450)에 형성되는 흡입공(454')의내부와 연통되는 관통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관통공을 통해 상기 노즐부(310) 하면의 흡입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의 먼지등이 상기 집진케이싱(410) 내부로 흡입된다.
한편, 상기 집진케이싱(410)의 상면은 케이싱커버(420)에 의해 차폐되며, 이러한 케이싱커버(420)의 중앙부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홀(422))이 형성되고, 이러한 관통홀(422)의 하부에 필터어셈블리(430)가 장착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430)는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이물이 아래에서 설명할 핸디본체(450)의 흡입펌프(도시되지 않음)로 흡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우 촘촘한 매쉬망으로 이루어지고 섬유재 또는 금속재 등의 재질로 구성되어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을 필터링하는 원통형상의 필터(432)와, 상기 필터(432)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434) 그리고, 상기 필터(432)와 지지프레임(434)의 외측에 형성되는 필터보호체(436)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보호체(436)의 측방으로부터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필터(432)를 통과하여 필터어셈블리(430)의 중앙부로 유입된 다음, 상방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케이싱커버(420)의 관통홀(422)을 통해 상기 핸디본체(450)의 내부로 유입된 다음, 핸디본체(450)의 측면에 형성된 배기구(458)로 토출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프레임(434)은 원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원통형상의 상기 필터(432)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단지지부(434a)와, 상기 필터(432)의 상단을 지지하는 링(ring)형상의 상단지지부(434b) 그리고, 상기 하단지지부(434a)와 상단지지부(434b)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부(434c)를 포함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 필터보호체(436)는 상기 지지프레임(434)의 하단지지부(434a)와 대응되는 원판 형상의 하단면(436a)과, 상기 케이싱커버(420)에 결합되는 상단테두리(436b)와, 상기 하단면(436a)과 상단테두리(436b)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리브(436c)로 구성된다.
상기 상단테두리(436b)는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상단테두리(436b)의 내주면에 상기 연결리브(436c)의 상단이 고정된다. 한편, 상기 상단테두리(436b)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케이싱커버(420)의 저면에 형성되는 장착돌기(424)가 체결되는 장착홀(438)이 서로 마주보도록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장착홀(438)은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장착돌기(424)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관통부(438')와, 상기 관통부(438')의 일측에 관통부(438')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고 관통부(438')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장착돌기(424)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438")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케이싱커버(420)의 저면에는 상기 장착홀(438)의 고정부(438")에 걸어져 장착되는 장착돌기(424)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장착돌기(424)는 하방으로 소정길이로 돌출된 지지부(424')와, 상기 지지부(424')의 하단에 지지부(424')보다는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머리부(424")로 구성된다.
즉, 상기 장착돌기(424)의 지지부(424')는 상기 필터보호체(436) 장착홀(438)의 고정부(438")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나, 머리부(424")는 상기 고정부(438")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져 상기 장착돌기(424)가 상기 장착홀(438)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머리부(424")는 상기 지지부(424')의 일측면 단부에만 형성된다. 즉, 상기 머리부(424")는 상기 지지부(424')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이러한 머리부(424")는 상기 필터보호체(436)가 케이싱커버(420)에 장착될 때 상기 장착홀(438)의 고정부(438")측 방향의 지지부(424') 단부에만 형성된다.
이는 상기 머리부(424")는 상기 장착돌기(424)가 상기 장착홀(438)의 고정부(438")에 수용되었을 경우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므로, 고정부(438")측 외의 반대편는 형성될 필요가 없는 것이며, 오히려 반대편에도 머리부(424")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 장착돌기(424)를 장착홀(438)의 관통부(438')로 빼내어 필터보호체(436)를 하방으로 탈거시키고자 할 때 상기 머리부(424")에 의해 필터보호체(436)의 탈거가 방해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므로 일측에만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필터보호체(436)는 상기 필터(432)가 원주면에 결합된 지지프레임(434)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따라서 상기 필터보호체(436)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필터(432) 및 지지프레임(434)이 안착되며, 상기 필터보호체(436)가 상기 케이싱커버(420)의 저면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필터어셈블리(430)가 상기 케이싱커버(420)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집진케이싱(410)의 전면에는 집진케이싱손잡이(44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케이싱손잡이(440)의 전면에는 체결레바(442)가 설치된다. 상기 체결레바(442)는 상단의 힌지를 축으로 하단부가 전방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상단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리브(442')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돌출리브(442')가 아래에서 설명할 상기 핸디본체(450)의 집진케이싱안착부(452) 상단에 형성되는 리브홈(466)에 삽입되면 상기 집진케이싱(410)이 핸디본체(45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체결레바(442)의 전면 상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안내리브(442")가 더 형성되어 사용자가 엄지손가락으로 상기 체결레바(442)의 전방 회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핸디본체(450)의 전면에는 상기 집진케이싱(410)이 안착되는 집진케이싱안착부(452)가 후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집진케이싱(410)의 후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상기 핸디본체(450)의 상측 내부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펌프(도시되지 않음)가 내장된다.
상기 집진케이싱안착부(452)의 후면 중앙부에는 하부로부터 공기와 이물이 흡입되는 흡입통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흡입통로부(454)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흡입통로부(454)는 상하로 소정 길이로 형성되며, 이러한 흡입통로부(454)의 상단부에는 상기 집진케이싱(410)의 후면에 형성되는 관통공(도시되지 않음)과 접하여 흡입공기와 오물이 집진케이싱(410)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흡입공(454')이 형성된다. 상기 집진케이싱안착부(452)의 상면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43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흡입펌프로 흡입되는 공기관통홀(456)이 더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핸디본체(450)의 상측부 양쪽 측면에는 다수의 배기구(458)가 형성되며, 이러한 배기구(458)를 통해 외부로부터 청소기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집진케이싱(410)과 흡입펌프를 거친 후, 다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핸디본체(450)의 상측 전면에는 핸디손잡이(460)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핸디손잡이(460)는 상기 핸디어셈블리(400)가 상기 바디어셈블리(350)에 용이하게 탈착되도록 하는 한편, 사용자가 상기 핸디어셈블리(400)만을 분리하여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핸디손잡이(460)의 전면에는 상기 핸디어셈블리(400)의 내부에 내장된 흡입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버튼(462)이 설치되며, 상기 핸디본체(450)의 상단에는 멜빵걸이부(464)가 더 형성된다. 상기 멜빵걸이부(464)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핸디어셈블리(400)를 사용자가 어깨에 메고 청소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멜빵이 걸어진다. 한편, 상기 핸디손잡이(460)의 하면에는 상기 집진케이싱손잡이(440)의 돌출리브(442')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리브홈(46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핸디본체(450)의 상단부에는 상기 바디어셈블리(350)의 핸디안착부(362) 상면에 돌출되게 구비된 고정돌기(366")가 삽입되는 돌기수용홈(도시되지 않음)이 더 성형되어 상기 핸디어셈블리(400)의 상단부 착탈을 제어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필터어셈블리의 작용을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일반적인 사용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상기 핸디어셈블리(400)의 작동버튼(462)을 조작하여 청소기를 가동시키면, 상기 핸디본체(450)의 흡입펌프(도시되지 않음)가 작동하여 상기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노즐부(310)를 통하여 외부의 이물을 흡입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노즐부(310)의 후단에 구비되어 있는 고정레바(314)를 하방으로 내려 상기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몸체부(360)가 상기 노즐부(310)와 직립된 상태에서 해제하여 후방으로 소정의 각도로 눕힌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가 후방으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374)를 한손으로 잡고 실내를 이동하면서 청소를 하고, 이때 상기 노즐부(310)의 하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바퀴(312)가 회전되므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구석진 장소나 바닥면이 아닌 상대적으로 높은 곳의 청소를 위해서는 상기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핸디어셈블리(400)만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바디어셈블리(350)의 누름버튼(366')을 하방으로 눌러 상기 핸디어셈블리(400)의 상단부가 바디어셈블리(350)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기울이면서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핸디어셈블리(400)가 탈거된다.
그런다음, 상기 핸디어셈블리(400)의 상단부에 형성된 멜빵걸이부(464)에 멜빵(도시되지 않음)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핸디어셈블리(400)의 핸디본체(450) 하단의 흡입구(도시되지 않음)에 별도의 구조물인 연결호스가 구비된 흡입노즐(도시되지 않음)을 장착한다.
그리고는 멜빵을 사용자의 어깨에 걸친 후, 상기 핸디손잡이(460)에 형성되어 있는 작동버튼(462)을 조작하여 청소기를 작동시킨다. 이렇게 되면, 상기 흡입노즐(600)의 선단부를 통해 이물이 흡입되어 상기 집진케이싱(410)에 쌓이게 되는것이다. 이처럼 상기 핸디어셈블리(400)만을 분리하여 사용하게 되면, 구석진 곳이나 상대적으로 높은 곳의 부분적인 공간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는 본 고안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필터어셈블리의 작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우선, 상기 필터보호체(436)를 상기 케이싱커버(420) 저면에 장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필터(432)를 상기 필터보호체(436)의 내부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필터(432)의 하단지지부(434a)가 상기 필터보호체(436)의 하단면(436a)에 접하도록 안착한다.
그런 다음, 상기 필터보호체(436)를 상기 케이싱커버(420)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 필터보호체(436)의 장착홀(438) 관통부(438')가 상기 케이싱커버(420)의 장착돌기(424) 하부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필터보호체(436)를 상방으로 올려 필터보호체(436)의 상단테두리(436b) 상면과 케이싱커버(420)의 하면을 밀착시킨다.
이렇게 되면, 도 6과 같은 상태가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필터보호체(436)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장착홀(438)의 관통부(438')에 위치되어 있던 상기 장착돌기(424)가 고정부(438")로 이동하여 체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장착돌기(424)가 상기 고정부(438")에 위치하면, 도 7과 같이 상기 장착돌기(424)의 머리부(424")가 상기 고정부(438") 테두리에 걸어져 필터보호체(436)의 탈거가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필터어셈블리(430)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케이싱커버(420)를상기 집진케이싱(410)에 안착시키고, 상기 케이싱커버(420)는 상기 핸디본체(450)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청소기를 가동하게 되면 외부의 오물이 상기 필터어셈블리(430)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즉,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와 오물은 상기 집진케이싱(410)의 내부로 유입된 다음, 상기 필터보호체(436)의 연결리브(436c)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내부로 들어가면서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이물이 연결리브(436c)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리브(436c) 틈새를 통과한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이물은 상기 필터보호체(436)를 통과한 다음 상기 필터(432)에 의해 필터링된다. 따라서, 이물이 걸러진 공기만이 상기 필터어셈블리(430)의 중앙부에 모인 다음, 상기 케이싱커버(420)의 관통홀(422)을 통과하여 상기 핸디본체(450)의 내부로 유입된 다음 상기 배기구(458)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장착된 필터보호체(436)를 분해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7과 같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보호체(436)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장착홀(438)의 고정부(438")에 위치되어 있던 상기 장착돌기(424)가 장착홀(438)의 관통부(438')로 이동하여 도 6과 같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때 상기 필터보호체(436)를 들어올리면(도 6에서 볼때) 필터보호체(436)의 장착돌기(424)가 상기 장착홀(438)의 관통부(438')를 통과하게 되므로, 상기 필터보호체(436)가 상기 케이싱커버(420)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에 구비되는 필터어셈블리에 이물을 필터링하는 필터와, 필터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외에 필터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이물을 걸러내는 필터보호체를 더 구비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필터어셈블리에 의하면 크기가 큰 이물은 필터에 닿기전에 먼저 필터보호체에 의해 필터링되므로 필터에 형성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미세한 구멍이 크기가 큰 이물에 의해 완전히 차폐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진공청소기의 흡인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종래의 구성에서는 크기가 큰 이물에 의해 필터가 덮혀지면 공기가 필터를 통과하지 못하여 흡입펌프가 과열되어 파손되거나, 진공청소기의 흡인력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에 의하면 이러한 문제점이 해결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진공청소기의 노즐부를 통해 흡입되는 이물 중에는 비교적 딱딱한 이물이 흡입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견고한 이물이 필터에 닿게되면, 필터가 찢어지는 등 파손이 일어나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견고한 이물을 필터보호체가 일차적으로 걸러주므로 필터의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청소기 내부로 흡입되는 이물을 필터링하여 걸러내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필터의 외측에 형성되어 필터로 유입되는 이물을 일차적으로 걸러내는 필터보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필터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원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필터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단지지부와, 상기 필터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단지지부와, 상기 하단지지부와 상단지지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필터어셈블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보호체는, 상기 필터의 측면과 하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오물이 집진되는 집진케이싱의 상면을 차폐하는 케이싱커버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필터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보호체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에 구비되는 원판 형상의 하단면과, 상기 케이싱커버에 결합되는 상단테두리와, 상기 하단면과 상단테두리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필터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필터보호체의 상단테두리에는 장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커버의 저면에는 상기 장착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장착돌기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필터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돌기는,
    상기 케이싱커버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형성되고, 지지부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머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필터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홀은, 상기 장착돌기의 머리부가 관통하는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장착돌기의 지지부는 관통되고 머리부는 관통되지 않는 직경을 가지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관통부와 고정부는 연통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필터어셈블리.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단 일측면에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필터어셈블리.
KR20-2003-0023848U 2003-07-24 2003-07-24 진공청소기의 필터어셈블리 KR2003311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848U KR200331192Y1 (ko) 2003-07-24 2003-07-24 진공청소기의 필터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848U KR200331192Y1 (ko) 2003-07-24 2003-07-24 진공청소기의 필터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192Y1 true KR200331192Y1 (ko) 2003-10-22

Family

ID=49417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848U KR200331192Y1 (ko) 2003-07-24 2003-07-24 진공청소기의 필터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1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277B1 (ko) 2007-02-06 2008-05-07 주식회사 에이스침대 쿠션시트를 이용한 침대매트리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277B1 (ko) 2007-02-06 2008-05-07 주식회사 에이스침대 쿠션시트를 이용한 침대매트리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4438B2 (en) Dust collecting container for vacuum cleaner
KR100936065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JP4981669B2 (ja) 家庭用機器
US20100306955A1 (en) Filter Cleaning System for a Vacuum Cleaner
KR20060112420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JP2009504309A (ja) キャニスタ型に転換可能なアップライト型掃除機
AU5394301A (en) Vacuum cleaner filter assembly
JP2009504306A (ja) キャニスタ型に転換可能なアップライト型掃除機の本体装着構造
CA2346173A1 (en) Vacuum cleaner
KR20100063754A (ko) 전기 청소기
JP3967707B2 (ja) 集塵袋を有しない電気掃除機
AU2016340619A1 (en)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US7076831B1 (en) Device for exhausting in vacuum cleaner
US7462210B2 (en) Dust collecting unit for vacuum cleaner
GB2372436A (en) A domestic vacuum appliance
KR100414808B1 (ko) 전기청소기
KR200331192Y1 (ko) 진공청소기의 필터어셈블리
JP2011250833A (ja) サイクロン分離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2008272020A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KR101093887B1 (ko) 진공청소기
JP4753861B2 (ja) 縦型電気掃除機
KR20060107625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US7665182B2 (en) Vacuum cleaner and damper installation structure thereof
US20070056135A1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101072682B1 (ko)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