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671Y1 - 넥타이 - Google Patents

넥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671Y1
KR200330671Y1 KR20-2003-0023082U KR20030023082U KR200330671Y1 KR 200330671 Y1 KR200330671 Y1 KR 200330671Y1 KR 20030023082 U KR20030023082 U KR 20030023082U KR 200330671 Y1 KR200330671 Y1 KR 2003306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magnet
shirt
metal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30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영규
Original Assignee
코윈파트너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윈파트너스(주) filed Critical 코윈파트너스(주)
Priority to KR20-2003-00230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6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6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6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금속 또는 자석에 의하여 셔츠에 넥타이가 고정될 수 있도록 된 넥타이를 개시한다. 이러한 넥타이는, 넥타이 배면부로부터 소정 길이로 연장되고 돌출된 유연한 재질의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말단에 매달려 있는 자석 또는 금속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셔츠에 부착되어 있는 자석이나 금속의 위치에 관련 없이 보다 자유롭게 넥타이가 셔츠에 고정될 수 있으며 넥타이의 착용미와 자연스러움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넥타이{Necktie}
본 고안은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금속 또는 자석과 상호 작용하여 자력에 의하여 셔츠에 넥타이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넥타이에 관한 것이다.
넥타이는 포 인 핸드 타이(Four in hand tie), 아스코트 타이(Ascot tie), 보 타이 (Bow tie), 스턱 타이 (Stuck tie) 등과 같이 그 모양에 따라 여러가지 유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중에서 매듭지어 아래로 길게 내려뜨려 착용되는 포 인 핸드 타이(Four in hand tie)가 가장 일반적으로 착용되는 넥타이이다.
이러한 포 인 핸드 타이 모양의 넥타이를 살펴보면, 대검, 중검 및 소검에 해당하는 3부분의 천에 심지를 넣고 안감으로 상호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검과 같은 형상으로 넥타이가 만들어진다. 그리고, 넥타이는 대검과 중검 사이에서 매듭지도록 돌려 감아 맬 수 있도록 한 후, 셔츠와 한벌로 어우러져 양복 정장으로 착용된다. 따라서, 셔츠에 넥타이가 매여져 착용되었을 때 일반인들에 보여지는 부분이 대검이다. 그리고 대검의 배면에는 주로 브랜드명을 넣어서 상표로서의 기능과 함께 넥타이를 착용하였을 때 꼬리 부분(또는 소검)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라벨이 부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넥타이가 매듭지어 길게 늘어져 착용되는 경우에 이에 따라 착용자에게 생활의 불편함을 준다. 즉, 세안을 하거나 상체를 다소 수그려야 하는 작업 및 식사 때가 그러하며, 관리를 잘못할 경우에는 넥타이 끝이 물 또는 음식물에 빠지거나, 심하게는 작동기계로 빨려들어가는 위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넥타이 손상에 대한 부담과 착용자의 안전 상의 문제 등에 의하여, 착용자는 넥타이 위치를 지속적으로 주시하거나 정돈해야하므로 그 번거로움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넥타이 착용에 대한 거부감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넥타이를 셔츠에 고정하면 다소 해결되는데, 예컨데, 자석이나 금속을 넥타이 안에 내장시키고 넥타이에 내장된 자석이나 금속이 자력에 의하여 상호 작용하도록 다른 금속이나 자석을 셔츠에 내장하여 넥타이가 셔츠의 소정 부위에 고정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넥타이의 흐늘 거림(또는 자연스러움)을 살리고, 셔츠와 넥타이가 지나치게 밀착되면 그 맵시가 떨어지고 갑갑한 모습으로 보여지므로 실용적인 면을 감안하여 자석이나 금속의 사이즈를 되도록 작게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넥타이를 매었을 때, 자석이나 금속을 내장하고 있는 셔츠와 넥타이 상호간에 자력에 의한 상호 작용이 일어날 수 있도록 자석 위치와 금속위치가 서로 일치되도록 셔츠와 넥타이 내에 내장하여야 하는데, 셔츠에는 단추가 부착되므로 아무런 제약없이 모든 곳에 내장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나아가, 셔츠와 넥타이 내에 그 위치가 서로 맞도록 자석이나 금속을 내장하고 있다 하더라도, 자석과 금속의 위치가 서로 일치되도록 매번 넥타이를 매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또한 사람의 체형이나 매는 방식에 따라 그 위치도 변할 수 밖에 없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자석이나 금속이 셔츠나 넥타이의 위치에 보다 자유롭게 배치되어 셔츠에 넥타이가 매어졌을 때 자석이나 금속 사이의 자력에 의하여 넥타이의 자유로운 요동을 피할 수 있도록 된넥타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가 셔츠에 매어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도 1에서 자석을 매개로 셔츠에 넥타이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예들로서 셔츠 여밈 부분에 끼워지는 여밈걸이구를 도시한 것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 ; 셔츠 11 ; 여밈
100 ; 넥타이
110 ; 대검 120 ; 소검
130 ; 라벨 140 ; 제1체
141 ; 연결부재 142, 142, 142"` ; 제2체
142a` ; 여밈 걸이구 150 ; 중검
M ; 자석(또는 금속체)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는, 금속 또는 자석에 의하여 셔츠에 넥타이가 고정될 수 있도록 된 넥타이에 있어서, 넥타이 배면부로부터 소정 길이로 연장되고 돌출된 유연한 재질의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말단에 매달려 있는 자석 또는 금속을 개시한다.
또한, 금속 또는 자석에 의하여 셔츠에 넥타이가 고정될 수 있도록 된 넥타이에 있어서, 넥타이 배면부로부터 소정 길이로 연장되고 돌출된 유연한 재질의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말단에 매달려 있는 자석 또는 금속을 포함하는 넥타이, 및 상기 연결부재에 매달려 있는 자석 또는 금속과 자력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금속 또는 자석으로 이루어지며 셔츠의 여밈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된 "ㄷ"자형 여밈 걸이구를 포함하는 셔츠 넥타이 걸이구 세트를 개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넥타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넥타이(100)가 셔츠(10)에 매어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도 1에서 자석을 매개로 셔츠(10)에 넥타이(100)가 고정된 단면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넥타이(100)는, 전방에 위치한 대검(110)과, 셔츠(10)의 칼라(깃)에 매어질 수 있도록 대검(110)과 매듭지어져 고리를 형성하는 중검(150), 중검(150)으로부터 연장되어 꼬리 부분을 이루며 대검(110)의 배면과 라벨(130)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소검(120)과, 라벨(130)에 부착되어 소정 길이로 연장되고 돌출된 유연한 재질의 연결부재(141)와, 연결부재(141)의 말단에 매달린 자석이나 금속으로 된 제1체(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부재(141)는 실이나 로프형 고무일 수 있으며, 자석이나 금속으로 된 제1체(140)에는 팩이나 커버가 씌우져 이를 통하여 실이나 로프형 고무의 연결부재(141)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셔츠(10)에는 단추가 금속으로 되어 있거나 또는 그 여밈(11) 부분에 넥타이(100)의 자석이나 금속으로 된 제1체(140)와 자력에 의하여 서로 부착될 수 있도록 금속이나 자석으로 된 제2체(142)가 내장된다. 여기서, 자석으로는 알리코(Alnico) 자석이나 희토류 자석, 페라이트 자석, 박판의 유연한 고무자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넥타이(100)가 셔츠(10)에 매어져 사용될 경우, 연결부재(141)가 넥타이(100) 배면부로부터 연장되고 돌출된 길이만큼 자유로운 공간 속에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자석이나 금속으로 된 제1체(140) 역시 그 부착 위치를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연결부재(141)의 길이만큼 넥타이(100)가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어 넥타이(100)의 맵시와 자연스러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도시된 예는 연결부재(141)가 라벨(130)에 부착된 상태로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넥타이(100)의 배면부 즉, 대검(110)의 배면이나 소검(120)에 부착될 수 있음은 일응 명백하며,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도시와 그 자세한 설명은 피하기로 한다.
그리고, 셔츠(10)의 단추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금속이나 자석이 내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네타이의 금속이나 자석과 자력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셔츠 여밈(11) 부분에 자석이나 금속이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셔츠(10)에 자석이나 금속을 보다 간편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일예들로서 여밈 걸이구(142a`)에 대하여 이하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예로서 셔츠 여밈(11) 부분에 끼워지는 여밈걸이구(142a`)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일예로서 여밈 걸이구(142a`)는, 넥타이(100)의 연결부재(141)에 매달려 있는 자석 또는 금속(제2체;142`)과 자력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금속 또는 자석(제2체;142`)으로 이루어지며 셔츠의 여밈(11)에 끼워져 착탈 가능하도록 "U"자형으로 절곡되어 "ㄷ"자형을 이루어진다. 이러한 여밈 걸이구(142a`)는, 셔츠 여밈(11)의 선단에서 그 측방으로 여밈(11)에 끼워 사용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로서 셔츠 여밈(11) 부분에 끼워지는 여밈걸이구(142a`)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로서 여밈 걸이구(142a`)는, 도 3과 서로 동일하나, 여밈 걸이구(142a`)가 모두 자석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비 경제적이므로, 그 베이스를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하고 그 표면에 자석이나 금속(M)을 부착시킨 구조가 도 3에 도시된 여밈 걸이구(142a`)와 서로 다르다.
이와 같은 여밈 걸이구(142a`)를 사용하면, 넥타이(100)의 연결부재(141)에매달려 있는 금속이나 자석(제2체;142`, 142")의 자유도 뿐만 아니라, 셔츠(10)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여밈 걸이구(142a`)의 자유도 증가에 따라 보다 자유롭게 넥타이(100)를 착용할 수 있으며, 자력에 의하여 부착되어야 하는 자석이나 금속의 위치에 제한되지 않고 보다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에 의하면, 넥타이의 배면부에서 소정 길이 연장되어 돌출된 연결 부재에 자석이나 금속이 매달려 있기 때문에, 셔츠에 부착되어 있는 자석이나 금속의 위치에 관련 없이 보다 자유롭게 넥타이가 셔츠에 고정될 수 있으며, 연결부재의 길이만큼 넥타이가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어 넥타이의 착용미와 자연스러움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들로서 넥타이를 상세히 설명하고 있으나, 본 고안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후술하는 등록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

  1. 금속 또는 자석에 의하여 셔츠에 넥타이가 고정될 수 있도록 된 넥타이에 있어서, 넥타이 배면부로부터 소정 길이로 연장되고 돌출된 유연한 재질의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말단에 매달려 있는 자석 또는 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2. 금속 또는 자석에 의하여 셔츠에 넥타이가 고정될 수 있도록 된 넥타이에 있어서, 넥타이 배면부로부터 소정 길이로 연장되고 돌출된 유연한 재질의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말단에 매달려 있는 자석 또는 금속을 포함하는 넥타이, 및 상기 연결부재에 매달려 있는 자석 또는 금속과 자력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금속 또는 자석으로 이루어지며 셔츠의 여밈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된 "ㄷ"자형 여밈 걸이구를 포함하는 셔츠 넥타이 걸이구 세트.
KR20-2003-0023082U 2003-07-16 2003-07-16 넥타이 KR2003306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082U KR200330671Y1 (ko) 2003-07-16 2003-07-16 넥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082U KR200330671Y1 (ko) 2003-07-16 2003-07-16 넥타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671Y1 true KR200330671Y1 (ko) 2003-10-17

Family

ID=49339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082U KR200330671Y1 (ko) 2003-07-16 2003-07-16 넥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67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090B1 (ko) * 2007-04-10 2008-10-09 용석필 셔츠
KR20160029351A (ko) 2014-09-05 2016-03-15 이채현 컵홀더가 구비된 넥타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090B1 (ko) * 2007-04-10 2008-10-09 용석필 셔츠
KR20160029351A (ko) 2014-09-05 2016-03-15 이채현 컵홀더가 구비된 넥타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1517B1 (en) Fabric fastener adjustably located between two prefabricated garment buttons
KR100332855B1 (ko) 고정구를 구비한 넥타이
US20130180974A1 (en) Versatile Head and Neck Apparel with Magnetic Clasp
KR200330671Y1 (ko) 넥타이
US20160165980A1 (en) Magnetic garment attachment system
KR200426062Y1 (ko) 넥타이 매듭 장신구
JP3111523U (ja) 羽織紐
US20170095024A1 (en) Magnetic Apparatus and Method for Customizing the Closure Point or Fastening Point on the Front-Facing Placket of a Button-Down Shirt
CN206006070U (zh) 一种可方便更换衣领的结构
ES2872824T3 (es) Prenda, especialmente prenda deportiva
JP2019183357A (ja) 洋服様再生着物セット
CN216088938U (zh) 一种可脱卸马夹款式西服
KR200435758Y1 (ko) 탄성 클립을 구비한 걸이형 넥타이
KR200231678Y1 (ko) 목둘레띠가 부착된 넥타이
JP2018127751A (ja) ジャケット
CN219762502U (zh) 一种具有立领结构的短袖衬衫
KR200323332Y1 (ko) 자석이 구비된 스카프
WO2012072056A1 (en) Wearing apparel or garment accessory
KR100423789B1 (ko) 넥타이 착용구
CN206836241U (zh) 衣领能保持笔挺的衬衣
KR200199820Y1 (ko) 넥타이 착용구조
KR20110010304U (ko) 장례완장 일체형 상복
KR20170111311A (ko) 장식용 타이캡
KR200342606Y1 (ko) 걸고리를 형성한 넥타이
JP3039313U (ja) 衣 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