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471Y1 - 낙지잡이용 통발 - Google Patents

낙지잡이용 통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471Y1
KR200330471Y1 KR20-2003-0025306U KR20030025306U KR200330471Y1 KR 200330471 Y1 KR200330471 Y1 KR 200330471Y1 KR 20030025306 U KR20030025306 U KR 20030025306U KR 200330471 Y1 KR200330471 Y1 KR 2003304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ver
trap
octopus
ba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53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형남
Original Assignee
홍형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형남 filed Critical 홍형남
Priority to KR20-2003-00253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4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4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4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6Sink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낙지잡이용 통발에 관한 것으로서 측면에 다수의 투수공이 형성되고, 하단부 및 상단부에 각각 개구가 형성된 투명한 재질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제1 덮개와; 상기 본체의 타단부에 위치하는 제2 덮개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무게추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오염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끼통 및 미끼로 사용되는 인조게를 야광처리하여 낙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유인할 수 있으므로 비용절감 및 어획량의 상승을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제2 덮개를 사용할 수 있고, 제2 덮개가 파손된 경우 본체 전체가 아닌 제2 프레임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낙지잡이용 통발{Trap for a small octopus}
본 고안은 낙지잡이용 통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낙지를 포획하기 위해 사용되며 종래에 비해서 보다 편리하고 경제적으로 낙지를 포획할 수 있는어획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류를 포획하기 위한 어구에는 다양한 종류의 것들이 있는 바, 그 중 낙지나 문어 등은 어두운 곳을 찾아 몸을 숨기는 습성이 있어 이러한 습성을 활용한 통발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통발은 일측 또는 양단부에 낙지가 들어오는 유입구를 형성한 원통형의 프레임에 그물을 씌운 형태의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바, 그물의 경우 그 형태를 유지할 만한 강성이 없기 때문에 평소에는 그 입구가 닫혀있지만 낙지가 유입구를 통해서 들어오는 경우에는 벌어질 수 있도록 하여 포획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그물형 통발의 경우 낙지의 유인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내부에 미끼를 투입하기도 하는 데 일반적으로 낙지용 미끼로서는 게(잡게)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게를 활용하는 경우 유인효과는 뛰어나지만 상당한 비용이 요구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좋지 않으며, 그물형 통발의 경우 장기간 사용하면 바닷물 속의 각종 이물질이 그물에 부착되어 오염되기가 쉬울 뿐만 아니라 이를 청소하는 작업도 곤란하다. 특히, 그물의 특성상 파손되기가 쉽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미끼 사용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염이 잘 되지 않으면서도 강성이 뛰어나 긴 수명을 제공할 수 있는 낙지잡이용 통발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낙지잡이용 통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낙지잡이용 통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낙지잡이용 통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5 상당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낙지잡이용 통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측면에 다수의 투수공이 형성되고, 하단부 및 상단부에 각각 개구가 형성된 투명한 재질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제1 덮개와; 상기 본체의 타단부에 위치하는 제2 덮개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본 고안은 낙지를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를 투명한 재질로 구성하여, 낙지가 들어오기 위한 개구와 들어온 낙지를 꺼낼 수 있는 개구를 양단에 형성하고, 각 개구를 덮을 수 있는 두 개의 덮개를 부착하여 종래의 통발을 대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수지로 구성하는 것이 좋으며, 이를 통해서 바닷속의 각종 이물질이 부착되지 않아 오염이 잘 되지 않으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파손의 우려를 경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체의 측면에 다수의 투수공을 형성하여 바닷물이 들어올 수 있도록 하였으며, 부력을 이기고 가라앉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내부에 무게추를 부착하였다. 상기 무게추는 납과 같은 비중이 큰 금속체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바닷물로 인한 부식을 막기 위해 그 외주면을 플라스틱 수지로 코팅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 덮개는 포획된 낙지를 수거하기 위한 개구를 덮는 것으로서 판재의 일측을 상기 개구의 외연부와 인접한 부분에 힌지결합시켜서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하면서 열리도록 한 것이다. 제2 덮개 또한 제1 덮개와 동일하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제1 덮개와 달리 그물망을 개구의 주위에 부착한 형태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물망의 경우 자체적인 강성이 부족하므로 평상시에는 입구가 오므라들어있지만 낙지가 들어오는 경우에는 펴지게 되므로 포획된 낙지가 빠져나가는 일이 없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덮개와 제2 덮개는 본체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별도의 프레임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은 본체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덮개가 손상된 경우 손쉽게 교체가 가능하며, 특히 제2 덮개의 경우 판재형태의 덮개 및 그물망 덮개를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교체해 가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는 로프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본체의 내부에 직접 미끼를 투입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미끼를 저장하기 위한 미끼통을 추가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상기 미끼통은 별도의 고정장치 없이 본체의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고무줄과 같은 고정장치에 의해서 본체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미끼통의 외면에는 다수의 투수공이 형성되어 있어 이를 통해 바닷물이 미끼통의 내부로 유입될 뿐만 아니라 미끼의 냄새가 외부로 퍼져나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끼통의 외면에 야광도료를 도포하여 바닷물 속에서 빛을 발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미끼통의 내부에는 실제 게와 인조미끼, 즉 인조게를 혼합하여 투입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낙지잡이용 통발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00)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된 원통형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상단부와 하단부의 외주면에는 플랜지(102, 10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플랜지(102)의 일측면에는 얇은 사각 판재형태의 돌출부(10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106)의 중앙에는 로프 고정홀(108)이 형성되어 본체(100)에 로프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일측면에는 후술할 무게추가 삽입되는 무게추 삽입부(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 다른 측면에는 다수의 투수공(112)이 형성되어 바닷물이 본체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투수공(1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일측면에 일렬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본체의 측면 전체에 걸쳐서 고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100)의 상단부에는 고리형태의 제1 프레임(120)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 프레임(120)의 내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이는 본체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프레임(120)은 본체(1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 프레임(120)의 일측에는 제1 덮개(122)가 힌지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 덮개(122)는 회전하면서 개폐되는데, 힌지결합측의 반대측 단부에는 한 쌍의 돌기(124)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124)는 제1 프레임(120)의 내부에 형성된 돌기 수용부에 결합되어 잠기게 된다. 따라서, 제1 덮개(122)는 사람이 일부러 힘을 주어 열지 않는 한 열리지 않으므로, 내부에 포획된 낙지는 본체 내부에 머무르게 된다.
한편, 상기 무게추는 내부에 납과 같은 비중이 큰 금속(132)이 위치하며 그 외면에 플라스틱 코팅부(130)가 부착되어 부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본체의 내벽과 접하는 측에는 한 쌍의 고정용 돌기(134)가 위치하여 본체와 결합된다.
본체(100)의 하단부에는 깔때기 형상의 유입구(140)가 위치하며, 상기 유입구에는 제2 덮개(142)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덮개(142)는 제1 덮개(122)와 유사한 구조를 갖지만 돌기(124)는 형성되어 있지 않는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덮개는 작은 힘으로도 쉽게 열리기 때문에 유입구(140)를 통해 들어오는 낙지가 제2 덮개(142)를 밀면서 내부로 들어올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덮개와 유입구의 사이에 탄성수단을 개재하여 제2 덮개(142)가 항상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 미끼(도시되지 않음)는 본체(100)의 내부에 투입되어 있다. 상기 미끼는 실제의 게(잡게)만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실제 게와 인조게를 혼합하여 투입하는 것이 경제적인 면에서 효율적이다. 이때, 인조게의 표면을 야광처리하면 어두운 곳에서도 빛을 발하게 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낙지를 유인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낙지잡이용 통발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기본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갖지만, 유입구(140')의 단부에 그물망(142')을 부착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상기 그물망(142')은 평소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40')를 덮고 있지만, 낙지가 들어오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망이 펴지면서 낙지가 본체의 내부로 들어올 수 있기 때문에 낙지의 유입은 허용하면서도 외부로 나가는 것은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미끼통(15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미끼통(150)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형태를 가지며 외부에 다수의 투수공(152)이 형성되어 있어, 바닷물이 미끼통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미끼의 냄새를 바닷속으로 퍼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미끼통(150)의 외부면에는 야광도료가 도포되어 낙지를 유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6에서는 상기 미끼통이 별다른 고정장치 없이 본체 내부에 투입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고무줄과 같은 탄성수단을 활용하여 본체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통발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데, 상기 유입구(140'')의 단부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산과 결합되어 고정되는 제2 프레임(144'')를 추가한 것이다. 제2 덮개(142'')는 상기 제2 프레임(144'')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한편, 제2 덮개(14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달리, 그물망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양자를 교체해가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서 제2 덮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제2 덮개가 파손된 경우 본체 전체가 아닌 제2 프레임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르면, 오염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끼통 및 미끼로 사용되는 인조게를 야광처리하여 낙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유인할 수 있으므로 비용절감 및 어획량의 상승을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제2 덮개를 사용할 수 있고, 제2 덮개가 파손된 경우 본체 전체가 아닌 제2 프레임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Claims (10)

  1. 측면에 다수의 투수공이 형성되고, 하단부 및 상단부에 각각 개구가 형성된 투명한 재질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제1 덮개와;
    상기 본체의 타단부에 위치하는 제2 덮개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개 및 제2 덮개는 판재의 일측을 힌지결합하여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면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개는 판재의 일측을 힌지결합하여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면서 개폐되며, 제2 덮개는 본체에 형성된 상기 개구의 주위에 부착되는 원통형의 그물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본체와 나사산에 의해 결합되는 제1 프레임이 추가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제1 덮개는 상기 제1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통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본체와 나사산에 의해 결합되는 제2 프레임이 추가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제2 덮개는 상기 제2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는 금속체의 외면을 플라스틱 수지로 코팅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는 로프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미끼를 저장하기 위한 미끼통이 추가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미끼통의 외면에는 다수의 투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끼통의 외면에는 야광도료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끼통의 내부에는 실제 게와 인조게의 어느 한쪽, 또는 양자가 혼합되어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
KR20-2003-0025306U 2003-08-06 2003-08-06 낙지잡이용 통발 KR2003304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306U KR200330471Y1 (ko) 2003-08-06 2003-08-06 낙지잡이용 통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306U KR200330471Y1 (ko) 2003-08-06 2003-08-06 낙지잡이용 통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471Y1 true KR200330471Y1 (ko) 2003-10-17

Family

ID=49417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306U KR200330471Y1 (ko) 2003-08-06 2003-08-06 낙지잡이용 통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47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59158A (zh) * 2019-11-22 2020-03-06 连云港赣榆佳信水产开发有限公司 一种章鱼诱捕装置及诱捕方法
KR102094036B1 (ko) * 2019-07-29 2020-03-30 대한민국 어린문어의 탈출기능을 향상시킨 문어단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036B1 (ko) * 2019-07-29 2020-03-30 대한민국 어린문어의 탈출기능을 향상시킨 문어단지
CN110859158A (zh) * 2019-11-22 2020-03-06 连云港赣榆佳信水产开发有限公司 一种章鱼诱捕装置及诱捕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3602B1 (en) Delayed release bait canister and method
US20140345187A1 (en) Double ended fishing worm canister
US4611424A (en) Selectable entry shellfish trap
US5228232A (en) Sport fishing tackle box
US20160081319A1 (en) Minnow Container
KR20110112517A (ko) 어류 포획용 통발
KR200330471Y1 (ko) 낙지잡이용 통발
WO1999029165A2 (en) Combination trap, holding pen and chum pot
AU2003204705C1 (en) A sticky ovitrap
KR20110056603A (ko) 어류 포획용 통발
US20170295764A1 (en) Fishing lure device and method
KR20100000836A (ko) 어류 포획용 통발
KR20090013148A (ko) 게잡이용 통발
US20090119976A1 (en) Bait bucket having a funnel for cast netting
US5347747A (en) Animal trap
KR101288909B1 (ko) 어로용 통발
KR20030026169A (ko) 바다 및 민물용 자망 어구
US11140886B1 (en) Livewell
US1231034A (en) Minnow bucket and trap.
KR20210020287A (ko) 어로용 통발
US20050155275A1 (en) Fishing line receptacle
KR200283360Y1 (ko) 통발용 미끼 수납용기
US2791061A (en) Floating type minnow bucket
KR200230556Y1 (ko) 어망용 집어구
KR200252313Y1 (ko) 야행성 민물어류 포획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