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9930Y1 - Spacer for cylindrical communication pipes - Google Patents

Spacer for cylindrical communication pip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9930Y1
KR200329930Y1 KR20-2003-0021563U KR20030021563U KR200329930Y1 KR 200329930 Y1 KR200329930 Y1 KR 200329930Y1 KR 20030021563 U KR20030021563 U KR 20030021563U KR 200329930 Y1 KR200329930 Y1 KR 2003299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slide
communication tube
unit
cond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156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봉식
Original Assignee
(주)동영프라스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영프라스틱 filed Critical (주)동영프라스틱
Priority to KR20-2003-00215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993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99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9930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에 매설된 통신 및 전선용 파이프 즉, 원통형 통신관 및 전선관을 소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고정시키는 통신관 및 전선관용 스페이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에 매설되는 다수의 원통형 통신관 및 전선관이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질서정연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통신관 및 전선관용 스페이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and wire pipe buried underground, that is, a communication tube and a conduit spacer for fixing the cylindrical communication tube and the conduit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cylindrical communication tube and conduit buried undergrou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tube and conduit spacer for supporting the orderly installation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본 고안에 따른 통신관 및 전선관용 스페이셔는 상하 틀에 하나씩의 반원형 홈부가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하좌우 틀의 일측에는 이웃하는 단위 스페이셔 블럭과 슬라이드 방식으로 억지끼움 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돌부 및 슬라이드홈이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단위 스페이셔 블럭과, 상부 틀에는 하나의 반원형 홈부가 형성되고 하부 틀에는 평평하고 넓은 받침판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 및 좌우 틀의 일측에는 이웃하는 단위 스페이셔 블럭 및 베이스 블럭과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돌부 및 슬라이드홈이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단위 베이스 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Spacer for communication tube and cond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semi-circular groove portion is formed symmetrically in the upper and lower frames, the slide protrusion and the slide groove so that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left and right frame can be pressed by the neighboring unit spacer block and the slide method A plurality of unit spacer blocks formed integrally, one semi-circular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frame, and a flat and wide support plate is integrally formed in the lower frame, and neighboring unit spacer blocks and base block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and left and right frame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unit base block formed integrally with the slide protrusion and the slide groove to be coupled in a slide manner.

Description

통신관 및 전선관용 스페이셔{Spacer for cylindrical communication pipes}Spacer for cylindrical communication pipes

본 고안은 지하에 매설된 통신 및 전선용 파이프 즉, 원통형 통신관 및 전선관을 소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고정시키는 통신관 및 전선관용 스페이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에 매설되는 다수의 원통형 통신관과 통신관이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질서정연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통신관 및 전선관용 스페이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and wire pipe buried underground, that is, a communication tube and a spacing tube for the communication tube and the conduit for fixing the cylindrical communication tube and the conduit sp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cylindrical communication tube and communication tube buried undergrou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tube and conduit spacer for supporting the orderly installation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통신 및 전선용 케이블을 지하에 포설할 때는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해서 원통형 파이프 즉, 원통형 통신관 및 전선관(이하 '통신관'으로 약칭함)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포설되는 통신용 케이블이 늘어나게 되면 지하에 매설되는 원통형 통신관도 그 만큼 많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지하에 매설되는 다수의 원통형 통신관들이 서로 엉키거나 접촉하지 않도록 유지시켜 주는 통신관용 스페이셔가 필요하다. 이러한 통신관용 스페이셔는 다수의 단위 스페이셔 블럭을 상하좌우로 적층하여 원통형 통신관이 관통되어 고정될 수 있는 다수의 원형 관통홈을 형성하는 것이다.When laying cables for telecommunications and wires underground, it is common to use cylindrical pipes, ie cylindrical communication tubes and conduits (abbreviated as 'communications tubes'), to protect the cables. Therefore, when the number of communication cables to be installed increases, the number of cylindrical communication tubes buried underground also increases.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communication tube spacer that keeps a plurality of cylindrical communication tubes buried underground so as not to get tangled or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spacing for communication tubes is to form a plurality of circular through grooves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unit spacer blocks may be stacked up, down, left and right, and through which a cylindrical communication tube may be penetrated and fixed.

즉,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통신관용 스페이셔는 상하부에 다수의 반원형 홈부(1)가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반원형 홈부(1) 사이의 상부에는 삽입돌부(2)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삽입홈(3)이 형성된 다수의 단위 스페이셔 블럭(10)을 상하로 적층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통신관용 스페이셔 블럭(10)은 하나의 단위 블럭에 여러 개의 반원형 홈부(1)가 상하로 대칭되게 일체로 형성된 것이어서 전체 통신관용 스페이셔의 폭이 일정하고 좌우로 연장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매설되는 원통형 통신관의 수가 증가할 경우 상하로만 단위 스페이스 블럭을 결합시킬 수 있고 좌우로는 더 이상 결합시킬 수 없기 때문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as shown in Figures 1 and 2, in the conventional spacing tube for communication tubes, a plurality of semi-circular grooves 1 are formed symmetrically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the insertion protrusions 2 ar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between the semi-circular grooves 1. It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unit spacer blocks 10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sertion groove (3) up and down. However, the communication tube spacer block 1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formed by symmetrically integrally forming a plurality of semicircular grooves 1 in one unit block vertically and thus the width of the entire communication tube spacer may be constant and extend from side to side. There was no problem. Therefore, when the number of buried cylindrical communication tube increases, the unit space block can be combined only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can no longer be combine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flexibly responded.

또한 종래의 통신관용 스페이셔는 한 종류의 단위 스페이셔 블럭만으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통신관용 스페이셔의 하단부에 다수의 반원형 홈부가 불필요하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하단부에 형성된 반원형 홈부는 불필요한 것으로서 지면과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스페이셔의 지면에 대한 지지력을 약화시킨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communication tube spacer is composed of only one type of unit spacer block,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plurality of semi-circular grooves are unnecessary at the lower end of the communication tube spacer. That is, the semi-circular groove formed in the lower end portion is unnecessary and reduces the contact area with the ground, thereby weakening the support force of the spacer on the ground.

그리고 종래의 통신관용 스페이셔는 그 삽입돌부와 삽입홈이 단순히 상하로 삽입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전후방향으로 외력이 미칠 경우 단위 스페이스 블럭간의 결합력이 약하여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통신관용 스페이셔블럭은 수직 또는 수평 측벽의 형상이 일자 형상이어서 지지력이 약하고 이를 보충하기 위해 다수의 리브를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pacer for the communication tube has a problem that the insertion protrusion and the insertion groove are simply inserted up and down, so that when the external force exert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unit space blocks is weak and easily detached.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pacing block for a communication tube has a problem in that the vertical or horizontal sidewalls have a straight shape, so that the supporting force is weak and a plurality of ribs must be install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to compensate for this.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상하로 하나씩의 반원형 홈부가 대칭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상하좌우에 각각 슬라이드돌부와 슬라이드홈이 형성된 단위 스페이셔 블럭을 제공함으로써 원통형 통신관의 수에 신축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통신관용 스페이셔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unit spacer block formed with a semi-circular groove portion symmetrically integrally formed up and down and slide protrusions and slide grooves respectively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It is to provide a communication tube spacer that can flexibly respond to the number of cylindrical communication tubes by providing a.

또한 본 고안은 통신관용 스페이셔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지면과 접촉되는 단위 베이스 블럭을 별도로 제공하여 통신관용 스페이셔의 하단부를 평평하게 함으로써 지면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통신관용 스페이셔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munication spacing for improving the bearing capacity for the ground by providing a separate unit base block to be installed in the lower end of the communication tube spacing in contact with the ground flat.

본 고안은 또한 이웃하는 단위 스페이셔 블럭과 단단히 결합될 수 있는 슬라이드돌부와 슬라이드홈을 단위 스페이스 블럭 및 단위 베이스 블럭의 상하좌우에 형성함으로써 단위체들간의 결합력이 우수한 통신관용 스페이셔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mmunication tube spacer having excellent coupling force between units by forming slide protrusions and slide grooves that can be tightly coupled with neighboring unit spacer blocks i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nit space block and the unit base block.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통신관용 스페이셔를 보여주는 정면도,1 is a front view showing a spacer for a communication tub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통신관용 스페이셔에 사용되는 단위 스페이셔 블럭을 보여주는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unit spacer block used in a spacer for a communication tub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통신관용 스페이셔를 보여주는 정면도,3 is a front view showing a spacer for a communication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통신관용 스페이셔에 사용되는 단위 스페이셔 블럭을 보여주는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unit spacer block used in the spacer for the communication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통신관용 스페이셔의 하단에 설치되는 단위 베이스 블럭을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unit base block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pacing tube for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단위 스페이셔 블럭과 단위 베이스 블럭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unit spacer block and a unit base block are combi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돌부와 슬라이드홈을 보여주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7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for showing a slide protrusion and a slide gro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Descrip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

30 : 통신관 및 전선관용 스페이셔 33 : 원형 관통홈30: spacing for communication tube and conduit 33: circular through groove

50 : 단위 스페이셔 블럭 51, 52, 53, 54 : 상하좌우 틀50: unit spacer block 51, 52, 53, 54: frame

56 : 리브 57, 77 : 반원형 홈부56: rib 57, 77: semi-circular groove portion

62 : 슬라이드돌부 64 : 슬라이드홈62: slide protrusion 64: slide groove

70 : 단위 베이스 블럭 71, 72, 73. 74 : 상하좌우 틀70: unit base block 71, 72, 73. 74: vertical frame

75 : 받침판 82 : 걸림턱부75: support plate 82: locking jaw portion

84 : 걸림홈 86 : 목부84: locking groove 86: neck

88 : 가이드홈88: guide groov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통신관용 스페이셔는, 다수의 단위 스페이셔 블럭을 연속적으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통신관용 스페이셔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mmunication tube spa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munication tube spacer formed by continuously stacking a plurality of unit spacer blocks,

상기 단위 스페이셔 블럭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사각형 틀체로서 상하부 틀에는 하나씩의 반원형 홈부가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하좌우 틀의 일측에는 이웃하는 단위 스페이셔 블럭과 슬라이드 방식으로 억지끼움 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돌부 및슬라이드홈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nit spacer block is a rectangular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one semi-circular groove is formed symmetrically in the upper and lower frames, and the slide protrusion and the sliding block can be pressed in a sliding manner with neighboring unit spacer blocks on one side of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fram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e groove is formed integrally.

본 고안은 또한 소정 크기의 사각형 틀체로서 상부 틀에는 하나의 반원형 홈부가 형성되고 하부 틀에는 평평하고 넓은 받침판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 및 좌우 틀의 일측에는 이웃하는 단위 스페이셔 블럭과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돌부 및 슬라이드홈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통신관용 스페이셔의 하단부에 일렬로 설치되는 다수의 단위 베이스 블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 rectangular frame of a predetermined size, one semi-circular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frame, a flat and wide support plate is integrally formed in the lower frame, and coupled to the neighboring unit spacer block on one side of the upper and left and right frames. Slide unit and the slide groove is formed integrally so that it can be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unit base blocks installed in a line at the lower end of the spacing for the communication tube.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통신관용 스페이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mmunication tube spa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먼저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통신관용 스페이셔의 정면도이고, 도4는 상기 통신관용 스페이셔를 구성하는 단위 스페이셔 블럭의 사시도이며, 도5는 상기 통신관용 스페이셔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단위 베이스 블럭의 사시도이고, 도6은 상기 단위 베이스 블럭의 상부에 단위 스페이셔 블럭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rst, 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communication tube spa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unit spacer block constituting the communication tube spacer, Figure 5 is a unit base installed in the lower end of the communication tube spacer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ock,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unit spacer block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unit base block.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통신관용 스페이셔(30)는 다수의 단위 스페이셔 블럭(50)을 상하좌우로 적층시켜 소정 크기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소정 지름을 갖고 그 내부에 다수의 통신용 케이블이 포설되는 원통형 통신관이 관통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다수의 원형 관통홈(33)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관용 스페이셔(30)의 하단부에는 다수의 단위 베이스 블럭(70)이 일렬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통신관용 스페이셔(30)은 상기 원형관통홈(33)에 관통되게 설치된 다수의 원통형 통신관들을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지지한다. 이때 상기 단위 스페이셔 블럭(50)과 단위 베이스 블럭(70)은 슬라이드돌부(62)와 슬라이드홈(64)로 이루어진 결합수단을 통해 단단히 결합되어 있다.As shown in Figure 3, the communication tube spac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predetermined size by stacking a plurality of unit spacer block 50 i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for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therein A plurality of circular through holes 33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that the cylindrical communication tube through which the cable is installed can be supported. In addition, a plurality of unit base blocks 70 are arranged in a row at a lower end of the communication tube spacer 30. Therefore, the communication tube spac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 plurality of cylindrical communication tube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stalled to penetrate the circular through groove 33. At this time, the unit spacer block 50 and the unit base block 70 are firmly coupled through a coupling means consisting of a slide protrusion 62 and a slide groove 64.

그리고 도4, 도5 및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단위 스페이셔 블럭(50)과 단위 베이스 블럭(70)은 대략 사각형상의 틀체로서, 상하좌우의 틀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하좌우의 틀은 수직 또는 수평 측벽의 안쪽면에 대해 직각되게 리브(56)가 일체로 형성되어 대략 T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따라서 종래의 일자형 수직 또는 수평 측벽에 비해 그 강도 및 지지력이 크게 증대되게 된다.4, 5, and 6, the unit spacer block 50 and the unit base block 70 are generally rectangular frames, and are composed of upper, lower, left, and right frames. At this time,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of the frame has ribs 56 integrally formed at right angles to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or horizontal side wall has a cross section of approximately T-shape. Therefor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traight vertical or horizontal side wall, the strength and bearing capacity are greatly increased.

그리고 상기 단위 스페이셔 블럭(50)은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틀(51)과 하부틀(52)의 중간부분에 원통형 통신관을 지지하기 위한 반원형 홈부(57)(58)가 서로 대칭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틀(51)의 좌우 양단에는 이웃하는 단위 스페이셔 블럭(50)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돌부(6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틀(52)의 좌우 양단에는 이웃하는 단위 스페이셔 블럭(50) 또는 단위 베이스 블럭(70)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홈(6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우측틀(54)의 상하에는 상기 슬라이드돌부(62)가, 상기 좌측틀(53)의 상하에는 상기 슬라이드홈(64)이 각각 형성되어 이웃하는 단위 스페이셔 블럭(50)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상기 단위 스페이셔 블럭(50)의 중앙에는 십자모양의 지지리브(5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4, the semi-circular grooves 57 and 58 for supporting the cylindrical communication tube in the middle of the upper frame 51 and the lower frame 52 are symmetric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Is formed integrally,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upper frame 51 is formed with a slide protrusion 62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neighboring unit spacer block 50, the lower frame 52 On both left and right ends, slide grooves 64 are form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neighboring unit spacer blocks 50 or unit base blocks 70. In addition, the slide protrusion 62 is formed above and below the right frame 54, and the slide groove 64 is formed above and below the left frame 53, respectively, so as to be detachable from a neighboring unit spacer block 50. Combined. Meanwhile, a cross-shaped support rib 55 is integrally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nit spacer block 50.

이어,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단위 베이스 블럭(70)은 상술한 단위 스페이셔 블럭(50)에 대해 동일한 폭과 절반의 높이를 갖는 크기이며, 상부틀(71)의 중간부분에만 원통형 통신관을 지지하기 위한 반원형 홈부(77)가 형성되고 하부틀(72)에는 지면과 접촉될 수 있도록 평평하며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갖는 받침판(7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틀(71)의 좌우 양단에는 상술한 슬라이드돌부(62)가 형성되어 있고, 좌측틀(73)에는 상술한 슬라이드홈(64)이, 우측틀(74)에는 상술한 슬라이드돌부(62)가 각각 형성되어 이웃하는 단위 베이스 블럭(7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5, the unit base block 70 has the same width and half the height of the unit spacer block 50 described above, and has a cylindrical communication tube only in the middle of the upper frame 71. A semicircular groove portion 77 is formed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72, and a support plate 75 having a flat and relatively large area is integrally formed in the lower frame 72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slide protrusions 62 are formed at left and right ends of the upper frame 71, the slide grooves 64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at the left frame 73, and the above-mentioned slide protrusions 62 are formed at the right frame 74. Are each formed so that neighboring unit base blocks 70 are detachably coupled.

따라서 도1 및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단위 베이스 블럭(70)을 하단부에 일렬로 설치한 상태에서 그 상부에 다수의 스페이셔 블럭(50)을 소정 높이로 적층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통신관용 스페이셔(30)가 완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단위 베이스 블럭(70)과 단위 스페이셔 블럭(50)은 상하좌우 틀에 형성된 슬라이드돌기(62)와 슬라이드돌부(64)을 통해 이루어진다. 한편, 도6의 미설명 부호 93은 상기 단위 스페이셔 블럭(50)과 단위 베이스 블럭(70)의 강도와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설치한 소정 두께의 경사리브이다.Therefore, as shown in Figures 1 and 6, in the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base blocks 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row at the lower end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tacking a plurality of spacer blocks 50 at a predetermined height Communication tube spacer 30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ompleted. At this time, the unit base block 70 and the unit spacer block 50 is formed through the slide protrusion 62 and the slide protrusion 64 formed i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frames. On the other hand, reference numeral 93 in Fig. 6 is an inclined rib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provided to increase the strength and durability of the unit spacer block 50 and the unit base block 70.

그리고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돌부(62)는 소정 두께를 갖는 T자 형상의 돌부로서 걸림턱부(82)와 목부(8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홈(64)은 상기 슬라이드돌부(62)가 미끄러져 억지끼움 될 수 있도록 형성된 소정 깊이의 홈으로서 상기한 걸림턱부(82)가 결합되는 걸림홈(84)와 상기한 목부(86)가 결합되는 가이드홈(88)이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돌부(62)의 걸림턱부(82)와 목부(86)가 상기 슬라이드홈(64)의 걸림홈(84)과 가이드홈(88)에 대응하도록 한 상태에서 단위 스페이셔 블럭(50) 또는 베이스블럭(70)을 전후방으로 밀어 넣어 억지끼움 함으로써 단단하게 결합된다.As shown in FIG. 7, the slide protrusion 62 is a T-shaped protrusion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ncludes a locking jaw portion 82 and a neck portion 86. In addition, the slide groove 64 is 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formed so that the slide protrusion 62 can be slid by the locking groove 84 and the neck portion 86 to which the locking jaw portion 82 is coupled. Is coupled to the guide groove 88 is coupled to. Therefore, the unit spacer spacer 50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jaw portion 82 and the neck portion 86 of the slide protrusion 62 correspond to the locking groove 84 and the guide groove 88 of the slide groove 64. Alternatively, the base block 70 is firmly coupled by pushing back and forth.

즉, 단위 베이스 블럭(70)의 받침판(75)이 지면에 닿도록 원하는 폭만큼 다수의 단위 베이스 블럭(70)을 일렬로 결합한 다음, 그 상부로 다수의 단위 스페이스 블럭(50)을 차례로 적층시키면 소정 크기의 통신관용 스페이셔(30)가 조립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통신관용 스페이셔(30)에 형성된 다수의 원통형 관통홈(33)에 통신용 케이블이 포설되는 원통형 통신관을 관통시켜 고정시킨다. 따라서 이웃하는 원통형 통신관들이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가지런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케이블 포설 작업이나 보수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base plate 75 of the unit base block 70 is coupled to a plurality of unit base block 70 in a line by the desired width in a row, and then stacked a plurality of unit space block 50 on top of it The communication tube spacer 30 of a predetermined size is assembled. And it is fixed by passing through a cylindrical communication tube in which a communication cable i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cylindrical through grooves 33 formed in the communication tube spacer 30. Therefore, since the adjacent cylindrical communication tubes are fixed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cable laying and maintenance work are facilita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두 개의 반원형 홈부가 상하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이웃하는 단위 스페이셔 블럭과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슬라이드돌부 및 슬라이드홈이 일체로 형성된 단위 스페이셔 블럭과, 통신관용 스페이셔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받침판이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단위 베이스 블럭을 제공함으로써 매설되는 원통형 통신관의 수에 신축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통신관용 스페이셔의 지면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with a unit spacer block formed by integrally forming a plurality of slide protrusions and slide grooves in which two semi-circular groove portions are symmetrically formed up and down and coupled with neighboring unit spacer blocks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By providing a plurality of unit base blocks which ar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tube spacer and the supporting plate is integrally formed, it is possible to flexibly correspond to the number of cylindrical communication tubes buried, and the bearing capacity of the communication spacer spacer can be improved. .

또한 본 고안은 이웃하는 단위 스페이셔 블럭 및 단위 베이스 블럭을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홈과 슬라이드돌부를 제공함으로써 단위체들간의 결합력이 강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strengthening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units by providing a slide groove and a slide protrusion that can be coupled to the neighboring unit spacer block and the unit base block in the interference fit method.

Claims (4)

다수의 단위 스페이셔 블럭을 적층하여 다수의 원통형 통신관 및 전선관을 이격되게 지지하는 통신관 및 전선관용 스페이셔에 있어서,In the spacer and the conduit spacer for stacking a plurality of unit spacer blocks to support a plurality of cylindrical communication tubes and conduits spaced apart, 상기 단위 스페이셔 블럭은 소정 크기의 사각형 틀체로서 상하부 틀에는 하나씩의 반원형 홈부가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하좌우 틀의 일측에는 이웃하는 단위 스페이셔 블럭과 슬라이드 방식으로 억지끼움 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돌부 및 슬라이드홈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관 및 전선관용 스페이셔.The unit spacer block is a rectangular frame of a predetermined size, and one semi-circular groove is formed symmetrically in the upper and lower frames, and slide protrusions and slide groove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frames so as to be fitted with a neighboring unit spacer block in a sliding manner. Spacer for communication tube and condui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tegrall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통신관 및 전선관용 스페이셔의 하단부에는 소정 크기의 사각형 틀체로서 상부 틀에는 하나의 반원형 홈부가 형성되고 하부 틀에는 평평하고 넓은 받침판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 및 좌우 틀의 일측에는 이웃하는 단위 스페이셔 블럭 및 베이스 블럭과 슬라이드 방식으로 억지끼움 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돌부 및 슬라이드홈이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단위 베이스 블럭이 일렬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관 및 전선관용 스페이셔.The lower part of the communication tube and conduit spacing is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of a predetermined size, one semi-circular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frame, a flat and wide support plate is integrally formed in the lower frame, and the adjacent unit spacers on one side of the upper and left and right frames. Spacer for communication tube and conduit,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unit base block is formed in a row formed integrally with the slide protrusion and the slide groove so that the block and the base block and the slide method can be press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단위 스페이셔 블럭 및 단위 베이스 블럭의 상하좌우 틀은 수직 또는 수평 측벽의 안쪽면에 대해 직각되게 리브가 일체로 형성되어 대략 T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관 및 전선관용 스페이셔.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frames of the unit spacer block and the unit base block have ribs integrally formed at right angles with respec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or horizontal sidewalls, and have a T-shaped cross se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슬라이드돌부는 상기 상부틀과 우측틀의 외측으로 돌출된 T자형의 돌부로서 걸림턱부와 목부로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홈은 상기 하부틀과 좌측틀의 내측으로 파여진 홈으로서 상기 슬라이드돌부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억지끼움 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턱부가 결합되는 걸림홈과 상기 목부가 결합되는 가이드홈이 소정 깊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관 및 전선관용 스페이셔.The slide protrusion is a T-shaped protrusion projecting outwardly of the upper frame and the right frame, and includes a locking jaw portion and a neck portion, and the slide groove is a groove that is dug inwardly of the lower frame and the left frame. Spacer for communication tube and conduit,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groove is coupled to the engaging jaw portion and the guide groove coupled to the neck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so as to be fit in a manner.
KR20-2003-0021563U 2003-07-04 2003-07-04 Spacer for cylindrical communication pipes KR20032993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563U KR200329930Y1 (en) 2003-07-04 2003-07-04 Spacer for cylindrical communication pip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563U KR200329930Y1 (en) 2003-07-04 2003-07-04 Spacer for cylindrical communication pip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9930Y1 true KR200329930Y1 (en) 2003-10-17

Family

ID=49417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1563U KR200329930Y1 (en) 2003-07-04 2003-07-04 Spacer for cylindrical communication pip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9930Y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637B1 (en) 2011-05-20 2011-09-21 티앤제이건설 주식회사 Drooping prevention device of power-transmission line
KR101567420B1 (en) * 2015-04-30 2015-11-10 (주)건일종합기술 Underground Distribution Conduit Spacer for Apartment House
KR20190000225U (en) * 2017-07-17 2019-01-28 김용준 Expandable Pipe Cradle
KR20210044448A (en) * 2019-10-15 2021-04-23 민경진 Jig for wire work
KR20210155132A (en) * 2020-06-15 2021-12-22 한국전력공사 A spacer for electric confusion prevention of low voltage service wir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637B1 (en) 2011-05-20 2011-09-21 티앤제이건설 주식회사 Drooping prevention device of power-transmission line
KR101567420B1 (en) * 2015-04-30 2015-11-10 (주)건일종합기술 Underground Distribution Conduit Spacer for Apartment House
KR20190000225U (en) * 2017-07-17 2019-01-28 김용준 Expandable Pipe Cradle
KR200489100Y1 (en) 2017-07-17 2019-05-02 김용준 Expandable Pipe Cradle
KR20210044448A (en) * 2019-10-15 2021-04-23 민경진 Jig for wire work
KR102296645B1 (en) * 2019-10-15 2021-08-31 민경진 Jig for wire work
KR20210155132A (en) * 2020-06-15 2021-12-22 한국전력공사 A spacer for electric confusion prevention of low voltage service wire
KR102443904B1 (en) * 2020-06-15 2022-09-19 한국전력공사 A spacer for electric confusion prevention of low voltage service wi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3486B2 (en) Cable management assembly with variably spaced projections
US7576283B2 (en) Cable duct
US6256444B1 (en) Adjustable guide for organizing optical fibers in an equipment rack
KR200329930Y1 (en) Spacer for cylindrical communication pipes
US20070190853A1 (en) Angled Patch Panel with Pitched Connector Alignment
KR20180061129A (en) Cable supporting block for sliding type cable chain
CN107065104B (en) Optical fiber wiring device
CN210273449U (en) Detachable cable support
KR200372414Y1 (en) Spacer for electric wire pipe
CN210669342U (en) Novel cable chute for railway cables
CN206512714U (en) Simple reliable ground stabilising arrangement
CN212935425U (en) Novel combined support
CN219123860U (en) Cable laying support
EP3171471A1 (en) Cable channel adapter and cable distribution system
JP4785020B2 (en) Underground conduit
CN106836480B (en) Steel structure bracket and steel structure supporting structure
CN110856401A (en) Intensive rack of on-vehicle weapon equipment
CN211447016U (en) Pipeline comprehensive supporting and hanging frame for in-road overhead station
JP2004120874A (en) Trough for multipurpose duct of electric cable
CN212627073U (en) Ox horn type combined partition plate hook support
CN216215720U (en) Electric power engineering cable laying structure
CN218714289U (en) Combined assembled inner wallboard
JP2006121800A5 (en)
CN213817184U (en) Cable support
CN213846118U (en) Novel cable trench cable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