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9163Y1 - 합성수지 우의 - Google Patents

합성수지 우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9163Y1
KR200329163Y1 KR20-2003-0020545U KR20030020545U KR200329163Y1 KR 200329163 Y1 KR200329163 Y1 KR 200329163Y1 KR 20030020545 U KR20030020545 U KR 20030020545U KR 200329163 Y1 KR200329163 Y1 KR 2003291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ynthetic resin
hood
welding
p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05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현국
손영춘
Original Assignee
손현국
손영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현국, 손영춘 filed Critical 손현국
Priority to KR20-2003-00205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91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91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91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2Mobile visual advertising by a carrier person or animal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수지 필름·시트 또는 합성수지가 코팅된 방수원단을 기재(基材)로 한 우의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색상이나 두께등이 각기 다른 여러 조각(piece)의 소폭원단을 열용착으로 이어 붙여 소요원단의 전폭을 구성하는 소폭다중결합(小幅多重結合)방식에 의해 여러 폭을 용착 연결하는 과정에서 휴대품 수납용 호주머니부와 통풍구를 형성하고 원단이 소폭이기 때문에 통상의 설비로 용이하고 저렴하게 광고용 인쇄를 할 수 있어서 제품의 앞뒷면에 효율적인 광고면을 확보하고 다양한 기능과 아름다운 색상들을 조합하여 비가 많이 오는 날이나 흐리거나 청명한 날이거나 농축장 작업장이나 도심지나 야외놀이장이거나 간에 언제 어디서나 부담없이 자연스럽게 공통적으로 입을 수 있는 화려하고 밝은 색상의 상의와 하의로 구성된 예쁜 평상복 개념의 여성적인 우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합성수지 우의 {Plastic Rainwears}
본 고안은 비가 올 때나 작업장 등에서 빗물이나 오염 물질로부터 신변을 보호하기 위해 입는 우의나 작업복등 우비에 속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우의는 망사내지와 함께 결합되거나 망사지에 수지가 코팅된 봉재의류인 PVC 비닐우의, 얇은 폴리에틸렌 필름을 열접착하여 만든 일회용 우의 그리고 섬유직물에 방수처리된 고급의류 등이 있는 바 그 중에서도 봉재의류인 PVC 비닐우의가 주로 근간을 이루고 있고 비가림 기능외에 망사내지를 이용한 통기성이 주력기능으로 부가되고 있으며 필름시트를 기재(基材)로 한 열 용착(Welding, Heat sealing)제품은 종래의 단순한 일회용 우의 외에는 새로운 제품을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우의라고 하면 농축장·수산물 취급장·공사장·공장 같은 작업장 등에 비치하고 사용하는 망사내지를 결합하거나 망사지에 수지 코팅을 하여 만든 두껍고 빳빳한 PVC 비닐 우의와 얇은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만들어 소형 팩으로 휴대하다가 비상시에 잠깐 사용 후 벗어서 부담없이 처분하는 일회용 우의 그리고 직물류에 방수처리한 고급의류 등으로 대분할 수 있는데, 종래의 PVC우의는 내구성이 좋아서 거칠은 작업장용으로는 좋으나 작업장 이외의 곳이나 도심지 등에선 입고 다니기가 어렵고 부피가 커서 휴대할 수도 없어 착용 장소와 시간에 대체로 제한 적이며 후드에 부착된 투명 차양막이 너무 약하고 후드가 바람에 쉽게 벗겨져 안면보호가 제대로 안되며 통기구도 한 두군 데에 집중적으로 형성되어 충분치 못한 단점이 있고, 일회용 우의는 값이 저렴하고 휴대할 수 있는 편리성은 있지만 얇은 튜브원단에 목부분의 후드부분과 어깨부위등 수작업 방식에 위한 최소한의 접착가공으로 우의의 형상만을 갖춘 단순한 일회용성 레인코트로서 미약한 바람에도 다 날려버리고 앞이 다 벌어지고 후드가 너무 쉽게 벗겨져 옷이나 머리가 다 젖게 되는 등 너무 조잡스럽고, 방수처리된 고급 의류등은 값이 비싸서 부담스럽고, 지금까지 우의에 관하여 새로운 고안들이 많이 제안되었으나 실물적으로는 크게 새로운 것이 없고 대다수가 오랫동안 단순기능 그대로인 것이 현실이다.
특히 공통적으로 우의에 홍보용 인쇄처리를 하기 어려웠다. PVC 비닐우의는 투박스러운 제품 특성상 인쇄하기 어려워 광고수요가 없고 일회용 우의는 수요층이 다양하여 미약하나마 광고 수요는 있으나 작업공정이 쉽고 편리한 대형의 단일폭 전지 원단을 사용할 수 밖에 없어 통상 설비로는 인쇄가 어렵고 설령 특수설비를 이용해 인쇄를 한다 해도 광고효과에 비해 비용이 더 많이 들어 인쇄광고는 생각조차 하기 어려웠다.
그래서 종래의 불편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원 고안은, 기본적으로 여러 조각의 각기 다른 색상이나 두께의 소폭원단을 용착으로 이어 붙여 하나의 전 폭 기재원단을 구성하는 소폭다중(多重) 결합방식을 고안하여 우선 각기 다른 여러 색상으로 조합하여 유연하고 밝고 화려한 캐주얼(casuals)개념의 상의와 하의로 구성된 다기능성의 여성적 우의나 작업복을 만들어 비바람이 강하게 몰아치는 날이나 흐리거나 청명한 날씨에도 도심지나 농축장 등 언제 어디서나 부담없이 자연스럽게 공통적으로 입을 수 있도록 하여 우중충하고 투박스럽거나 조잡스러운 우의에 대한 인식과 개념을 바꾸고자 하였다. 예를 들어 도1의 상의와 도7의 바지에서, 상의와후드가 전후면 각 네조각씩(별도의 후드를 상의에 부착할 경우엔 각각 5조각씩 가능) 소계 8조각 바지는 전후면 각 네조각씩 소계 8조각 도합 16조각의 원단 즉 16각색의 원단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여러 색상을 조합하여 화려하고도 다양한 기능을 가진 새로운 개념의 우의나 작업복을 만들어 제공할 수 있다.
종래의 동종 우의는 거의 대부분이 상의의 색상이 많을 경우엔 2색이고 바지가 상의와 동일색이어서 도합 2색 정도일 뿐이며 이는 우의 한 벌에 최고 두가지 색상의 원단으로 구성될 뿐 3색 이상은 없었다는 말인데 그것은 방수 기능만을 필요로 할 뿐 다색 기능에 대한 무관심에서 비롯된 것이다.
둘째로 우의는 강한 비바람에도 빗물이나 황사 기타 오염물질로부터 최대한 안전하게 신변을 보호할 수 있어야 하므로 후드의 안면부에 2차 절취부(107) 형성이나 유색이나 무색의 안면보호용 원단(101)을 부착하여 비바람으로부터 안면을 보호하거나 넓고 견실한 차양막(173, 181, 도5, 도6)부를 형성하고 끈(174, 183)으로 밴딩하여 안면부를 보호하고 상의의 하단에 끈이나 벨트(240)로 밴딩하여 바람에 날리지 않고 물받이(306, 507)가 형성된 하의나 코트를 착용함으로써 안전하게 보호면적을 최대화 하였으므로 휴대용 장화만 착용하면 폭풍우로부터도 온몸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셋째로 비가 많이 오거나 깊은 물 속에 빠져도 휴대폰이나 녹음기같은 전자제품이나 지갑 등 소지품이나 중요한 메모나 서류 등이 비에 젖지 않도록 우의 안쪽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호주머니부(215, 210, 212)를 형성하였고, 넷째로 우의나 작업복에 있어서 방수성과 통기성은 이제 기본적인 필수사항이지만 앞뒷면 한 두군데에 망사내지를 결합한 대형 통기구만으로는 합리성이 충분치 못하므로 후드·상의·하의의 전·후면과 양옆 등 사방의 많은 곳에 적정한 통풍구(154, 156, 157, 201, 202, 203, 204, 206, 207, 216, 217, 302, 303, 304, 316, 317, 333)를 형성하여 우의내부의 통풍성을 증진하여 습기를 방지하고, 다섯째로 소폭의 원단을 통상의 설비로 용이하고 저렴하게 인쇄처리를 하여 후드의 전·후면에 벨트 광고 및 전면 광고를 또 상의의 앞뒷면에 앞가슴·등판(Bib & Back)광고를 또 바지의 각 연결부에 벨트광고를 할 수 있도록 광고면을 확보하고 광고인쇄가 준비되지 못한 경우에 대비하여 홍보용 구호물이나 풍선 ·튜브나 인형등을 부착하여 즉석 광고를 실행할 수 있도록 점착물(140)을 부착하였으며 후드에 에어를 주입하여 전·후면에 각기 대형 광고면(120, 120a, 133, 134, 도4)을 형성하였고, 여섯째로 하의(바지)를 도합 8조각(8pcs) 즉 8각색(各色)으로 구성할 수 있고 개성과 희망에 따라 하위연결부(304·316, 334·335)의 절취선을 절사하여 반바지로 또는 중위연결부(303·317, 332·336)의 절취선을 절사하여 짧은 바지로 하여 3단 바지로 입을 수 있고 또 긴 소매의 팔부위에 절취선(250)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점착테잎을 부착하여 필요할 때에 점착테잎과 절취선(250)을 절사하여 반소매로 입을 수 있도록 하였고, 일곱째로 상의의 후면부 원단을 고어 타입(Gore type,,243, 608)으로 접어 전면부보다 폭을 더 넓게 하여 수납 공간을 확보하여 학생이나 등산객등 배낭족에게 배낭 수납용 우의(도3, 도9)를 제공하고, 여덟째로 정다운 커플이 비바람이나 추위로부터 함께 보호받을 수 있도록 성인 두 사람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고 비상시엔 간이 커플 침낭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2인용 우의등 다양한 특성과 기능을 가진 우의를 제공하고, 아홉째로 제품의 품질을 균일화하고양산체제에 의한 경쟁력 제고를 위해 자동화 기계작업이 가능하도록 고안되었다.
도1a, 도2a, 도3a : 본 고안 상의의 전면부
도1aa, 도2aa, 도3aa : 전면부의 원단 구성 및 결합 측면도
도1b, 도2b, 도3b : 상의의 후면부
도1bb, 도2bb, 도3bb : 후면부의 원단 구성 및 결합 측면도
도4a, 도4b, 도4c, 도4d : 두 개의 에어후드 전면부와 후면부
도5a, 도5b : 에어 후드의 사시도와 전개도
도6a, 도6b, 도6c : 차양막을 가진 후드의 사시도와 전개도와 측면도
도7a, 도7b : 3단 바지의 전면부와 후면부
도7aa, 도7bb : 전면부와 후면부의 원단 구성 및 결합 측면도
도8a, 도8b : 3단 바지의 전면부와 후면부
도8aa, 도8bb : 전면부와 후면부의 원단 구성 및 결합 측면도
도9a, 도9b : 배낭 수납용 우의의 전면부와 후면부
도9aa, 도9bb : 전면부와 후면부의 원단 구성 및 결합 측면도
도10a, 도10b : 2인용 우의의 전면부와 후면부
도10aa, 도10bb : 전면부와 후면부의 원단구성 및 결합 측면도
도11a : 코트형 우의의 정면도
도11b : 도11a의 착용 요령
도11c : 장방형의 점착 테잎
도12 : 종래의 일회용 레인코트
[부호의 설명]
10, 20, 30 : 상의의 전면부를 구성하는 기재원단
40, 50, 60 : 상의의 후면부를 구성하는 기재원단
71, 72, 73, 74 : 하의(바지)의 전면부를 구성하는 기재원단
76, 77, 78, 79 : 하의(바지)의 후면부를 구성하는 기재원단
91, 92, 95, 96 : 우의의 전면부를 구성하는 기재원단
93, 94, 97, 98 : 우의의 후면부를 구성하는 기재원단
101 : 후드의 안면보호용 원단
105, 155 : 용착선
106, 107, 112 : 개구부 및 안면부 절취선
120, 120a : 에어후드의 전·후면부 에어룸 광고 면
121, 125 : 내부 용착선
122, 124, 130, 131 : 외부 용착재단선
123, 132 : 에어 주입구
126 : 개구부
127 : 에어 차양막
128 : 차양막 에어 분리대
129 : 연결 부위 및 통풍구
133, 134 : 전면부 에어룸 광고판 및 후면부 광고판
140 : 경량 소형 물체 부착용 점착물
151 : 상의와 용착 연결되는 후드 원단
152 : 상단 마감부 원단
153 : 후드 후면부의 광고용 겸 통풍구 덮개용 원단
154 : 상의와 후드부분의 연결부위 및 통풍구
156 : 통풍구용 절개선
157 : 후드 연결 부위 및 통풍구
170, 170a, 171, 171a : 후드의 에어룸
172, 172a : 에어 주입구
173, 173a, 181, 181a : 차양막부
174, 174a, 183, 183a : 밴딩용 끈
175, 175a : 완충부
176, 176a, 180, 180a : 후드 형성 접합선
177, 184 : 후드와 상의의 연결점 및 통풍구
178, 178a, 182, 182a : 용착 줄기선
185 : 차양막 보강용 시트
186, 186a : 광고원단 또는 점착물
201, 202, 203 : 돌출식 통풍구
204 : 돌출식 통풍구 겸 내부 출입구
205 : 통풍구의 돌출부가 안으로 들어간 상태
206, 207, 216, 217 : 용착 연결부 및 통풍구
210, 211, 212 : 상의의 하단에 형성된 호주머니부
214 : 호주머니 칸막이
215 : 상단 안쪽 호주머니부
218 , 219: 역류방지턱 및 접힘부
222 : 중앙 개폐부의 절취선
223 : 화스너(fastener)용 점착 테잎
230 : 지퍼 또는 절취선
240, 241, 242 : 벨트와 벨트고리 및 벨트걸이부
243 : 고어(Gore)형 접힘부()
245 : 배낭수납부
246 : 점착물
250, 251 : 절취선 및 점착테잎
301 : 바지의 내부출입구
302, 303, 304, 316, 317, 330 : 연결부 및 통풍구
305, 311 : 절취선
306, 307 : 하단부의 물받이부와 용착선
309, 310 : 허리 벨트와 걸이부
312 : 역류방지턱과 접힘부
313, 314 : 에어룸 및 주입구
318, 338 : 뒤쪽 호주머니부
331, 337 : 용착선
332, 334, 335, 336 : 통풍구 덮개용 원단
333 : 통풍구 겸 절취선
471 : 튜브상태의 소매부
472 : 튜브의 중앙을 타개어 만든 몸통부
473 : 스냅 단추
474 : 열 접착된 부위
475 : 벌어진 틈으로 들이치는 비바람
500 : 개폐부 절취선
501, 502, 503 : 통풍구 및 내부 출입구
504, 505 : 허리벨트와 걸이부
506 : 손잡이부가 있는 장방형의 점착테잎
507, 508 : 물받이부와 용착선
520 : 점착제 전면 도포부분
521 : 점착제가 부분적으로 도포된 부분
522 : 점착제 비도포 부분
601 : 통풍구 겸 내부 출입구
602, 655, 656 : 호주머니부
603, 657 : 용착 연결부 및 통풍구
604 : 아일렛(eyelet)
605 : 허리벨트
606, 607 : 밴딩용 끈 및 끈부
608 : 고어(Gore)형 접힘부()
609 : 배낭 수납부
610, 615 : 점착물
611 : 벨트걸이부
612 : 용착부
620 : 결속밴드 또는 점착테잎
650 : 안면보호용 원단
651 : 안면부 절취선
652 : 목 밴딩용 끈
653 : 우의의 소매
654 : 통풍구 겸 내부 출입구
658 : 통풍구용 절개선
660 : 광고용 겸 통풍구 덮개용 원단
본원 고안에서 합성수지라 함은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서 polyethylene, EVA, PP, PVC, PU, Ionomer등이 주로 사용될 수 있으나 EVOH, EEA, EMAA, 기타 등등 필름막을 성형할 수 있는 플라스틱 소재는 모두 포함된다.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을 도면을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 도1a는 상의의 전면부이고 도1b는 후면부이며 도1aa와 도1bb는 도1a와 도1b의 종적·횡적 결합과 구성을 표시한 측면도인데 상하간 세로방향의 선은 기재원단의 배열·조합을 말하고 좌우간 가로방향의 짧은 선은 원단 간의 용착 결합 부위를 표시한 것이며, 세로선의 좌측은 우의의 안쪽에 해당하고 우측은 바깥쪽에 해당하며 이것은 본원 고안의 전체 도면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전면부(도1a)는 후드부를 포함하는 상위부(10)와 빕(Bib)광고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중위부(20) 및 하위부(30)등 세조각(3pcs)의 각기 다른 기재원단으로 구성하고 후면부(도1b)는 후드부를 포함하는 상위부(40)와 등판(Back)광고용 으로 사용할 수 있는 중위부(50) 및 하위부(60)등 세조각(3pcs)의 각기 다른 기재원단으로 구성되는데, 전면부는 상위부(10)원단의 하단을 중위부(20)원단의 상단 위에 깊게 겹치게 하고 또 하위부(30)원단의 상단 위에 중위부(20)원단의 하단을 겹치게 하고 소정의 가열된 금형을 가압하여 그 겹침 연결부위(206, 207)를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막대(立棒)형상(막대형 대신 점·선 방식도 무방하나 막대형상이 훨씬 더 합리적임)으로 용착 연결함과 동시에 안쪽 호주머니부(215, 210)와통풍구(206, 207)를 형성하고 후드의 개구부(106)와 안면 보호부(107)의 절취선을 형성한 후 그 위에 벨트광고용 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원단(101)을 고정(Fix, 105)시키고, 후면부(도1b)는 상단부를 겹으로 접어(219) 액체 역류방지턱(218)을 형성한 중위부(50)의 상단 위에 상위부(40)원단의 하단을 또 하위부(60)원단의 상단위에 중위부(50)원단의 하단을 겹치게 하고 소정의 가열된 금형을 가압하여 그 겹침 연결 부위(216, 217)를 가로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막대 형상으로 용착연결하여 통풍구(216, 217)를 형성하고 후드의 중앙부에 통풍구용 절개선(156)을 형성한 후 그 위에 광고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원단(153)을 고정(155)시킨 후 각기 기본구성이 완료된 전면부와 후면부원단을 포개어 합치시킨 후 가열된 금형을 가압하여 외곽형상을 하단부 양 옆에 결속밴드용 벨트 걸이부(242) 형성과 동시에 용착재단(Welding-Cutout)하여 상의를 완성하거나, 또는 외곽형상을 팔꿈치 부위나 겨드랑이 부위 및 옆구리 부위에 통풍구(201, 202, 203)나 통풍구 겸 내부 출입구(204)의 형성과 동시에 용착재단하여 최종 완성할 수 있는데 전·후면 각 세조각(3pcs)씩의 기재원단과 한 조각(1piece)씩의 후드 덧대기 원단 도합 8조각(8pcs)의 소폭원단을 붙여 필요에 따라서 각기 다른 8색의 색상이나 물성·원단·두께가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고 후드의 앞뒷면(101, 153)과 상의의 앞뒷면(20, 50)에 4면의 광고면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에서 호주머니부는 안쪽의 것보다 불편하긴 하지만 바깥 쪽에 형성하여 뚜껑원단을 부착할 수도 있으며 후드(Hood)에 형성된 안면부 절취선은 1차로 개구부(106)를 절개하여 코 끝 아래 입부분의 호흡구로 이용하고 그 윗부분에 핀홀식으로 도시된 2차 절취선(107)은 비바람이나 황사 등 유해물질로부터의 안면보호용으로 사용하다가 언제든지 필요할 때 절취해서 개방사용하면 되는데 이때 안면보호용으로 시판 중인 자외선 차단제 등이 첨가된 원단(101)을 넓게 사용하는게 바람직하고 비오는 날 오토바이나 자전거 등을 탈 때 시야 확보에도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중앙개폐부는 도면처럼 폐쇄되거나 절취선 등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전면 후드부의 광고벨트로도 이용할 수 있는 안면보호용 원단에 부착된 점착물(140)은 광고인쇄가 준비되지 않았을 때 홍보용 시트나 풍선·튜브 또는 인형같은 경량 소형 물체를 부착하여 즉석광고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비가 많이 오는 날 휴대폰같은 전자제품이나 지갑 등의 소지품 또는 서류봉투 등 소중한 휴대품을 비 안 맞게 잘 간수할 수 있도록 상위부와 하위부에 안쪽으로 호주머니부(215, 210)를 형성하였는데 이는 전면부 세조각(3pcs)의 기재원단을 용착 연결하면서 통풍구와 더불어 현성된 것이며 연결부는 가로 방향으로 3mm 내지 50mm 간격, 바람직하게는 5mm 내지 30mm 정도의 간격을 두고 5mm내지 200mm 정도 높이의 막대기(立棒)형상으로 용착함이 합리적이며 용착간격이 너무 좁으면 통풍성에 문제가 있고 너무 넓으면 호주머니 수납물건이 밑으로 빠질 우려가 있으며 용착형상은 적당한 높이의 수직 막대 형상이라야 용착부위가 중량물 압력에도 터지지 않고 견고하며 통풍에도 많이 기여할 수 있다. 본래 합성수지 원단은 통기성이 안 좋기 때문에 합성수지 의류제품은 어느 특정 부위 한 두 군데에 통기구를 형성하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못하고 가능한 한 밀폐된 곳 없이 여기 저기 많은 곳으로부터 고르게 조금씩 지속적으로 통풍되도록 하는 것이 통기성과 보온성 차원에서 바람직한데 본원 고안은 머리 부위의 전면부는 물론 후드 뒷면에도 통풍구(154, 156, 157)를 형성하고 상의의 전면부(206, 207)와 후면부(216, 217) 그리고 양쪽 옆(201, 202, 203, 204)과 바지의 전면부(303, 304, 333)와 후면부(316, 317, 333)등 사방에 통풍구가 확보되어 매우 합리적이다. 여기에서 양쪽 팔꿈치부위와 겨드랑이 부위 및 옆구리 부위 등에 형성되는 돌출 통풍구(201, 202, 203)의 폭은 5mm 내지 50mm 바람직 하게는 10mm내지 30mm정도가 바람직하고 통풍구 겸 내부 출입구(204)는 손주먹이나 휴대품이 자유롭게 출입해야 하므로 100mm 내지 200mm 정도의 폭이 확보되어야 하며 돌출부분을 안으로 밀어 넣으면 돌출부는 사라지고 점선(205)처럼 경사진 사선형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비가 들이쳐도 밖으로 흘러버리며 이 출입구는 안쪽 양복 호주머니 등에 손을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개봉된 내부 통로이며 우의 자체에 형성된 호주머니의 출입 통로이기도 하다. 또 후면부에 형성된 빗물 역류 방지턱(218)은 어깨의 높이가 등허리보다 낮을 경우 비를 맞을 때 빗물이 통풍구를 통해 우의 속으로 역류하여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중위부(50)원단의 상단을 접어(219) 겹쳐서 턱을 형성한 것인데 접지 않고 별도의 원단을 대고 접착하여 방지턱을 만들 수도 있으나 이 방지턱이 크게 중요하지는 않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본원 고안에서 상의에 포함되는 후드는 상의와 일체 원단으로 도1과 같이 자체 형성하거나 또는 별도로 제작된 후드를 상의에 부착 체결할 수 있다. 또 하단의 밴딩부는 가는 고무줄을 여러 줄로 배열하여 실로 피복한 고무줄벨트(240)를 몸통 폭정도만 확보하여 벨트걸이(242)부에 걸어놓으면 신축성이 좋아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또 소매부의 양쪽 팔꿈치 윗 부위에 절취선(250)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점착테잎(251)으로 커버한 후 필요할 때에 절취부를 절사 후 반소매로 형성하여 입을 수 있다.
도 2 : 작업복 겸용으로 고안된 전면부(도2a)는 중앙 개폐부에 절취선(222)을 형성하고 점착제가 비도포된 손잡이부가 형성된 장방형의 점착테잎(223)을 화스너(Fastener)용으로 부착하여 처음 착용시부터 절취선(222)을 절개 후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앞에서 들이치는 비바람을 덜 맞기 위해 절취선은 유지하며 사용 후 벗을때 절개하고 벗을 수도 있으며, 하단에 바깥으로 형성된 주머니(212)는 공사장이나 작업장 등에서 소공구나 잡동사니 소형물등의 수납공간용이나 또는 페인트나 오수같은 유동물질이 흐를때 모여 고일 수 있도록 물받이용으로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개폐부 절취선(222)은 안면부 절취선(106, 107)과 함께 형성하고 양쪽 팔꿈치 윗 부위에 절취선(250)을 형성하여 점착테잎(251)으로 커버한 후 필요할 때에 절사하여 반소매로 입을 수 있는데 이때의 점착테잎은 통상적인 일반테잎도 사용할 순 있지만 절취선이 접촉되는 중앙부는 비도포하고 양쪽 가장자리에만 점착제가 도포된 얇은 특수테잎을 사용하는게 바람직하며 본원 고안의 모든 소매부분은 공통적으로 이 반소매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양쪽 가장자리에 형성한 돌출식 통풍구(201, 202, 203)와 통풍구 및 내부 출입구(204)는 본원 고안의 후드부, 상의, 하의, 코트, 판초등 어느 것이나 본원 고안의 작업공정상 가장자리 용착재단 부위의 필요한 곳에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더 크거나 작게 여러 개를 자유롭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단 호주머니부와 통풍구(206) 및 양쪽 가장자리의 통풍구(201, 202, 203, 204)와 후드의 전면부 구성 등은 도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리고 후드의 후면부는 상의 원단(40)과 후드원단(151)과 마감부 원단(152)을 연결용착하여 통풍구(154, 157)를 형성한 것이며 상의의 전면부와 후면부는 공히 필요에 따라 각기 두 조각 내지 세 조각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또 후드부는 필요에 따라 상의와 동일체 원단에 자체 형성하거나 별도의 후드를 상의에 부착할 수 있다.
도 3 : 본 고안은 배낭이나 가방 등을 맨 상태에서 착용할 수 있도록 배낭 수납공간을 형성한 우의로서 전면부(도3a)는 상위부(10)와 하위부(30) 원단의 연결부위(206)를 소정 간격을 두고 막대형상으로 용착하여 통풍구(206)를 형성하고 안쪽에 휴대폰이나 지갑등 소지품을 넣을 수 있는 호주머니부(215)와 하위부(30)안쪽에 호주머니부(212)를 형성하고, 후면부(도3b)는 기재원단(40)을 고어형(Gore type,, 243)으로 세로방향으로 길게 접어서 전면부의 원단보다 폭을 넓게 확보함으로써 배낭수납부(245)를 입체적으로 형성하고 하단부가 바람에 걷히지 않도록 화스너고리(241)가 부착된 약간 넓은 고무줄 벨트(240)를 기재원단 몸통부의 폭 정도의 길이로 확보하여 도3a·도3b와 같이 벨트 걸이부(242)에 착용하고 필요할 때 잡아매면 편리한데 벨트가 신축성이 좋기 때문에 앞 뒤 어느 쪽으로든지 잡아당겨서 고리에 끼우면 된다.
그리고 각기 기본구성이 완료된 전면부와 후면부 원단을 합치시켜 우의의 외곽 형상을 벨트걸이부 형성과 함께 용착재단하거나 팔꿈치 부위나 겨드랑 부위 및 옆구리 부위 등에 돌출식 통풍구(201, 202, 203)와 통풍구 겸 내부 출입구(204)의 형성과 함께 용착재단하여 완성할 수 있으며 전면부는 두조각으로 한정하지 않고 도1a와 같이 세조각(3pcs)으로 구성하여 통풍구(207)를 더 형성할 수 있다.
또 후드 전면부는 단번에 안면 절취선(112)을 절개하여 완전개방토록 하고 그 위에 안면보호용으로 무색 또는 유색 투명의 원단(101)을 넓게 형성하여 안면부를 은폐하거나 보호할 수 있으며 이때 시판 중인 자외선 차단제 등이 첨가된 원단을 사용하는게 바람직하며 후면부는 기재원단의 중앙부에 통풍구용 절개선(156)을 형성한 후 그 위에 광고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덮개용 원단(153)을 고정시켜 통풍구 형성과 광고기능을 겸비하도록 하였고 또 광고용 인쇄가 준비되지 않을 경우에 즉석 광고를 실행할 수 있도록 후드의 전·후면과 상의의 등판 등에 경량소형물체 부착용으로 점착성 테잎이나 벨크로 등의 점착물(140, 246)을 부착할 수 있다. 또 후드부는 소비자의 욕구가 다양하므로 필요에 따라서 상의와 동일체 원단에 형성하거나 별도의 후드를 상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원단소재를 합성수지 필름시트로 하여 열용착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지만 원단의 상태나 소재에 따라 열용착 대신 재봉으로 처리하여 고급 제품으로 완성할 수도 있으며 도면에서 전면 개폐부가 지퍼(230)부착으로 되어 있으나 이는 지퍼나 단추·테잎·벨크로 부착이나 절취선 형성(222, 도2)등 어느 것이나 가능하며 파카 점퍼처럼 앞을 개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 소매부는 양쪽 팔꿈치 윗쪽 부위에 절취선(250)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점착성 테잎(251)을 부착하여 필요할 때엔 그 절취선부를 절사하고 반소매로 입을 수 있다.
도 4 : 도4a와 같이 안면부 절취선(106, 107)이 형성된 전면부 원단과 가로 방향으로 절개선 통풍구(156)가 형성된 후면부(도4b)원단을 포개어 겹친 상태에서 가열된 금형으로 가압용착하여 내부 용착선(121)과 외부 용착선(122)을 형성함으로서 그 사이에 에어주입구(123)와 에어룸(120, 120a)을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기 다른 원단(124)을 덧대어 세겹 또는 네겹(4plies)이상을 동시에 용착한 후 에어를 주입함으로써 전·후면에 팽팽하고 넓은 광고면을 형성할 수가 있으며 그 위에 경량소형물체 부착용 점착물(14)을 부착하여 즉석에서 부착물 광고를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 용착 재단선(122, 124)은 십자(十字)형상으로 형성하여 광고면을 더 넓힐 수 있는데 이때 가로 방향의 길이는 60cm이상 가능하다.
도4c와 도4d는 도4a, 도4b와 다른 구조의 에어주입형 광고용 후드인데 가열된 금형을 가압하여 내부 용착선(125)과 에어 차양막을 포함한 안면부(126, 127, 128)를 용착하여 형성된 두 겹의 전면부(도4c)원단과 기재원단의 상단에 별도의 광고겸용 후드원단(134)을 겹친 후 가로 방향으로 5mm 내지 50mm 정도의 간격을 두고 막대(立棒)형상으로 용착 연결하여 통풍구(129)를 형성한 후면부(도4d)원단을 포개어 합치시킨 후 외형선(130, 131)을 용착 재단하여 에어주입구(132)와 에어룸(133)을 형성하여 에어를 주입하면 팽팽하고 넓은 광고면을 확보할 수 있고 머리는 전면부와 후면부 원단 사이에 들어가며 선택적으로 경량소형 물체 부착용 점착물(140)을 상단부에 부착함으로써 부착물 광고를 실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면부(도4c)는 두 겹이고 후면부는 외겹(1ply)이며 안면부엔 에어 주입형 차양막(127)이 형성된다
또 도4a와 도4c 공히 전면 개폐부의 목 부위에 점착 테잎(620)이나 벨크로 또는 스냅단추같은 결속물을 부착하여 들이치는 비바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 도5a는 에어가 주입된 후드를 착용하고 끈을 약간 조인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5b는 펼친 그림이다. 에어 주입형 후드는 제품의 안전관리상 두 겹 이상 세 겹, 네 겹도 될 수 있으나 여기에선 두 겹 이상으로 설명한다. 두 겹 이상의 기재원단에 차양막부(173a), 밴딩용 끈부(174a), 완충부(175a), 에어주입구(172a), 에어룸부(170a, 171a)등이 타설된 가열 금형으로 가압 용착 후 뒤쪽 접합부(176, 176a)를 모아 용착 결합하여 완성하는데 완충부(175, 175a)라 함은 밴딩용 끈(174)을 잡아 당기면 인접한 에어룸(170)이 주름이 지고 울게 되어 에어룸(170)의 기능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에 양자 간에 어느 정도 공간을 확보해 주는게 좋고 또 차양막(173)은 끈(174)을 당겨서 도5a와 같이 주름이 가능한 한 많이 만들어지는게 줄기가 형성되어 강도가 강해지고 팽팽해진다. 에어는 입으로 주입해도 충분하며 주입용 간이 밸브를 부착해서 완성하며 다른 한쪽은 에어 출구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일반 후드를 착용하고 나면 잘 정돈되었던 머리가 다 흐트러져 짜증스럽고 비바람이 강하게 불고 추울때 후드가 쉽게 벗겨지고 차양막에 힘이 없어 안면부나 머리를 다 젖게 되는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인데 에어룸에 에어가 차면 안면에 밀착이 되어 후드가 벗겨지지 않고 보온성도 좋으며 헤어스타일을 그대로 보존할 수 있고 견실한 용착 줄기선(178a)으로 형성된 넓은 차양막을 끈으로 조여 묶어 빗물이 들이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차양막 끝에서 빗방울이 바로 낙하한다. 만약 에어룸 튜브(170)가 맨 가장자리에 위치한다면 끝이 둥근 원형으로 되어 물방울이 맺혀서 안면부에 떨어지기 때문에 좋지 않다
또 차양막부(173, 174, 175)에 보강용 원단을 덧대거나하여 가로방향으로 굵고 길게 막대 형상의 뼈대 줄기선(178, 178a)을 형성하고 그 직선 견지력과 복원 탄력을 이용하여 차양막을 빳빳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직선형으로 열용착(Welding, Heat sealing)되는 대부분의 합성수지 필름시트는 가열온도와 냉각상태에 따라서 어떤 형태로든 그 용착 부위에 뼈대 줄기가 형성되는데 이 용착줄기선은 굵을수록 탄력성이 좋다.
도 6 : 본 고안은 종래의 후드나 차양막이 약하고 흐느적거리는 등 부실하여 비바람에 너무 쉽게 벗겨지는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만든 입체형 후드인데 기재원단의 한쪽을 접어서 도6c와 같이 두겹으로 하거나 한겹 이상의 시트(185)를 추가하거나하여 도6b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10mm내지 50mm정도의 간격을 두고 가열된 금형을 가압하여 막대(立棒)형상의 굵은 용착선(182a)을 밴딩용 끈부(183a)와 함께 형성하고 뒤쪽 접합부(180a)를 모아 용착 결합함으로써 견실하고 넓은 차양막부(181)가 형성되어 밴딩끈(183)을 당겨서 묶으면 비바람이 강하게 불어도 벗겨지지 않고 안면부를 잘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적으로 후드의 평면작업시에 벨트 광고용 인쇄 원단(186a)을 대고 동시 작업을 하거나 또는 그 자리에 경량 소형 물체 부착용으로 점착물(186)을 부착하거나 하여 광고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7 : 본 고안은 전·후면부 각 네조각(4pcs)씩 도합 8조각(8pcs)의 각기 다른 소폭 원단으로 구성되는 8각색(8各色)의 3단 바지(긴바지, 반바지, 짧은 바지)에 관한 것으로서, 여덟 가지의 각기 다른 색상과 다른 두께 다른 물성의 원단으로 조합할 수 있으므로 상의와 함께 유연하고 화려한 예쁜 무지개 우의를 연출할 수도 있고 부위별 특성에 따라 다른 두께의 원단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바지의 하위 연결부(304, 316)에 형성된 절취선(305)을 절개하면 반바지가 되고 중위 연결부(303, 317)에 형성된 절취선을 절개하면 더 짧은 바지가 되어 희망에 따라 세 가지의 개성있는 3단 바지로 겸용할 수가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바지의 전면부(도7a)는 가변적으로 두조각 내지 네조각(4pcs)의 소폭 원단으로 구성될 수 있고, 최상위부(71)의 하단을 상위부(72)원단의 상단 위에 또 상단부를 겹으로 접어 역류 방지턱(312)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절취선(305)을 형성한 중위부(73)원단의 상단 위에 상위부(72)원단의 하단을 또 맨 아래 끝부분을 밖으로 접어 올려 물받이부(306)를 형성하고 상단부에 절취선(305)을 형성한 하위부(74)원단의 상단 위에 중위부(73)원단의 하단을 각기 포개어 겹치게 하고 각 겹침 연결부위(302, 303, 304)에 가열된 금형을 가압하여 가로방향으로 5mm 내지 50mm 정도의 간격을 두고 세로방향의 길이 5mm 내지 50mm정도의 막대 형상으로 용착연결하며 통풍구(302, 303, 304)를 형성하고 하단의 물받이부(306)는 ㅡ자 형상으로 용착(307)하고 상위부엔 허리띠(309)걸이와 중앙 절취선(311)을 형성하여 완료하고, 또 후면부(도7b)는 가변적으로 두조각 내지 네조각(4pcs)의 소폭원단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단부를 겹으로 접어 액체 역류 방지턱(312)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절취선(305)을 형성한 중위부(77)원단의 상단 위에 상위부(76)원단의 하단을 그리고 하단을 밖으로 접어 올려 물받이부(306)를 형성하고 상단부에 절취선을 형성한 하위부(78)원단의 상단 위에 중위부(77)원단의 하단을 각기 포개어 겹치게 하고 각 겹침 연결부위(316, 317)에 가열된 금형을 가압하여 가로방향으로 5mm내지 50mm정도의 간격을 두고 세로 방향의 길이 5mm 내지 50mm정도의 막대형상으로 용착연결하며 통풍구(316, 317)를 형성하고 하단의 물받이부는 ㅡ자 형상으로 용착하고 상위부엔 허리띠(309)걸이를 형성하여 완료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상위부(76) 원단의 엉덩이부위에 보강대용 원단(79)을 덧대어 호주머니부(318)나 에어매트부(313, 314)를 연결부위와 동시에 용착형성하거나 하여 각기 구성이 완료된 전면부(도7a)와 후면부(도7b)의 원단을 포개어 합치시킨 후 가열된 금형으로 가압하여 상단 벨트 걸이부(310)와 내부출입구(301) 형성과 함께 바지의 외곽형상을 용착재단함으로써 본 고안의 바지가 완성되는데 내부출입구(301)는 우의속의 바지에 손을 넣기 위한 것이다.
도7aa와 도7bb는 전면부와 후면부의 측면도로서 바지를 구성하는 소폭원단의 배열과 결합을 표시한 것이며 역류방지턱은 원단을 10mm정도의 높이로 접어서 양쪽 끝을 용착해주니까 그 턱이 살아서 역류를 방지할 수 있고, 전면 상단의 개폐부(311)는 도면처럼 절취선으로 처리할 수도 있고 점착테잎이나 공지된 방법으로 원단 소재에 따라 단추나 지퍼 또는 벨크로 등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상단 벨트 부분도 끈이나 고무줄밴드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후면부도 전면부처럼 네조각으로 할 수 있으며 보강용 원단(79)과 호주머니부(318)나 에어매트부(313)등을 생략할 수도 있고 중위부(73, 77)의 형성을 생략하고 2단 바지를 만들 수도 있으며 맨 하단에 형성한 물받이부(306)는 빗물이 흘러 고인 물의 중량으로 바지가 바람에 날리는 것을 방지코져 하는 것이며 역류방지턱(312)은 무릎 부위가 허벅지보다 높은 위치에 있을 때 비를 맞으면 통풍구(303, 317)를 통해 허벅지 안으로 빗물이 역류할 수 있어 이에 대비코져 하는 것이다.
도 8 : 본 고안의 바지는 기본적으로 전·후면 도합 세조각(3pcs)의 기재원단에 네조각(4pcs)의 덧대기 원단(332, 334, 335, 336)으로 구성되는데, 전면부(도8a)는 무릎 윗부위(332)와 무릎 아랫 부위(334)에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직경 Ø0.4mm 내지 Ø5mm 정도의 크기로 타공(333)하여 절취선 겸 통풍구(333)를 형성하고 그 위에 벨트 광고용 겸 덮개용 원단(332, 334)을 포개어 덮은 하위부(72)원단의 상단 위에 허리 벨트부(340)가 형성되는 상위부(71)원단의 하단을 포개어 겹친 후 가열된 금형을 가압하여 그 연결부(330)에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막대 형상으로 용착하여 통풍구(330)를 형성하고 덮개용 원단(332, 334)의 상단(331)과 벨트부(340)를 가로방향으로 용착하여 완료하고, 후면부(도8b)는 기재원단(76)에 무릎 윗 부위(336)와 무릎 아랫 부위(335)에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직경 Ø0.4mm내지 Ø5mm 정도의 크기로 타공하여 절취선 겸 통풍구(333)를 형성하고 그 위에 벨트 광고용 겸 덮개용 원단(335, 336)을 포개어 덮고 그 상단을 가열된 금형으로 용착하여 상단 벨트부(340)형성과 함께 완료하거나 또는 엉덩이 부위에 별도의 보강용 원단(79)을 덧대어 호주머니부(338)를 동시에 용착하여 완료하거나 함으로써 각기 기본 구성이 완료된 전면부(도8a)와 후면부(도8b)원단을 소정부위에 합치 시킨 후 가열된 금형으로 가압하여 내부 출입구(301)형성과 함께 바지의 외곽형상을 용착 재단하여 최종 완성하는데 하위 타공부(334, 335)의 절취선(333)을 절사하여 반바지로도 만들 수 있고 중위타공부(332, 336)의 절취선을 절사하여 더 짧은 바지로도 입을 수 있다. 여기에서 벨트 광고 겸 덮개용 원단의 상단(331)을 용착하는 것은 통풍구의 은폐와 빗물 유입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8aa와 도8bb는 전면부와 후면부 원단의 배열과 용착 결합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또 절취선 겸 통풍구(333)는 직경이 Ø0.4mm 이하일 경우엔 절취는 가능하나 구멍이 너무 작아서 통풍성이 안 좋고 Ø5mm 이상이 되면 구멍이 커서 통풍성은 좋으나 너무 쉽게 절단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좋지 않다.
도 9 : 본 고안은 배낭 수납 공간(609)을 형성하는 우의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부(도9a)는 후드의 안면부에 절취부(651)선을 형성하고 그 위에 안면보호용 유색이나 무색의 투명성 필름시트(650)를 부착하고 하단에 에어주입용 튜브(613)를 형성한 상위부(91)원단의 하단부를 하단에 밴딩용끈부(607)를 형성한 하위부(92)원단의 상단 위에 깊숙이 포개어 겹치게 하고 가열된 금형을 가압하여 가로 방향으로 5mm내지 50mm정도의 간격을 두고 5mm내지 200mm 정도 높이의 막대(立棒 )형상으로 연결부를 용착하여 호주머니부(602)와 통풍구(603)를 형성하고, 후면부(도9b)는 세로 방향으로 길게 고어 타입(Gore type,, 608)으로 접어서 전면부보다 폭을 더 넓게 하여 배낭등의 수납공간(609)을 입체적으로확보하고 후드의 상단부에 통풍구(658)를 형성한 상위부(93)원단의 하단을 하위부(94)원단의 상단 위에 깊숙이 포개어 겹치게 하여 연결부의 양쪽 일부를 용착(612)하고 하단 밴딩끈부(607)를 형성하여 각기 기본구성이 완료된 전면부와 후면부 원단을 소정부위에 합치 시켜 가열된 소정의 금형을 가압하여 후드부와 소매와 통풍구 겸 내부 출입구(601) 및 하단밴딩끈(606)걸이용 아일렛(eyelet, 604)을 포함한 벨트 걸이부(611)를 동시에 형성하며 외곽형상을 통상의 우의보다 더 넓은 폭으로 용착 완성함으로써 배낭 수납공간을 넓게 가진 판초형 우의가 완성되는데 중위부 밴딩용 벨트(605)와 점착물(610)은 주로 배낭 수납부(609)의 하단이 바람에 펄럭임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하단의 밴딩끈(606)은 우의가 길어서 불편할 때에 아일렛(604) 구멍에 걸고 당기면 하단부가 걷어 올려진다.
또 후드의 전면 목 부위에 결속 밴드나 점착테잎(620)등을 부착할 수 있으며 전면부의 호주머니 위·아래 부위에 에어 주입용 튜브(613)를 형성하여 에어를 주입하면 튜브가 팽창하며 우의의 내부 공간을 넓게 해주므로 누워 있을 때에도 편리하다.
본 고안의 우의는 머리에서부터 신발부분까지 완전히 수용할 수 있도록 통상의 우의보다 더 넓고 길게 고안되어 굵은 빗발이 내려도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등산이나 야외행사때 특히 야간행사 같은 때엔 보온유지도 할 수 있다. 후드부는 상위부 원단(91, 93)과 일체로 형성하거나 또는 별도의 것을 부착하거나 할 수 있고 등판(609)이나 앞 가슴부 또는 후드의 전·후면에 경량소형 물체 부착용으로 점착물(615)을 부착하여 부착물 광고를 실행할 수 있다.
도 10 :본 고안은 성인 두 사람을 동시에 수용하는 2인용 우의로서 전·후면부의 안쪽에 소지품이나 휴대품 수납용 호주머니부(655, 656)가 형성되고 유사시에 간이 침낭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후드부 역시 2인용으로서 안면부는 넓게 개방(651)후 그 자리에 비바람막이용으로 무색 또는 유색 투명 원단(650)을 부착시켜 안면부를 은폐보호하거나 또는 동일한 방법으로 1인용 후드 두 개를 한쌍으로 하여 상의와 동일체 원단으로 형성하거나 별도의 후드를 상의에 부착할 수 있다.
또 전면 호주머니부 윗부위나 아랫 부위에 튜브형상을 형성하여 에어를 주입하고 팽창시켜 우의의 내부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에어 주입구의 밸브는 공지된 기존 방법으로 하면 된다.
전면부(도10a)는 하단에 밴딩끈부(607)를 형성하는 하위부(96)원단의 상단 위에 후드의 안면 절취선부(651)를 형성하고 그 위에 무색 또는 유색의 안면 보호용 투명성 원단(650)을 부착하고 목 부위에 결속 밴드나 점착물(620)을 부착하고 하단에 에어 주입용 튜브(613)를 형성한 상위부(95)원단의 하단을 깊숙이 포개어 겹친 후 가로 방향으로 5mm내지 50mm정도의 간격을 두고 5mm 내지 200mm 정도 높이의 막대 형상으로 용착 연결함과 동시에 호주머니부(655)와 통풍구(603) 및 밴딩끈부(607)를 형성완료하고, 후면부(도10b)는 하단에 밴딩끈부(607)를 형성한 하위부(98)원단의 상단 위에 후드의 중앙부를 절개하여 통풍구(658)를 형성하고 그 위에 광고용 겸 덮개용 원단(660)을 부착한 상위부(97)원단의 하단을 깊숙이 포개어 겹친 후 가로 방향으로 용착(657)연결하여 호주머니부(656)와 함께 밴딩끈부(607)를 형성완료하여 각기 기본 구성이 완료된 전면부와 후면부 원단을 소정부위에 합치 시켜 목벨트(652)와 소매(653) 아래 부위에 통풍구 겸 내부 출입구(654) 및 아일렛구멍(604)이 있는 벨트걸이부(611)형성과 동시에 외곽형상을 통상의 우의보다 더 길고 넓은 2인용의 폭으로 용착 재단함으로써 후드와 몸체 등이 성인 두 사람을 동시에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보온성 2인용 우의가 완성된다.
도 11 :본 고안(도11a)은 종래의 일회용성 레인코트의 불편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후드의 안면부에 개구부용 절취선(106)과 안면보호용 2차 절취선(107)의 형성과 함께 중앙 개폐부에 핀홀식으로 절취선(500)을 형성하고 도11b와 같이 여민 상태에서 허리벨트(504)로 밴딩하여 강한 비바람에도 비에 젖지 않고 신변을 보호할 수 있으며 절취선(500)은 우의 사용 후 벗을 때 절개해도 된다. 또 하단 물받이부(507)에 고인 빗물의 중량으로 바람에 코트의 하단이 쉽게 날리지 않게 하고 선택적으로 장방형의 점착 테잎(506, 도11c)의 부착 과 양쪽 팔꿈치 부위와 겨드랑이 부위 및 옆구리에 통풍구(501, 502) 및 통풍구 겸 내부 출입구(503)를 허리 벨트걸이(505)와 함께 형성한다. 여기에서 내부 출입구(503)는 내부 호주머니의 통로이며 통풍구(501, 502, 503)들은 돌출부를 안으로 집어 넣으면 노출이 안된다. 또 점착테잎(506)은 테잎의 점착강도와 착탈성을 합리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고안된 테잎인데 전면도포부(52)가 강도가 높은 고정부이고 부분도포부(521)는 착탈부이며 비도포부(522)는 손잡이 부분이며 부분도포부분을 생략하고 전면도포부와 비도포부(522)만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 후드부는 기재 원단과 동일체 원단에 안면부 절취선(106, 107)을 형성하고 그 위에 안면보호용 원단(101)을 부착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별도의 후드를 목 부위에 부착할 수도 있다.
도 12 : 종래의 일회용성 레인코트로서 양쪽 소매부(471)는 튜브필름 상태이고 몸통부(472)는 튜브 필름을 타갠 것이며 후드의 뒷부분과 목부분 그리고 소매 어깨와 몸통의 이음부분 등 굵은 선(474)으로 표시된 부분이 접착(Heat Sealing)부분이다. 스냅 단추(473)부분을 제외한 앞부분이 다 벌어져 비바람이 들이쳐서 전면부 옷이 많이 젖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본원 고안들은 우의라고해도 비올 때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도 입을 수 있는 것이며 이에 사용되는 모든 기재 원단이 되는 합성수지 원단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0.1mm 이하의 얇은 두께이기 때문에 습도와 기온에 따라 정전기가 발생하여 몸에 밀착되거나 자극을 주는 경우가 가끔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기재 원단에 시판 중인 대전방지 처리제를 첨가하거나 원단에 원형이나 각형(角形, 3각 이상 8각)·선형(線形) 또는 도안이나 그림 등의 형상이 반복적으로 돌출부(凸)로 양각된 금형을 가열 가압하여 원단에 직접 돌기부를 형성하고 그 돌기부가 우의의 안쪽에 오게 하여 그 돌기 사이로 통풍을 시키고 그 돌기가 원단이 몸에 접촉하는 면을 최소화 시킴으로써 통풍성을 증진하고 몸에 밀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형성되는 돌기는 견실해야 하며 원단의 두께나 용도에 따라 돌기부의 크기와 높이 등이 효과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므로 기술성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이상은 본원 고안의 원단 전체에 적용된다.
본 구성에서 용착(Welding)이라 함은 열 접착(Heat sealing)과 동의어로서 녹아서 붙는다는 말이고 용착 재단(Welding Cutout)이라 함은 용착과 동시에 재단되어 한 쪽이 잘려 나간다는 말이다.
또 본원 고안에 사용되는 모든 점착성 테잎은 장방형의 것으로서 동일한 면에 점착제 도포 부분과 손잡이 부분을 포함한 비도포 부분이 함께 형성된 것을 말하는데 전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테잎에 다른 물질을 부분적으로 도포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점착력을 상실케함으로써 소정의 비도포 부분을 형성하는 것도 본 고안의범주에 포함되는 것이다. 이때 장방형이 아닌 원형 등의 것은 점착력이 약하고 쉽게 떨어져 버리므로 소기의 목적을 제대로 달성할 수 없다.
전술(前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우의들은 가능한 한 대형 단일폭의 원단을 봉재 수단으로 봉합하는 PVC비닐류의 것이거나 또는 얇은 폴리에틸렌 필름을 열접착 수단으로 봉합하거나 하여 제품화되기 때문에 기능이 단순해질 수 밖에 없어 문제점이 많고 소비자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다보니 용도나 수요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었으나, 본원 고안의 제품들은 소폭 다중 결합방식에 의해 색상이나 두께가 각기 다른 여러 조각(piece)의 소폭원단을 이어붙여 전폭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후드나 상의나 하의를 막론하고 다양한 색상으로 조합하여 화려하고 밝은 여성적 우의를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빳빳하고 우중충한 우의의 인식을 바꾸어 사회적으로도 밝은 마음을 유발 할 수 있고 또 머리위에서 발까지 원단에 광고 인쇄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부착물 광고까지 실행하여 걸어다니는 광고판을 양산 할 수 있어서 광고 산업에도 일조할 수 있다.
또 본원 고안의 제품들은 각기 나름대로 다양한 기능과 특성을 가지고 특정 용도별로 맞춤식으로 되어 있어 다양성이 풍부하고 또 기본적인 자동화 설비 하나에 각기의 보조설비만을 구비하여 여러 가지 제품의 생산작업이 가능하도록 고안되었기 때문에 경제적이고 많은 수요를 창출할 수 있어 관련산업 분야에도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다.

Claims (14)

  1. 합성수지 필름 시트 또는 합성수지로 코팅된 방수원단을 기재(基材)로 한 상의형 우의에 있어서, 상위부(10)와 하위부(30) 또는 상위부와 중위부(20) 및 하위부 등 두조각(2pcs) 내지 세조각(3pcs)의 기재 원단으로 연결 구성되는 전면부(도1a, 도2a)는 각 연결부위(206, 207)를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막대 형상으로 용착하여 통풍구(206, 207)와 호주머니부(215, 210, 211)를 형성하고 중앙 개폐부는 폐쇄(도1a)하거나 절취선(222)을 형성하고, 상위부(40)와 하위부(60) 또는 상위부와 중위부(50) 및 하위부 등 두조각 내지 세 조각의 기재 원단으로 연결 구성되는 후면부(도1b, 도2b)는 각 연결부위(216, 217)에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막대 형상으로 용착하여 통풍구(216, 217)를 형성하고 각기 기본 구성이 완료된 전면부와 후면부 원단을 합치시켜 우의의 외곽 형상을 하단 벨트걸이부(242) 형성과 함께 용착 재단하고, 후드부는 상의와 동일체 원단에 형성되는 안면부에 개구부와 안면보호부 절취선(106, 107)을 형성하여 그 위에 안면보호용 원단(101)을 부착하고 후면부에 통풍구를 형성하거나 또는 별도의 후드를 상의애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의형 합성수지 우의.
  2. 합성수지 필름 시트 또는 합성수지로 코팅된 방수 원단을 기재로 한 상의형 우의에 있어서, 상위부(10)와 하위부(30) 또는 상위부와 중위부(20) 및 하위부 등 두 조각(2pcs) 내지 세 조각(3pcs)의 기재 원단으로 연결 구성되는 전면부는 각 연결부위(206, 207)에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막대형상으로 용착하여 통풍구(206, 207)와 호주머니부(215, 212)를 형성하며 중앙개폐부(230)는 지퍼·단추·벨크로·점착밴드 등을 부착하거나 절취선(222)을 형성하고, 후면부(도3b)는 기재원단(40)을 세로 방향으로 길게 고어타입(Gore type,, 243)으로 접어서 전면부의 원단보다 폭을 더 넓게 확보하여 배낭등의 수납공간(245)을 입체적으로 형성하고 각기 기본 구성이 완료된 전면부와 후면부 원단을 합치시켜 우의의 외곽 형상을 벨트걸이부(242)형성과 함께 용착 재단하고, 후드부는 동일체 원단에 형성되는 안면부(112) 위에 안면 보호용으로 무색이나 유색의 투명성 필름시트(101)를 부착하고 후면부에 통풍구(156)를 형성하거나 또는 별도의 후드를 상의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의형 합성수지 우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의의 팔꿈치 부위나 겨드랑이 부위 또는 옆구리 부위에 통풍구(201, 202, 203) 또는 통풍구 겸 내부 출입구(204)를 형성하거나, 후드의 상단부에 경량 소형물 부착용 점착물(140)을 부착하거나, 안면보호용 원단(101)에 자외선 차단제를 첨가하거나, 양쪽 팔꿈치 윗 부위에 절취선(250)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점착성 테잎(251)을 부착하여 필요할 때에 절사 후 반소매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의형 합성수지 우의.
  4. 합성수지 필름시트 또는 합성수지로 코팅된 방수 원단을 기재로 한 후드가 상의에 부착되는 우의에 있어서, 목 부위에 결속 밴드나 점착테잎(620)을 부착하고개구부와 안면보호부 절취선(106, 107)부를 형성한 전면부(도4a) 원단과 통풍구(156)를 형성한 후면부(도4b) 원단 위에 각기 다른 원단(124)을 덧대고 가열된 금형으로 가압하여 내부 용착선(121)과 십자(十字) 형상의 외부 용착 재단선(122, 124)과 함께 에어룸(120)과 에어주입구(123)를 형성하여 전면부와 후면부에 광고면(120, 120a)을 확보하거나 상단부에 경량 소형물 부착용 점착물(140)을 부착하여 부착물 광고를 실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가 부착된 합성수지 우의.
  5. 합성수지 필름시트 또는 합성수지로 코팅된 방수 원단을 기재로 한 후드가 상의에 부착되는 우의에 있어서, 목 부위에 결속 밴드나 점착테잎(620)이 부착된 두 겹 이상의 기재원단 위에 가열된 금형을 가압하여 내부 용착선(125)과 안면 개구부 및 차양막부(126, 127)를 형성한 전면부(도4c)원단과 기재원단의 상단과 별도 원단(134)의 하단이 겹치는 지점에 통풍구(129)를 형성한 후면부(도4d)원단을 합치시켜 용착재단선(130, 131)을 에어룸(133) 및 주입구(132)와 함께 형성하여 전면부와 후면부에 광고면(133, 134)을 확보하거나 상단부에 경량소형물 부착용 점착물(140)을 부착하여 부착물 광고를 실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가 부착된 합성수지 우의.
  6. 합성수지 필름시트 또는 합성수지로 코팅된 방수원단을 기재로 한 후드가 상의에 부착되는 우의에 있어서, 두 겹 이상의 기재 원단에 가열된 금형을 가압하여에어룸부(170a, 171a)의 용착과 함께 차양막부(173a, 174a, 175a)에 용착줄기선(178a)을 형성하고 뒤쪽 접합부(176, 176a)를 한데 모아 용착 재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가 부착된 합성수지 우의.
  7. 합성수지 필름시트 또는 합성수지로 코팅된 방수 원단을 기재로 한 후드가 상의에 부착되는 우의에 있어서, 기재 원단의 한쪽을 접어서 두겹으로 하거나(도6c) 별도의 원단(185)을 추가하여 보강한 후 가로 방향으로 막대(立棒)형상을 연속적으로 용착하여 그 용착줄기선(182a)으로 차양막부(181a)를 밴딩용 끈부(183a)와 함께 형성하고 뒤쪽 접합부(180a)를 한데 모아 용착 재단하여 완성하거나 광고용 원단(186a) 또는 경량 소형물 부착용 점착물(186a)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가 부착된 합성수지 우의.
  8. 합성수지 필름시트 또는 합성수지로 코팅된 방수원단을 기재로 한 바지형 우의에 있어서, 각기 다른 두 조각(2pcs)내지 네 조각(4pcs)의 기재원단으로 연결 구성되는 바지의 전면부(도7a)는 최상위부(71)와 상위부(72) 또는 상위부와 중위부(73) 및 하위부(74) 원단간의 연결부위(302, 303, 304)를 가로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막대형상으로 용착하여 통풍구(302, 303, 304)를 형성하며 통풍구(303, 304) 아래에 절취선(305)을 형성하고 중위부 원단의 상단부에 액체 역류방지용 턱(312)을 형성하거나 바지 하단에 물받이부(306)를 형성하거나 하고, 각기 다른 두 조각 내지 네 조각의 원단으로 연결 구성되는 후면부(도7b)는상위부(76)와 중위부(77) 및 하위부(78) 원단간의 연결부위(316, 317)를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막대형상으로 용착하여 통풍구(316, 317)를 형성하며 통풍구 아래에 절취선(305)을 형성하고 중위부 원단의 상단부에 액체 역류 방지턱(312)을 형성하거나 바지 하단에 물받이부(306)를 형성하거나 또는 상위부 원단에 엉덩이 부위 보강용 원단(79)을 덧대어 호주머니부(318)나 에어 매트부(313)를 형성하거나 하여 각기 기본 구성이 완료된 전면부와 후면부 원단을 합치시켜 바지의 외곽 형상을 허리벨트걸이부(310) 및 내부 출입구(301)의 형성과 함께 용착 재단하여 완성하고 바지의 하위 연결부(304, 316)나 중위 연결부(303, 317)의 절취선(305)을 절사하여 반바지나 더 짧은 바지로 입을 수 있는 3단계의 바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형 합성수지 우의.
  9. 합성수지 필름시트 또는 합성수지로 코팅된 방수원단을 기재로 한 바지형 우의에 있어서, 바지의 전면부(도8a)는 상위부(71)와 하위부(72) 원단간의 연결 부위(330)를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막대형상으로 용착하여 통풍구(330)를 형성하고 하위부(72) 원단의 무릎 위·아랫 부위(332, 334)에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직경 0.4mm내지 5mm 크기로 타공하여 통풍구(333)겸 절취선을 형성하고 그 위에 덮개용 원단(332, 334)을 부착하며, 후면부(도8b)는 기재원단(76)의 무릎 위·아랫부위(335, 336)에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직경 0.4mm 내지 5mm 크기로 타공하여 통풍구 겸 절취선을 형성하고 그 위에 덮개용 원단(335, 336)을 부착하거나 또는 엉덩이 부위 보강용 원단(79)을 덧대어 호주머니부(338)를 형성하거나 하여 각기 기본 구성이 완료된 전면부와 후면부 원단을 합치시켜 바지의 외곽 형상을 내부 출입구(301) 형성과 함께 용착재단하여 완성하고 바지의 하위 절취부(334, 335)나 상위 절취부(332, 336)를 절사하여 반바지나 더 짧은 바지로 입을 수 있는 3단계의 바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형 합성수지 우의.
  10. 합성수지 필름시트 또는 합성수지로 코팅된 방수원단을 기재로 한 우의에 있어서, 상위부(91)와 하위부(92)원단으로 구성된 전면부(도9a)는 하단에 밴딩용 끈부(607)를 형성한 하위부 원단의 상단부 위에 하단에 에어 주입용 튜브(613)를 형성한 상위부 원단의 하단부를 겹치게 하고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막대형상으로 용착하여 호주머니부(602)와 통풍구(603)를 형성하고, 후면부(도9b)는 하단에 밴딩용 끈부(607)를 형성한 하위부(94) 원단의 상단부 위에 세로 방향으로 고어 타입(, 608, Gore type)으로 길게 접은 상위부(93) 원단의 하단부를 겹치게 하고 연결부를 부분적으로 용착(612)하여 전면부 원단보다 폭을 더 넓게 확보하여 배낭 등의 수납 공간(609)을 입체적으로 형성하고 각기 기본 구성이 완료된 전면부와 후면부 원단을 합치시켜 소매 아랫부위에 통풍구 겸 내부 출입구(601)와 벨트 걸이부(611)의 형성과 동시에 우의의 외곽 형상을 통상 우의보다 더 넓은 폭으로 용착재단하고, 후드부는 상의와 동일체 원단에 형성된 안면부(651)에 안면보호용 투명성 필름 시트(650)와 목 부위에 결속밴드나 점착테잎(620)을 부착하고 후면부에 통풍구(658)를 형성하거나 또는 별도의 후드를 상의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우의.
  11. 합성수지 필름시트 또는 합성수지로 코팅된 방수원단을 기재로 한 우의에 있어서, 상위부(95)와 하위부(96) 원단으로 구성된 전면부(도10a)는 하단에 밴딩용 끈부(607)를 형성한 하위부 원단의 상단부 위에 하단에 에어 주입용 튜브(613)를 형성한 상위부 원단의 하단부를 겹치게 하고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막대형상으로 용착하여 통풍구(603)와 호주머니부(655)를 형성하고, 후면부(도10b)는 하단에 밴딩용 끈부(607)가 형성된 하위부(98) 원단의 상단부 위에 상위부(97) 원단의 하단부를 겹치게 하고 가로 방향으로 용착하여 호주머니부(656)를 형성하여 각기 기본 구성이 완료된 전면부와 후면부를 합치시켜 소매(653)의 아랫부위에 통풍구 겸 내부 출입구(654)와 벨트 걸이부(611)의 형성과 함께 우의의 외곽 형상을 통상 우의보다 더 길고 넓은 2인용의 폭으로 용착재단하고, 후드부는 상의와 동일체 원단에 하나로 형성된 2인용의 넓은 안면부(651)에 안면보호용 무색이나 유색의 투명성 필름시트(650)를 부착하고 목 끈(652)을 자체 형성하거나 목 부분에 결속밴드나 점착테잎(620)을 부착하고 후면부에 통풍구(658)를 형성하거나 1인용 후드 두개를 한 쌍으로 하여 각기 형성하거나 또는 별도의 후드를 상의에 부착하거나 하여 하나의 우의를 두 사람이 동시에 착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우의.
  12. 합성수지 필름시트 또는 합성수지로 코팅된 방수원단을 기재로 한 우의에 있어서, 후드 전면부(도11a)에 개구부용 절취선(106) 및 안면보호부용 2차 절취선(107)과 함께 중앙개폐부(500) 절취선을 형성하고 안면부 상단에 안면보호용 원단(101)을 부착하고 하단에 물받이부(507)를 형성한 전면부와 후면부를 합치시켜 벨트 걸이부(505)를 기재 원단과 동일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우의의 외곽 형상을 용착재단하거나 양쪽 팔꿈치 부위와 겨드랑 부위 및 옆구리 부위 등에 통풍구(501, 502) 및 통풍구 겸 내부 출입구(503)의 형성과 동시에 외곽 형상을 용착재단하여 완성하고 중앙 개폐부 화스너(Fastener)용으로 동일한 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부분과 손잡이용 비도포부(522)가 함께 형성된 장방형의 점착테잎(506)을 부착하거나 또는 별도의 후드를 상의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우의.
  13. 제1항 또는 제2항, 제4항 내지 제12항에 있어서, 기재 원단에 대전방지 처리를 하거나 원형·각형(角形, 3각 내지 8각)·선(線)·도안·그림 등의 형상이 반복적으로 양각(陽刻)된 금형을 가열 가압하여 원단에 직접 돌출부(凸)를 형성하고 그 돌출 부분이 우의의 안쪽에 오게 하여 통풍성을 증진하고 우의가 몸에 밀착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우의.
  14. 합성수지 필름 시트 또는 합성수지로 코팅된 방수원단을 기재로 한 우의에 있어서, 우의의 바깥쪽 색상이 후드를 포함한 상의의 전면부와 후면부를 합하여 각기 다른 3색 내지 10색으로 또는 바지의 전면부와 후면부를 합하여 각기 다른 3색 내지 8색으로 조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우의.
KR20-2003-0020545U 2003-06-27 2003-06-27 합성수지 우의 KR2003291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545U KR200329163Y1 (ko) 2003-06-27 2003-06-27 합성수지 우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545U KR200329163Y1 (ko) 2003-06-27 2003-06-27 합성수지 우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9163Y1 true KR200329163Y1 (ko) 2003-10-08

Family

ID=49416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545U KR200329163Y1 (ko) 2003-06-27 2003-06-27 합성수지 우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91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026B1 (ko) 2013-01-23 2014-04-29 김영인 보조의류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026B1 (ko) 2013-01-23 2014-04-29 김영인 보조의류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5611B2 (en) Reversible water resistant garment
US8032948B2 (en) Garment with integral garment pack
US20180092410A1 (en) Rain garment
US20100044249A1 (en) Apparel item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US20080066212A1 (en) Apparel Item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US20100071110A1 (en) Wrap around garment with pockets
US20090241235A1 (en) Convertible Garment
US20120079644A1 (en) Convertible scarf garment
US20090205096A1 (en) Integrated And Convertible Garment And Portable Storage System
US8683715B1 (en) Elastic boot cuff
CN102987590A (zh) 自行车外套
CA2973004A1 (en) Extender for an outerwear
US20150305411A1 (en) Lightweight portable changing garment
US20070006360A1 (en) Sportswear wrap garment
US3100897A (en) Coverall
US6349411B1 (en) Body garment
WO2009081509A1 (ja) 腕式被服、下肢式被服及び背面式被服
KR200329163Y1 (ko) 합성수지 우의
US20130333102A1 (en) Protective sun cover and method for protecting skin
US20160255887A1 (en) Scarf with Pockets and Hood
CN213881798U (zh) 一种凉爽透气的女士夹克
US11944135B2 (en) Watersports garment
KR101375837B1 (ko) 가방 겸용 우의
CN211983839U (zh) 一种骑行用的防寒衣
US20220354190A1 (en) Brassiere for securing removable pou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