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9146Y1 - 계측용 숫가락 - Google Patents
계측용 숫가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29146Y1 KR200329146Y1 KR20-2003-0019833U KR20030019833U KR200329146Y1 KR 200329146 Y1 KR200329146 Y1 KR 200329146Y1 KR 20030019833 U KR20030019833 U KR 20030019833U KR 200329146 Y1 KR200329146 Y1 KR 20032914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le
- head
- head portion
- measurement
- capacity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계측용 숫가락에 관한 것으로, 숫가락에 담은 분말 가루를 필요한 양 만큼 계측하여 떨 수 있도록, 분말 가루를 담을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일측과 연결되어 타측으로 뻗어 있는 손잡이와; 상기 헤드부 수용공간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수직에 가깝게 설치된 계측막과; 상기 계측막과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로 뻗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를 따라서 전후로 이동하여 상기 계측막을 앞뒤로 이동시켜 상기 헤드부의 수용공간의 용량을 조절하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용 숫가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숫가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숫가락에 담은 분말 가루를 필요한 양 만큼 계측하여 떨 수 있는 계측용 숫가락에 관한 것이다.
분말 가루 형태의 분유, 세제류, 의약품을 떠내는 수단으로서 숫가락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숫가락은 숫가락이 담을 수 있는 용량보다 작게, 정량으로 또는 많게 분말 가루를 떠낼 수는 있지만, 숫가락의 정량보다 작게 분말 가루를 떠낼 경우 분말 가루 용량이 얼마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에, 개략적으로 필요한 양의 분말 가루를 떠내게 된다.
물론 숫가락 안쪽에 숫가락의 정량보다 작게 떠낼 수 있도록 눈금이 표시된 것도 있지만, 이와 같은 숫가락은 표면 장력이 작용하는 액상의 물질을 계측할 때는 유용하지만 분말 가루와 같이 입자 형태의 물질의 경우는 떠낸 후 계측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숫가락이 갖는 정량 또는 정량보다 적은 양을 정확히 떠낼 수 있는 계측용 숫가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계측용 숫가락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2-2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3-3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계측용 숫가락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계측용 숫가락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110 : 헤드부 12, 112 : 수용공간
20, 129 : 손잡이 28 : 슬롯
30, 130 : 계측부 32, 132 : 계측막
34, 134 : 덮개막 36, 136 : 연결대
38 : 용량 표시띠 100, 200 : 계측용 숫가락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분말 가루를 담을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일측과 연결되어 타측으로 뻗어 있는 손잡이와; 상기 헤드부 수용공간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수직에 가깝게 설치된 계측막과; 상기 계측막과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로 뻗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를 따라서 전후로이동하여 상기 계측막을 앞뒤로 이동시켜 상기 헤드부의 수용공간의 용량을 조절하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용 숫가락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계측용 숫가락(100)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2-2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3-3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계측용 숫가락(100)은 분말 가루를 담을 수 있는 수용공간(12)을 갖는 헤드부(10)와, 헤드부(10)의 일측과 연결된 손잡이(20)와, 헤드부의 수용공간(12)에 설치되어 헤드부(10)가 담을 수 있는 용량을 조절할 수 있는 계측막(32)을 갖는 계측부(30)를 포함한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계측용 숫가락(100)에 대해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헤드부(10)는 분말 가루를 담을 수 있는 수용공간(12)을 가지며, 수용공간(12)으로 분말 가루를 담을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있다. 헤드부의 수용공간(12)의 내측면은 계측막(32)이 내측면에 밀착되어 앞뒤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계측막(32)의 형태에 맞게 형성된다. 제 1 실시예에서는 계측막(32)이 아래쪽이 둥근 사각판 형태를 갖기 때문에, 사각판 형태의 계측막(32)이 내접할 수 있도록 헤드부의 수용공간(12)은 단면이 U자 형태를 가지며, 헤드부(10) 앞쪽의 수용공간(12) 부분은 분말가루를 용이하게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용량을 표시하는 눈금(18)이 헤드부(1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20)는 헤드부(10)로 분말 가루를 떠낼 때 파지하는 부분으로,헤드부(10)의 일측과 연결되어 타측으로 소정의 길이 만큼 뻗어 있다. 손잡이(20)의 말단부에 걸이 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계측부(30)는 헤드부의 수용공간(12)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수직에 가깝게 설치된 계측막(32)과, 계측막(32)과 연결되어 손잡이(20)로 뻗어 있는 연결대(36)와, 연결대(36)의 말단과 연결되어 헤드부(10)의 용량을 표시하는 용량 표시띠(38)를 포함한다. 계측막(32)의 이동에 의해 수용공간(12)이 나누어지게 되는데, 분말 가루의 수용공간(12)으로 사용되지 않는 부분에 분말 가루가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계측부(30)는 계측막(32) 뒤의 수용공간을 덮는 덮개막(34)을 더 포함한다. 즉, 덮개막(34)은 계측막(32)의 상단부와 연결되며 계측막(32)의 이동시 계측막(32) 뒤쪽의 수용공간을 덮게 되며, 연결대(36)와 연결된다.
계측막(32)이 헤드부의 수용공간(12)을 따라서 전후로 안정되게 이동하면서 계측막(32) 뒤쪽의 수용공간을 덮개막(34)이 막을 수 있도록, 헤드부(10)의 상단과 접하는 덮개막(32)의 양측의 가장자리 부분이 헤드부(10) 상단의 측벽으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손잡이(20)의 외측면과 접하는 연결대(36)의 양측의 가장자리 부분은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손잡이(20)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다. 따라서 연결대(36)를 손잡이(20)를 따라서 앞뒤로 이동에 따른 계측막(32)의 앞뒤 이동으로 헤드부(10)의 용량을 조절하게 된다. 한편, 헤드부(10)의 외측면에 형성된 눈금(18)을 가리키는 지시표(35)가 눈금(18)이 형성된 헤드부(10)의 외측면에 절곡된 덮개막(34)의 절곡된 부분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덮개막(34)은 계측막(32)의 이동에 따라서 분말 가루의 수용공간(12)으로 사용되지 않는 수용공간 부분을 가릴 수 있도록, 계측막(32)이 헤드부의 수용공간(12)을 이동하는 길이에 대응되거나 더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부의 수용공간(12)의 용량을 조절하기 위해서 연결대(36)를 조작하게 되는데, 연결대(36)가 손잡이(20)를 따라서 앞뒤로 이동할 수 있고, 연결대(36)를 조작한 다음 연결대(36)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손잡이(20)의 양측의 외측면과 그에 대응되는 연결대(36)의 가장자리 부분의 내측면에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요철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대(36)의 상부면에 연결대(36)를 앞뒤로 쉽게 밀수 있도록 요철을 갖는 밀대(3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계측막(32)의 이동에 따른 헤드부(10)의 용량을 표시하는 용량 표시띠(38)는 손잡이(20)의 끝단에 근접하게 형성된 슬롯(28)에 일부가 삽입되어 연결대(36)의 앞뒤 이동에 따라서 손잡이의 슬롯(28)에 삽입되거나 인출되며, 슬롯(28)에 위치하는 용량 표시띠(38) 부분이 헤드부(10)의 용량을 표시한다. 물론 용량 표시띠(38)의 상부면에 용량을 표시하는 눈금이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계측용 숫가락(100)을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헤드부의 수용공간(12)으로 떠낼 용량을 결정하면, 계측부의 연결대(36)를 앞 또는 뒤로 밀어 계측막(32)을 헤드부의 수용공간(12)으로 떠낼 용량에 대응되는 용량 표시띠(38)의 눈금이 슬롯(28)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이동시키면 된다.
그리고 계측용 숫가락(100)의 반복적인 사용에 따라서 헤드부(10)에 잔존하거나 끼게 되는 분말 가루를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 연결대(36)의 적어도 일측의 가장자리 부분에 소중의 힘을 가하여 손잡이(20)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이탈시켜 계측부(30)를 분리한 다음 헤드부(10)에 잔존하거나 끼게 되는 분말 가루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계측용 숫가락(200)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계측용 숫가락(200)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계측용 숫가락(200)은 분말가루를 담을 수 있는 수용공간(112)을 갖는 헤드부(110)와, 헤드부(110)의 일측과 연결된 손잡이(120)와, 헤드부의 수용공간(112)에 설치되어 헤드부(110)가 담을 수 있는 용량을 조절할 수 있는 계측막(132)을 갖는 계측부(130)를 포함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계측용 숫가락(200)에 대해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헤드부(110)는 분말 가루를 담을 수 있는 수용공간(112)을 가지며, 수용공간(112)으로 분말 가루를 담을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있다. 헤드부의 수용공간(112)의 내측면은 계측막(132)이 내측면에 밀착되어 앞뒤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계측막(132)의 형태에 맞게 형성된다. 제 2 실시예에서는 계측막(132)이 사각판 형태를 갖기 때문에, 사각판 형태의 계측막(132)이 내접할 수 있도록 헤드부의 수용공간(112)은 속이 빈 직육면체 형태를 갖는다.
손잡이(120)는 헤드부(110)로 분말 가루를 떠낼 때 파지하는 부분으로, 헤드부(110)의 일측과 연결되어 타측으로 소정의 길이 만큼 뻗어 있다. 손잡이(120)의 말단부에 걸이 구멍(1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계측부(130)는 헤드부의 수용공간(112)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수직에가깝게 설치된 계측막(132)과, 계측막(132)과 연결되어 손잡이(120)로 뻗어 있는 연결대(136)와, 연결대(136)의 말단과 연결되어 손잡이(120)를 따라서 전후로 이동하여 계측막(132)을 전후로 이동시켜 헤드부의 수용공간(112)의 용량을 조절하는 조절 탭(138)을 포함한다. 그리고 계측막(132)의 이동에 의해 수용공간(112)이 나누어지게 되는데, 분말 가루의 수용공간으로 사용되지 않는 부분에 분말 가루가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계측부(130)는 계측막(132) 뒤의 수용공간을 덮는 덮개막(134)을 더 포함한다. 즉, 덮개막(134)은 계측막(132)의 상단부와 연결되며 계측막(132)의 이동시 계측막(132) 뒤쪽의 수용공간을 덮게 되며, 연결대(136)와 연결된다.
특히 계측막(132)이 헤드부의 수용공간(112)을 따라서 전후로 안정되게 이동하면서 계측막(132) 뒤쪽의 수용공간을 덮개막(134)이 막을 수 있도록, 헤드부의 수용공간(112)의 내측면의 상단부에 덮개막(134)의 가장자리 부분의 일부가 삽입되게 길게 가이드 홈(114)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홈(114)을 따라서 덮개막(134)이 부드럽게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114)에 삽입되는 덮개막(134)의 가장자리 부분은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랑직하다. 그리고 계측용 숫가락(200)으로 용기에 담긴 소정 양의 분말 가루를 떠낼 후 계측용 숫가락(200)의 수용량에 맞게 계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헤드부의 가이드 홈(114)에 삽입된 덮개막(134)의 상부면은 헤드부(110)의 상부면 즉, 테두리 면(115)과 동일면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분유통에서 분유를 숫가락으로 떠낼 때 숫가락의 헤드부가 갖는 용량보다 많은 양을 떠낸 다음 분유통에 설치된 계량대에 헤드부의테두리 면이 닫게 깎아서 계량하게 되는데, 헤드부의 테두리 면과 덮개막의 상부면이 단차가 있을 경우 계량대로 계량할 때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계측용 숫가락(200)은 전술된 바와 같이 헤드부의 테두리 면(115)과 덮개막(134)의 상부면이 동일면에 올 수 있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계량대에서 계량이 가능하다.
덮개막(134)은 계측막(132)의 이동에 따라서 분말 가루의 수용공간(112)으로 사용되지 않는 수용공간 부분을 가릴 수 있도록, 계측막(132)이 헤드부의 수용공간(112)을 이동하는 길이에 대응되거나 더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계측막(132)과 연결된 덮개막(134)은 기역자 형태를 갖게 되는데, 헤드부의 수용공간(112)에 쉽게 탈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112)는 손잡이(120)와 연결된 헤드부(110) 부분이 가이드 홈(114)에 대해서 뒤로 조금 연장되게 형성된 탈착공간(116)을 포함한다. 가이드 홈(114)이 형성된 부분에 대해서 연장된 탈착공간(116)은 적어도 계측막(132)의 두께 보다는 길게 형성하는 바람직하다. 이때 탈착공간(116)의 테두리 면(113)은 가이드 홈(114)이 형성된 테두리 면(115) 보다는 아래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헤드부의 수용공간(112)의 용량을 조절하기 위해서 손잡이(120)에 설치된 조절 탭(138)을 조작하게 되는데, 조절 탭(138)이 손잡이(120)를 따라서 앞뒤로 이동할 수 있고, 조절 탭(138)을 조작한 다음 조절 탭(138)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손잡이(120)의 양측의 외측면에 요철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조절 탭(138)은 손잡이(120)를 감싸는 형태를 갖는 탭 몸체(137)와, 탭 몸체(137)의 안쪽의 손잡이의 요철부(124)에 대응되는 면에 손잡이의 요철부(124)에 걸릴 수 있는 완충성을갖는 걸림턱(도시안됨)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계측막(132)의 이동에 따른 헤드부(110)의 용량을 표시하는 눈금(118, 126)이 헤드부(110)의 외측면과, 요철부(124)가 형성된 손잡이(120)의 상부면에 표시된다. 즉, 손잡이(120)를 따라서 조절 탬(138)이 앞뒤로 이동하게 되는데, 헤드부(110)에 먼 조절 탭(138)의 끝단의 위치 아래의 손잡이(120)의 상부면에 계측막(132)에 의해 조절된 헤드부(110)의 용량을 눈금(126)으로 표시한다. 헤드부(110)의 수용공간(112)에서 계측막(132)이 앞뒤로 이동하면서 헤드부의 수용공간(112)의 용량을 조절하게 되는데, 계측막(132)의 앞면에 대응되는 헤드부(110)의 외측면에 계측막(132)에 의해 조절된 헤드부(110)의 용량을 눈금(118)으로 표시한다. 물론 눈금(118, 126)은 손잡이(120) 상부면 또는 헤드부(110)의 외측면 둘중에 한 곳에만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계측용 숫가락(200)을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헤드부의 수용공간(112)으로 떠낼 용량을 결정하면, 계측부의 조절 탭(138)을 전후로 밀어 계측막(132)을 헤드부의 수용공간(112)으로 떠낼 용량의 눈금(118, 126) 위치로 이동시키면 된다.
그리고 계측용 숫가락(200)의 반복적인 사용에 따라서 헤드부(110)에 잔존하거나 끼게 되는 분말 가루를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해서, 연결대(136)와 조절 탭(138)는 이체로 형성하여 소정의 탈착 수단(139)으로 연결대(136)와 조절 탭(138)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계측용 숫가락(200)을 세정하기 위해서, 헤드부(110)에서 계측부(130)를 분리해야 되는데, 먼저 조절 탭(138)을헤드부(110)에서 먼 쪽으로 후퇴시켜 계측막(110)을 헤드부의 탈착공간(116)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탈착 수단(139)을 풀어서 이체로 형성된 연결대(136)와 조절 탭(138)을 분리한 다음, 연결대(136)를 위로 들게 되면, 탈착공간(116)에서 계측막(132)을 포함하는 덮개막(134)이 분리된다. 이와 같이 계측용 숫가락(200)을 분리한 다음, 헤드부(110)와 계측부(130)를 세정하면 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구조를 따르면 헤드부의 수용 공간에 설치된 계측막을 전후로 이동시킴으로써, 헤드부의 수용 공간의 용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숫가락이 갖는 정량 또는 정량보다 적은 양을 정확히 떠낼 수 있다.
Claims (8)
- 분말 가루를 담을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헤드부와;상기 헤드부의 일측과 연결되어 타측으로 뻗어 있는 손잡이와;상기 헤드부 수용공간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수직에 가깝게 설치된 계측막과;상기 계측막과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로 뻗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를 따라서 전후로 이동하여 상기 계측막을 앞뒤로 이동시켜 상기 헤드부의 수용공간의 용량을 조절하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용 숫가락.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막의 상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계측막의 이동시 계측막 뒤쪽의 수용공간을 덮는 덮개막을 포함하며, 상기 덮개막에 상기 연결대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용 숫가락.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막이 상기 헤드부의 수용공간을 따라서 전후로 안정되게 이동하면서 상기 계측막 뒤쪽의 수용공간을 상기 덮개막이 막을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의 상단과 접하는 덮개막의 양측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헤드부 상단의 측벽으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용 숫가락.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막이 상기 헤드부의 수용공간을 따라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의 수용공간의 내측면과 밀착되는 상기 덮개막의 가장자리 부분의 일부가 삽입되게 상기 헤드부의 수용공간의 내측면에 길게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용 숫가락.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막의 상부면은 상기 헤드부의 상부면과 동일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용 숫가락.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외측면과 접하는 상기 연결대의 양측의 가장자리 부분은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상기 손잡이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의 양측의 외측면과 그에 대응되는 상기 연결대의 가장자리 부분의 내측면에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용 숫가락.
- 제 1항 내지 제 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의 말단과 연결되어 상기 헤드부의 용량을 표시하는 용량 표시띠를 더 포함하며,상기 용량 표시띠는 상기 손잡이의 끝단에 근접하게 형성된 상기 슬롯에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연결대의 앞뒤 이동에 따라서 상기 손잡이의 슬롯에 삽입되거나 인출되며, 상기 슬롯에 위치하는 부분이 상기 헤드부의 용량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용 숫가락.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의 말단과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를 따라서 전후로 이동하여 상기 계측막을 전후로 이동시켜 상기 헤드부의 수용공간의 용량을 조절하는 조절 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용 숫가락.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9833U KR200329146Y1 (ko) | 2003-06-23 | 2003-06-23 | 계측용 숫가락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9833U KR200329146Y1 (ko) | 2003-06-23 | 2003-06-23 | 계측용 숫가락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29146Y1 true KR200329146Y1 (ko) | 2003-10-08 |
Family
ID=49339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19833U KR200329146Y1 (ko) | 2003-06-23 | 2003-06-23 | 계측용 숫가락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29146Y1 (ko) |
-
2003
- 2003-06-23 KR KR20-2003-0019833U patent/KR20032914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45668B1 (ko) | 측정 가이드를 구비하는 유체 공급 조립체 및 유체 공급 조립체의 유체 성분을 측정하는 방법 | |
US8016154B2 (en) | Sensor dispenser device and method of use | |
JP7039018B2 (ja) | 取り出し用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組合せ容器 | |
US8042704B2 (en) | Container with measuring device holding means | |
US20030144608A1 (en) | Lancet-integrated sensor, measurer for lancet-integrated sensor, and catridge | |
KR200386849Y1 (ko) | 계량 스푼 수납구를 갖는 용기 캡 | |
CN101266241A (zh) | 测试条分配器 | |
US20040217219A1 (en) | Food grater | |
CN101266240A (zh) | 分配测试条的方法 | |
PL172527B1 (pl) | Opakowanie ekspozycyjne narzedzi PL PL PL | |
WO2006110676A1 (en) | Holder for tape measure | |
CN107264966B (zh) | 具有条保持器的测试条容器及其制造和使用方法 | |
KR200329146Y1 (ko) | 계측용 숫가락 | |
JP2006111294A (ja) | スプーン付き容器 | |
JP3794699B2 (ja) | 取付部が一つの子宮内避妊器具トレイ | |
US20230302443A1 (en) | Test strip holder | |
CN211418127U (zh) | 一种医疗器械收纳盒 | |
JP4796948B2 (ja) | ロック機能付き測定皿を有するベビースケール | |
CN109791066B (zh) | 测量装置 | |
JP3936097B2 (ja) | ペースト状物収納容器 | |
JP2004226314A (ja) | 試薬容器 | |
JP4878009B2 (ja) | 計量スプーン | |
CN217940228U (zh) | 一种取用固体试剂样品的药匙 | |
JPH09173874A (ja) | 直方体形の貯蔵容器 | |
EP4386335A1 (en) | Scale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